KR102570231B1 -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0231B1
KR102570231B1 KR1020210030703A KR20210030703A KR102570231B1 KR 102570231 B1 KR102570231 B1 KR 102570231B1 KR 1020210030703 A KR1020210030703 A KR 1020210030703A KR 20210030703 A KR20210030703 A KR 20210030703A KR 102570231 B1 KR102570231 B1 KR 102570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unit
fitting
pipes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6440A (ko
Inventor
최미숙
Original Assignee
최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미숙 filed Critical 최미숙
Priority to KR1020210030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231B1/ko
Publication of KR20220126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reenhouse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럭 등과 같은 이동수단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으면서 용이하게 조립되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3개 이상의 파이프와, 파이프 사이를 연결해주는 연결 파이프를 포함하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지면에 다수 설치되는 골조 파이프; 및 골조 파이프 사이를 연결해주는 횡방향 지지파이프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에 있어서, 파이프는 제1끼움구멍이 외면에 관통 형성되고, 제1끼움구멍의 중심을 향하는 제1끼움부가 내면 양쪽에 형성된 제1유닛과;, 제1끼움구멍에 끼워지며, 제1끼움부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외면에 형성되고, 제1유닛에 걸리는 걸림부가 외면에 형성된 제2유닛과;, 제1끼움구멍에 끼워지며, 제1끼움부가 끼워지는 제1끼움홈이 외면에 형성되고, 제1유닛에 걸리는 걸림부가 외면에 형성되며, 제1끼움홈의 직교되는 방향으로 걸림부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의 외면에 제2끼움홈이 형성된 제3유닛을 포함하며, 연결 파이프는 제2,3유닛이 끼워지는 제2끼움구멍이 외면에 관통 형성되고, 제2끼움구멍의 중심을 향하면서 끼움홈 및 제1끼움홈에 끼워지는 제2끼움부가 내면 양쪽에 형성되며, 걸림부에 걸리고, 양쪽 사이에 절곡부가 형성되며, 횡방향 지지파이프는 돌출부가 끼워지는 제3끼움구멍이 외면에 관통 형성되고, 제3끼움구멍의 중심을 향하면서 제2끼움홈에 끼워지는 제3끼움부가 내면 양쪽에 형성되며, 걸림부에 걸리는 제4유닛과;, 제3끼움구멍에 끼워지며, 제3끼움부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외면에 형성되고, 제4유닛에 걸리는 걸림부가 외면에 형성된 제5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용 파이프{Pipe for vinyl house}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트럭 등과 같은 이동수단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으면서 용이하게 조립되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작물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으로, 동절기 및 하절기에 사용된다.
그리고, 비닐하우스는 논, 밭 등의 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열로 세워지는 골조 파이프와, 이 골조 파이프들의 횡방향으로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지지파이프와, 서로 연결된 골조 파이프 및 지지파이프를 덮는 비닐 등이 포함되었다.
이과 관련하여, 특허문헌1은 외측면으로 비닐이 씌워지는 다수개의 아치형 파이프를 등간격으로 설치한 내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개의 보강파이프로 이루어지는 비닐하우스의 아치형 파이프 설치구조에 있어서, 비닐하우스의 너비만큼 나란하게 지면에 이격 배치하는 한 쌍의 베이스파이프를 구성하고, 베이스파이프에 끼움되는 제1끼움단의 양 끝단에 각각 하나 이상의 제1기둥이 상부로 돌출된 이중고정구를 구성하며, 베이스파이프에 끼움되는 제2끼움단의 끝단에 하나 이상의 제2기둥이 상부로 돌출된 단일고정구로 구성하여, 한 쌍의 베이스파이프를 따라 이중고정구와 단일고정구를 혼재시켜 서로 마주보게 끼움 설치 후 아치형 파이프의 끝단을 마주보는 각각의 이중고정구의 제1기둥이나 단일고정구의 제2기둥에 끼워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의 아치형 파이프 설치구조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종래 및 특허문헌1의 경우에는 골조를 이루는 아치 형태의 파이프 및,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파이프의 크기가 커서 트럭 등과 같은 이동수단에 적재하기가 어려웠었다.
또한,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파이프를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골조를 이루는 아치 형태의 파이프에 설치해야하는 조립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허문헌1 : 국내등록특허 제10-1431470호(2014.08.12,등록.)
이에, 본 발명은 트럭 등과 같은 이동수단에 종래보다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으면서 종래보다 용이하게 조립되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3개 이상의 파이프와, 파이프 사이를 연결해주는 연결 파이프를 포함하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지면에 다수 설치되는 골조 파이프; 및 골조 파이프 사이를 연결해주는 횡방향 지지파이프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에 있어서, 파이프는 제1끼움구멍이 외면에 관통 형성되고, 제1끼움구멍의 중심을 향하는 제1끼움부가 내면 양쪽에 형성된 제1유닛과;, 제1끼움구멍에 끼워지며, 제1끼움부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외면에 형성되고, 제1유닛에 걸리는 걸림부가 외면에 형성된 제2유닛과;, 제1끼움구멍에 끼워지며, 제1끼움부가 끼워지는 제1끼움홈이 외면에 형성되고, 제1유닛에 걸리는 걸림부가 외면에 형성되며, 제1끼움홈의 직교되는 방향으로 걸림부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의 외면에 제2끼움홈이 형성된 제3유닛을 포함하며, 연결 파이프는 제2,3유닛이 끼워지는 제2끼움구멍이 외면에 관통 형성되고, 제2끼움구멍의 중심을 향하면서 끼움홈 및 제1끼움홈에 끼워지는 제2끼움부가 내면 양쪽에 형성되며, 걸림부에 걸리고, 양쪽 사이에 절곡부가 형성되며, 횡방향 지지파이프는 돌출부가 끼워지는 제3끼움구멍이 외면에 관통 형성되고, 제3끼움구멍의 중심을 향하면서 제2끼움홈에 끼워지는 제3끼움부가 내면 양쪽에 형성되며, 걸림부에 걸리는 제4유닛과;, 제3끼움구멍에 끼워지며, 제3끼움부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외면에 형성되고, 제4유닛에 걸리는 걸림부가 외면에 형성된 제5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1,2,3유닛이 연결되면서 파이프가 형성되고, 다수의 파이프가 연결 파이프로 연결되면서 지면에 설치되는 골조 파이프가 형성되며, 제4,5유닛이 연결되면서 골조 파이프 사이에 설치되는 횡방향 지지파이프가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즉, 골조 파이프 및 횡방향 지지파이프를 분해해서 트럭 등과 같은 이동수단에 종래보다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골조 파이프의 제3유닛과 횡방향 지지파이프의 제4유닛이 연결되면서, 다수의 골조 파이프 사이가 횡방향 지지파이프로 각각 연결되는 효과가 있다.
즉,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골조 파이프에 횡방향 지지파이프를 종래보다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횡방향 지지파이프가 골조 파이프의 내측이 아닌 마주보는 면에 설치되는 효과가 있다.
즉, 골조 파이프의 마주보는 면을 횡방향 지지파이프가 지지하면서, 골조 파이프의 하중을 견디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3개 이상의 파이프만 있으면 연결 파이프로 연결해서 골조 파이프를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양쪽 사이의 각도가 120°인 3개의 연결 파이프로 4개의 파이프 사이를 각각 연결하면, 3개의 모서리를 가진 '
Figure 112021027584542-pat00001
' 형태의 골조 파이프를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양쪽 사이의 각도가 120°인 2개의 연결 파이프와, 양쪽 사이의 각도가 150°인 2개의 연결 파이프로 5개의 파이프 사이를 각각 연결하면, 4개의 모서리를 가진 '
Figure 112021027584542-pat00002
' 형태의 골조 파이프를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곡선 형태의 절곡부에 의해 골조 파이프의 모서리가 완만해지기 때문에, 골조 파이프의 모서리가 날카롭게 형성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즉, 골조 파이프에 씌워지는 비닐이 모서리에 걸리거나 찢어지는 현상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2,3끼움부가 끼움홈 및 제1,2끼움홈에 걸리기 때문에, 파이프 및 연결 파이프 및 횡방향 지지파이프가 외력에 의해 회전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즉, 불필요한 외력에 의한 조립 해제 및 소음 발생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서로 맞닿으면서 서로 지지되는 한 쌍의 제1,2,3몸체의 지지부에 의해 강도가 유지되기 때문에, 강풍 등에 의한 외력을 잘 견디는 효과가 있다.
즉, 결합된 골조 파이프 및 횡방향 지지파이프가 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합된 골조 파이프 및 횡방향 지지파이프의 하중을 잘 견디는 효과가 있다.
즉, 하중에 의한 골조 파이프 및 횡방향 지지파이프의 변형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골조 파이프의 폭 및 횡방향 지지파이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논, 밭 등의 환경에 맞게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2,3끼움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1,4유닛 및 연결 파이프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의 설치상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의 파이프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유닛의 다른 사용상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의 연결 파이프와 파이프 결합도,
도 10은 도 9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연결 파이프의 다른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의 횡방향 지지파이프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의 횡방향 지지파이프와 골조 파이프 결합도,
도 14 및 도 15는 도 13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유닛의 다른 사용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의 연결 파이프 정면도,
도 18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따른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의 설치상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따른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의 설치상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따른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의 횡방향 지지파이프와 골조 파이프 결합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따른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의 연결 파이프 정면도,
도 26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따른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의 설치상태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비닐하우스용 파이프(300)는 적어도 3개 이상의 파이프(100)와, 상기 파이프(100) 사이를 연결해주는 연결 파이프(200)를 포함하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지면에 다수 설치되는 골조 파이프(1000); 및 상기 골조 파이프(1000) 사이를 연결해주는 횡방향 지지파이프(20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골조 파이프(1000)는 4개의 파이프(100)와;, 4개의 상기 파이프(100) 사이를 연결해주는 3개의 연결 파이프(200)가 포함된다.
즉, 상기 골조 파이프(1000)는 ''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비닐하우스용 파이프(3000)는 외측으로 비닐이 씌워져 작물을 재배하는 비닐하우스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100)는 제1끼움구멍(111)이 외면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끼움구멍(111)의 중심을 향하는 제1끼움부(112)가 내면 양쪽에 형성된 제1유닛(110)과;, 상기 제1끼움구멍(111)에 끼워지며, 제1끼움부(112)가 끼워지는 끼움홈(121)이 외면에 형성되고, 제1유닛(110)에 걸리는 걸림부(122)가 상기 외면에 형성된 제2유닛(120)과;, 상기 제1끼움구멍(111)에 끼워지며, 제1끼움부(112)가 끼워지는 제1끼움홈(131)이 외면에 형성되고, 제1유닛(110)에 걸리는 걸림부(132)가 상기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끼움홈(131)의 직교되는 방향으로 걸림부(132)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133)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33)의 외면에 제2끼움홈(134)이 형성된 제3유닛(13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지면에 가깝게 위치되는 파이프(100)의 한쪽 끝에는 연결 파이프(200)와의 연결을 위해 제2유닛(120) 또는 제3유닛(130)이 설치되며, 상기 지면에서 멀게 위치되는 파이프(100)의 양쪽 끝에는 연결 파이프(200)와의 연결을 위해 제2유닛(120) 또는 제3유닛(130) 또는 제2,3유닛(120)(130)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100)는 직선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유닛(110)은 폭 방향의 양쪽이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지지부(113a)가 형성된 한 쌍의 제1몸체(113)와;, 한 쌍의 상기 제1몸체(113)의 지지부(113a)가 서로 맞닿게 되면서 한 쌍의 상기 제1몸체(113)의 양쪽이 용접되어 형성된 용접부(114)가 포함된다.
그래서, 한 쌍의 상기 제1몸체(113)의 내부에는 제2,3유닛(120)(130)이 끼워지는 제1끼움구멍(111)이 형성되고, 서로 맞닿은 한 쌍의 상기 제1몸체(113)의 지지부(113a)는 끼움홈(121) 및 제1끼움홈(131)에 끼워지는 제1끼움부(11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몸체(113)는 파이프용 절곡장치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긴 단면이 반원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면서 폭 방향의 양쪽이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지지부(113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유닛(110)은 중공의 원통형 관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유닛(110)은 서로 맞닿으면서 서로 지지되는 한 쌍의 제1몸체(113)의 지지부(113a)에 의해, 강도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끼움부(112)의 길이는 제1끼움구멍(111)의 중심을 향해 더 길게 형성되거나, 상기 제1끼움구멍(111)의 중심의 반대편을 향해 더 짧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몸체(113)보다 도 7의 제1몸체(113)의 직경이 크면, 상기 제1몸체(113)의 양쪽이 긴 길이로 절곡되어 지지부(113a)가 형성되면서 제1끼움부(112)의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몸체(113)보다 도 7의 제1몸체(113)의 직경이 작으면, 상기 제1몸체(113)의 양쪽이 짧은 길이로 절곡되어 지지부(113a)가 형성되면서 제1끼움부(112)의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끼움홈(121) 및 제1끼움홈(131)도 제1끼움부(112)의 길이에 맞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유닛(120)은 중공의 원통형 관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며, 파이프용 압착장치에 의해 압착되어 끼움홈(121)이 외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유닛(120)은 중공의 원통형 관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 걸림부(122)가 바깥으로 끼워지면서, 용접 등을 통해 외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3유닛(130)은 중공의 원통형 관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며, 파이프용 압착장치에 의해 압착되어 제1끼움홈(131)이 외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유닛(130)은 중공의 원통형 관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 걸림부(132)가 바깥으로 끼워지면서, 용접 등을 통해 외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3유닛(130)은 중공의 원통형 관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 돌출부(133)가, 제1끼움홈(131)의 직교되는 방향으로 용접 등을 통해 걸림부(132)의 외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3유닛(130)의 돌출부(133)는 파이프용 압착장치에 의해 압착되어 제2끼움홈(134)이 외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비닐하우스용 파이프(3000)의 양쪽 끝에 위치되는 골조 파이프(1000)에 포함된 제3유닛(130)은 '┝'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비닐하우스용 파이프(3000)의 나머지 골조 파이프(1000)에 포함된 제3유닛(130)은 '╋'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파이프(200)는 제2,3유닛(120)(130)이 끼워지는 제2끼움구멍(210)이 외면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끼움구멍(210)의 중심을 향하면서 끼움홈(121) 및 제1끼움홈(131)에 끼워지는 제2끼움부(220)가 내면 양쪽에 형성되며, 걸림부(122)(132)에 걸리고, 양쪽 사이 즉, 중앙에 절곡부(23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 파이프(200)는 폭 방향의 양쪽이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지지부(241)가 형성된 한 쌍의 제2몸체(240)와;, 한 쌍의 상기 제2몸체(240)의 지지부(241)가 서로 맞닿게 되면서 한 쌍의 상기 제2몸체(240)의 양쪽이 용접되어 형성된 용접부(250)가 포함된다.
그래서, 한 쌍의 상기 제2몸체(240)의 내부에는 제2,3유닛(120)(130)이 끼워지는 제2끼움구멍(210)이 형성되고, 서로 맞닿은 한 쌍의 상기 제2몸체(240)의 지지부(241)는 끼움홈(121) 및 제1끼움홈(131)에 끼워지는 제2끼움부(2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접부(250)로 연결된 한 쌍의 제2몸체(240)는 길이 방향의 양쪽 사이에 절곡부(23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몸체(240)는 파이프용 절곡장치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긴 단면이 반원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면서 폭 방향의 양쪽이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지지부(24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 파이프(200)는 중공의 원통형 관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 파이프(200)는 서로 맞닿으면서 서로 지지되는 한 쌍의 제2몸체(240)의 지지부(241)에 의해, 강도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 파이프(200)는 파이프용 절곡장치에 의해 중앙이 절곡되어 절곡부(230)가 상기 중앙에 형성된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끼움부(220)의 길이는 제2끼움구멍(210)의 중심을 향해 더 길게 형성되거나, 상기 제2끼움구멍(210)의 중심의 반대편을 향해 더 짧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2몸체(240)보다 도 11의 제2몸체(240)의 직경이 크면, 상기 제2몸체(240)의 양쪽이 긴 길이로 절곡되어 지지부(241)가 형성되면서 제2끼움부(220)의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몸체(240)보다 도 11의 제2몸체(240)의 직경이 작으면, 상기 제2몸체(240)의 양쪽이 짧은 길이로 절곡되어 지지부(241)가 형성되면서 제2끼움부(220)의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끼움홈(121) 및 제1끼움홈(131)도 제2끼움부(220)의 길이에 맞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파이프(200)의 길이 방향의 양쪽 사이의 각도(θ)는 120°이며, 상기 연결 파이프(200)의 절곡부(230)는 곡선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횡방향 지지파이프(2000)는 돌출부(133)가 끼워지는 제3끼움구멍(310)이 외면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3끼움구멍(310)의 중심을 향하면서 제2끼움홈(134)에 끼워지는 제3끼움부(320)가 내면 양쪽에 형성되며, 걸림부(132)에 걸리는 제4유닛(300)과;, 상기 제3끼움구멍(310)에 끼워지며, 제3끼움부(320)가 끼워지는 끼움홈(410)이 외면에 형성되고, 제4유닛(300)에 걸리는 걸림부(420)가 상기 외면에 형성된 제5유닛(40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횡방향 지지파이프(2000)는 직선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4유닛(300)은 폭 방향의 양쪽이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지지부(331)가 형성된 한 쌍의 제3몸체(330)와;, 한 쌍의 상기 제3몸체(330)의 지지부(331)가 서로 맞닿게 되면서 한 쌍의 상기 제3몸체(330)의 양쪽이 용접되어 형성된 용접부(340)가 포함된다.
그래서, 한 쌍의 상기 제3몸체(330)의 내부에는 돌출부(133) 및 제5유닛(400)이 끼워지는 제3끼움구멍(310)이 형성되고, 서로 맞닿은 한 쌍의 상기 제3몸체(330)의 지지부(331)는 제2끼움홈(134) 및 끼움홈(410)에 끼워지는 제3끼움부(3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3몸체(330)는 파이프용 절곡장치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긴 단면이 반원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면서 폭 방향의 양쪽이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지지부(33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4유닛(300)은 중공의 원통형 관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4유닛(300)은 서로 맞닿으면서 서로 지지되는 한 쌍의 제3몸체(330)의 지지부(331)에 의해, 강도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끼움부(320)의 길이는 제3끼움구멍(310)의 중심을 향해 더 길게 형성되거나, 상기 제3끼움구멍(310)의 중심의 반대편을 향해 더 짧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3몸체(330)보다 도 16의 제3몸체(330)의 직경이 크면, 상기 제3몸체(330)의 양쪽이 긴 길이로 절곡되어 지지부(331)가 형성되면서 제3끼움부(320)의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3몸체(330)보다 도 16의 제3몸체(330)의 직경이 작으면, 상기 제3몸체(330)의 양쪽이 짧은 길이로 절곡되어 지지부(331)가 형성되면서 제3끼움부(320)의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끼움홈(134) 및 끼움홈(410)도 제3끼움부(320)의 길이에 맞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5유닛(400)은 중공의 원통형 관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며, 파이프용 압착장치에 의해 압착되어 끼움홈(410)이 외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5유닛(400)은 중공의 원통형 관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 걸림부(420)가 바깥으로 끼워지면서, 용접 등을 통해 외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비닐하우스용 파이프(3000)에서 지면에서 기울어진 파이프(10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파이프(100)와 달리 제1,2유닛(110)(120)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즉, 3개의 상기 연결 파이프(200) 사이는 제3유닛(130)하고만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면에서 기울어진 파이프(100)는 다른 파이프(100)와 달리 제1,3유닛(110)(130)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즉, 3개의 상기 연결 파이프(200) 사이는 제2유닛(120)하고만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면에서 기울어진 파이프(100)는 다른 파이프(100)와 달리 제2유닛(120)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즉, 3개의 상기 연결 파이프(200) 사이는 제3유닛(130)을 통해 제1유닛(110)과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면에서 기울어진 파이프(100)는 다른 파이프(100)와 달리 제3유닛(130)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즉, 3개의 상기 연결 파이프(200) 사이는 제2유닛(120)을 통해 제1유닛(11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비닐하우스용 파이프(3000)의 횡방향 지지파이프(2000)는 제5유닛(400)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서로 마주보는 상기 골조 파이프(1000)의 제3유닛(130)은 제4유닛(300)하고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한 제2실시예를 따른 상기 비닐하우스용 파이프(3000)의 골조 파이프(1000)는 5개의 파이프(100)와;, 5개의 상기 파이프(100) 사이를 연결해주는 4개의 연결 파이프(200)가 포함된다.
즉, 상기 골조 파이프(1000)는 ''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면에 가깝게 위치되는 연결 파이프(200)의 길이 방향의 양쪽 사이의 각도(θ)는 120°이며, 상기 지면에서 멀게 위치되는 연결 파이프(200)의 길이 방향의 양쪽 사이의 각도(θ)는 150°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파이프(200)의 절곡부(230)는 곡선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비닐하우스용 파이프(3000)에서 지면과 나란하게 위치되는 파이프(100)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파이프(100)와 달리 제1,2유닛(110)(120)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지면에서 멀게 위치되는 2개의 연결 파이프(200)는 제3유닛(130)하고만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면과 나란하게 위치되는 파이프(100)는 다른 파이프(100)와 달리 제1,3유닛(110)(130)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지면에서 멀게 위치되는 2개의 연결 파이프(200)는 제2유닛(120)하고만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면과 나란하게 위치되는 파이프(100)는 다른 파이프(100)와 달리 제2유닛(120)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지면에서 멀게 위치되는 2개의 연결 파이프(200)는 제3유닛(130)을 통해 제1유닛(110)과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면과 나란하게 위치되는 파이프(100)는 다른 파이프(100)와 달리 제3유닛(130)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지면에서 멀게 위치되는 2개의 연결 파이프(200)는 제2유닛(120)을 통해 제1유닛(11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비닐하우스용 파이프(3000)에서 지면에서 기울어진 파이프(100)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파이프(100)와 달리 제1,2유닛(110)(120)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지면에서 멀게 위치되는 2개의 연결 파이프(200)와, 상기 지면에서 가깝게 위치되는 2개의 연결 파이프(200)의 사이는 제3유닛(130)하고만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면에서 기울어진 파이프(100)는 다른 파이프(100)와 달리 제1,3유닛(110)(130)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지면에서 멀게 위치되는 2개의 연결 파이프(200)와, 상기 지면에서 가깝게 위치되는 2개의 연결 파이프(200)의 사이는 제2유닛(120)하고만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면에서 기울어진 파이프(100)는 다른 파이프(100)와 달리 제2유닛(120)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지면에서 멀게 위치되는 2개의 연결 파이프(200)와, 상기 지면에서 가깝게 위치되는 2개의 연결 파이프(200)의 사이는 제3유닛(130)을 통해 제1유닛(110)과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면에서 기울어진 파이프(100)는 다른 파이프(100)와 달리 제3유닛(130)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지면에서 멀게 위치되는 2개의 연결 파이프(200)와, 상기 지면에서 가깝게 위치되는 2개의 연결 파이프(200)의 사이는 제2유닛(120)을 통해 제1유닛(11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또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비닐하우스용 파이프(3000)의 횡방향 지지파이프(2000)는 제5유닛(400)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서로 마주보는 상기 골조 파이프(1000)의 제3유닛(130)은 제4유닛(300)하고만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상기 비닐하우스용 파이프(3000)는 제1유닛(110)의 제1끼움구멍(111)에 제3유닛(130)을 끼우면서 상기 제1유닛(110)을 제3유닛(130)의 걸림부(132)에 걸리게 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제1유닛(110)을 제3유닛(130)으로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유닛(110)의 제1끼움구멍(111)에 제2유닛(120)을 끼우면서 상기 제1유닛(110)을 제2유닛(120)의 걸림부(122)에 걸리게 하여, 직선 형태의 4개의 파이프(100)를 완성시킨다.
여기서, 2개의 상기 파이프(100)는 한쪽 끝에만 제2유닛(120)이 설치되며, 나머지 2개의 상기 파이프(100)는 양쪽 끝에 제2유닛(120)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유닛(110)의 제1끼움부(112)는 제2유닛(120)의 끼움홈(121) 및 제3유닛(130)의 제1끼움홈(131)에 끼워져서, 상기 제1,2,3유닛(110)(120)(130)은 서로 회전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나서, 4개의 상기 파이프(100) 사이에 3개의 연결 파이프(200)를 위치시킨 후, 상기 연결 파이프(200)의 제2끼움구멍(210)에 제2유닛(120)을 끼우면서 상기 연결 파이프(200)를 제2유닛(120)의 걸림부(122)에 걸리게 한다.
즉, 상기 양쪽 사이의 각도(θ)가 120°인 연결 파이프(200)로 파이프(100)의 사이를 연결시킨다.
그러면, 4개의 상기 파이프(100)의 사이가 3개의 연결 파이프(200)로 각각 연결되면서 '' 형태의 골조 파이프(1000)가 완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 파이프(200)의 제2끼움부(220)는 제2유닛(120)의 끼움홈(121)에 끼워져서, 상기 연결 파이프(200) 및 파이프(100)의 제2유닛(120)은 서로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골조 파이프(1000)의 모서리는 곡선 형태의 절곡부(230)에 의해 완만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골조 파이프(1000)를 지면에 미리 정해진 간격 즉,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4유닛(300)의 제3끼움구멍(310)에 제5유닛(400)을 끼우면서 상기 제4유닛(300)을 제5유닛(400)의 걸림부(420)에 걸리게 한다.
그러면,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제4유닛(300)이 제5유닛(400)에 의해 연결되면서, 직선 형태의 횡방향 지지파이프(2000)가 완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4유닛(300)의 제3끼움부(320)는 제5유닛(400)의 끼움홈(410)에 끼워져서, 상기 제4,5유닛(300)(400)은 서로 회전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횡방향 지지파이프(2000)의 제3끼움구멍(310)에 골조 파이프(1000)의 돌출부(133)를 끼운다.
여기서, 상기 제4유닛(300)의 제3끼움부(320)는 제3유닛(130)의 제2끼움홈(134)에 끼워져서, 상기 골조 파이프(1000)의 제3유닛(130)과 횡방향 지지파이프(2000)의 제4유닛(300)은 서로 회전할 수 없게 된다.
그러면, 상기 골조 파이프(1000)의 사이에 횡방향 지지파이프(2000)가 미리 정해진 간격 즉,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골조 파이프(1000) 및, 상기 골조 파이프(1000) 사이를 연결해주는 횡방향 지지파이프(2000)를 포함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비닐하우스용 파이프(3000)가 완성된다.
여기서, 서로 맞닿은 한 쌍의 상기 제1,2,3몸체(113)(240)(330)의 지지부(113a)(241)(331)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3000)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상기 비닐하우스용 파이프(3000)는 외측으로 비닐이 씌워져 작물을 재배하는 비닐하우스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비닐하우스용 파이프(300)에서 지면에서 기울어진 파이프(10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파이프(100)와 달리 제1,2유닛(110)(120)을 포함시키지 않는다.
즉, 3개의 상기 연결 파이프(200) 사이는 제3유닛(130)하고만 연결된다.
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면에서 기울어진 파이프(100)는 다른 파이프(100)와 달리 제1,3유닛(110)(130)을 포함시키지 않는다.
즉, 3개의 상기 연결 파이프(200) 사이는 제2유닛(120)하고만 연결된다.
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면에서 기울어진 파이프(100)는 다른 파이프(100)와 달리 제2유닛(120)을 포함시키지 않는다.
즉, 3개의 상기 연결 파이프(200) 사이는 제3유닛(130)을 통해 제1유닛(110)과 연결된다.
또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면에서 기울어진 파이프(100)는 다른 파이프(100)와 달리 제3유닛(130)을 포함시키지 않는다.
즉, 3개의 상기 연결 파이프(200) 사이는 제2유닛(120)을 통해 제1유닛(110)과 연결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비닐하우스용 파이프(3000)의 골조 파이프(1000)는 폭의 길이를 조절해서 지면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비닐하우스용 파이프(3000)의 횡방향 지지파이프(2000)는 제5유닛(400)을 포함시키지 않는다.
즉, 서로 마주보는 상기 골조 파이프(1000)의 제3유닛(130)은 제4유닛(300)하고만 연결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비닐하우스용 파이프(3000)의 횡방향 지지파이프(2000)는 길이 방향의 길이를 조절해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한 제2실시예를 따른 상기 비닐하우스용 파이프(3000)는 양쪽 사이의 각도(θ)가 120°인 연결 파이프(200)와, 양쪽 사이의 각도(θ)가 150°인 연결 파이프(200)로 파이프(100)의 사이를 연결한다.
그러면, 5개의 상기 파이프(100)의 사이가 4개의 연결 파이프(200)로 각각 연결되면서 '' 형태의 골조 파이프(1000)가 완성된다.
여기서, 상기 골조 파이프(1000)의 모서리는 곡선 형태의 절곡부(230)에 의해 완만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양쪽 사이의 각도(θ)가 120°인 연결 파이프(200)는 지면에 가깝게 위치되며, 양쪽 사이의 각도(θ)는 150°인 연결 파이프(200)는 상기 지면에서 멀게 위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비닐하우스용 파이프(3000)에서 지면과 나란하게 위치되는 파이프(100)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파이프(100)와 달리 제1,2유닛(110)(120)을 포함시키지 않는다.
즉, 상기 지면에서 멀게 위치되는 2개의 연결 파이프(200)는 제3유닛(130)하고만 연결된다.
또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면과 나란하게 위치되는 파이프(100)는 다른 파이프(100)와 달리 제1,3유닛(110)(130)을 포함시키지 않는다.
즉, 상기 지면에서 멀게 위치되는 2개의 연결 파이프(200)는 제2유닛(120)하고만 연결된다.
또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면과 나란하게 위치되는 파이프(100)는 다른 파이프(100)와 달리 제2유닛(120)을 포함시키지 않는다.
즉, 상기 지면에서 멀게 위치되는 2개의 연결 파이프(200)는 제3유닛(130)을 통해 제1유닛(110)과 연결된다.
또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면과 나란하게 위치되는 파이프(100)는 다른 파이프(100)와 달리 제3유닛(130)을 포함시키지 않는다.
즉, 상기 지면에서 멀게 위치되는 2개의 연결 파이프(200)는 제2유닛(120)을 통해 제1유닛(110)과 연결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비닐하우스용 파이프(3000)의 골조 파이프(1000)는 폭의 길이를 조절해서 지면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비닐하우스용 파이프(3000)에서 지면에서 기울어진 파이프(100)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파이프(100)와 달리 제1,2유닛(110)(120)을 포함시키지 않는다.
즉, 상기 지면에서 멀게 위치되는 2개의 연결 파이프(200)와, 상기 지면에서 가깝게 위치되는 2개의 연결 파이프(200)의 사이는 제3유닛(130)하고만 연결된다.
또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면에서 기울어진 파이프(100)는 다른 파이프(100)와 달리 제1,3유닛(110)(130)을 포함시키지 않는다.
즉, 상기 지면에서 멀게 위치되는 2개의 연결 파이프(200)와, 상기 지면에서 가깝게 위치되는 2개의 연결 파이프(200)의 사이는 제2유닛(120)하고만 연결된다.
또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면에서 기울어진 파이프(100)는 다른 파이프(100)와 달리 제2유닛(120)을 포함시키지 않는다.
즉, 상기 지면에서 멀게 위치되는 2개의 연결 파이프(200)와, 상기 지면에서 가깝게 위치되는 2개의 연결 파이프(200)의 사이는 제3유닛(130)을 통해 제1유닛(110)과 연결된다.
또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면에서 기울어진 파이프(100)는 다른 파이프(100)와 달리 제3유닛(130)을 포함시키지 않는다.
즉, 상기 지면에서 멀게 위치되는 2개의 연결 파이프(200)와, 상기 지면에서 가깝게 위치되는 2개의 연결 파이프(200)의 사이는 제2유닛(120)을 통해 제1유닛(110)과 연결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비닐하우스용 파이프(3000)의 골조 파이프(1000)는 폭의 길이를 조절해서 지면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또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비닐하우스용 파이프(3000)의 횡방향 지지파이프(2000)는 제5유닛(400)을 포함시키지 않는다.
즉, 서로 마주보는 상기 골조 파이프(1000)의 제3유닛(130)은 제4유닛(300)하고만 연결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또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비닐하우스용 파이프(3000)의 횡방향 지지파이프(2000)는 길이 방향의 길이를 조절해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2실시예를 따른 상기 비닐하우스용 파이프(3000)의 파이프(100)는 제1유닛(110)이 제3유닛(130)이 아닌 제2유닛(120)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유닛(110)이 적어도 3개 이상일 경우, 제2,3유닛(120)(130)을 같이 이용해서 상기 제1유닛(110)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면에 가깝게 위치되는 파이프(100)의 한쪽 끝에는 연결 파이프(200)와의 연결을 위해 제2유닛(120)이 아닌 제3유닛(13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면에 멀게 위치되는 파이프(100)의 양쪽 끝에는 연결 파이프(200)와의 연결을 위해 제2유닛(120)이 아닌 제3유닛(130) 또는 제2,3유닛(120)(130)이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파이프(100)에 포함된 제2,3유닛(120)(130)을 도면과 다르게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파이프 110 : 제1유닛
111 : 제1끼움구멍 112 : 제1끼움부
113 : 제1몸체 113a : 지지부
114 : 용접부 120 : 제2유닛
121 : 끼움홈 122 : 걸림부
130 : 제3유닛 131 : 제1끼움홈
132 : 걸림부 133 : 돌출부
134 : 제2끼움홈 200 : 연결 파이프
210 : 제2끼움구멍 220 : 제2끼움부
230 : 절곡부 240 : 제2몸체
241 : 지지부 250 : 용접부
300 : 제4유닛 310 : 제3끼움구멍
320 : 제3끼움부 330 : 제3몸체
331 : 지지부 340 : 용접부
400 : 제5유닛 410 : 끼움홈
420 : 걸림부 1000 : 골조 파이프
2000 : 횡방향 지지파이프 3000 :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Claims (18)

  1. 적어도 3개 이상의 파이프(100)와, 상기 파이프(100) 사이를 연결해주는 연결 파이프(200)를 포함하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지면에 다수 설치되는 골조 파이프(1000); 및 상기 골조 파이프(1000) 사이를 연결해주는 횡방향 지지파이프(2000)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100)는 제1끼움구멍(111)이 외면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끼움구멍(111)의 중심을 향하는 제1끼움부(112)가 내면 양쪽에 형성된 제1유닛(110)과;, 상기 제1끼움구멍(111)에 끼워지며, 제1끼움부(112)가 끼워지는 끼움홈(121)이 외면에 형성되고, 제1유닛(110)에 걸리는 걸림부(122)가 상기 외면에 형성된 제2유닛(120)과;, 상기 제1끼움구멍(111)에 끼워지며, 제1끼움부(112)가 끼워지는 제1끼움홈(131)이 외면에 형성되고, 제1유닛(110)에 걸리는 걸림부(132)가 상기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끼움홈(131)의 직교되는 방향으로 걸림부(132)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133)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33)의 외면에 제2끼움홈(134)이 형성된 제3유닛(130)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파이프(200)는 제2,3유닛(120)(130)이 끼워지는 제2끼움구멍(210)이 외면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끼움구멍(210)의 중심을 향하면서 끼움홈(121) 및 제1끼움홈(131)에 끼워지는 제2끼움부(220)가 내면 양쪽에 형성되며, 걸림부(122)(132)에 걸리고, 양쪽 사이에 절곡부(230)가 형성되며,
    상기 횡방향 지지파이프(2000)는 돌출부(133)가 끼워지는 제3끼움구멍(310)이 외면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3끼움구멍(310)의 중심을 향하면서 제2끼움홈(134)에 끼워지는 제3끼움부(320)가 내면 양쪽에 형성되며, 걸림부(132)에 걸리는 제4유닛(300)과;, 상기 제3끼움구멍(310)에 끼워지며, 제3끼움부(320)가 끼워지는 끼움홈(410)이 외면에 형성되고, 제4유닛(300)에 걸리는 걸림부(420)가 상기 외면에 형성된 제5유닛(4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유닛(110)은 폭 방향의 양쪽이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지지부(113a)가 형성된 한 쌍의 제1몸체(113)와;, 한 쌍의 상기 제1몸체(113)의 지지부(113a)가 서로 맞닿게 되면서 한 쌍의 상기 제1몸체(113)의 양쪽이 용접되어 형성된 용접부(114)를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제1몸체(113)의 내부에는 제2,3유닛(120)(130)이 끼워지는 제1끼움구멍(111)이 형성되고,
    서로 맞닿은 한 쌍의 상기 제1몸체(113)의 지지부(113a)는 끼움홈(121) 및 제1끼움홈(131)에 끼워지는 제1끼움부(1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 파이프(200)는 폭 방향의 양쪽이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지지부(241)가 형성된 한 쌍의 제2몸체(240)와;, 한 쌍의 상기 제2몸체(240)의 지지부(241)가 서로 맞닿게 되면서 한 쌍의 상기 제2몸체(240)의 양쪽이 용접되어 형성된 용접부(250)를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제2몸체(240)의 내부에는 제2,3유닛(120)(130)이 끼워지는 제2끼움구멍(210)이 형성되고,
    서로 맞닿은 한 쌍의 상기 제2몸체(240)의 지지부(241)는 끼움홈(121) 및 제1끼움홈(131)에 끼워지는 제2끼움부(2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접부(250)로 연결된 한 쌍의 제2몸체(240)는 길이 방향의 양쪽 사이에 절곡부(230)가 형성되고,
    상기 제4유닛(300)은 폭 방향의 양쪽이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지지부(331)가 형성된 한 쌍의 제3몸체(330)와;, 한 쌍의 상기 제3몸체(330)의 지지부(331)가 서로 맞닿게 되면서 한 쌍의 상기 제3몸체(330)의 양쪽이 용접되어 형성된 용접부(340)를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제3몸체(330)의 내부에는 돌출부(133) 및 제5유닛(400)이 끼워지는 제3끼움구멍(310)이 형성되고,
    서로 맞닿은 한 쌍의 상기 제3몸체(330)의 지지부(331)는 제2끼움홈(134) 및 끼움홈(410)에 끼워지는 제3끼움부(3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 파이프(1000)는 4개의 파이프(100)와;, 4개의 상기 파이프(100) 사이를 연결해주는 3개의 연결 파이프(200)를 포함하며,
    상기 골조 파이프(1000)는 '
    Figure 112021027584542-pat00007
    '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파이프(200)의 양쪽 사이의 각도(θ)는 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파이프(200)의 절곡부(230)는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에서 기울어진 파이프(100)는 제1,2유닛(110)(120) 또는 제1,3유닛(110)(130)을 포함하지 않거나, 제2유닛(120) 또는 제3유닛(130)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지지파이프(2000)는 제5유닛(400)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 파이프(1000)는 5개의 파이프(100)와;, 5개의 상기 파이프(100) 사이를 연결해주는 4개의 연결 파이프(200)를 포함하며,
    상기 골조 파이프(1000)는 ''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에 가깝게 위치되는 연결 파이프(200)의 양쪽 사이의 각도(θ)는 120°이며,
    상기 지면에서 멀게 위치되는 연결 파이프(200)의 양쪽 사이의 각도(θ)는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파이프(200)의 절곡부(230)는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과 나란하게 위치되는 파이프(100)는 제1,2유닛(110)(120) 또는 제1,3유닛(110)(130)을 포함하지 않거나, 제2유닛(120) 또는 제3유닛(130)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에서 기울어진 파이프(100)는 제1,2유닛(110)(120) 또는 제1,3유닛(110)(130)을 포함하지 않거나, 제2유닛(120) 또는 제3유닛(130)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지지파이프(2000)는 제5유닛(400)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끼움부(112)의 길이는 제1끼움구멍(111)의 중심을 향해 더 길게 형성하거나, 상기 제1끼움구멍(111)의 중심의 반대편을 향해 더 짧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끼움부(220)의 길이는 제2끼움구멍(210)의 중심을 향해 더 길게 형성하거나, 상기 제2끼움구멍(210)의 중심의 반대편을 향해 더 짧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17. 삭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끼움부(320)의 길이는 제3끼움구멍(310)의 중심을 향해 더 길게 형성하거나, 상기 제3끼움구멍(310)의 중심의 반대편을 향해 더 짧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KR1020210030703A 2021-03-09 2021-03-09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KR102570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703A KR102570231B1 (ko) 2021-03-09 2021-03-09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703A KR102570231B1 (ko) 2021-03-09 2021-03-09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440A KR20220126440A (ko) 2022-09-16
KR102570231B1 true KR102570231B1 (ko) 2023-08-23

Family

ID=83445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703A KR102570231B1 (ko) 2021-03-09 2021-03-09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2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409Y1 (ko) * 2005-05-09 2005-07-21 김혜숙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
KR200468681Y1 (ko) * 2013-01-25 2013-09-03 류재원 비닐하우스용 골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978B1 (ko) * 2011-03-23 2012-12-18 김정근 보강 수직 골조가 구비된 비닐하우스용 골조 구조
KR101431470B1 (ko) 2013-05-16 2014-08-22 강동운 비닐 하우스파이프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409Y1 (ko) * 2005-05-09 2005-07-21 김혜숙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
KR200468681Y1 (ko) * 2013-01-25 2013-09-03 류재원 비닐하우스용 골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440A (ko) 202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8031B1 (ko) 내진기능을 갖는 조립식 물탱크용 외부 보강프레임 조립체
US8783329B2 (en) Sun shader apparatus
EP3808907A1 (en) Light space lattice structure
GB2562188A (en) Structure for connecting post and beam of bunk bed and bunk bed using the structure
KR102570231B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CN203525194U (zh) 一种蹦床边框
KR20080015200A (ko) 비닐하우스 보강용 다단식 프레임구조물
KR102534234B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KR20120094341A (ko) 경량 형강재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아치형 하우스 구조물
KR101318180B1 (ko) 텐트 하우스의 골조구조
KR101277066B1 (ko) 조립구조물용 연결구
JP2008019701A (ja) 継手及び継手を用いた構築体
JP5727166B2 (ja) ビニルハウス
KR200390409Y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
KR20140094399A (ko) 조립식 격자지보의 결합구조
CN208063088U (zh) 屋面无支承型屋顶光伏电站
CN207392432U (zh) 一种可调节的高强度型钢连接结构
CN214833484U (zh) 一种组合式棚体
JP3120492U (ja) パイプ継手
KR100892165B1 (ko) 비닐하우스용 골조
JPH0660334U (ja) 支骨部材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ビニルハウス
CN211691767U (zh) 一种牢固性更强的复合材料帐篷支架弯管
CN215369048U (zh) 一种帐篷
KR200428470Y1 (ko) 봉조립용 코너블럭
KR200319281Y1 (ko) 파이프 구조물의 연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