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177Y1 -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177Y1
KR200452177Y1 KR2020090000364U KR20090000364U KR200452177Y1 KR 200452177 Y1 KR200452177 Y1 KR 200452177Y1 KR 2020090000364 U KR2020090000364 U KR 2020090000364U KR 20090000364 U KR20090000364 U KR 20090000364U KR 200452177 Y1 KR200452177 Y1 KR 2004521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member
vertical surface
hanger
bolt rod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3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415U (ko
Inventor
손치길
Original Assignee
손치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치길 filed Critical 손치길
Priority to KR20200900003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177Y1/ko
Publication of KR201000074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4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1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1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0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means for hanging lighting fixtures or other appliances to the framework of the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25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nging at a distance below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천정판을 부착하기 위해 볼트봉에 결합되는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에 있어서, 제1수직면부재와, 상기 제1수직면부재의 일단에서 수평 연장되는 제1수평면부재와, 상기 제1수평면부재의 일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수직 연장되어 안치부를 형성하는 제2수직면부재로 구성되는 제1몸체;와, 제3수직면부재와, 상기 제3수직면부재의 상하면에서 탄성을 가지도록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되되, 가운데 부분에는 상기 볼트봉으로 끼워지는 볼트공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절곡편으로 구성되는 제2몸체;와, 상기 제1수직면부재의 상측 일부분을 펀칭하여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제3수직면부에 형성되는 결합공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공으로 결합돌기를 삽입 후, 상기 결합돌기의 끝단을 펀칭하여, 그 끝단이 외향되게 절곡하여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를 견고히 결합함과 동시에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제1몸체와 제2몸체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천정에 매설된 볼트봉이 수직 연장되지 못하고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더라도, 행거가 회동하여 볼트봉이 기울어진 만큼 보상받아 안정적인 구조로 결합되며 또한, 제1몸체와 제2몸체는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하여 제1몸체와 제2몸체가 분리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몸체는 제3수직면부재와, 제3수직면부재의 상하면에서 탄성을 갖도 록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되, 가운데 부분에는 볼트봉으로 삽입되는 볼트공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절곡편으로 구성되어, 볼트봉에 체결시 별도의 잠금장치 없이 체결되도록 하고 또한, 제2몸체에는 제3수직면부재가 구성되어 있어 볼트봉에 체결하기 위해서 절곡편을 절곡시 절곡을 최소화하여 작업속도 및 작업능률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몸체에 대하여 제1몸체가 좌우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성하여, 캐링챤넬에 클립이 체결되는 위치와 상기 볼트봉에 체결된 행거의 위치가 중복되는 경우, 제1몸체를 어느 한 방향으로 이송하여 볼트봉에 체결된 행거가 상기 클립의 위치에서 이탈되게 하여 캐링챤넬에 체결되어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몸체를 구성하는 제1수직면부재의 양측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수직면부재로 가해지는 힘이나 충격에 쉽게 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됨으로, 제품의 안정성이 확보되며 또한, 안정성이 확보되는 만큼 제1수직면부재의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어 재료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몸체, 제2몸체, 회동, 좌우이송, 절곡, 행거

Description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Hanger for constructing ceiling plane}
본 고안은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행거의 시공 작업이 간편하고 편리하여 작업시간 단축 및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 킬수 있고, 나아가 시공된 상태를 더욱 안정화시킬 수 있는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천정에는 단열 보온재, 전기배선 및 배관 등의 설비가 갖추어지므로 이들 설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건축물의 천정에는 천정판이 설치되고 있는데, 이 천정판은 시공장치에 의해 설치되며, 상기 천정판 시공장치는 통상 천정에 매설되는 볼트봉, 상기 볼트봉에 체결되는 행거, 상기 행거에 체결되는 캐링챤넬, 상기 캐링챤넬에 결합되는 클립 및 상기 클립에 체결되는 엠-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행거는 천정에 매설된 볼트봉과 천정판 설치를 위한 캐링챤넬과 클립 및 엠-바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이 시공장치의 안정화에 있어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제, 하기에서는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종래에 사용되는 행거 및 이의 사용상 태에 대해서 살펴본다.
즉, 도 1은 종래의 행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행거의 시공상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행거(10)는 볼트공(13)이 형성되어 있는 제1수평면부재(12)와, 상기 제1수평면부재(12)의 일단에서 하향 절곡된 제1수직면부재(14)와, 상기 제1수직면부재(14)의 일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제2수평면부재(15)와, 상기 제2수평면부재(15)의 일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상향 절곡된 제2수직면부재(16)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수직면부재(14)의 하측에서 수평 및 수직으로 절곡된 제2수평면부재(15)와, 상기 제2수직면부재(16)에 의해서 후술할 캐링챤넬(40)을 안치할 안치부(17)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행거(10)를 이용한 천정판 시공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즉, 천정(80)에는 볼트봉(30)이 매설되어 있고, 상기 볼트봉(30)에는 행거(10)가 제1수평면부재(12)에 형성된 볼트공(13)을 매개로 결합되어 너트(20,22)에 의해서 구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행거(10)의 안치부(17)에는 캐링챤넬(40)이 삽착되어 있으며, 상기 캐링챤넬(40)에는 다시 클립(50)이 체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클립(50)에는 엠-바(미도시)가 체결되며, 상기 엠-바의 하측에는 천정의 마감재인 천정판(미도시)이 부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볼트봉(30)은 천정의 면적에 따라 상이하겠지만 수 개에서 수십 개가 매설되며, 이에 각각 행거(10)가 결합됨을 인지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천정판 시공장치에 사용되는 캐링챤넬(40), 클립(50) 및 암-바는 일반적인 천정판 시공장치로 널리 사용되는 공지의 것이므로 별도의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제,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종래 행거(10)의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즉,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80)에 매설되어 있는 볼트봉(30)에 행거를 결합하기 위해서 우선, 볼트봉(30)에 상부너트(20)를 먼저 나사 결합하게 된다. 그런 뒤, 볼트봉(30)으로 행거(10)의 제1수평면부재(12)에 형성된 볼트공(31)을 삽입하고, 하부너트(22)를 나사 결합하여 상기 행거(10)의 제1수평면부재(12)를 단단히 고정하게 된다. 통상, 상기 볼트봉(30)에 결합된 행거(1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나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아야 되므로 상하부 너트(20,22)가 각각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행거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너트(20,22)가 필요하게 되며, 수 개에서 수 십개의 행거(10)를 결합함에 있어 너트를 나사 결합하는 시간이 상당히 소모되어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천정(80)에 매설된 볼트봉(30)이 수직으로 매설되어 있으면 다행이나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80)에 매설된 볼트봉(30)이 수직 연장되지 못하고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연장되어 있다면 이에 결합되는 행거(10) 또한 같이 기울어지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그러면, 파선으로 도시된 캐링챤넬(40)은 행거(10)의 안치부(17)에 안정되게 안치되지 못할 것이고, 나아가 이에 결합되는 클 립(50)과 엠-바 및 천정판 또한 불안정하게 결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행거(10)에 삽착되는 캐링챤넬(40)에는 다수의 클립(50)이 체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클립(50)에 엠-바가 체결되며, 상기 엠-바의 하측에는 천정의 마감재인 천정판이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클립(50)은 서로 균일한 간격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는데 설치되는데 이는, 상기 클립(50)과 체결되는 엠-바에 결속되는 천정판의 무게를 균일하게 분산시켜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천장판 시공을 하다 보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링챤넬(40)에 클립(50)이 체결되는 위치와 상기 볼트봉(30)에 체결된 행거(10)의 위치가 중복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볼트봉(30)을 타격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하여 볼트봉(30)에 체결된 행거(10)가 상기 클립(50)의 위치에서 이탈되게 하여 상기 캐링챤넬(40)에 체결되는데, 그러면, 파선으로 도시된 캐링챤넬(40)은 행거(10)의 안치부(17)에 안정되게 안치되지 못할 것이고, 나아가 이에 결합되는 클립(50)과 엠-바 및 천정판 또한 불안정하게 결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1-036507호"와, "한국등록특허 제0780073호"의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가 개발되었지만, 상기 지적한 문제점 중에 일부분만이 해결되는 기술내용이며, 상기에서 지적한 다른 문제점은 해결되지 못하고 여전히 문제점으로 남아있었다.
또한, 상기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1-036507호"와, "한국등록특허 제0780073 호"의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는, 그 자체에도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러한 문제점을 살펴보겠다.
먼저,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1-036507호"의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는 받이부 일측에 돌기 형상으로 돌출된 추축제가 행거 부착부에 형성된 개구부로 삽입되는 구성으로 상기 받이부와 행거 부착부가 결합된 후, 상기 추축제를 매개로 행거가 회동하는 구성으로 되어있어, 천정에 매설된 볼트봉이 수직 연장되지 못하고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더라도, 상기 행거가 회동가능하여 상기 볼트봉이 기울어진 만큼 보상받아 상기 행거가 안정적인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의 일부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에서 제시되는 그 외의 문제점은 해결되지 못하고 여전히 문제점으로 남아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1-036507호"의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는 받이부와 행거 부착부가 결합된 후, 분리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시공시에 받이부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힘이 전달되면 받이부에 형성된 추축제가 행거 부착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이탈되어 안전사고 발생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0780073호"의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는 별도의 잠금장치(볼트봉에 결합시에 행거를 고정시키기 위해 체결되는 상하부너트)가 없이도 볼트봉에 체결되도록 대략 V자 형상으로 절곡되되, 상통공과 하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행거로드 체결부로 구성되어 있어, 볼트봉에 행거 체결시 행거로드 체결부의 양끝단을 잡고 절곡시켜 볼트봉에 삽입 후, 다시 복원시켜 볼트봉에 체결되도록 함으로, 상기의 볼트봉에 행거를 결합하는 시간이 상당하여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 점을 해결하도록 되어있으나, 상기에서 제시되는 그 외의 문제점은 해결되지 못하고 여전히 문제점으로 남아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0780073호"의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는 볼트봉에 용이하게 체결하기 위해서, 행거로드 체결부를 절곡해야 하는데, 그 구조상 상통공과 하통공이 서로 맞닿을 정도로 상당히 많이 절곡되어야 볼트봉에 용이하게 삽입됨으로, 시공자의 힘의 낭비가 심하고, 많이 절곡되는 만큼 복원력이 우수함으로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즉, 상기 제시되는 모든 문제점을 정확히 해결하는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의 개발이 절실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제1몸체와 제2몸체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천정에 매설된 볼트봉이 수직 연장되지 못하고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더라도, 행거가 회동하여 볼트봉이 기울어진 만큼 보상받아 안정적인 구조로 결합되며 또한, 제1몸체와 제2몸체는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하여 제1몸체와 제2몸체가 분리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제2몸체는 제3수직면부재와, 제3수직면부재의 상하면에서 탄성을 갖도록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되, 가운데 부분에는 볼트봉으로 삽입되는 볼트공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절곡편으로 구성되어, 볼트봉에 체결시 별도의 잠금장치 없이 체결되도록 하고 또한, 제2몸체에는 제3수직면부재가 구성되어 있어 볼트봉에 체결하기 위해서 절곡편을 절곡시 절곡을 최소화하여 작업속도 및 능률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제2몸체에 대하여 제1몸체가 좌우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성하여, 캐링챤넬에 클립이 체결되는 위치와 상기 볼트봉에 체결된 행거의 위치가 중복되는 경우, 제1몸체를 어느 한 방향으로 이송하여 볼트봉에 체결된 행거가 상기 클립의 위치에서 이탈되게 하여 캐링챤넬에 체결되어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제1몸체를 구성하는 제1수직면부재의 양측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수직면부재로 가해지는 힘이나 충격에 쉽게 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됨으로, 제품의 안정성이 확보되며 또한, 안정성이 확보되는 만큼 제1수직면부재의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어 재료비 절감할 수 있는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는 천정판을 부착하기 위해 볼트봉에 결합되는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에 있어서, 제1수직면부재와, 상기 제1수직면부재의 일단에서 수평 연장되는 제1수평면부재와, 상기 제1수평면부재의 일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수직 연장되어 안치부를 형성하는 제2수직면부재로 구성되는 제1몸체;와, 제3수직면부재와, 상기 제3수직면부재의 상하면에서 탄성을 가지도록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되되, 가운데 부분에는 상기 볼트봉으로 끼워지는 볼트공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절곡편으로 구성되는 제2몸체;와, 상기 제1수직면부재의 상측 일부분을 펀칭하여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제3수직면부에 형성되는 결합공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공으로 결합돌기를 삽입 후, 상기 결합돌기의 끝단을 펀칭하여, 그 끝단이 외향되게 절곡하여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를 견고히 결합함과 동시에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결합부의 결합공은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게 형성하여, 상기 제2몸체에 대하여 제1몸체가 좌우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공 하부는 하나 이상의 걸림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를 이송 후에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걸림 홈으로 안치되도록 하여 제1몸체가 견고히 위치고정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몸체를 구성하는 제1수직면부재의 양측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수직면부재로 가해지는 힘이나 충격에 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에 의하면, 제1몸체와 제2몸체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천정에 매설된 볼트봉이 수직 연장되지 못하고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더라도, 행거가 회동하여 볼트봉이 기울어진 만큼 보상받아 안정적인 구조로 결합되며 또한, 제1몸체와 제2몸체는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하여 제1몸체와 제2몸체가 분리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몸체는 제3수직면부재와, 제3수직면부재의 상하면에서 탄성을 갖도록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되, 가운데 부분에는 볼트봉으로 삽입되는 볼트공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절곡편으로 구성되어, 볼트봉에 체결시 별도의 잠금장치 없이 체결되도록 하고 또한, 제2몸체에는 제3수직면부재가 구성되어 있어 볼트봉에 체결하기 위해서 절곡편을 절곡시 절곡을 최소화하여 작업속도 및 작업능률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몸체에 대하여 제1몸체가 좌우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성하여, 캐링챤넬에 클립이 체결되는 위치와 상기 볼트봉에 체결된 행거의 위치가 중복되는 경우, 제1몸체를 어느 한 방향으로 이송하여 볼트봉에 체결된 행거가 상기 클립의 위치에서 이탈되게 하여 캐링챤넬에 체결되어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몸체를 구성하는 제1수직면부재의 양측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수직면부재로 가해지는 힘이나 충격에 쉽게 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됨으로, 제품의 안정성이 확보되며 또한, 안정성이 확보되는 만큼 제1수직면부재의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어 재료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를 도시한 것으로,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의 분리 사시도를,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의 결합 사시도를,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의 A-A 단면도를,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의 사시도를,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의 회동동작 및 좌우이송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100)는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와, 결합부(130)를 포함하고 있 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11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판상의 제1수직면부재(112)와, 상기 제1수직면부재(112)의 일단에서 수평 연장되는 제1수평면부재(114)와, 상기 제1수평면부재(114)의 일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수직 연장되어 안치부(118)를 형성하는 제2수직면부재(11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수직면부재(116)는 안치부(118)로 삽착되는 캐링챤넬(40)의 상면보다는 약간 높게 형성하여 안정감을 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110)를 구성하는 제1수직면부재(112)의 양측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는 절곡부(150)가 형성되어, 상기 제1수직면부재(112)로 가해지는 힘이나 충격에 쉽게 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절곡부(150)가 형성된 제1몸체(110)는 두께가 얇게 제작되더라도 충격에 쉽게 휘거나 손상되지 않으므로 제작시에 재료비 절감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몸체(120)는 제3수직면부재(122)와, 상기 제3수직면부재(122)의 상하면에서 탄성을 가지도록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되되, 가운데 부분에는 볼트봉(30)으로 끼워지는 볼트공(126a,126b)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절곡편(124a,124b)으로 구성된다.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30)는 상기 제1수직면부재(112)의 상측 일부분을 펀칭하여 형성되는 결합돌기(132)와, 상기 결합돌기(132)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제3수직면부(122)에 형성되는 결합공(134)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공(134)으로 결합돌기(132)를 삽입 후, 상기 결합돌기(132)의 끝단을 펀칭하여, 그 끝단이 외향되게 절곡하여 상기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를 견고히 결합함과 동시에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러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도 상기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는 결합돌기(132)를 매개로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견고히 결합되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결합돌기(132)의 끝단이 외향되게 절곡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분리되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130)의 결합공(13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게 형성하여,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몸체(120)에 대하여 제1몸체(110)가 좌우 방향으로 이송 가능한 구조로 되어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공(134) 하부는 하나 이상의 걸림 홈(140)이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110)를 이송 후에 상기 결합돌기(132)가 상기 걸림 홈(140)으로 안치되도록 하여 제1몸체(110)가 견고히 위치고정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먼저, 천정판 시공장치는 종래와 동일하게 볼트봉(30), 행거(100), 캐링챤넬(40), 클립(50) 및 엠-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는데, 이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우선 천정(80)에는 볼트봉(30)이 매설되어 있고, 상기 볼트봉(30)에는 행거(100)의 제2몸체(120)가 절곡편(124a,124b)에 형성된 볼트공(126a,126b)을 매개로 결합되어 있고, 제1몸체부(110)의 안치부(118)에는 캐링챤넬(40)이 삽착되어 있으며, 상기 캐링챤넬(40)에는 다시 클립(50)이 체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클립(50)에는 엠-바가 체결되며, 상기 엠-바의 하측에는 천정(80)의 마감재인 천정판이 부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천정판 시공장치 중 볼트봉(30), 캐링챤넬(40), 클립(50) 및 엠-바는 종래에도 공개되어 있는 바, 본 고안에서는 이들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하기에서는 본 고안의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100)의 작동에 대해서 몇 가지 예시를 제시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첫째,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80)에 매설되어 있는 볼트봉(30)에 본 고안의 행거(100)를 결합하기 위해 제2몸체(120)의 제3수직면부재(122) 상하면에 구비되어 있는 절곡편(124a,124b)의 끝단을 파지하여 수평 즉, 볼트공(126a,126b)이 수평이 되도록 파지한 후, 볼트공(126a,126b)을 볼트봉(30)에 삽입시킨 후에 놓게 되면 우측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절곡편(124a,124b)은 원상 복귀될 것이고, 이로 인해 절곡편(124a,124b)에 형성된 볼트공(126a,126b) 또한 비스듬한 각도를 가지며, 그 내면은 볼트봉(30)의 외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이다.
즉, 제2몸체(120)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판상의 제3수직면부재(122)가 구성되어 있어 볼트봉(30)에 체결하기 위해 절곡편(124a,124b)을 절곡시에, 그 절곡 을 최소화하여 작업속도 및 능률이 향상되도록 되어있다.
둘째,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80)에 매설된 볼트봉(30)이 종래의 경우처럼 수직되지 못하고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매설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경우에도 행거(100)의 체결방법은 전술한 것과 같은데, 다만 캐링챤넬(40)을 안치하는 제1몸체(110)가 결합돌기(132)를 매개로 회동되어 볼트봉(30)과 제2몸체(120)와는 별개로 수직됨을 알 수 있으며, 이에 안치되는 캐링챤넬(40) 역시 종래와 달리 수평되어 있는 행거(100)의 안치부(118)에 안치되므로 안정감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천정판 시공장치 전체의 시공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견고히 결합되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결합돌기(132)의 끝단이 외향되게 절곡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분리되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셋째,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종종 발생되는 경우처럼 상기 캐링챤넬(40)에 클립(50)이 체결되는 위치와 상기 볼트봉(30)에 체결된 행거(10)의 위치가 중복되는 경우, 제1몸체(110)를 좌우 어느 일방향으로 이송하여 클립(50)의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한 후, 캐링챤넬(40)이 안치되므로 종래와는 달리 천정판 시공장치 전체의 시공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행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행거의 시공상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의 A-A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의 사시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의 회동동작 및 좌우이송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3에 도시된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종래의 행거 12,114. 제1수평면부재
13,126a,126b. 볼트공 14,112. 제1수직면부재
15. 제2수평면부재 16,116. 제2수직면부재
20. 상부너트 22. 하부너트
30. 볼트봉 40. 캐링챤넬
50. 클립 80. 천정
100.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 110. 제1몸체
118. 안치부 120. 제2몸체
122. 제3수직면부재 124a,124b. 절곡편
130. 결합부 132. 결합돌기
134. 결합공 140. 걸림 홈
150. 절곡부

Claims (3)

  1. 천정판을 부착하기 위해 볼트봉에 결합되는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에 있어서,
    제1수직면부재(112)와, 상기 제1수직면부재(112)의 일단에서 수평 연장되는 제1수평면부재(114)와, 상기 제1수평면부재(114)의 일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수직 연장되어 안치부(118)를 형성하는 제2수직면부재(116)로 구성되는 제1몸체(110);
    제3수직면부재(122)와, 상기 제3수직면부재(122)의 상하면에서 탄성을 가지도록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되되, 가운데 부분에는 볼트봉(30)으로 끼워지는 볼트공(126a,126b)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절곡편(124a,124b)으로 구성되는 제2몸체(120); 및
    상기 제1수직면부재(112)의 상측 일부분을 펀칭하여 형성되는 결합돌기(132)와, 상기 결합돌기(132)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제3수직면부(122)에 형성되는 결합공(134)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공(134)으로 결합돌기(132)를 삽입 후, 상기 결합돌기(132)의 끝단을 펀칭하여, 그 끝단이 외향되게 절곡하여 상기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를 견고히 결합함과 동시에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결합부(130)의 결합공(134)은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게 형성하여, 상기 제2몸체(120)에 대하여 제1몸체(110)가 좌우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134) 하부는 하나 이상의 걸림 홈(140)이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110)를 이송 후에 상기 결합돌기(132)가 상기 걸림 홈(140)으로 안치되도록 하여 제1몸체(110)가 견고히 위치고정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110)를 구성하는 제1수직면부재(112)의 양측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는 절곡부(150)가 형성되어, 상기 제1수직면부재(112)로 가해지는 힘이나 충격에 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
KR2020090000364U 2009-01-13 2009-01-13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 KR2004521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364U KR200452177Y1 (ko) 2009-01-13 2009-01-13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364U KR200452177Y1 (ko) 2009-01-13 2009-01-13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415U KR20100007415U (ko) 2010-07-22
KR200452177Y1 true KR200452177Y1 (ko) 2011-02-14

Family

ID=44244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364U KR200452177Y1 (ko) 2009-01-13 2009-01-13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17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54433A (zh) * 2020-12-29 2021-03-26 北京星通浩宇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集成吊顶可调龙骨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553A (ko) * 2002-05-13 2003-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방법
WO2004094742A2 (fr) 2003-04-16 2004-11-04 Lafarge Platres Suspent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structure porteuse avec une telle suspente
KR200388553Y1 (ko) 2005-04-20 2005-06-29 김권희 천정패널 고정행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553A (ko) * 2002-05-13 2003-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방법
WO2004094742A2 (fr) 2003-04-16 2004-11-04 Lafarge Platres Suspent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structure porteuse avec une telle suspente
KR200388553Y1 (ko) 2005-04-20 2005-06-29 김권희 천정패널 고정행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415U (ko) 201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11415B2 (en) Suspended storage shelf
KR200436274Y1 (ko) 시공성이 우수한 거푸집용 고정구
WO2013100678A1 (ko) 강관 소켓 및 이를 이용한 강관 말뚝과 강관 기둥의 연결 방법
KR200452177Y1 (ko) 건축물의 천정판 부착용 행거
WO2009035226A2 (en) Method and system for holding yoke on support
JP2013163951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固定構造及び固定方法
US20100264278A1 (en) Conduit hanger
JP2009135566A (ja) 屋外通信装置の設置構造及び設置方法
JP5765971B2 (ja) トンネル壁面へのプレート部材の取付構造
KR100609284B1 (ko) 경사진 콘크리트면에 설치가능한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및 설치방법.
KR20190098408A (ko) 거푸집용 선시공 타입 볼트 어셈블리
CN215107247U (zh) 一种承插型盘扣式脚手架外挂刚性安全网的连接组件
KR101281159B1 (ko)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KR200454283Y1 (ko) 천장 시설물 고정용 행거
KR100538280B1 (ko)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
JP2000303682A (ja) 吊り足場、及びその構築方法
JP2005290786A (ja) 吊り治具
KR200456691Y1 (ko) 전선거치대
JP2011106126A (ja) 補充パネル付き作業足場
JP2009280991A (ja) 天井裏足場支持構造および天井裏足場支持用金具
JP6489613B2 (ja) 吊天井の落下防止構造
KR200371856Y1 (ko)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
JP2007218320A (ja) 配管類固定具
KR20070103528A (ko) 천장 거푸집 패널 프레임 결합용 헤드프레임의 결합구조
KR200337176Y1 (ko) 거푸집 정렬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