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0519B1 - 배관 고정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배관 고정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0519B1
KR101110519B1 KR1020090119750A KR20090119750A KR101110519B1 KR 101110519 B1 KR101110519 B1 KR 101110519B1 KR 1020090119750 A KR1020090119750 A KR 1020090119750A KR 20090119750 A KR20090119750 A KR 20090119750A KR 101110519 B1 KR101110519 B1 KR 101110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lamp
sleeve
build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2890A (ko
Inventor
이해문
박찬석
강형필
Original Assignee
박찬석
이해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석, 이해문 filed Critical 박찬석
Priority to KR1020090119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519B1/ko
Publication of KR20110062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8Sealing by means of axial screws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2Sealing the pipe being cut in two 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각 층 바닥면에 고정되어 건물 내부 관통슬리브에 입설되는 배관을 고정하는 배관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클램프에는 몸체부가 관통슬리브의 내벽에 밀착되어 편심 회전하고 회전방향에 따라 관통슬리브의 내벽에 전달되는 가압력의 크기를 달리하는 지지볼트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볼트에 의해 상기 클램프와 관통슬리브의 직경 차를 교정할 수 있으며, 건물의 바닥면 또는 관통슬리브의 상부에 별도 체결수단에 없이도 본 발명의 클램프를 지지?고정함으로써 상기 배관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관통슬리브, 배관, 클램프, 지지볼트, 와셔(washer), 플랜지

Description

배관 고정용 클램프{Pipe fixation for clamp}
본 발명은 건물의 각 층 바닥면에 고정되어 건물 내부에 입설되는 배관을 고정하는 배관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의 각 층 바닥면에 고정되어 건물 내부 관통슬리브에 입설되는 배관을 고정하는 배관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관통슬리브의 내벽에 밀착되어 편심 회전함으로써 회전방향에 따라 관통슬리브의 내벽에 전달되는 가압력의 크기를 달리하는 지지볼트가 상기 클램프의 플랜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볼트에 의해 상기 클램프를 건물의 바닥면 또는 관통슬리브의 상부에 지지?고정함으로써 상기 배관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층 건물을 건축하는 경우에는 냉온수 급수 시설을 건물의 각층으로 냉온수를 공급하기 위해 배관을 수직으로 배열하여 시공하게 되며 특히, 대형 건물의 경우 급수량이 많아 이들 배관의 직경이 아주 크고 배관 내부의 물의 무게까지 합하면 배관의 무게가 아주 무겁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배관이 건물 내부에 설치되게 되면, 상기 배관이 흔들리지 않도록 건물 각 층의 벽체나 바닥면에 고정하는 배관용 고정장치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상기 배관용 고정장치에는 클램프(clamp)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클램프는, 상기 배관의 외주연에 밀착되는 한 쌍의 지지구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구의 양단부에 볼트를 체결하여 조여주게 되고, 상기 지지구의 하단부는 건물의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절곡된 플랜지가 형성되어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건물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클램프로 배관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한 쌍의 지지구에 결합된 볼트 너트를 풀어 상기 지지구를 분리한 뒤, 분리된 지지구의 내측으로 상기 배관을 삽입하고 다시 상기 지지구를 결합하여 배관의 외주연에 밀착되도록 감싸게 된다. 이후 지지구의 양단부를 다시 볼트와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배관을 고정하게 된다.
즉, 종래 배관용 클램프는 상기 배관의 외주연부를 볼트에 의해 조여지는 한 쌍의 지지구로 가압하고, 이 힘에 의해 상기 배관이 상기 클램프 내에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배관 고정용 클램프의 기능은 배관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함과 동시에 배관라인의 진동소음이 건물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도록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배관 고정용 클램프가 급수량이 많은 대형 건물에 사용될 경우 급수의 하중에 의해 상기 배관이 심하게 흔들리게 되는 데 이때, 배관의 잦은 유동에 의해 건물의 각층 바닥면에 고정된 클램프의 체결수단이 느슨해져 클램프가 바닥면에서 움직이게 되고, 심지어 상기 플랜지가 건물의 바닥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배관을 더 이상 지지하지 못하게 되는 중대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배관 고정용 클램프는 건물의 바닥면에 클램프의 플랜지를 밀착하고 못 또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배관을 지지하는 클램프가 배관 내부에 흐르는 하수의 하중에 의해 심하게 흔들리게 될 경우 상기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점점 풀리게 되어 배관을 지지하는 클램프가 더 이상 건물의 바닥면에 고정되지 못하고 움직이게 되어 심한 소음유발은 물론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관통슬리브의 직경(내경)과 배관의 직경(외경)의 차이로 인해 배관과 슬리브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여 배관이 관통슬리브 내에서 흔들리게 되고, 이에 따라 배관이 관통슬리브에 부딪쳐 각종 소음을 유발함은 물론, 심한 경우 배관 또는 슬리브가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배관과 클램프의 마찰로 인한 소음과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배관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고정용 클램프는, 건물 내부 관통슬리브에 입설되는 배관에 지지구가 밀착되어 상기 배관을 가압하고, 상기 지지구의 하단부에 절곡된 플랜지가 건물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배관을 고정하는 배관 고정용 클램프에 있 어서, 상기 플랜지 일측에는 머리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관통슬리브의 내벽에 밀착되는 몸체부가 편심 회전되어 상기 관통슬리브의 내벽을 가압하는 힘이 변화하는 지지볼트가 적어도 1개 이상 형성하여, 상기 지지볼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관통슬리브의 내부를 관통하는 배관이 항시 슬리브 내측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조절가능한 배관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볼트의 몸체부는 회전중심에서 각 면까지의 거리가 서로 다른 다면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볼트 머리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몸체부가 상기 관통슬리브의 내벽을 가압하는 힘이 단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고정용 클램프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클램프의 플랜지에는 편심 회전되어 관통슬리브의 내벽을 가압함으로써 본 발명의 클램프를 지지 및 고정하는 지지볼트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볼트의 조절에 의해 관통슬리브에 입설되는 배관을 관통슬리브의 내측 중심부에 항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배관이 관통슬리브의 내부 중심에 항시 위치함으로써 배관과 슬리브의 마찰로 인한 소음 및 파손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클램프를 건물의 바닥면에 고정하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부식되더라도 관통슬리브의 내벽을 가압하여 클램프를 지지하는 지지볼트에 의해 클램프가 움직이지 않게 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클램프와 관통슬리브의 두께에 따른 미세한 거리 차이를 상기 지지볼트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배관을 고정하는 배관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내부 관통슬리브에 입설되는 배관에 지지구가 밀착되어 상기 배관을 가압하고, 상기 지지구의 하단부에 절곡된 플랜지가 건물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배관을 고정하는 배관 고정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일측에는 머리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관통슬리브의 내벽에 밀착되는 몸체부가 편심 회전하여 상기 관통슬리브의 내벽을 가압하는 힘이 변화하는 지지볼트가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어, 상기 지지볼트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배관이 상기 관통슬리브 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고정용 클램프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고정용 클램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모식도, 지지볼트의 체결도 및 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건물의 바닥면에 배관(1)의 유입통로를 미리 확보하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 전 관통슬리브(2)가 매설되고, 건물의 바닥면에 매설되는 상기 관통슬리브(2)의 상 부 콘크리트 바닥면에는 본 발명의 배관 고정용 클램프(10)가 배관(1)을 지지하면서 안착 고정되는데, 본 발명의 클램프(10)는, 상기 관통슬리브(2)에 입설되는 배관(1)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볼트 및 나사 조임에 의해 상기 배관(1)을 가압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구(10a), 및 상기 지지구(10a)의 하단에 절곡 형성되어 본 발명의 클램프(10)가 건물 바닥면에 안착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랜지(10b)로 구성되며, 건물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상기 플랜지(10b)에는 소정 크기의 체결공(10c)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어 못 또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상기 체결공(10c)에 체결되어 본 발명의 클램프(10)를 건물의 바닥면에 고정하게 된다.
상기 지지구(10a)의 중앙부는 "ㄷ"자 형상의 홈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구(10a)의 내측으로 입설되는 배관(1)과 함께 열선 또는 전선 등의 부자재가 상기 "ㄷ"형상의 홈 내측으로 수직 관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한 쌍의 상기 지지구(10a) 사이에는 일측이 개구된 앙카(anchor) 또는 합성수지재의 절연판이 삽입되어, 한 쌍의 지지구(10a)가 맞닿는 부위를 분리시킴으로써, 하나의 지지구(10a)가 습기에 의해 산화되어 부식될 경우 타 지지구(10a)에 산화작용이 전달되는 것을 예방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10b)의 일측 또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마주하는 양측에는 머리부(20a)가 플랜지(10b)의 상면에서 회전하고, 몸체부(20b)는 상기 플랜지(10b)를 관통하여 상기 관통슬리브(2)의 내벽에 밀착하는 지지볼트(20)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볼트(20)는 지지구(10a)와 체결공(10c) 사이의 상기 플랜지(10b) 상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랜지(10b)의 원주를 90도 간격으로 4등분 한 지점에 4개 정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볼트(20)의 머리부(20a)는 랜쯔 또는 스페어 등으로 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육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머리부(20a)의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몸체부(20b)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지지볼트(20) 머리부(20a)의 중심에서 회전중심이 편심되어 회전한다. 이는 몸체부(20b)의 편심 회전에 따라 상기 관통슬리브(2)에 밀착되어 전달하는 가압력의 크기를 달리함으로써, 건물의 바닥면에 매설되는 관통슬리브(2)의 직경(내경)과 배관(1)의 직경(외경)과의 직경 차를 보정하여 상기 배관(1)을 단단히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볼트(20)의 몸체부(20b)는 횡단면이 삼각 또는 사각이 되도록 다면체로 형성하고, 각각의 면과 면 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는 완곡지도록 성형하여 지지볼트(20)의 몸체부(20b)가 상기 관통슬리브(2)의 내벽에 밀착되어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다면체로 형성되는 상기 지지볼트(20)의 몸체부(20b)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몸체부(20b)의 각 면의 폭을 각각 달리하거나, 상기 몸체부(20b)의 회전중심에서 각 면까지의 거리가 다르도록 형성하고, 각 면의 중심부가 서로 다른 두께로 배와 같이 완곡지게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지지볼트(20b)의 회전에 따라 상기 관통슬리브(2)를 가압하는 힘의 세기가 상기 관통슬리브(2)의 내면에 밀착하는 지지볼트(20)의 몸체부(20b)의 각 면에 따라 달라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볼트(20)의 머리부(20a)의 각 모리리 부분에는 상기 몸체 부(20b)의 각 면의 폭 크기 또는 돌출 두께의 크기 순서에 대응하는 숫자(1,2,3....) 또는 기호(a,b,c,...)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머리부(20a)의 숫자 또는 기호를 확인하여 관통슬리브(2)를 가압하는 몸체부(20b)의 가압력을 용이하게 확인 및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10)는, 상기 지지볼트(20)의 몸체부(20b) 외주연에 체결홈(20c)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20c)에 일측이 개구된 오링(Ω) 형상의 와셔(30,washer)가 억지끼움되어, 상기 와셔(30,washer)의 일측이 상기 플랜지의 하면에 걸림으로써 상기 지지볼트가 상기 플랜지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와셔(30,washer)는 턴성복원력이 뛰어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개구된 부위를 벌려 상기 지지볼트(20) 몸체부(20b)의 체결홈(20c)에 끼우게 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오므라들어 상기 몸체부(20b)에 밀착된다.
또한, 건물의 바닥면에 또는 관통슬리브(2)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는 본 발명의 클램프(10)가 상기 와셔(30,washer)의 두께로 인해 건물 바닥면 또는 관통슬리브(2)의 상면에 밀착되지 못하고 들뜨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10b)의 하면에 상기 와셔(30,washer)가 삽입 안착할 수 있는 요홈(10d)이 형성된다.
상기 요홈(10d)은 상기 와셔(30,washer)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20b)의 체결홈(20c)에 상기 와셔(30,washer)가 용이하게 체결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배관 고정용 클램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바닥면에 매설된 관통슬리브(2)의 내부에 입설된 배관(1)의 외주연에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10)의 지지구(10a)를 밀착시켜 지지구(10a)의 양단을 볼트 및 너트로 느슨하게 조여준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10)를 건물의 바닥면에 안착시켜 상기 클램프(10)의 플랜지(10b) 하면이 건물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구(10a)의 양단에 체결된 볼트 및 너트를 꽉 조여 상기 배관(1)을 가압한다.
본 발명의 클램프(10)로 상기 배관(1)을 지지 및 가압한 후에는 상기 클램프(20)의 플랜지(20b)에 구비된 지지볼트(20)를 회전시켜 상기 지지볼트(20)의 몸체부(20b) 일면이 상기 관통슬리브(2) 내벽을 최대한 가압하도록 하여, 상기 클램프(10)가 지지볼트(20)에 의해 건물 바닥면 또는 관통슬리브(2)의 상부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지지볼트(20)의 머리부(20a)에 형성된 숫자(1,2,3,...) 또는 기호(a,b,c...)를 확인한 후, 원하는 세기의 숫자 또는 기호가 상기 관통슬리브(2)의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지지볼트(20)의 머리부(20a)를 돌리게 되면, 상기 지지볼트(20)의 몸체부(20b)가 머리부(20a)의 회전에 따라 편심 회전하여 상기 관통슬리브(2)의 내벽을 사용자가 설정한 세기의 압력으로 가압하게 됨으로써, 상기 지지볼트(20)의 가압력에 의해 배관(1)을 지지하고 있는 본 발명의 클램프(20)가 바닥면 위에서 움직이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10)의 플랜지(10b)에 2개 내지 4개의 지지볼트(20)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할 경우, 플랜지(10b)의 각 방향에 형성되는 각각의 상 기 지지볼트(20)를 회전 및 조절하여 상기 배관(1)이 상기 관통슬리브(2)의 내측 중앙부에 항시 위치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배관(1)과 관통슬리브(2)의 부딪침 및 마찰을 최소화하여 소음발생의 문제점을 한번에 해결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고정용 클램프의 모식도.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클램프에 체결되는 지지볼트 및 이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고정용 클램프의 평면도.
도 5 내지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및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관 2 : 관통슬리브
10 : 클램프 10a: 지지구
10b : 플랜지 10c : 체결공
10d : 요홈 20 : 지지볼트
20c : 체결홈 30 : 와셔(washer)

Claims (4)

  1. 건물 내부 관통슬리브에 입설되는 배관에 지지구가 밀착되어 상기 배관을 가압하고, 상기 지지구의 하단부에 절곡된 플랜지가 건물의 콘크리트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배관을 고정하는 배관 고정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일측에는 머리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관통슬리브의 내벽에 밀착되는 몸체부가 편심 회전하여 상기 관통슬리브의 내벽을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볼트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볼트는 몸체부 외주연에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에 일측이 개구된 와셔(washer)가 억지끼움되어, 상기 체결홈에 끼워진 와셔(washer)의 외주연부가 상기 플랜지의 하면에 걸려 상기 지지볼트가 플랜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배관 고정용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하면에는 상기 와셔(washer)의 외경보다 큰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볼트의 몸체부에 체결된 상기 와셔(washer)가 상기 요홈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용 클램프.
  3. 삭제
  4. 삭제
KR1020090119750A 2009-12-04 2009-12-04 배관 고정용 클램프 KR101110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750A KR101110519B1 (ko) 2009-12-04 2009-12-04 배관 고정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750A KR101110519B1 (ko) 2009-12-04 2009-12-04 배관 고정용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890A KR20110062890A (ko) 2011-06-10
KR101110519B1 true KR101110519B1 (ko) 2012-01-31

Family

ID=44396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750A KR101110519B1 (ko) 2009-12-04 2009-12-04 배관 고정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051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699Y1 (ko) 2013-03-22 2014-10-07 문학조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KR101969052B1 (ko) 2018-08-03 2019-04-15 전상집 배수관 고정용 이지 클램프
KR20190120897A (ko) * 2018-04-17 2019-10-25 강원구 배관고정장치
KR102267765B1 (ko) 2020-12-24 2021-06-22 주식회사 제이앤지텍 배관 연결용 클램프
KR102280154B1 (ko) * 2021-01-22 2021-07-22 (주)유진글로벌 배관 클램핑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5172A (zh) * 2013-06-28 2013-10-02 无锡市伟丰印刷机械厂 一种可满足不同管径的石油平台管道护管
CN103322326A (zh) * 2013-06-28 2013-09-25 无锡市伟丰印刷机械厂 一种双向石油平台管道固定装置
CN103322327B (zh) * 2013-06-28 2015-12-09 江苏高博智融科技有限公司 一种多用石油平台管道集束护管
KR20230094898A (ko) * 2021-12-21 2023-06-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컨버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6280A (ja) * 1982-04-26 1983-10-31 Victor Co Of Japan Ltd デイジタル信号再生装置
KR20030087837A (ko) * 2002-05-10 2003-11-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망을 이용한 주정차 단속 시스템
KR200387837Y1 (ko) 2005-03-31 2005-06-23 이규상 배관파이프 고정장치
KR20080112783A (ko) * 2007-06-22 2008-12-26 문학조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
KR20090114247A (ko) * 2008-04-29 2009-11-03 주식회사 영진공영 배관용 파이프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6280A (ja) * 1982-04-26 1983-10-31 Victor Co Of Japan Ltd デイジタル信号再生装置
KR20030087837A (ko) * 2002-05-10 2003-11-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망을 이용한 주정차 단속 시스템
KR200387837Y1 (ko) 2005-03-31 2005-06-23 이규상 배관파이프 고정장치
KR20080112783A (ko) * 2007-06-22 2008-12-26 문학조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
KR20090114247A (ko) * 2008-04-29 2009-11-03 주식회사 영진공영 배관용 파이프 지지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699Y1 (ko) 2013-03-22 2014-10-07 문학조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KR20190120897A (ko) * 2018-04-17 2019-10-25 강원구 배관고정장치
KR102196488B1 (ko) * 2018-04-17 2020-12-29 강원구 배관고정장치
KR101969052B1 (ko) 2018-08-03 2019-04-15 전상집 배수관 고정용 이지 클램프
KR102267765B1 (ko) 2020-12-24 2021-06-22 주식회사 제이앤지텍 배관 연결용 클램프
KR102280154B1 (ko) * 2021-01-22 2021-07-22 (주)유진글로벌 배관 클램핑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890A (ko)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0519B1 (ko) 배관 고정용 클램프
US4408940A (en) Bolt anchor assembly
KR102505320B1 (ko) 입상관 고정용 클램프
US9512593B2 (en) Anti-torsion anchor bolt
KR101076084B1 (ko) 배관 고정용 클램프
KR101095818B1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200471167Y1 (ko) 관통슬리브 시공을 위한 클램프 구조체
KR200458316Y1 (ko) 고정앙카 클램프
KR200437763Y1 (ko) 거푸집의 배관 슬리브 고정구
KR101224843B1 (ko)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
KR20210003036A (ko) 입상관 고정구
KR200421549Y1 (ko) 입상배관 고정용 고정틀
KR200446654Y1 (ko)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 클램프
KR20090006046A (ko) 가설물고정용 볼트
KR20190098408A (ko) 거푸집용 선시공 타입 볼트 어셈블리
KR200142369Y1 (ko) 건축용 배관덕트의 배관지지장치
KR200403809Y1 (ko) 피시빔용 비계파이프 지지장치
KR200462293Y1 (ko) 배관 고정용 클램프
KR200284897Y1 (ko) 선박용 가설난간기둥
KR100771232B1 (ko) 거푸집 간격 유지구
KR101926554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리프팅 어셈블리
CA1066474A (en) Tri-anchor bracket for poles
KR200415001Y1 (ko) 거푸집 간격 유지구
KR102133937B1 (ko) 설치가 편리한 덕트 지지용 행거 장치
KR200343996Y1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