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554B1 - 콘크리트 구조물 리프팅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 리프팅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6554B1 KR101926554B1 KR1020160166846A KR20160166846A KR101926554B1 KR 101926554 B1 KR101926554 B1 KR 101926554B1 KR 1020160166846 A KR1020160166846 A KR 1020160166846A KR 20160166846 A KR20160166846 A KR 20160166846A KR 101926554 B1 KR101926554 B1 KR 1019265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structure
- fixing
- fixing head
- tensile
- lifting assembl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9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46 thermal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28 ero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31 harmfu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Caissons; Construction or placing of caiss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리프팅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 들고리의 연결공을 통해 상방으로 노출되어 만숀이 제거된 인장부재를 웨지체에 의해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정착구와, 정착구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상대회전함으로써 정착구의 돌출높이를 결정하는 고정용 헤드와, 고정용 헤드 내부에 삽입되어 정착구와 콘크리트 구조물 들고리 사이의 높이를 결정하는 간격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리프팅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박스나 케이슨(caisson)과 같이 대형 구조물을 리프팅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콘크리트 파손이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 리프팅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의 구조물에서 발생되는 균열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나,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체적변화, 내외부 온도차에 의한 열응력에 인한 인장력의 발생, 구조물에 가재지는 하중에 의해 발생된다.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균열의 종류는 소성수축, 침하, 건조수축, 열응력, 화학적 반응, 기상작용, 철근부식, 시공불량, 시공시 초과하중, 설계 부실, 운반 중 발생하는 불균일한 견인력 등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특히, 항만 콘크리트 구조물 중 하나인 콘크리트 케이슨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에 비해 해수의 물리적 및 화학적 작용, 기상작용, 파도나 표류 고형물, 선박에 의한 충격 등 여러 가지의 유해한 작용을 받는 가혹한 조건이다. 또한, 밀물이나 썰물, 파도에 의한 건습의 반복작용을 받아 콘크리트 중의 강재부식, 동해, 화학적 침식 등이 발생한다.
도 1a 내지 도 3에는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18947호가 개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리프팅 지그(100)가 종래의 앵커(10) 설치구조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1) 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들고리용 앵커(10)는 인장부재(11), 나사부(12), 만숀(13)으로 구성되어 있다. 들고리용 앵커(10)의 인장부재(11)와 만숀(13)의 하부가 콘크리트 구조물(1)에 매립되고, 만숀(13)의 상단부가 관통공 위로 돌출되어 체결수단(14)이 체결된다.
상기와 같은 기존의 들고리용 앵커(10)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과정에서 콘크리트 구조물(1)에 외력을 작용시키는데, 시공시의 오차나 리프팅 과정에서 발생하는 견인력의 불균형 문제 등으로 인해 도 2a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10)가 콘크리트 구조물(1)과 소정각도로 기울어져서 시공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런 경우, 앵커(10)의 설치방향과 콘크리트 구조물(1)의 리프팅 방향이 서로 일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콘크리트 구조물(1)을 리프팅하는 경우에는, 앵커(10)의 만숀(13) 측면이 콘크리트와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앵커(10)의 설치주변에서 콘크리트 구조물(1) 표면에 균열(21)이 발생하게 되고, 더 나아가서는 콘크리트 구조물(1) 표면에 박리까지 발생한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1)의 균열 및 박리는 시공 이후에 해수 등의 작용에 의해 심각한 철근 부식 및 구조내력의 저하 현상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리프팅과정에서도 콘크리트 구조물(1)의 이탈 및 낙하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18947호는 만숀(13) 하부에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부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흡수하기 위해 탄성을 가지는 쿠션부재(14)가 그 외면을 둘러싼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자체도 만숀(13)이 강봉으로 구성되어 벤딩되지 않는 특성으로 인해 실질적인 균열발생을 억제하기가 어려우며, 어떠한 쿠션부재라도 강봉인 만숀(13)과 콘크리트 사이의 외력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탄성력을 가지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결국, 단순히 만숀(13) 둘레에 쿠션부재를 배치하는 구조로는 만숀(13)과 콘크리트 구조물 사이의 외력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슨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과 케이슨 들고리 사이의 외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 리프팅 어셈블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 리프팅 어셈블리는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일체로 삽입된 인장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리프팅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만숀이 제거된 상기 인장부재의 일단을 웨지고정시켜 고정체의 나사결합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 들고리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정체는 상기 인장부재를 웨지고정시키는 정착구; 상기 정착구의 외주면에 나사결합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들고리에 고정되는 고정용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정착구와 상기 고정용 헤드는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인장부재의 인장정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정용 헤드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정착구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들고리 사이의 높이를 결정하는 간격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정착구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들고리의 연결공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원판형태로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인장부재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웨지체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리프팅 어셈블리에 의하면, 인장부재의 선단을 웨지결합시켜 당겨서 고정시키는 효과를 발생하기 때문에 보다 강하고 안정적인 고정력을 확보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일종의 앵커체나 프리스트레스 공법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 구조체 상면에 노출되어 있는 인장부재에 강봉과 같은 만숀이 제거되고 벤딩될 수 있는 상태로 콘크리트 구조체 들고리의 연결공 내부에서 자유단과 같이 유동할 수 있기 때문에 편심으로 인한 만숀과 콘크리트 구조체 사이의 접촉을 제한하여 콘크리트 구조체에 발생하는 균열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간격재가 인장부재와 고정용 헤드 사이의 접촉을 완화시키므로 고정용 헤드의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의한 만숀이 구비된 인장부재의 콘크리트 구조체 견인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1b는 도 1a의 인장부재 주변에서 발생하는 응력 형태를 보인 단면도.
도 2a는 종래기술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체의 인장부재에 편심이 발생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상태에서 발생된 콘크리트 구조체의 균열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3은 도 2b의 균열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인장부재 주변에 완충부재를 설치한 종래기술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리프팅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4의 S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리프팅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리프팅 어셈블리의 고정용 헤드의 쐐기체를 보인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인장부재 주변에서 발생하는 응력 형태를 보인 단면도.
도 2a는 종래기술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체의 인장부재에 편심이 발생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상태에서 발생된 콘크리트 구조체의 균열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3은 도 2b의 균열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인장부재 주변에 완충부재를 설치한 종래기술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리프팅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4의 S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리프팅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리프팅 어셈블리의 고정용 헤드의 쐐기체를 보인 사시도.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리프팅 어셈블리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리프팅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콘트리트 구조물 리프팅 어셈블리는 기존의 인장부재 일단에 구비되는 강봉으로 구성되는 만숀을 제거하고 인장부재를 그대로 노출시켜 벤딩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와의 접촉을 제한하고, 노출된 인장부재의 일단은 웨지에 의해 고정시키고 정착구와 고정용 헤드의 나사산 결합을 이용하여 인장부재를 인장시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 리프팅 어셈블리는 콘크리트 구조물 들고리의 연결공을 통해 상부로 노출되어 만숀이 제거된 인장부재를 웨지고정에 의해 고정시키는 정착구와; 상기 정착구의 외주면에 나사결합하고 콘크리트 구조물 들고리의 연결공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용 헤드와; 상기 정착구와 콘크리트 구조물 들고리의 연결공 사이에 개재되는 간격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정착구와 고정용헤드는 일체로 고정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콘크리트 구조체(100)와 콘크리트 구조체(100) 내부에 삽입되어 일체로 제작된 인장부재(110)가 도시되어 있다. 인장부재(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인장부재(110)의 상단은 콘크리트 구조체(100) 상면으로부터 일정높이만큼 노출되어 있다.
기존의 인장부재(110)의 선단에는 강봉형태의 만숀이 연결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인장부재(110)에서는 만숀이 제거되어 있다. 기존의 만숀은 인장부재(110)의 선단을 파지하기 위한 지지대 역할을 했기 때문에, 만숀이 제거된 인장부재(110)를 파지하기 위한 고정부재로서 웨지체(320)를 사용한다.
노출된 인장부재(110)의 선단에는 콘크리트 구조체 들고리(200)가 안착된다. 콘크리트 구조체 들고리(200)는 콘크리트 구조체(100)를 리프팅하기 위한 지지고리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들고리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콘크리트 구조체 들고리(200)는 콘크리트 구조체(100)의 상면에 안착되는 지지플레이트(21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210)의 상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리프팅 플레이트(22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10)의 양측에는 다수개의 인장부재(110)가 관통하기 위한 연결공(21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연결공(211) 내부에서 인장부재(110)는 연결공(211) 내측면에 맞닿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공(211) 내부의 인장부재(110)가 자유단과 같이 유동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체(100) 리프팅시 발생하는 유동에 대응할 수 있다.
콘크리트 구조체 들고리(210)의 연결공(211) 상방으로 노출된 인장부재(110)는 정착구(300)에 의해 웨지 고정된다. 도 6에는 정착구(300) 및 고정용 헤드(400)가 보다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구(300)는 원판형태로 구성되어 상하방향으로 다수개의 관통공(3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310)을 통해 인장부재(110)의 선단이 노출되고, 인장부재(110)의 선단에 웨지체(320)가 결합된다.
상기 웨지체(320)는 와이어와 같은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로써 다양한 형태의 웨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웨지체(320)가 인장부재(110)의 선단을 파지한 상태에서 정착구(300)가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인장부재(110)가 당겨지면서 웨지체(320)의 고정력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정착구(300)의 외주면에는 나사부(330)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330)는 고정용 헤드(400)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410)과 나사결합한다.
고정용 헤드(400)는 정착구(300)와 나사결합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체 들고리(200)의 상면에 안착된다. 고정용 헤드(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종의 너트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되어 별도의 고정장치에 의해 회전하면서 정착구(300)와 나사결합할 수 있다.
고정용 헤드(400)는 중앙에 정착구(300)에 대응되는 크기의 체결공(420)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420)에는 나사산(410)이 형성되어 정착구(300)의 나사부(330)와 나사결합한다.
고정용 헤드(400)가 정착구(300)와 나사결합하는 과정에서 정착구(300)는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정착구(300)에 연결되어 있는 웨지체(320)가 인장부재(110)의 선단을 파지한 상태로 당기게 됨으로써 인장부재(110) 선단의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추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용 헤드(400)의 일측에는 삽입공(430)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430)에는 쐐기체(44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쐐기체(440)는 고정용 헤드(400)를 고정한 이후에 외력에 의해 고정용 헤드(40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한다.
한편, 고정용 헤드(400) 내부에서 정착구(300)와 콘크리트 구조체 들고리(200)의 상면(연결공(211) 상단)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간격재(500)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간격재(500)는 고정용 헤드(400) 내부에 삽입되어 간격재(500) 상방에 연결되는 정착구(300)의 돌출높이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격재(500)의 높이나 삽입개수에 따라 정착구(300)의 돌출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정착구(300)의 돌출높이, 즉 고정용 헤드(400)와 나사결합하는 과정에서 고정용 헤드(400) 상방으로 돌출되는 정착구(300)의 돌출높이는 인장부재(110)를 잡아당기는 인장력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간격재(500)의 높이나 삽입개수에 따라 인장부재(100)에 가해지는 인장력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재(500)는 환형고리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개가 적층되어 고정용 헤드(400) 내부에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간격재(500)는 편심에 저항할 수 있는 유격을 만들 수 있다. 즉, 콘크리트 구조체(100)의 리프팅과정에서 편심이 발생하여 인장부재(100)가 고정용 헤드(400) 내측면에 닿거나 정착구(300)의 관통공(310)에 압력을 가해 파손되지 않도록 간격재(500)가 완충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리프팅 어셈블리의 조립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구(300)의 관통공(310)을 통해 인장부재(110)의 선단을 관통시키고, 인장부재(110)의 선단에 웨지체(320)를 물린다.
그리고, 정착구(300)와 콘크리트 구조체 들고리(200)의 상면에 간격재(500)를 개재시키고, 고정용 헤드(400)의 체결공(420)에 정착구(300)를 삽입하여 별도의 고정장치에 의해 고정용 헤드(400)를 A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고정용 헤드(400)가 회전하여 콘크리트 구조체 들고리(200)의 상면에 맞닿으면 고정용 헤드(400) 내부에 나사결합되는 정착구(300)가 B방향으로 상방 이동한다. 이때, 정착구(300) 하방에 위치한 간격재(500)의 높이만큼 정착구(300)가 상방이동할 수 있다.
정착구(300)가 상방이동함으로써 정착구(300)에 웨지결합된 인장부재(110)는 C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로 인해 인장부재(110)의 선단의 고정력이 확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리프팅 어셈블리는 인장부재(110)의 선단을 웨지결합시켜 당겨서 고정시키는 효과를 발생하기 때문에 일종의 앵커체나 프리스트레스 공법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즉, 인장부재(110)가 강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콘크리트 구조체(100)를 리프팅하기 때문에 보다 강하고 안정적인 고정력을 확보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구조체(1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 구조체(100) 상면에 노출되어 있는 인장부재(110)에 강봉과 같은 만숀이 제거되고 벤딩될 수 있는 상태로 콘크리트 구조체 들고리(200)의 연결공(211) 내부에서 자유단과 같이 유동할 수 있기 때문에 편심으로 인한 만숀과 콘크리트 구조체 사이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간격재(500)가 인장부재(110)와 고정용 헤드(400) 사이의 접촉을 완화시키므로 고정용 헤드(4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콘크리트 구조체 110 : 인장부재
200 : 콘크리트 구조체 들고리 300 : 정착구
310 : 관통공 320 : 웨지체
330 : 나사부 400 : 고정용 헤드
410 : 나사산 420 : 체결공
440 : 쐐기체 500 : 간격재
200 : 콘크리트 구조체 들고리 300 : 정착구
310 : 관통공 320 : 웨지체
330 : 나사부 400 : 고정용 헤드
410 : 나사산 420 : 체결공
440 : 쐐기체 500 : 간격재
Claims (4)
-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일체로 삽입된 인장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리프팅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만숀이 제거된 상기 인장부재의 일단을 웨지고정시켜 고정체의 나사결합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 들고리에 고정시키되,
상기 고정체는,
상기 인장부재를 웨지고정시키는 정착구;
상기 정착구의 외주면에 나사결합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들고리에 고정되는 고정용 헤드; 및
상기 고정용 헤드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정착구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들고리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인장부재에 가해지는 인장력의 크기를 결정하고, 인접한 구조물에 대한 완충재로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간격재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들고리는,
상기 인장부재의 일단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들고리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연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공 내부에서 상기 인장부재는 상기 연결공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서로 맞닿지 않도록 구성되어 상기 연결공 내부에서 상기 인장부재가 자유단과 같이 유동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리프팅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구와 상기 고정용 헤드는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인장부재의 인장정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리프팅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헤드의 일측에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헤드를 고정한 이후에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용 헤드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삽입공에는 쐐기체가 삽입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리프팅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들고리는 상기 인장부재의 일단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들고리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연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정착구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들고리의 연결공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판형태로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인장부재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웨지체가 결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리프팅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6846A KR101926554B1 (ko) | 2016-12-08 | 2016-12-08 | 콘크리트 구조물 리프팅 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6846A KR101926554B1 (ko) | 2016-12-08 | 2016-12-08 | 콘크리트 구조물 리프팅 어셈블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5682A KR20180065682A (ko) | 2018-06-18 |
KR101926554B1 true KR101926554B1 (ko) | 2018-12-10 |
Family
ID=62768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6846A KR101926554B1 (ko) | 2016-12-08 | 2016-12-08 | 콘크리트 구조물 리프팅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6554B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6111Y2 (ko) * | 1984-12-24 | 1990-02-14 | ||
JPH0725364Y2 (ja) * | 1989-03-10 | 1995-06-07 | 建設基礎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Pc鋼材定着具 |
JP3600972B2 (ja) * | 1995-11-13 | 2004-12-15 | 東洋建設株式会社 | 鉄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吊り金具 |
KR200318947Y1 (ko) | 2003-03-31 | 2003-07-04 | (주) 코리아에스이 | 콘크리트 구조물 들고리용 앵커의 설치구조 |
KR20100068933A (ko) * | 2008-12-15 | 2010-06-24 |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 동시 다중 긴장형 인장기 |
-
2016
- 2016-12-08 KR KR1020160166846A patent/KR101926554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5682A (ko) | 2018-06-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67161B1 (ko) | 그레이팅 패널 체결용 고정구 | |
KR20170060208A (ko) | 내진 보강 장치 | |
KR20110062890A (ko) | 배관 고정용 클램프 | |
KR101353512B1 (ko) |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 |
KR20100104073A (ko) |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 |
KR100990801B1 (ko) | 유격방지부재가 구비된 목구조물 | |
CN210946706U (zh) | 一种拆装方便的橡胶护舷 | |
US20220381025A1 (en) | Specialized connection devices and method of use | |
KR101926554B1 (ko) | 콘크리트 구조물 리프팅 어셈블리 | |
JP6307823B2 (ja) | プレキャストアーチトンネル | |
KR101340773B1 (ko) | 기둥과 기초의 조립식 결합구조 | |
JP2011071318A (ja) | 電力用機器固定装置 | |
KR20090067132A (ko) | 앵커볼트 | |
CN111119029A (zh) | 一种楔形的预应力筋用低回缩锚固装置及使用方法 | |
KR101235758B1 (ko) | 앵커볼트 설치용 플레이트 지그 | |
KR101920459B1 (ko) | 고장력네트의 강화지지수단 | |
CN212184726U (zh) | 海上养殖浮架缓冲装置 | |
CN112411475A (zh) | 一种拆装方便的橡胶护舷 | |
KR100771232B1 (ko) | 거푸집 간격 유지구 | |
KR101825694B1 (ko) | 볼트 풀림 방지장치 | |
KR200412751Y1 (ko) | 거푸집 간격 유지구 | |
KR101739344B1 (ko) | 다웰바 어셈블리 | |
JP4870004B2 (ja) | 定着構造 | |
KR20150000307U (ko) |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 | |
CN105510537A (zh) | 应用在方井池内的气体检测装置及其工作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