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307U -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 - Google Patents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307U
KR20150000307U KR2020130005791U KR20130005791U KR20150000307U KR 20150000307 U KR20150000307 U KR 20150000307U KR 2020130005791 U KR2020130005791 U KR 2020130005791U KR 20130005791 U KR20130005791 U KR 20130005791U KR 20150000307 U KR20150000307 U KR 201500003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rail
wedge
wedge block
anch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7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성호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57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0307U/ko
Publication of KR201500003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30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8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with means for locking trolleys or cranes to runways or tracks to prevent inadvertent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 B66C2700/01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olley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물에 침수가 된다 하더라도 크레인의 바퀴와 레일 사이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운반이 용이한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가 개시된다. 상기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는 크레인의 바퀴와 레일 사이에 삽입되는 테이퍼부가 마련된 웨지 블록 및, 상기 웨지 블록에 설치되어 상기 웨지 블록을 레일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고정수단에 의해 웨지 블록을 레일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우천 시나 장마철에 크레인이 탑재된 레일이 마련되어 있는 장소가 침수되어 웨지까지도 침수될 경우에도 크레인 바퀴와 레일 사이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웨지 블록에 손잡이부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여러 개의 웨지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WEDGE FOR ANCHORING OF CRANE}
본 고안은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크레인의 바퀴를 고정시킬 수 있는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선소 등과 같은 장소에는 선박의 블록 등과 같은 중량물을 운반하기 위하여 크레인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크레인은 레일 위에 바퀴가 탑재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중량물을 인양하여 운반하거나 옮겨 놓게 된다.
상기 레일 위에 탑재되어 이동되는 크레인은 일반적으로 상기 크레인의 바퀴와 레일 사이에 웨지(wedge)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크레인이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100)는 일측에 두께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된 블록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테이퍼부를 크레인의 바퀴와 레일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레일 위에 탑재된 크레인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100)는 통상적으로 목재로 제작됨으로써 우천 시에 상기 크레인의 바퀴와 레일 사이로부터 쉽게 이탈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장마철과 같이 지속적으로 비가 내려 레일이 마련된 장소가 침수되어 상기 웨지(100)까지도 침수될 경우 물에 뜨는 목재로 제작된 웨지(100)의 특성상 상기 크레인의 바퀴와 레일 사이로부터 더욱 쉽게 이탈됨으로써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야 할 크레인이 이동됨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는 매우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7790호 (2010.06.25.)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물에 침수가 된다 하더라도 크레인의 바퀴와 레일 사이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운반이 용이한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 본 고안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는 크레인의 바퀴와 레일 사이에 삽입되는 테이퍼부가 마련된 웨지 블록 및, 상기 웨지 블록에 설치되어 상기 웨지 블록을 레일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레일에 대하여 상기 웨지 블록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웨지 블록에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레일을 가압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상기 레일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나사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는 상기 웨지 블록에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수단에 의해 웨지 블록을 레일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우천 시나 장마철에 크레인이 탑재된 레일이 마련되어 있는 장소가 침수되어 웨지까지도 침수될 경우에도 크레인 바퀴와 레일 사이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크레인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레일이 마련된 장소가 장마철이나 우천 시에 침수된다 하더라도 레일 상에서 크레인을 고정시켜 놓은 웨지의 이탈로 인하여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야 할 크레인이 이동됨으로써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는 웨지 블록에 손잡이부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여러 개의 웨지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고안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를 사용하여 크레인을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를 사용하여 크레인을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를 사용하여 크레인을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를 사용하여 크레인을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100)는 웨지 블록(110)과 적어도 하나의 고정수단(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지 블록(110)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레일(R)과 크레인 바퀴(W)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웨지 블록(110)의 끝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테이퍼부(111)가 마련된다.
예를 들면, 상기 웨지 블록(110)은 금속재질과 목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웨지 블록(110)은 경량화시켜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목재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레일(R)에 탑재된 크레인 바퀴(W)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금속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수단(120)은 상기 웨지 블록(110)에 설치되어 상기 웨지 블록(110)을 레일(R)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수단(120)은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21)와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21)는 상기 웨지 블록(110)의 양측면에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21)는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웨지 블록(110)의 양측면에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웨지 블록(110)이 목재로 제작될 경우에는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21)는 상기 웨지 블록(110)의 양측면에 복수개의 고정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기 웨지 블록(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웨지 블록(110)이 금속재질로 제작될 경우에는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21)는 용접에 의해 상기 웨지 블록(11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21)는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웨지 블록(110)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웨지 블록(110)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웨지 블록(110)의 하부로 돌출된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21) 하단부가 상기 레일(R)의 양측면부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웨지 블록(1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21)는 금속 판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122)는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21)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122)는 볼트일 수 있다.
환언하면, 상기 고정부재(122)는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21)에 형성된 볼트 체결 홀(도시되지 않음)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레일을(R) 가압함으로써 상기 지지 플레이트(121)를 상기 레일(R)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상기 웨지 블록(110)을 상기 레일(R)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부재(122)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21)를 레일(R)에 대하여 균등한 압력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21)에 적어도 두 개가 일정간격으로 나사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100)는 상기 웨지 블록(110)에 연결된 손잡이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130)는 상기 웨지 블록(110)의 테이퍼부(111)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웨지 블록(11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손잡이부(130)는 와이어나 끈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를 사용하여 레일 위에 탑재된 크레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과정과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100)를 사용하여 레일(R) 위에 탑재된 크레인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웨지 블록(110)의 테이퍼부(111)가 크레인 바퀴(W)와 레일(R)의 상부면 사이로 향하도록 상기 웨지 블록(110)을 레일(R) 위에 올려놓는다.
이때, 상기 웨지 블록(110)의 양측면에 설치된 지지 플레이트(121)의 하단부는 상기 레일(R)의 양측면부와 마주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웨지 블록(110)을 해머나 망치 등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타격함으로써 상기 웨지 블록(110)의 테이퍼부(111)가 상기 크레인 바퀴(W)와 레일(R)의 상부면 사이로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크레인 바퀴(W)와 레일(R)의 상부면 사이로 상기 웨지 블록(110)의 테이퍼부(111)를 삽입한 다음에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21)에 나사 체결된 고정부재(122)를 회전시켜 상기 레일(R)의 측면부 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21)에 나사 체결된 고정부재(122)를 회전시켜 상기 레일(R)의 측면부 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부재(122)의 끝단부가 상기 레일(R)의 측면부와 접촉을 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122)를 레일(R)의 측면부 측으로 더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부재(122)는 상기 레일(R)의 측면부를 가압을 하게 됨으로써 상기 웨지 블록(110)을 레일(R)에 고정시키게 됨으로써 레일(R) 위에 탑재된 상기 크레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한편, 상기 크레인의 바퀴(W)를 고정시킨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100)를 제거하는 과정은 상기 크레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과정의 역순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100)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수단(120)에 의해 웨지 블록(110)을 레일(R)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우천 시나 장마철에 크레인이 탑재된 레일(R)이 마련되어 있는 장소가 침수되어 웨지(100)까지도 침수될 경우에도 크레인 바퀴(W)와 레일(R) 사이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크레인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레일(R)이 마련된 장소가 장마철이나 우천 시에 침수된다 하더라도 레일(R) 상에서 크레인을 고정시켜 놓은 웨지(100)의 이탈로 인하여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야 할 크레인이 이동됨으로써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100)는 웨지 블록(110)에 손잡이부(130)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여러 개의 웨지(100)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 (110) : 웨지 블록
(111) : 테이퍼부 (120) : 고정수단
(121) : 지지 플레이트 (122) : 고정부재
(R) : 레일 (W) : 크레인 바퀴

Claims (3)

  1. 크레인의 바퀴와 레일 사이에 삽입되는 테이퍼부가 마련된 웨지 블록; 및
    상기 웨지 블록에 설치되어 상기 웨지 블록을 레일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레일에 대하여 상기 웨지 블록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웨지 블록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레일을 가압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상기 레일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나사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웨지 블록에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
KR2020130005791U 2013-07-12 2013-07-12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 KR2015000030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791U KR20150000307U (ko) 2013-07-12 2013-07-12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791U KR20150000307U (ko) 2013-07-12 2013-07-12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307U true KR20150000307U (ko) 2015-01-21

Family

ID=52570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791U KR20150000307U (ko) 2013-07-12 2013-07-12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030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2536A (zh) * 2017-12-19 2018-04-13 中建四局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用吊笼的改进方法及结构
CN109502478A (zh) * 2019-01-07 2019-03-22 张镇 一种轨道式起重机防风锚定设备及起重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2536A (zh) * 2017-12-19 2018-04-13 中建四局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用吊笼的改进方法及结构
CN107902536B (zh) * 2017-12-19 2023-05-30 中建四局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用吊笼的改进方法及结构
CN109502478A (zh) * 2019-01-07 2019-03-22 张镇 一种轨道式起重机防风锚定设备及起重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967B1 (ko) 복공판
CN204676531U (zh) 预应力锚索锚固装置
CN204174935U (zh) 一种地下室外墙单侧模板支护结构
US10612573B2 (en) Bracing clamp for beams
CN106499201A (zh) 一种可拆卸的安全绳工具式固定卡具及其使用方法
KR20150000307U (ko)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
CN210263912U (zh) 一种楼承板连接件
WO2014103392A1 (ja) デッキプレート支持具とそれを用いたスラブ施工方法
KR102156384B1 (ko) 무용접 조립식 앙카베이스 시스템
CN104060814A (zh) 一种悬挑梁锚固件及其安装方法和拆除方法
CN107299766B (zh) 一种预制坡屋面板支撑体系及其施工方法
CN104912333A (zh) 墙体施工系统及施工方法
JP6370167B2 (ja) 立て起こし具及び立て起こし方法
CN203795609U (zh) 一种横梁嵌入式卡箍
KR20020001480A (ko) 피씨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KR200222611Y1 (ko) 피씨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CN209723017U (zh) 柱基础杯口芯模抗浮装置
CN214195544U (zh) 一种建筑施工模板
US3116079A (en) Scaffolding clamp
CN103723243A (zh) 固定底段定位用圆管支柱的工装构件及其使用方法
JP5812554B1 (ja) 親綱係留用支柱の取付金具及び取付構造
KR20150001224U (ko) 추락 방지용 간이 구조물
CN209855237U (zh) 一种建筑模板的连接锁紧装置
CN202847969U (zh) 固定底段定位用圆管支柱的工装构件
CN209817421U (zh) 一种新型模板加固用柱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