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938Y1 - 배관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938Y1
KR200456938Y1 KR2020090012352U KR20090012352U KR200456938Y1 KR 200456938 Y1 KR200456938 Y1 KR 200456938Y1 KR 2020090012352 U KR2020090012352 U KR 2020090012352U KR 20090012352 U KR20090012352 U KR 20090012352U KR 200456938 Y1 KR200456938 Y1 KR 2004569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pipe
connecting piece
pie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3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3063U (ko
Inventor
이태하
Original Assignee
이태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하 filed Critical 이태하
Priority to KR20200900123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938Y1/ko
Publication of KR201100030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0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9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9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each support having one transverse base for supporting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a special member for attachment to profiled gi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지면 또는 벽체에 체결되는 지주와, 배관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제 1삽입편이 일체로 구성되는 제 1고정부재;와, 상기 제 1고정부재의 제 1삽입편을 유도하여 결합시키는 한쌍의 제 1가이드편와, 지면 또는 벽체에 체결되는 지주와, 배관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일체로 구성되는 제 2고정부재;와, 상기 제 1고정부재와, 제 2고정부재의 안착부에 각각 삽입된 배관 중 어느 하나의 배관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고정부재 또는 제 2고정부재의 상단에 체결되는 제 1결합부재; 및 상기 제 1결합부재와 대향되게 상기 제 1고정부재 또는 제 2고정부재의 상단에 체결되어 선택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배관을 고정하는 제 2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관, 삽입편, 가이드편, 리브, 도브테일, 장홀, 지주, 연결편

Description

배관 고정장치{THE PIPE FIXING DEVICE}
본 고안은 배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 또는 벽체에 고정되고 배관을 안착시켜 고정할 수 있는 제 1고정부재, 제 2고정부재, 제 1결합부재 및 제 2결합부재로 구성되며, 이러한 각각의 구성요소는 규격화된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하여 블록 결합방식으로 상호 가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한편, 제 1고정부재 및 제 2고정부재에 형성된 아치형상의 안착부에 리브를 연장 형성하여 삽입된 배관을 이탈됨이 없이 가 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한 특징이 있는 배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 고정 장치는 오프셋클램프(offset clamp)로도 불리며, 상, 하수도 또는 도시가스나 소방용 배관 등과 같은 배관 설비들을 벽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설치하여 벽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배관이 설치되는 벽면은 건축물의 측벽면, 천장 또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상기 배관이 고정되는 모든 구조물을 통칭함을 미리 밝혀둔다.
종래의 배관 고정장치를 살펴보면 '다관용클램프' 출원번호:20-1997-0025285와, '배관 고정용 브라켓트' 출원번호: 20-1998-0004199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다관용클램프'와, '배관 고정용 브라켓트는 배관을 동시에 고정할 뿐, 선택적으로 증축하여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금속판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변형의 위험성과, 기간이 지남에 따라 산화되어 결합부뒤가 느슨해 지는 문제점이 항시적으로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배관의 개수에 따라 증축할 수 있는 종래 기술로 '개량형 배관지지구조' 출원번호: 20-2007-0011908와, '배관 고정장치' 출원번호: 20-2007-0020882가 출원된 바 있다.
하지만 '개량형 배관지지구조'는 다만 인접한 배관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구조로 지면에 배관을 지지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관 고정장치' 역시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변형의 위험성과, 기간이 지남에 따라 산화되어 결합부위가 느슨해 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천정이나 벽체에 설치할 때 배관을 손으로 잡고, 브라켓을 결합시켜야 하므로 설치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각각의 구성요소는 규격화된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하여 블록 결합방식으로 상호 가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킨 구조의 배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연장부재를 통해 설치된 배관의 개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중축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배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제 3목적은, 배관이 삽입되는 안착부에 리브를 형성하여 배관을 체결고정하기에 앞서 안착부에 미리 가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의 배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제 1고안은 배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면 또는 벽체에 체결되는 지주와, 배관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제 1삽입편이 일체로 구성되는 제 1고정부재;와, 상기 제 1고정부재의 제 1삽입편을 유도하여 결합시키는 한쌍의 제 1가이드편와, 지면 또는 벽체에 체결되는 지주와, 배관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일체로 구성되는 제 2고정부재;와, 상기 제 1고정부재와, 제 2고정부재의 안착부에 각각 삽입된 배관 중 어느 하나의 배 관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고정부재 또는 제 2고정부재의 상단에 체결되는 제 1결합부재; 및 상기 제 1결합부재와 대향되게 상기 제 1고정부재 또는 제 2고정부재의 상단에 체결되어 선택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배관을 고정하는 제 2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고안은, 제 1고안에서, 상기 제 1결합부재는 아치형상의 안착테와, 안착테에 연장되어 상기 제 1고정부재 또는 제 2고정부재의 지주에 결합되는 제 1연결편과, 상기 제 1연결편에 대향되게 연장되어 제 2고정부재의 제 1가이드편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2연결편이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한다.
제 3고안은, 제 2고안에서, 상기 제 2결합부재는 아치형상의 안착테와, 상기 안착테에 연장되어 상기 제 1고정부재 또는 제 2고정부재의 지주에 결합되는 제 3연결편과, 상기 제 1연결편에 대향되게 연장되어 제 2연결편 상부에 결합되는 제 4연결편이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고안은, 제 1고안 내지 제 3고안 중 어느 한 고안에서, 제 1고정부재와 제 2고정부재의 사이에는 배관을 고정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3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고안은, 제 4고안에서, 상기 연장부재는 배관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 기 안착부에 연장되어 상기 제 2고정부재의 제 1가이드편에 삽입되는 제 2삽입편과, 상기 안착부에 연장되어 제 1고정부재의 제 1삽입편을 가이드하여 결합시키는 제 2가이드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고안은, 제 5고안에서, 상기 제 3결합부재는 아치형상의 안착테와, 상기 안착테에 연장되어 상기 제 2연결편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5연결편과, 상기 제 5연결편에 대향되게 연장되어 연장부재의 제 2가이드편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6연결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고안은, 제 6고안에서, 상기 제 2결합부재의 제 4연결편은 상기 제 3결합부재의 제 6연결편 상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고안은, 제 1고안 또는 제 5고안에서, 상기 각 안착부는 배관이 이탈됨이 없이 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향으로 돌출 연장된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고안은, 제 1고안, 제 2고안, 제 3고안, 제 5고안 내지 제 7고안 중 어느 한 고안에서, 상기 각 지주와, 각 연결편과, 각 삽입편과, 각 가이드편에는 체결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장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0고안은, 제 9고안에서, 상기 각 삽입편은 상부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각 가이드편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삽입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1고안은, 배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면 또는 벽체에 체결되는 한쌍의 지주와, 상기 각 지주와 연장 연결되어 배관이 안착되는 안착부로 구성되는 제 3고정부재; 및 상기 안착부에 삽입된 배관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 3고정부재의 상단에 체결되는 제 4결합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2고안은, 제 11고안에서, 상기 제 4결합부재는 아치형상의 안착테와, 상기 안착테에 양단에 연장되어 상기 각 지주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7연결편 및 제 8연결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3고안은, 제 1고안 또는 제 11고안에 있어서, 상기 배관 고정장치는 각 지주에 체결되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수단은 지면 또는 벽체 또는 벽체 천정에 천공된 홀에 삽입되는 파스너와, 상기 각 지주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파스너핀과, 상기 파스너핀의 상단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4고안은, 제 13고안에서, 상기 파스너핀은 상기 파스너에 삽입되는 핀부 와, 상기 지주의 상부면에 거치되는 접시부와, 상기 접시부의 상단에 연장되어 나사산부와, 상기 나사산부의 상단에 연장되는 타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에 따르면, 각각의 구성요소는 규격화된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하여 블록 결합방식으로 상호 가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내구성을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장부재를 통해 설치된 배관의 개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중축하여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배관이 삽입되는 안착부에 리브를 형성하여 배관을 체결고정하기에 앞서 안착부에 미리 가 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실시예]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 도 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 하수도 또는 도시가스나 소방용 배관 등과 같은 설비 배관들을 고정하는 배관 고정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배관 고정장치(100)는, 지면 또는 벽체에 고정되고 배관(P)을 안착시켜 고정할 수 있는 제 1고정부재(10), 제 2고정부재(20), 제 1결합부재(40) 및 제 2결합부재(50)로 구성되며, 이러한 각각의 구성요소는 규격화된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하여 블록 결합방식으로 상호 가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제 1고정부재(10) 및 제 2고정부재(20)에 형성된 아치형상의 안착부(12,22)에 리브(121,221)를 연장 형성하여 삽입된 배관(P)을 이탈됨이 없이 가 결합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제 1고정부재(10)는 지면 또는 벽체 또는 벽체 천정에 체결되는 지주(11)와, 배관(P)이 안착되는 안착부(12)와, 제 1삽입편(13)이 일체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주(11)에는 통공된 장홀(H)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장홀(H)로 체결수단을 삽입시켜 제 1고정부재(10)가 지면 또는 벽체 또는 벽체 천정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아울러 상기 제 2고정부재(20)는 상기 제 1고정부재(10)와 동일 구성이며, 다만 인접한 제 1고정부재(10)와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삽입편(13)을 유도하여 결합시키는 한쌍의 제 1가이드편(23)이 형성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제 1가이드편(23) 중 상부에 배치된 제 1가이드편(23)의 하부면에는 돌출부(231)가 형성되어 있고,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삽입편(13)의 상부면에는 가이드레일(131)이 형성되어 있어 상호 슬라이딩 결합될 수 구조를 마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고정부재(10) 및 제 2고정부재(20)에 형성된 안착부(12,22) 는 배관(P)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삽입된 배관(P)의 이탈을 방지하고 가(假)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향으로 돌출 연장된 리브(121,221)를 더 포함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각 안착부(12,22)는 연장된 리브(121,221)를 통해 내경이 180°이상 확대되는 구조이며, 이를 통해 상기 배관(P)의 외주면을 감싸 고정하여 가(假)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 1결합부재(40)는 상기 제 1고정부재(10)와, 제 2고정부재(20)의 안착부(12,22)에 각각 삽입된 배관(P) 중 어느 하나의 배관(P)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고정부재(10) 또는 제 2고정부재(20)의 상단에 체결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제 2결합부재(50)는 상기 제 1결합부재(40)와 대향되게 상기 제 1고정부재(10) 또는 제 2고정부재(20)의 상단에 체결되어 선택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배관(P)을 고정하는 구조이다.
여기서 제 1결합부재(40)는 아치형상의 안착테(41)와 상기 안착테(41)의 양단에 연장된 제 1연결편(42) 및 제 2연결편(43)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제 1연결편(42)은 상기 제 2연결편(43) 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으며, 상기 제 1고정부재(10) 또는 제 2고정부재(20)의 지주(21)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 1연결편(42)이 결합되는 방향에 따라 제 2연결편(43)의 결합방향도 정해진다.
이러한 제 2연결편(43)은 제 1고정부재(10)와 제 2고정부재(20)가 결합상태에서 제 2고정부재(20)의 제 1가이드편(23) 상부에 결합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제 2결합부재(50)는 아치형상의 안착테(51)와, 상기 안착테(51)의 양단에 연장된 제 3연결편(52) 및 제 4연결편(53)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 3연결편(52)은 역시 상기 제 4연결편(53) 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으며, 상기 제 1고정부재(10) 또는 제 2고정부재(20)의 지주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 1결합부재(40)가 제 1고정부재(10)의 상부에 결합되면, 상기 제 2결합부재(50)는 응당 제 2고정부재(20)의 상부에 결합되고, 만약 제 1결합부재(40)가 제 2고정부재(20)의 상부에 결합되면, 상기 제 2결합부재(50)는 제 1고정부재(10)의 상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 2결합부재(50)는 제 1결합부재(40)의 결합방향에 따라 그 방향이 결정된다.
상기 제 1실시예에서는 제 1결합부재(40)가 제 1고정부재(10)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바, 상기 제 2결합부재(50)는 제 2고정부재(20)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구조이다.
상기 제 2결합부재(50)의 제 4연결편(53)은 제 2고정부재(20)의 제 1가이드편(23) 상부에 결합된 제 2연결편(43) 상부에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제 2결합부재(50)의 제 4연결편(53)은 제 3연결편(52)과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상기 제 3연결편(52) 보다 높게 형성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각 지주(11,21)와 및 각 연결편(42,43,52,53)과, 제 1삽입편(13)과, 제 1가이드편(23)에는 체결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장홀(H)이 형성되어 있어 지주(11,21)를 통해 지면 또는 벽체에 고정시킨 후, 각 연결편(42,43,52,53)과 제 1삽입편(13)과, 제 1가이드편(23)을 상호 체결시킬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수단 중 각 지주(11,21)에 체결되는 체결수단은 지면 또는 벽체 또는 벽체 천정에 천공된 홀(h)에 삽입되는 파스너(93)와, 상기 각 지주(11,21)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파스너핀(94)과, 상기 파스너핀(94)의 상단에 체결되는 너트(92)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파스너핀(94)은 상기 파스너(93)에 삽입되는 핀부(941)와, 상기 각 지주(11,21)의 상부면에 거치되는 접시부(942)와, 상기 접시부(942)의 상단에 연장되는 나사산부(943)와, 상기 나사산부(943)의 상단에 연장되는 타격부(944)로 구성되는 구조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의 결합순서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삽입편(13)을 제 2고정부재(20)의 제 1가이드편(23)에 슬라이딩 결합시킨다.
그리고 제 1고정부재(10) 및 제 2고정부재(20)의 각 지주(11,21)가 결합되는 지점을 미리 정한다.
그리고 각 지주(11,21)가 결합되는 지면에 드릴과 같은 도구로 천공시켜 홀(h)을 형성한다. 그리고 홀(h)의 내부에 파스너(93)를 삽입한다.
그리고 파스너(93)가 삽입된 지점에 제 1고정부재(10) 및 제 2고정부재(20)를 배치시키고, 각 지주(11,21)의 장홀(H)에 파스너핀(94)을 삽입시킨다.
이 후 망치와 같은 도구로 타격부(944)를 타격하여 파스너핀(94)의 핀부(941)가 파스너(93)에 삽입되도록 하여 제 1고정부재(10) 및 제 2고정부재(20)를 지면에 고정시킨다. 이 때 상기 파스너핀(94)은 접시부(942)에 의해 삽입깊이가 단속된다.
이 후 배관(P)을 상기 제 1고정부재(10)의 안착부(12)와, 제 2고정부재(20)의 안착부(22)에 각각 삽입시켜 가(假) 결합시킨다. 이는 각각의 안착부(12,22)에 리브(121,221)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각 배관(P)이 이탈되지 않고 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결합부재(40)의 안착테(41)가 배관(P)을 감싸게 하여 제 2고정부재(20)의 상부에 결합시킨다. 이 때 상기 제 1결합부재(40)의 제 1연결편(42)은 상기 제 2고정부재(20)의 지주(21) 상부에 노출된 파스너핀(94)의 나사산부(943)에 체결시키고, 제 2연결편(43)은 제 2고정부재(20)의 제 1가이드편(23) 상부에 배치시킨다.
그리고, 제 2결합부재(50)를 제 1고정부재(10)의 상부에 결합시킨다. 이 때 상기 제 2결합부재(50)의 제 3연결편(52) 역시 상기 제 1고정부재(10)의 지주(11) 상부에 노출된 파스너핀(94)의 나사산부(943)에 체결시키고, 제 4연결편(53)은 상기 제 1가이드편(23) 상부에 배치되는 제 2연결편(43)의 상부에 배치시킨다.
마지막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 2결합부재(50)의 제 4연결편(53)과, 제 1결합부재(40)의 제 2연결편(43)과, 제 2고정부재(20)의 제 1가이드편(23)과,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삽입편(13)에는 각각 장홀(H)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수 단인 단일의 볼트(91)를 장홀(H)로 관통시켜 너트(92)를 통해 일체화시켜 고정시켜 완성한다.
한편 상기 제 2고정부재(20)와 제 2고정부재(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1결합부재(40) 및 제 2결합부재(50)는 배관(P)의 직경에 따라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데, 이는 장홀(H)을 통해 가능하다.
[제 2실시예]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는, 제 1실시예를 포함하며, 제 1고정부재(10)와 제 2고정부재(20)의 사이에는 배관(P)을 고정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연장부재(30)와, 상기 연장부재(3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3결합부재(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는 배관(P)이 적어도 3개 이상 배치되어 있거나 설치된 경우, 제 1고정부재(10)와 제 2고정부재(20)의 사이에 연장부재(30)를 증축(增築) 연결시켜 구성할 수 있는 구조이다.
여기서 연장부재(30)는 배관(P)이 안착되는 안착부(31)와, 상기 안착부(31)에 연장되어 상기 제 2고정부재(20)의 제 1가이드편(23)에 삽입되는 제 2삽입편(32)과, 상기 안착부(31)에 연장되어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삽입편(13)을 가이드하여 결합시키는 제 2가이드편(33)으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안착부(31)에는 삽 입된 배관(P)의 이탈을 방지하고 가(假)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향으로 돌출 연장된 리브(311)를 더 포함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제 3결합부재(60)는 아치형상의 안착테(61)와, 상기 안착테(61)에 연장되어 상기 제 2연결편(43)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5연결편(62)과, 상기 제 5연결편(62)에 대향되게 연장되어 연장부재(30)의 제 2가이드편(33)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6연결편(6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 3결합부재(60)의 제 5연결편(62)은 상기 제 2연결편(43)의 상부에 결합되므로 제 6연결편(63)과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상기 제 6연결편(63) 보다 높게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의 결합순서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 1고정부재(10)의 제 1삽입편(13)을 연장부재(30)의 제 2가이드편(33)에 슬라이딩결합시키고, 제 2고정부재(20)의 제 2가이드편(33)에 연장부재(30)의 제 2삽입편(32) 슬라이딩 결합시킨다.
그리고 제 1고정부재(10) 및 제 2고정부재(20)의 각 지주(11,21)가 결합되는 지점을 미리 정한다.
각 지주(11,21)가 결합되는 지면에 드릴과 같은 도구로 천공시켜 홀(h)을 형성한다. 그리고 홀(h)의 내부에 파스너(93)를 삽입한다.
그리고 파스너(93)가 삽입된 지점에 제 1고정부재(10) 및 제 2고정부재(20) 를 배치시키고, 각 지주(11,21)의 장홀(H)에 파스너핀(94)을 삽입시킨다.
이 후 망치와 같은 도구로 타격부(944)를 타격하여 파스너핀(94)의 핀부(941)가 파스너(93)에 삽입되도록 하여 제 1고정부재(10) 및 제 2고정부재(20)를 지면에 고정시킨다. 이 때 상기 파스너핀(94)은 접시부(942)에 의해 삽입깊이가 단속된다.
이 후 3개의 배관(P)을 상기 제 1고정부재(10)의 안착부(12)와, 연장부재(30)의 안착부(31)와, 제 2고정부재(20)의 안착부(21)에 각각 삽입시켜 가(假) 결합시킨다.
그리고 순차적으로 제 2고정부재(20)의 상부면에 제 1결합부재(40)를 배치시키고, 연장부재(30)의 상부면에 제 3결합부재(60)를 배치시키고, 제 1고정부재(10)의 상부면에 제 2결합부재(50)를 배치시킨다.
이 때 상기 제 1결합부재(40)의 제 1연결편(42)은 상기 제 2고정부재(10)의 지주(21) 상부에 노출된 파스너핀(94)의 나사산부(943)에 체결시키고, 상기 제 2결합부재(50)의 제 3연결편(52) 역시 상기 제 1고정부재(10)의 지주(11) 상부에 노출된 파스너핀(94)의 나사산부(943)에 체결시킨다.
한편 처음에 제 1결합부재(40)를 제 1고정부재(10)의 상부면에 결합시킬 경우에는, 순차적으로 연장부재(30)의 상부면에 제 3결합부재(60)를 배치시키고, 제 2고정부재(20)의 상부면에 제 2결합부재(50)를 배치시켜 가능하다.
그리고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 2결합부재(50)의 제 4연결편(53)과, 제 3결합부재(60)의 제 6연결편(63)과, 연장부재(30)의 제 2가이드편(33)과, 제 1고정부 재(10)의 제 1삽입편(13)에 형성된 장홀(H)을 통해 체결수단인 단일의 볼트(91)를 관통시켜 너트(92)를 통해 일체화시켜 고정시킨다.
마지막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 3결합부재(60)의 제 5연결편(62)과, 제 1결합부재(40)의 제 2연결편(43)과, 제 2고정부재(20)의 제 1가이드편(23)과, 연장부재(30)의 제 2삽입편(32)에 형성된 장홀(H)을 통해 체결수단인 단일의 볼트(91)를 관통시켜 너트(92)를 통해 일체화시켜 고정시켜 완성한다.
[제 3실시예]
도 9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실시예는 단일의 배관(P)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 위해 지면 또는 벽체에 체결되는 한쌍의 지주(71)와, 상기 각 지주(71)와 연장 연결되어 배관(P)이 안착되는 안착부(72)로 구성되는 제 3고정부재(70) 및 상기 안착부(72)에 삽입된 배관(P)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 3고정부재(70)의 상단에 체결되는 제 4결합부재(80)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제 4결합부재(80)는 아치형상의 안착테(81)와, 상기 안착테(81)의 양단에 연장되어 상기 각 지주(71)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7연결편(82) 및 제 8연결편(83)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제 3실시예의 안착부(72) 역시 배관(P)을 가 결합시키기 위한 리 브(721)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3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평면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의 평면 구성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 1고정부재 11: 지주 12: 안착부
121: 리브 13: 제 1삽입편
131: 가이드레일 14: 암,숫도브테일
20: 제 2고정부재 21: 지주 22: 안착부
221: 리브 23: 제 1가이드편
231: 돌출부 24: 암,숫도브테일
30: 연장부재 31: 안착부 311: 리브
32: 제 2삽입편 321: 가이드레일
33: 제 2가이드편 331: 돌출부
40: 제 1결합부재 41: 안착테 42: 제 1연결편
43: 제 2연결편
50: 제 2결합부재 51: 안착테 52: 제3연결편
53: 제 4연결편
60: 제 3결합부재 61: 안착테 62: 제5연결편
63: 제 6연결편
70: 제 3고정부재 71: 지주 72: 안착부
721: 리브
80: 제 4결합부재 81: 안착테 82: 제 7연결편
83: 제 8연결편
91: 볼트 92: 너트 93: 파스너
94: 파스너핀 941: 핀부 942: 접시부
943: 나사산부 944: 타격부
H: 장홀 h: 홀
100: 배관 고정장치

Claims (14)

  1. 지면 또는 벽체에 체결되는 지주와, 배관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제 1삽입편이 일체로 구성되는 제 1고정부재;
    상기 제 1고정부재의 제 1삽입편을 유도하여 결합시키는 한쌍의 제 1가이드편와, 지면 또는 벽체에 체결되는 지주와, 배관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일체로 구성되는 제 2고정부재;
    상기 제 1고정부재와, 제 2고정부재의 안착부에 각각 삽입된 배관 중 어느 하나의 배관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고정부재 또는 제 2고정부재의 상단에 체결되는 제 1결합부재; 및
    상기 제 1결합부재와 대향되게 상기 제 1고정부재 또는 제 2고정부재의 상단에 체결되어 선택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배관을 고정하는 제 2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결합부재는 아치형상의 안착테와, 안착테에 연장되어 상기 제 1고정부재 또는 제 2고정부재의 지주에 결합되는 제 1연결편과, 상기 제 1연결편에 대향되게 연장되어 제 2고정부재의 제 1가이드편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2연결편이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결합부재는 아치형상의 안착테와, 상기 안착테에 연장되어 상기 제 1고정부재 또는 제 2고정부재의 지주에 결합되는 제 3연결편과, 상기 제 1연결편에 대향되게 연장되어 제 2연결편 상부에 결합되는 제 4연결편이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제 1고정부재와 제 2고정부재의 사이에는 배관을 고정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3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는 배관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연장되어 상기 제 2고정부재의 제 1가이드편에 삽입되는 제 2삽입편과, 상기 안착부에 연장되어 제 1고정부재의 제 1삽입편을 가이드하여 결합시키는 제 2가이드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결합부재는 아치형상의 안착테와, 상기 안착테에 연장되어 상기 제 2연결편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5연결편과, 상기 제 5연결편에 대향되게 연장되어 연장부재의 제 2가이드편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6연결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결합부재의 제 4연결편은 상기 제 3결합부재의 제 6연결편 상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8.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안착부는 배관이 이탈됨이 없이 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향으로 돌출 연장된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9. 제 1항 내지 제 3항 또는 제 5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주와, 각 연결편과, 각 삽입편과, 각 가이드편에는 체결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장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각 삽입편은 상부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각 가이드편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삽입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고정장치는 각 지주에 체결되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수단은 지면 또는 벽체 또는 벽체 천정에 천공된 홀에 삽입되는 파스너와, 상기 각 지주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파스너핀과, 상기 파스너핀의 상단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핀은 상기 파스너에 삽입되는 핀부와, 상기 지주의 상부면에 거치되는 접시부와, 상기 접시부의 상단에 연장되어 나사산부와, 상기 나사산부의 상단에 연장되는 타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장치.
KR2020090012352U 2009-09-18 2009-09-18 배관 고정장치 KR2004569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352U KR200456938Y1 (ko) 2009-09-18 2009-09-18 배관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352U KR200456938Y1 (ko) 2009-09-18 2009-09-18 배관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063U KR20110003063U (ko) 2011-03-24
KR200456938Y1 true KR200456938Y1 (ko) 2011-11-28

Family

ID=44208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352U KR200456938Y1 (ko) 2009-09-18 2009-09-18 배관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93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536B1 (ko) * 2014-04-17 2015-07-2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연료관 위치 조절기 및 이를 이용한 연료관 위치 조절 장비 세트
KR101836142B1 (ko) * 2017-12-07 2018-03-08 (주)에이치엘종합기술단 공동주택 전기설비용 결속행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3265A (ja) 1997-01-27 1998-08-11 Sekisui Chem Co Ltd 管 枕
KR200310163Y1 (ko) 2003-01-14 2003-04-16 주식회사 중앙Cmi 높이 조절수단을 파이프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3265A (ja) 1997-01-27 1998-08-11 Sekisui Chem Co Ltd 管 枕
KR200310163Y1 (ko) 2003-01-14 2003-04-16 주식회사 중앙Cmi 높이 조절수단을 파이프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063U (ko) 201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05695A1 (en) Access
KR101347045B1 (ko) 방음터널용 투명판 고정금구
KR200456938Y1 (ko) 배관 고정장치
KR100945461B1 (ko)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한 가설방음벽
KR100891152B1 (ko) 파이프 굵기를 조절가능한 전선배관용 파이프걸이크램프
KR101301062B1 (ko) 인서트 어셈블리
KR101122349B1 (ko) 배관 고정장치
KR101186501B1 (ko) 배관 고정장치
KR20150004375U (ko) 입상관 고정장치
KR20150000189U (ko) 다목적 지주 설치용 고정구
KR200405550Y1 (ko) 파이프 써포트
EP1813733B1 (en) Self-supporting recessed installation structure for sanitary fixtures
KR101060358B1 (ko) 건축용 배설 파이프 지지장치
KR200459087Y1 (ko) 거푸집 연결용 조인트
KR20110037651A (ko) 행거 고정구
KR20080087603A (ko) 중공 파이프용 가설 고정구
KR100886209B1 (ko) 확장형 발코니용 안전 브라켓
KR100978410B1 (ko)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
KR101033530B1 (ko) 천장 거푸집 지지용 써포트의 안전키트
KR20090119339A (ko) 파이프고정용 클램프
KR100964198B1 (ko) 천장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
KR20040052681A (ko) 낙석방지망 고정구조
KR20060115443A (ko)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슬라브 고정장치
KR101133656B1 (ko) 천정마감재 설치 구조
KR100777620B1 (ko)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