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860Y1 -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 - Google Patents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860Y1
KR200466860Y1 KR2020110006689U KR20110006689U KR200466860Y1 KR 200466860 Y1 KR200466860 Y1 KR 200466860Y1 KR 2020110006689 U KR2020110006689 U KR 2020110006689U KR 20110006689 U KR20110006689 U KR 20110006689U KR 200466860 Y1 KR200466860 Y1 KR 2004668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box
conduit
connector
present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6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744U (ko
Inventor
김봉호
Original Assignee
김봉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호 filed Critical 김봉호
Priority to KR20201100066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860Y1/ko
Publication of KR201300007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7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8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8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02G3/085Inlets including knock-out or tear-out s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관을 아웃렛 박스의 몸체 상면으로 간단히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입선작업시 전선을 아웃렛 박스 내부로 유연성 있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선의 입선작업 및 접속작업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아웃렛 박스 몸체의 높이를 최대한 낮게 형성하여 천장 거푸집에 배근되는 철근과의 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철근의 임의 변형을 줄여 작업자의 능률을 향상하고, 천장 콘크리트의 두께를 균일하게 시공하여 층간소음을 줄임과 아울러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천장 거푸집의 상면에 몸체부의 개구된 하면이 맞닿도록 설치되어, 전선관의 각 말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에 있어서, 전선관 삽입을 위한 하나 이상의 삽입부가 형성된 원형의 상판과; 상기 상판과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상판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원통형의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고, 전선관을 아웃렛 박스의 몸체 상면으로 삽입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전선의 입선작업과 접속작업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고, 또한, 몸체 상면이 천장 거푸집에 배근되는 철근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아웃렛 박스의 높이를 낮게 형성하여 인접하는 철근과의 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천장 콘크리트의 두께를 균일하게 시공하여 층간소음 발생을 줄이면서,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outlet box for conduit connecting}
본 고안은 건물의 천장에 매입하여 전선관을 접속하는 아웃렛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관을 아웃렛 박스의 몸체 상면으로 간단히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입선작업시 전선을 아웃렛 박스 내부로 유연성 있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선의 입선작업 및 접속작업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아웃렛 박스 몸체의 높이를 최대한 낮게 형성하여 천장 거푸집에 배근되는 철근과의 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천장 콘크리트의 두께를 균일하게 시공하여 층간소음을 줄임과 아울러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들의 시공편리성을 제공하면서 인건비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축조할 시에는 벽면 및 천장(slab) 거푸집을 설치한 후, 구조물의 설계기준에 따라 철근을 배근하고, 천장 거푸집 상면에 다수개의 아웃렛 박스(outlet box)를 설계된 배치지점에 각각 고정하며, 배근된 철근 사이로 다수개의 전선관을 배관하고, 커넥터 또는 커플링 등의 전선관 부속품으로 각 전선관의 말단부를 아웃렛 박스에 접속하여 건축물의 초반 배관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그리고,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 후, 전선관의 일측 입구로 전선을 삽입하여 타측 출구로 인출하는 입선작업을 완료하고, 아웃렛 박스의 내부에 인출된 전선과 전선 또는 인출된 전선과 각종 전기기구를 접속함으로써 건축물의 후반 배선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조물 축조시 배선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아웃렛 박스는 전선관용 박스의 일종으로서, 한국산업표준(KS) 표준번호 KS C 8436의 표준명 합성수지제 박스 및 커버[unplasticzed polyvinyl chloride(UPVC) boxes and box covers] 그리고, 한국산업표준(KS) 표준번호 KS C 8458의 표준명 금속제 박스 및 커버(전선관용)[box and box cover for rigid metal conduits]에 규정된 바와 같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리고, 전선관은 한국산업표준(KS) 표준번호 KS C 8454의 표준명 합성수지제 휨(가요) 전선관[pliable plastics conduits]에 명시된 PE(Plastic Flexible)관 또는 CD(Combine Duct)관, 표준번호 KS C 8431의 Hi-VE(High Impact unplastcized polyvinyl chloride for Electrical usage) 등의 전선관을 사용하며, 상기 아웃렛 박스와 전선관은 한국산업표준(KS) 표준번호 KS C 8456의 표준명 합성수지제 휨(가요) 전선관용 부속품[fittings for pliable plastics, conduits]에 명시된 커넥터 및 커플링 또는 콤비네이션 커플링 등을 이용하여 접속하게 된다.
여기서 다시, 종래의 아웃렛 박스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아웃렛 박스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아웃렛 박스는 하면이 개구된 4각 또는 8각으로 이루어진 박스형태의 몸체(1)를 갖고, 몸체(1)의 상면과 측면에는 전선관(6)이 접속되는 다수개의 인입공(2)이 각각 형성되며, 몸체(1) 상면에는 못 등의 고정수단이 관통하는 다수개의 고정공(4)이 형성되고, 개구된 하면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커버 또는 전기기구를 결합하는 보스(5)가 구비된다.
상기 인입공(2)은 녹아웃(3:knock out)을 제거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녹아웃(3)은 전선관을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가공한 부분으로서, 접속되는 전선관(6)의 개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거한 후 인입공(2)으로 전선관(6) 또는 커넥터를 삽입하면 되고, 제거되지 않는 녹아웃(3)은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아웃렛 박스 내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아웃렛 박스는 못 등의 고정수단을 고정공(4)으로 삽입하여 천장 거푸집 상면에 고정설치하게 되는 것으로, 종래의 아웃렛 박스를 거푸집에 고정하고 콘크리트 타설하는 일련의 과정은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30009호의 "전선 배관용 아웃렛 박스"의 3페이지에 명시된 내용을 참조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아웃렛 박스는 천장 거푸집 상면에 아웃렛 박스를 설치할 시, 아웃렛 박스의 몸체 높이(H)가 높고, 몸체(1) 측면에 형성된 인입공(2)으로 접속되는 전선관(6)이 인접하는 철근과 맞닿게 되어, 아웃렛 박스의 설치작업과 전선관의 배관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개구된 하면이 거푸집 상면에 밀착되지 못하여 발생하는 틈새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아웃렛 박스의 내부에 충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아웃렛 박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1999-0030579호(1999.05.06) "천장슬래브용 전기배관 박스"(이하 '문헌 1' 이라 한다.)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문헌 1은 도 2의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 형성되는 커넥터(8)를 상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구성하여 박스의 설치작업시 인접하는 철근과의 접촉을 최소화함으로써, 박스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박스 내부로 콘크리트 또는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문헌 1이 갖는 구성에 있어서도 아웃렛 박스의 몸체(1) 또는 측면에 돌출형성된 커넥터(8)가 여전히 인접한 철근과 맞닿게 되어, 철근을 절곡하거나 아웃렛 박스를 이동시켜 고정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철근과 아웃렛 박스가 설계된 위치에 정확히 설치되지 못함으로써 철근의 피복두께를 준수하지 못하게 되고 천장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는 요인이 되었다.
상기와 같이 문헌 1이 갖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1-0038234호(2001.05.15)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 매입형 전기 콘크리트 박스"(이하 '문헌 2'라 한다.)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문헌 2의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 매입형 전기 콘크리트 박스"를 도 2의 (c)에 나타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임의의 높이(h1)를 가지고 하부가 개방된 몸체(1)와, 임의의 높이(h2)를 가지고 상기 몸체(1)의 상부에 연통되게 결합되며, 상부가 폐쇄되고 상기 상부 측면에는 일체로 전선관(6)을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8)들이 다수개 형성된 헤드(1a)를 구비하되, 상기 몸체(1)의 크기를 상기 헤드(1a)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몸체(1)와 상기 헤드(1a)가 접한 부위에 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종래 아웃렛 박스의 구조적 불합리성에서 기인하는 배근 혼란을 사전에 예방하여 천장 콘크리트의 균열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 2는 커넥터(8)가 여전히 헤드(1a) 측면에 위치되고, 몸체(1)의 높이(h1)에 헤드(1a)의 높이(h2)가 부가되어 아웃렛 박스의 전체 높이(H)가 더욱 높아지게 됨으로써, 천장 콘크리트의 두께가 더욱 불규칙하게 형성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전선(7)의 입선작업을 개선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문헌 2에서는 전선(7)의 입선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커넥터(8)의 각도를 몸체의 수직 연장선으로부터 상향조정하고 있으나, 커넥터(8)가 헤드(1a)의 측면에 위치됨으로써 전선(7)을 유연성 있게 삽입할 수 있는 굽힘 각도의 확보가 제한적이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아웃렛 박스의 문제점을 요약하면; 먼저, 아웃렛 박스의 높이(H)가 높고, 커넥터(8)의 측면 돌출로 인해 아웃렛 박스의 설치 시, 인접하는 철근과 상호 간섭되어 아웃렛 박스의 설치작업과 전선관의 배관작업이 번거롭고, 설계된 기준에 따라 정확한 위치에 철근과 아웃렛 박스를 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아웃렛 박스의 높이(H)가 높고 불규칙하여 아웃렛 박스가 설치되는 지점과 인접부위의 콘크리트 타설 두께를 균일하게 시공하지 못함으로써, 층간소음이 가중되고 콘크리트의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커넥터(8)가 박스 몸체(1)의 측면에 위치하고 이웃하는 철근과 맞닿음으로써, 전선관(6)과 커넥터(8)의 연결작업이 불편하고, 전선(7)의 입선작업시에는 전선(7)의 말단부가 수평으로 삽입되어 몸체(1)의 안쪽둘레 면에 부딪힌 후 몸체(1)의 하면을 향하여 직각으로 굴곡지게 되어 입선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1999-0030579호(1999.05.06) 천장슬래브용 전기배관 박스. KR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1-0038234호(2001.05.15)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 매입형 전기 콘크리트 박스. KR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30009호(2003.10.02) 전선 배관용 아웃렛 박스.
한국산업표준(http://www.standard.go.kr)에서 검색(검색일:2011.06.27) 한국산업표준(KS) 표준번호 KS C 8436의 표준명 합성수지제 박스 및 커버, 1쪽~17쪽 [on-line],(검색일:2011.06.27) 한국산업표준(KS) 표준번호 KS C 8458의 표준명 금속제 박스 및 커버(전선관용), 1쪽~10쪽, [on-line],(검색일:2011.06.27) 한국산업표준(KS) 표준번호 KS C 8454의 표준명 합성수지제 휨(가요) 전선관, 1쪽~3쪽 [on-line],(검색일:2011.06.27) 한국산업표준(KS) 표준번호 KS C 8456의 표준명 합성수지제 휨(가요) 전선관용 부속품, 1쪽~5쪽, [on-line],(검색일:2011.06.27)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아웃렛 박스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전선관을 아웃렛 박스의 몸체 상면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선의 입선작업과 접속작업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아웃렛 박스의 몸체 상면이 천장 거푸집에 배근되는 철근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아웃렛 박스의 높이를 낮게 형성하여 인접하는 철근과의 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철근구조물의 임의 변형을 줄여 인건비 절감 효과를 가져오며, 천장 콘크리트의 두께를 균일하게 시공하여 층간소음을 줄이고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은 천장 거푸집의 상면에 몸체부의 개구된 하면이 맞닿도록 설치되는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에 있어서, 녹아웃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삽입부가 형성된 원형의 상판; 상기 상판과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상판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높이는 5mm~10mm인 원통형이며 하면이 개구되어 있는 몸체부; 상기 녹아웃 플레이트 제거시 노출되는 상기 삽입부에 일종단부가 결합되고 타종단부는 전선을 안내하는 전선관과 결합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상판과 수평 방향을 유지하는 전선관을 통하여 안내되는 전선이 상기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하면으로 안내되는 동안 절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의 일종단부 및 상기 커넥터의 타종단부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관은 활처럼 휘어진 완만한 곡률을 갖는 만곡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는 콘크리트의 유입을 차단하는 녹아웃 플레이트가 인접하는 상판의 일측과 결합되어 있는 것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삭제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에 있어서, 상기 녹아웃 플레이트는 상기 전선관 삽입시 제거되는 것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에 있어서, 상기 녹아웃 플레이트 제거시 상기 삽입부에 노출되는 삽입공에 일종단부가 체결되고, 타종단부가 상기 전선관의 말단부와 결합되는 커넥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일종단부에 상기 녹아웃 플레이트 제거시 상기 삽입부에 노출되는 체결홈과 결합되는 체결돌기를 더 구비하고, 타종단부에 상기 전선관의 말단부를 고정하는 록킹캡을 더 구비하는 것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는 상기 몸체부의 개구된 하면을 개폐하는 커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를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에 의하면,
본 고안은 전선관을 아웃렛 박스의 몸체 상면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선의 입선작업과 접속작업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아웃렛 박스의 몸체 상면이 천장 거푸집에 배근되는 철근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아웃렛 박스의 높이를 낮게 형성하여 인접하는 철근과의 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배관작업시 철근의 임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인건비를 절감하고, 천장 콘크리트의 두께를 균일하게 시공하여 층간소음 발생을 줄이면서,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그리고, 몸체부의 하면에 결합된 커버를 쉽게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아웃렛 박스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웃렛 박스와, 아웃렛 박스의 몸체부(10) 하측에 결합되는 커버(13) 및 상판(20)에 결합되는 커넥터(40)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웃렛 박스와, 아웃렛 박스의 몸체부(10) 하측에 결합되는 커버(13) 및 상판(20)에 결합되는 커넥터(4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웃렛 박스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웃렛 박스에 커넥터(40)를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웃렛 박스의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웃렛 박스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들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9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3 내지 도 9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또는 동일한 부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그리고, 도면의 도시에 있어서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웃렛 박스와, 아웃렛 박스의 몸체부(10) 하측에 결합되는 커버(13) 및 상판(20)에 결합되는 커넥터(40)를 보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축조시 천장 거푸집(70)의 상면에 몸체부(10)의 개구된 하면이 맞닿도록 설치되어, 전선관(50)의 각 말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에 있어서, 전선관(50) 삽입을 위한 하나 이상의 삽입부(30)가 형성된 원형의 상판(20)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20)과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상판(20)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원통형의 몸체부(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높이(H)는 천장 거푸집(70) 상부에 배근되는 상, 하부 철근(60)(61)과 간섭되지 않도록 5~10m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몸체부(10)의 높이(H)를 낮게 형성함으로써, 하부 철근과의 간섭으로 인한 종래의 배관작업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콘크리트의 두께를 최대한 균일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선관(50)은 상기 상부 철근(60)과 하부 철근(61)들 사이로 설계된 기준에 따라 다수개 배관되는 것으로, 전선관(50)의 각 말단부는 본 고안의 아웃렛 박스 상판(20)에 다수개 형성된 삽입부(30)에 각각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아웃렛 박스는 상판(20)에 다수개 형성된 고정공(22)으로 못 등을 삽입하여 거푸집(70) 상면에 고정할 수 있으며, 몸체부(10) 하측 바깥둘레 일측지점에 보스(12)를 형성하여 상기 보스(12)에 형성된 구멍으로 못 등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30)에는 콘크리트의 유입을 차단하는 녹아웃 플레이트(33)가 인접하는 상판(20)의 일측과 결합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30)는 커넥터(40)가 삽입되는 인입공(31)과, 상기 인입공(31)과 절단면(21)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몸체부(10)의 상판(20)과 절곡부(34)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콘크리트의 유입을 차단하는 녹아웃 플레이트(33)로 이루어진다.
상기 녹아웃 플레이트(33)는 프레스장치에서 타발, 성형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전선관(50) 삽입시에는 녹아웃 플레이트(33)를 상하 반복되게 눌러 절곡부(34)가 상판(20)으로부터 절단되도록 하여 제거하게 된다.
삽입부(30)의 제거되지 않은 녹아웃 플레이트(33)는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몸체부(10) 내측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녹아웃 플레이트(33) 제거시 상기 삽입부(30)에 노출되는 삽입공(31)에는 일종단부가 상기 전선관(50)의 말단부와 결합되는 커넥터(40)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40)는 몸체부(10)의 상판(20)에 결합됨으로써, 전선관(50)의 결합이 용이하고, 콘크리트 양생 후 상기 전선관(50) 내부에 전선(51)을 입선할 시, 상기 전선(51)이 전선관(50)의 출구에서 몸체부(10)의 하면을 향하여 곧바로 인출됨으로써, 입선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40)는 상판(20)과 대략 수평 방향을 유지하는 전선관(50)을 통하여 안내되는 전선(51)이 커넥터(40)를 통하여 하면으로 안내되는 동안 절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 형상의 커넥터(40)는 활처럼 휘어진 완만한 곡률을 갖는 만곡된 형상을 갖추고 있다.
,
또 한편, 본 고안의 상기 커넥터(40)는 일종단부에 상기 녹아웃 플레이트(33) 제거시 상기 삽입부(31)에 노출되는 체결홈(32)과 결합되는 체결돌기(41)를 형성하고, 타종단부에는 상기 전선관(50)의 말단부를 고정하는 록킹캡(42)을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커넥터(40)는 상기 상판(20)에 상기 커넥터(40)를 결합할 시에는 상기 상판(20)에 노출된 체결홈(32)에 체결돌기(41)가 삽입되도록 밀어 넣는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40)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켜주면 상기 체결돌기(41)가 상판(20)의 저면에 걸림되어 상기 커넥터(40)가 상판(20)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커넥터(40)의 타종단부에 결합된 록킹캡(42)은 전선관(50)을 삽입할 시에는 상기 전선관(50)을 커넥터(40) 내부로 통과시키고, 상기 전선관(50)을 인출할 시에는 전선관(50)의 홈에 스톱핀(도시생략)이 걸림되어 상기 전선관(50)이 커넥터(4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록킹캡(42)의 구성과 작용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웃렛 박스를 거푸집(70)의 상면에 고정하고 전선관(50)을 접속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조물의 구축이 완료되면, 전선(51)을 전선관(50)에 입선하여 전선(51)의 말단부가 몸체부(10)의 하면으로 인출되도록 하여 실내외 전등기구 또는 에어컨 등의 각종 전기기구와 접속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반 배선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8 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는 상기 몸체부(10)의 하측에 상기 몸체부(10)의 개구된 하면을 개폐하는 원통형의 커버(13)를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커버(13)는 상면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하면 중앙에 상기 전선(51)을 인출할 수 있는 인출공(15)이 뚫리며, 상측 둘레에는 상기 몸체부(10)의 내측 하단에 형성된 결합편(11)이 끼움결합되는 결합홈(14)을 갖는다.
상기 결합홈(14)의 입구는 상기 결합편(11)의 너비보다 동일하거나 좀 더 크게 형성되는 것으로, 커버(13)의 상측 둘레 일측에서 하면 방향으로 형성된 후 커버(13)의 원둘레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커버(13)를 아웃렛 박스의 몸체부(10)에 결합할 시에는 결합홈(14)을 결합편(11)에 맞대어 끼워넣고 원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홈으로 결합편(11)이 끼워지도록 회전시켜주면 몸체부(10)에 커버(13)가 간단히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커버(13)는 실내외 전등과 같은 전기기구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기가 몸체부(10) 내측으로 전달되어 발생할 수 있는 전선관(50) 또는 전선(51)의 피복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아웃렛 박스의 몸체부(10) 내측 하단에 형성된 상기 결합편(11)은 기존의 자재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호환성을 갖는 것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형의 커버(부호)를 결합한 후 이 커버에 다양한 전기 부속품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는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몸체부 11:결합편
12:보스 13:커버
14:결합홈 15:인출공
20:상판 21:절단면
22:고정공
30:삽입부 31:삽입공
32:체결홈 33:녹아웃 플레이트
34:굴곡부
40:커넥터 41:체결돌기
42:록킹캡
50:전선관 51:전선
60:철근 70:거푸집

Claims (6)

  1. 천장 거푸집의 상면에 몸체부의 개구된 하면이 맞닿도록 설치되는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에 있어서,
    녹아웃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삽입부가 형성된 원형의 상판;
    상기 상판과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상판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높이는 5mm~10mm인 원통형이며 하면이 개구되어 있는 몸체부;
    상기 녹아웃 플레이트 제거시 노출되는 상기 삽입부에 일종단부가 결합되고 타종단부는 전선을 안내하는 전선관과 결합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상판과 수평 방향을 유지하는 전선관을 통하여 안내되는 전선이 상기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하면으로 안내되는 동안 절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의 일종단부 및 상기 커넥터의 타종단부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관은 활처럼 휘어진 완만한 곡률을 갖는 만곡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일종단부에 상기 녹아웃 플레이트 제거시 상기 삽입부에 노출되는 체결홈과 결합되는 체결돌기를 더 구비하고, 타종단부에 상기 전선관의 말단부를 고정하는 록킹캡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는 상기 몸체부의 개구된 하면을 개폐하는 커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
KR2020110006689U 2011-07-22 2011-07-22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 KR2004668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689U KR200466860Y1 (ko) 2011-07-22 2011-07-22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689U KR200466860Y1 (ko) 2011-07-22 2011-07-22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744U KR20130000744U (ko) 2013-01-30
KR200466860Y1 true KR200466860Y1 (ko) 2013-05-16

Family

ID=52424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689U KR200466860Y1 (ko) 2011-07-22 2011-07-22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86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319B1 (ko) * 2015-02-16 2017-01-10 (주)진성테크 조인트박스
KR102004178B1 (ko) * 2019-02-01 2019-07-26 (주)이가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배전용 스위치박스 전선 고정장치
KR102597864B1 (ko) * 2022-01-10 2023-11-02 구자왕 전선관 접속이 용이한 아웃렛박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022Y1 (ko) * 2003-05-06 2003-08-14 임진수 전기배선박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022Y1 (ko) * 2003-05-06 2003-08-14 임진수 전기배선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744U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6860Y1 (ko)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
KR101204760B1 (ko) 배관연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천정매립형 분배기
RU2376427C2 (ru) Система подключения оболочки к выходу плиты
KR200456526Y1 (ko) 아울렛 박스의 공용 커버
KR101217380B1 (ko) 벽체에 파이프를 매립하기 위한 벽체 스리브와 이를 이용한 파이프 시공방법
CN204597402U (zh) 电气转接构件
KR200318187Y1 (ko) 단자함
KR101020641B1 (ko) 철근콘크리트구조의 거푸집공사에서 합판거푸집에 고정되어 콘크리트구조물에 매립되는 전기박스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
KR20040083598A (ko) 단자함
KR100809599B1 (ko) 단자함의 전선인입구용 고정구
KR100379752B1 (ko) 건물의 천정내부 배선구조
KR20110019848A (ko) 매입형 전기 배선박스의 결합구조
KR102597864B1 (ko) 전선관 접속이 용이한 아웃렛박스
KR19990030579A (ko) 천장슬래브용 전기배관 박스
KR200494246Y1 (ko) 배선작업이 용이한 콘트리트 매설용 전선 배관박스
KR101346838B1 (ko) 매입형 배선박스 제조용 금형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배선박스 제조방법
KR102332210B1 (ko)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 제조 프레스 자동금형
KR200341330Y1 (ko) 슬라브 매립형 전선관 연결부재
KR200400350Y1 (ko) 수직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용 와이어 고정구
KR100867326B1 (ko)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
KR200345877Y1 (ko) 옥내배선용 접속함
KR20230000677A (ko) 전선 배선용 아울렛 박스
KR200300937Y1 (ko) 옥내 배선용 접속함
KR20150049055A (ko) 천정용 전기박스
KR100755387B1 (ko)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