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3598A - 단자함 - Google Patents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3598A
KR20040083598A KR1020030018111A KR20030018111A KR20040083598A KR 20040083598 A KR20040083598 A KR 20040083598A KR 1020030018111 A KR1020030018111 A KR 1020030018111A KR 20030018111 A KR20030018111 A KR 20030018111A KR 20040083598 A KR20040083598 A KR 20040083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x
main body
spring
cover fram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수
Original Assignee
김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수 filed Critical 김근수
Priority to KR1020030018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3598A/ko
Publication of KR20040083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59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결한 구조의 가동성(可動性)을 갖는 단자함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벽체에 매립되는 단자함의 양 측벽부에는 철근 골조에 고정되는 가동체를 그 단자함에 슬라이딩 되게 설치함과 아울러 가동체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이 작용되게 하여, 상기 단자함을 철근 골조로부터 상기 가동체의 가동 범위 내에서 이동되게 하였다. 따라서, 철근 골조의 다소 불규칙적인 배치에 의한 단자함의 위치에 변형이 있더라도 단자함의 가동성에 의한 거푸집과의 간격조절로 항시 밀착성을 유지하여, 시멘트 몰탈의 타설시 그 시멘트 몰탈이 단자함의 내부로 유입되는 일이 없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자함{Terminal Box}
본 발명은 단독, 공동주택 혹은 건물 등의 벽체에 매설되어 배선(配線)되는 통신선과 연결되는 단자들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단자함에 관 한 것으로, 특히 단자함 본체의 일부위를 그 단자함 본체와는 독립적으로 이동되는 가동성을 갖게하여 벽체에 매립설치시 작업성을 향상 시킨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자함이라고 하면, 단독, 공동주택 혹은 건물 등의 시공시 벽체에 매설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예컨대 전기선, 전화선, 인터넷 전용선, 안테나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인데, 위와 같은 단자함을 벽체에 매설하는 과정을 보면, 벽체를 형성하는 철근 골조를 먼저 설치 후, 그 철근 골조에는 기 준비된 단자함을 그 단자함의 개구부를 실내로 노출되게 위치하고, 이어서 거푸집을 설치 후 시멘트 몰탈을 타설함에 의해 단자함이 매입된 벽체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에서 거푸집의 설치시 그 거푸집은 단자함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상태로 설치해야만 한다. 그 이유는 시멘트 몰타르의 타설시 시멘트 몰타르가 개구를 통하여 단자함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단자함의 개구가 거푸집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지 않고 어느 정도의 간격이 있게되는 경우에는 타설되는 그 거푸집의 내부로 타설되는 시멘트 몰탈은 상기 개구를 통해 유입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단자함의 개구를 별도의 부재나 도구를 사용하여 막지 않으면 안되는 불편이 있고, 만약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에는 시멘트 몰탈이 양생되어 거푸집을 이탈 시킨 후에는 상기 단자함으로 유입되어 굳어진 시멘트 몰탈을 일일히 털어내지 않으면 안되는 불편과 번거로움이 있다.
위와 같은 일들이 발생되는 주된 이유는 철근 골조의 시공이 정확이 되지 못하는 작업상의 미숙에서 가끔씩 발생하게 되는데, 철근 골조의 시공상의 오차는 결과적으로 거푸집과 단자함과의 사이에 간극 등을 생기게 하는 문제를 유발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개발한 것으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에 등록번호 제20-276,316호로 실린 "옥내 배선용 접속함의 고정장치"(이하,"선행기술"이라 칭한다)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의 구성을 보면, 접속함을 2개로 분할한 구성 즉, 고정브라켓의 내부에 본체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그 브라켓과 본체와의 사이에는 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본체는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탄성력을 받으면서 이동할수 있도록 브라켓으로부터 스프링이 수축되는 만큼 앞쪽으로 돌출된 구조를 이루게 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 브라켓에는 철근에 고정하기 위한 레일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철근 골조의 시공상 오차가 있는 경우 특히, 거푸집과 철근 골조 사이에 간격이 있게 되는 경우가 있다고 할지라도 접속함 본체는 브라켓으로부터 스프링의 부세력으로 인하여 앞으로 돌출된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인해, 거푸집의 설치시 상기 접속함 본체는 후측으로 수축되면서 상기 거푸집과의 사이에 간격이 없이 밀착되게 함으로써, 타설되는 시멘트 몰타르가 본체의 내부로 흘러 들어가게되는 일을 없게 한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은 접속함 본체를 그 본체와 같은 구조를 이루게 형성한 고정 브라켓의 내부에 수용하여 이동되게 한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제작공정이 복잡하여, 제조 단가가 높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결점들을 해소 하고, 간결한 구성으로 작업성을 향상시켜 안가로 공급할 수 있게 한 단자함을 제공하는 데 있 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단자함은 청구항1의 발명과 관련된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어 통신용 단자를 설치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전선 인입구들을 갖는 단자함 본체, 그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커버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마련하는 커버후레임으로 된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단자함 본체와 상기 커버 후레임의 양측 벽부에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게 지지되며, 어느 일 측면에는 상기 철근 고정홈이 설치된 소정형상의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에 고정지지되어 상기 커버 후레임의 양측으로 입설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들과 대향 위치된 상기 커버 후레임의 양측 벽부를 관통 설치하여 일단은 상기 스프링의 단부에 맞닿게 하고 그 반대 단은 상기 커버 결합용 나사 체결공을 형성하기 위한 넓이를 제공하는 금속 고정편으로 이루어진 가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한, 상기 가동체에는 단자함 본체들의 간격 유지용 홈을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상기 스프링은 원형이나 사각 단면의 철선 부재를 절단부를 갖는 환형체를 이루게 형성하여, 그 절단부에는 상기 가동체에 고정하기 위한 수직단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의 상단에는 고정홈이 그리고 상기 고정홈과 대면되는 상기 금속 고정편에는 측면에서 보아 ㄷ자상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상기 단자함 본체 내부의 인입구와의 대향 위치에서 상방으로 돌설되어 상기 인입구를 통하여 인입되는 전선을 상방으로 안내하는 경사면을 갖는 안내턱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의 사시도,
도 2는 도 1표시의 단자함을 커버만을 생략하고 표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의 본체만을 분리하여 그 내부를 보이게하여 표시한 사시도,
도 4는 동도(同圖)의 후면만을 보이게 표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의 설치상태를 커버를 생략하고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동 5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부호의 설명*
2a,2b : 전선 10 : 철근 골조
100 : 단자함 110 : 단자함 본체
113a~113d : 전선인입구 116a,116b : 안내턱
120 : 커버지지 후레임 200a,200b : 가동장치
210a,210b: 가동체 216a : 간격 유지용홈
220a,220b : 스프링 230a,230b : 금속지지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 표시의 단자함을 커버만 생략하고 표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100)은 단자(미도시)들이 설치되는 수용공간(112)의 개구를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하여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것인데, 그 단자함(100)은 단자를 설치하기 위한 상기 수용 공간(112)를 형성하는 대략 장방형상의 전면 만이 개구된 단자함 본체(110)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본체(110)에는 단자에 연결하기 각종 전선들을 인입하기 위한 다수개의 전선 인입구들(113a,113b)와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인입구들을 설치할 수 있도록 개방할 수 있게 한 임시로 폐쇄한 인입구들(113c,113d)가 개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단자함 본체(110)의 전면에는 커버(130)을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해주는 커버 후레임(120)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단자 함(100)의 양측에는 본원 발명의 단자함 본체(110)을 철근골조(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장치들(200a,200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동장치들(200a,200b)가 본원 발명에서 핵심을 이루는 부분인데, 상기 가동장치들(200a,200b)가 후술하는 거푸집과 단자함(100)과의 사이에 간극을 없게하는 중요한 역활을 한다.
상기 가동장치들(200a,200b)를 대별하면 철근골조(10)이 삽입 고정되는 가동체들(210a,210b), 스프링들(220a,220b) 및 금속 지지편들(230a,230b)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단자함(100)의 양측에 설치되는 상기 가동장치들(200a,200b)의 구성은 양쪽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면에서 보아 상부에 위치한 가동장치(200a)만을 일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상기 가동체(210a)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으로 대략 장방형체를 이루게 성형되며,양단에는 상기 철근골조(10)을 끼울수 있게 한 삽입홈(211a)이 형성되어 상기 철근 골조(10)을 탄성적으로 가압되게 지지한다. 또한 가동체(210a)의 상기 삽입홈(211a)과의 반대면의 중앙에는 상기 단자함 본체(110)의 측벽부로부터 상기 커버 후레임(120)의 측벽부 까지 연장 설치된 안내레일(214a)를 따라 이동되게 지지하고자, 그 안내레일(214a)에 이동되게 삽입하는 안내홈(212a)가 전(全)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 레일(214a)의 일단 즉, 상기 단자함 본체(110)에 설치된 안내레일(214a)의 단부에는 상기 가동체(210a)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막힘단부(216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220a)는 상기 가동체(210a)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해 설치한 것으로, 상기 스프링(220a)는 원형 단면이나 사각 단면의 철선 부재를 절단부 (221a)를 갖는 환형체를 이루게 형성한 것이며, 그 절단부(221a)에는 상기 가동체(210a)에 고정하기 위한 수직단부(222a)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스프링(220a)의 수직단부(222a)는 상기 가동체(210a)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그 반대 단은 상기 금속지지편(230a)에 닿게 되어, 상기 가동체(210a)측으로 탄성력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220a)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약간 들어가게 형성한 고정홈(223a)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홈(223a)는 상기 스프링(220a)와 맞닿게 되는 후술하는 금속 지지편(230a)의 걸림부(231a)에 걸리는 상태로 위치되게 하여 외부로의 이탈 됨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금속지지편(230a)는 소정 넓이를 갖는 금속부재로서 형성한 것으로, 일단에는 상기 스프링(220a)의 고정홈(223a)에 걸린 상태로 지지되어 있게 하는 옆에서 보아 대략 ㄷ자 형상의 걸림부(231a)를 절곡 형성하고 있으며, 그 반대 단에는 하여 상기 커버(130)을 체결하기위한 나사 체결공(232a)가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금속 지지편(230a)는 상기 스프링(220a)와 대향 위치된 상기 커버 후레임(120)의 양측 벽부를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ㄷ자 형상의 걸림부(231a)가 형성된 쪽은 상기 스프링(220a)의 고정홈(223a)에 맞닿는 상태로 위치되게 하고, 그 반대 쪽의 나사 체결공(232a)는 상기 커버 후레임(120)의 내부에 위치되게 하여 상기 커버(130)를 나사 체결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금속 지지편(230a)는 상기 커버 후레임(120)의 성형시 금형 내에 위치되어 상기 커버 후레임(120)과 일체로 고정되게 한다.
상기에서 도면부호(216a)는 철근 골조(10)에 인접 배치되는 단자함(100)들의 간격을 변함이 없도록 하고자 하는 사용하는 간격유지부재(미도시)들을 삽입하는데 사용하는 상기 간격 유지용 홈으로, 그 홈(216a)는 상기 가동체(210a)두께의 반 정도 까지만 들어가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고, 그 간격 유지용 홈(216a)는 그 홈(216a)에 삽입되는 간격유지 부재의 크기에 따라 임의로 변형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 함의 설치상태를 커버를 생략하고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5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원 발명의 단자함(100)의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단자함(100)은 벽체를 형성하고자 기 시공된 철근 골조 (10)에 고정되는데, 상기 철근 골조(10)에의 고정은 상기 단자함(100)의 양단에 구비된 가동장치들(200a,200b)의 가동체들(210a,210b)의 끼움홈(211a)(도1,2참조)를 통하여 실시된다. 상기 단자함(100)을 상기 가동체들(210a,210b)의 끼움홈(211a)(도1,2참조)를 통해 철근 골조(10)에 끼움 고정이 완료 되면, 기 시공된 상기 철근 골조(10)의 주위로는 거푸집(5)이 설치된다(도6참조). 이때 철근 골조(10)의 시공시 약간의 변형이 있게 되는 경우, 예컨대 철근 골조(10)자체의 휨등으로 인한 변형이나 철근 골조(10)을 시공하는 작업자들의 잘못으로 인해 상기 철근 골조(10)이 원래 위치에서 약간 들어가게 시공되는 경우, 상기 단자함(100)역시 철근 골조(10)의 변형에 따라 위치 변형이 있게 되어, 거푸집과 단자함(100)과의 사이에는 본원 발명의 선행기술의 설명란에서 설명 하였듯이 간극이 존치하게 된다. 이때 간극 거리는 대체적으로 약 5mm 이하이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단자함(100)은 상기 가동 장치들(200a,200b)가 단자함 본체(110)의 양 측벽부의 후단에 구비된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상기 단자함(100)을 철근 골조(10)에 고정시 거푸집(5)와 상기 철근 골조(10)와의 사이에 생기게 되는 간극보다는 항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단자함(100)의 돌출 거리 즉, 철근 골조(10)에 설치시 그 단자함(100)이 철근 골조(10)의 변형으로 인해 거푸집(5)과의 사이에 생기게되는 간극(상기에서 설명한 대략 5mm 정도이다)보다는 제품의 제조상에서 더 돌출되도록 설치되는데, 바로 상기 가동 장치들 (200a,200b)의 설치 위치가 상기 단자함(100)을 상기 철근 골조(10)로부터 거푸집 (5)을 배치하는 위치보다 약간 더 돌출되게 한다.
도6의 표시와 같이, 상기 단자함(100)은 철근 골조(10)에 설치될 때 마다, 상기 철근골조(10)으로부터 거푸집(5)가 설치되는 원래의 위치 보다도 약간 돌출되게 위치된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단자함(100)은 그 양단에 상기 가동장치들 (200a,200b)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단자함(100)의 본체(110)을 도 6의 가상선 위치로 수축되어 이동되는 상태를 이루게 하므로, 거푸집(5)의 배치에 장해를 주지 않음은 물론 거푸집(5)와 단자함(100)과의 사이에 간극이 있게되는 일은 전연 없게 하여,시멘트 몰탈의 타설시 항시 그 시멘트 몰탈의 유입됨을 없게 한다.
즉,상기 단자함(100)의 양측에 구비된 가동장치들(200a,200b)는 도1, 2의 표시와 같이, 단자함 본체(110)에 슬라이딩되게 결합되어 있는 가동체들(210a, 210b)는 철근 골조(10)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반면, 상기 가동체들(210a,210b)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단자함 본체(110)은 어디에도 고정되어 있지 않고 오직 상기 가동체들(210a,210b)로부터 만 이동할 수 있는 자유로운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함(100)이 상기 철근 골조(10)으로부터 약간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거푸집(5)을 원래의 위치에 설치 하고자, 상기 단자함(100)측에 대고서 밀면, 이때의 압압력에 의해 상기 단자함(100)의 본체(110)은 상기 가동체들(210a, 210b)에 설치된 스프링들(220a,200b)(도2참조)에 저항하면서 도 6의 가상선 위치로 밀려나가게 된다. 이 때문에 거푸집(5)는 단자함(100)의 위치에 관계없이, 항시 상기 단자함(100)과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됨을 없게 하면서 설치할 수 가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단자함(100)의 내부로 시멘트 몰탈이 유입됨을 전연 없게 한다. 특히 두개의 스프링들(220a,220b)(도1,도2참조)이 양측에서 강하게 탄성력을 부여하고 있는 구조로 인하여, 본원 발명의 단자함(100)은 거푸집과의 사이에 적은 간극이라도 허용됨이 없도록 강한 밀착성을 유지한다.
도 3은 도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단자함의 본체만을 분리하여 그 내부를 보이게하여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동도(同圖)의 후면만을 보이게 표시한 사시도이다.
단자함 본체(110)내저부의 인입구들(113a,113b)와의 대향 위치에는 측면에서 보아 반구형을 이루는 경사면들(115a,115b)를 갖는 안내턱들(116a,116b)가 각각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턱들(116a,116b)는 상기 인입구들(113a,113b)를 통하여 인입되는 전선들(2a,2b)의 단부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턱들(116a,116b)의 경사면들(115a,115b)를 타고 올라가서 상기 단자함 본체(110)의 저부로부터 떠 있는 상태를 이루게 함으로써, 작업자들로 하여금 전선들(2a,2b)의 끝부분을 잡는데 편리하게 하여 그 만큼 작업성을 향상되게 한 것이다. 종래에는 상기 인입구들(113a,113b)로부터 인입되는 전선들(2a,2b)는 상기 단자함 본체(110)의 내저부에 밀착되는 상태로 위치되어 작업자들이 선을 잡는데 큰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작업자들은 전선 연결작업시 대체적으로 장갑을 끼고 작업을하므로 인해 선을 잡는데 더욱 불편함이 있다.
도면부호(218)은 상기 단자 본체(110)을 철근 골조에 설치시 더욱 유동됨을 없도록 하고자 고정하는 데 사용하는 홈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함 본체의 이동을 그 본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가동장치들에 의해서 실행되게 한 구조에 의해, 종래의 중앙에서 하나의 스프링만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구조에 비해 거푸집과의 사이에 아주 작은 간극의 허용도 없이 보다 강한 탄성력으로 밀착 유지되게 하는 효과가 있고, 특히 종래에 비해 그 단자함 본체의 이동 구조가 간단하여 부품수 감소에 따른 조립 공정이 쉬워 그 만큼 조립 작업성이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와 그 결과 안가로 대량 공급을 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어 단자를 설치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전선 인입구들을 갖는 단자함 본체, 그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커버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마련하는 커버후레임으로 된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단자함 본체와 상기 커버 후레임의 양측 벽부에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게 지지되며, 어느 일 측면에는 상기 철근 고정홈이 설치된 소정형상의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에 고정지지되어 상기 커버 후레임의 양측으로 입설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들과 대향 위치된 상기 커버 후레임의 양측 벽부를 관통 설치하여 일단은 상기 스프링의 단부에 맞닿게 하고 그 반대 단은 상기 커버 결합용 나사 체결공을 형성하기 위한 넓이를 형성하는 금속 고정편으로 이루어진 가동 장치를 포함하는 단자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장치의 가동체에는 단자함 본체들의 간격 유지용 홈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하는 단자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원형이나 사각 단면의 철선 부재를 절단부를 갖는 환형체를 이루게 형성한 것이며, 그 절단부에는 상기 가동체에 고정하기 위한 수직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단자함.
  4. 제1항 또는 제3항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상단에는 고정홈이 그리고 상기 고정홈과 대면되는 상기 금속 고정편에는 측면에서 보아 ㄷ자상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부가 더 형성 됨을 특징으로하는 단자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함 본체 내부의 인입구와의 대향 위치에서 상방으로 돌설되어 상기 인입구를 통하여 인입되는 전선들을 상방으로 안내하는 경사면을 갖는 안내턱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단자함.
KR1020030018111A 2003-03-24 2003-03-24 단자함 KR200400835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111A KR20040083598A (ko) 2003-03-24 2003-03-24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111A KR20040083598A (ko) 2003-03-24 2003-03-24 단자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737U Division KR200318187Y1 (ko) 2003-03-24 2003-03-24 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598A true KR20040083598A (ko) 2004-10-06

Family

ID=37367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111A KR20040083598A (ko) 2003-03-24 2003-03-24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3598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189B1 (ko) * 2006-03-07 2006-06-30 주식회사 진광건설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벽면매설용 콘센트박스
KR100615855B1 (ko) * 2006-05-11 2006-08-28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100697030B1 (ko) * 2006-08-31 2007-03-20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100715952B1 (ko) * 2005-03-30 2007-05-10 김근수 단자함
KR100848181B1 (ko) * 2008-03-27 2008-07-23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벽면 매입형 고정단자함
KR200445437Y1 (ko) * 2007-04-16 2009-07-30 (주)대교에이스 벽부용 아웃렛박스
KR100910646B1 (ko) * 2007-10-24 2009-08-05 김근수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CN112031421A (zh) * 2020-09-10 2020-12-04 燕山大学 一种线盒一次精准预埋施工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952B1 (ko) * 2005-03-30 2007-05-10 김근수 단자함
KR100594189B1 (ko) * 2006-03-07 2006-06-30 주식회사 진광건설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벽면매설용 콘센트박스
KR100615855B1 (ko) * 2006-05-11 2006-08-28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100697030B1 (ko) * 2006-08-31 2007-03-20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200445437Y1 (ko) * 2007-04-16 2009-07-30 (주)대교에이스 벽부용 아웃렛박스
KR100910646B1 (ko) * 2007-10-24 2009-08-05 김근수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KR100848181B1 (ko) * 2008-03-27 2008-07-23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벽면 매입형 고정단자함
CN112031421A (zh) * 2020-09-10 2020-12-04 燕山大学 一种线盒一次精准预埋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7837B1 (en) Adjustable electrical box assembly
KR200318187Y1 (ko) 단자함
KR20040083598A (ko) 단자함
KR102073681B1 (ko) 단자함
KR100787517B1 (ko) 공동주택용 스위치박스 고정장치
KR200459675Y1 (ko)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KR100655881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구조
KR100640176B1 (ko) 단자함
KR200387576Y1 (ko) 단자함
KR200255166Y1 (ko) 벽면 매설용 콘센트 박스
KR100715952B1 (ko) 단자함
KR100902654B1 (ko) 단자함
KR100640177B1 (ko) 단자함
KR200335910Y1 (ko) 단자함 고정구
KR200364887Y1 (ko) 단자함
KR200466860Y1 (ko)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
KR200363587Y1 (ko) 단자함
KR100910646B1 (ko)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KR20090008540A (ko) 건물내벽용 아웃렛박스 어셈블리
KR100615855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100696233B1 (ko) 공동주택용 텐션 단자함 고정구
KR200345646Y1 (ko) 간격자동조절 아웃트렛 박스
KR200381082Y1 (ko)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
KR200428597Y1 (ko) 단자함
KR200210111Y1 (ko) 매립형배전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