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576Y1 - 단자함 - Google Patents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576Y1
KR200387576Y1 KR20-2005-0008691U KR20050008691U KR200387576Y1 KR 200387576 Y1 KR200387576 Y1 KR 200387576Y1 KR 20050008691 U KR20050008691 U KR 20050008691U KR 200387576 Y1 KR200387576 Y1 KR 2003875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x
elastic
terminal
installing
box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6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수
Original Assignee
김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수 filed Critical 김근수
Priority to KR20-2005-00086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5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5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5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결한 구조의 가동성을 갖는 단자함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벽체에 매립되는 단자함 본체의 양 측벽에 철골 골조에 고정된 채로 그 단자함 본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설치한 구조이다. 이 때문에 철근 골조의 다소 불규칙적인 배치에 의한 단자함 본체의 위치에 변형이 있더라도 거푸집과 항시 밀착성을 유지하여 시멘트가 단자함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일이 없게 한 것이다. 또한 간결한 구조로 인해 작업성이 향상 되고 그 결과 저렴한 가격으로 대량 공급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자함{Terminal box}
본 고안은 단독, 공동주택 또는 건물 등의 벽체에 매설되어 배선되는 통신선과 연결되는 단자들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결한 구성으로 작업성을 향상 시킨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자함이라고 하면, 단독, 공동주택 혹은 건물 등의 시공시 벽체에 매설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예컨대 전기선, 전화선, 인터넷 전용선, 안테나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인데, 위와 같은 단자함을 벽체에 매설하는 과정을 보면, 벽체를 형성하는 철근 골조를 먼저 설치 후, 그 철근 골조에는 기 준비된 단자함을 그 단자함의 개구부를 실내로 노출되게 위치하고, 이어서 거푸집을 설치 후 콘크리트를 타설함에 의해 단자함이 매입된 벽체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에서 거푸집의 설치시 그 거푸집은 단자함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상태로 설치해야만 한다. 그 이유는 콘크리트 타설시 시멘트가 개구를 통하여 단자함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단자함의 개구가 거푸집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지 않고 어느 정도의 간격이 있게 되는 경우에는 그 거푸집의 내부로 타설되는 시멘트가 상기 개구를 통해 유입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단자함의 개구를 별도의 부재나 도구를 사용하여 막지 않으면 안되는 불편이 있고, 만약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에는 시멘트가 양생되어 거푸집을 이탈 시킨 후에는 상기 단자함으로 유입되어 굳어 진 시멘트를 일일히 털어내지 않으면 안되는 불편과 번거로움이 있다.
위와 같은 일들이 발생되는 주된 이유는 철근 골조의 시공이 정확이 되지 못하는 작업상의 미숙에서 가끔씩 발생하게 되는데, 철근 골조의 시공상의 오차는 결과적으로 거푸집과 단자함과의 사이에 간극 등을 생기게 하는 문제를 유발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목적으로,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06554호에서 제시하고 있는 옥내배선용 접속함은 몸체의 양측에 구비되는 고정구의 전방으로 상기 몸체와의 사이에 탄성지지부재를 설치하여 철근 골조가 시공상의 오차를 갖는다 하더라도 그 탄성지지부재의 탄발력으로 상기 몸체를 거푸집의 표면에 완전히 밀착시켜 콘크리트 타설시 시멘트가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옥내배선용 접속함은 철근 골조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구를 별도로 마련하고 그 고정구에 탄성지지부재를 설치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단가를 상승시켜 결국 제품 단가가 비싸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간결한 구성으로 작업성을 향상시킨 단자함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단자함에 있어서,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어 단자를 수용 설치하기 위한 제1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1전선 인입구들을 갖는 제1통체와, 그 제1통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1커버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마련하는 제1커버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제1단자함 본체;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판체를 이루어 상기 제1단자함 본체의 양측 벽부에 그 일단을 고정하여 설치되며, 그 고정된 일단으로부터 S자형으로 절곡하여 타단에 상기 철근을 탄력적으로 끼우기 위한 제1끼움홈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제1끼움홈의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요홈을 요입 형성하여 상기 제1단자함 본체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탄성체; 및 상기 제1요홈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단자함 본체의 양측 벽부에 돌출 설치되어 상기 제1탄성체의 설치 위치를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제1단자함 본체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돌기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설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단자함에 있어서,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어 단자를 수용 설치하기 위한 제2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2전선 인입구들을 갖는 제2통체와, 그 제2통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2커버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마련하는 제2커버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제2단자함 본체;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판체를 이루어 상기 제2단자함 본체의 양측 벽부에 위치되며, 좌우 양단부를 절곡하여 중앙에 상기 철근을 탄력적으로 끼우기 위한 제2끼움홈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제2끼움홈의 하부에 장공(長空)을 형성하게 판체의 일부위를 절개하여 그 절개된 부위를 상기 제2끼움홈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한 탄성편을 통해 상기 제2단자함 본체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탄성체와, 상기 탄성편의 선단부와 맞닿게 상기 제2단자함 본체의 양측 벽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탄성편을 지지하기 위한 금속 지지편으로 이루어진 탄성부; 및 상기 제2탄성체의 장공에 끼워지게 상기 제2단자함 본체의 양측 벽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탄성체의 설치 위치를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제2단자함 본체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2돌기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설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단자함에 있어서,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어 단자를 수용 설치하기 위한 제3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3전선 인입구들을 갖는 제3통체와, 그 제3통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3커버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마련하는 제3커버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제3단자함 본체;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판체로부터 폐곡된 사다리꼴 모양을 이루어 상기 제3단자함 본체의 양측 벽부에 위치되며, 중앙에 상기 철근을 탄력적으로 끼우기 위한 제3끼움홈을 절곡 형성함과 아울러 하부에 내부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제2요홈들을 요입 형성하여 상기 제3단자함 본체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3탄성체; 및 상기 제3탄성체의 제2요홈들에 끼워지게 상기 제3단자함 본체의 양측 벽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3탄성체의 설치 위치를 고정하는 제3돌기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및 장점 그리고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단자함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단자함을 커버만을 생략하고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단자함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단자함(1)은 단자들(미도시)이 설치되는 제1수용공간(11a)의 개구를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하여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제1단자함 본체(10)를 구비하고 있는데, 그 제1단자함 본체(10)는 단자를 설치하기 위한 상기 제1수용공간(11a)을 형성하는 대략 장방형상의 전면만이 개구된 제1통체(11)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제1통체(11)에는 단자에 연결하기 위한 각종 전선들을 인입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1전선 인입구들(12a)과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인입구들을 설치할 수 있도록 개방할 수 있게 한 임시로 폐쇄한 제1인입구들(12b)이 개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통체(11)의 전면에는 제1커버(C)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해 주는 제1커버 프레임(13)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1단자함 본체(10)의 양측 벽부에는 제1탄성체(20)와 제1돌기들(30)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데, 그 구성은 양쪽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면에서 보아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탄성체(20)와 제1돌기들(30)만을 설명한다.
상기 제1탄성체(20)는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판체를 이루어 상기 제1단자함 본체(10)의 양측 벽부에 그 일단을 고정하여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그 일단을 "ㄴ"자 모양으로 절곡하여 상기 제1통체(10)와 제1커버 프레임(13)이 결합되는 사이로 끼움 고정함이 좋다. 이러한 상기 제1탄성체(20)는 상기 제1단자함 본체(10)에 고정되는 그 일단으로부터 S자형으로 절곡하여 타단에 철근(I)을 탄력적으로 끼우기 위한 제1끼움홈(21)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제1끼움홈(21)의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요홈(22)을 요입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1요홈(22)은 상기 제1끼움홈(21)의 하부에 위치하는 판체의 중앙을 프레싱함으로써 완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탄성체(20)는 상기 제1단자함 본체(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끼움홈(21)은 철근(I)을 끼우기 위해 벌어진 부위가 탄력적으로 오므라지기 때문에, 상기 철근(I)은 안정된 끼움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상기 제1돌기들(30)은 상기 제1요홈(22)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단자함 본체(10)의 양측 벽부에 각각 1쌍을 이루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돌기들(30)은 상기 제1탄성체(20)의 설치 위치를 고정하여 그 변위를 방지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제1단자함 본체(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제1단자함 본체(10)는 벽체를 형성하고자 기 시공된 철근 골조 (I)에 고정되는데, 그 고정은 상기 제1단자함 본체(10)의 양측 벽부에 설치된 상기 제1탄성체(20)의 제1끼움홈(21)에 철근 골조(I)가 끼워짐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단자함 본체(10)를 상기 제1탄성체(20)의 제1끼움홈(21)을 통해 철근 골조(I)에 대한 끼움 고정이 완료되면, 기 시공된 상기 철근 골조(I)의 주위로는 거푸집(M)이 설치된다. 이때 철근 골조(I)의 시공시 약간의 변형이 있게 되는 경우, 예컨대 철근 골조(I) 자체의 휨 등으로 인한 변형이나 철근 골조(I)를 시공하는 작업자들의 잘못으로 인해 상기 철근 골조(I)가 원래 위치에서 약간 들어가게 시공되는 경우, 상기 제1단자함 본체(10) 역시 철근 골조(I)의 변형에 따라 위치 변형이 있게 되어, 거푸집(M)과 상기 제1단자함 본체(10)와의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1단자함 본체(10)는 상기 제1탄성체(20)의 제1끼움홈(21)이 상기 제1단자함 본체(10)의 양 측벽부의 전단에 위치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1단자함 본체(10)를 철근 골조(I)에 고정시 거푸집(M)과 상기 철근 골조(I)와의 사이에 생기게 되는 간극보다는 항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거푸집(M)을 원래의 위치에 설치하고자, 상기 제1단자함 본체(10) 측에 대고서 밀면 그 압력으로 상기 제1단자함 본체(10)가 뒤로 밀려 나가게 되고, 그러면 상기 제1탄성체(20)의 S자형이 탄력적으로 변형되는데, 이와 같이 변형된 상기 제1탄성체(20)는 원상태 복원하려는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제1단자함 본체(10)를 상기 거푸집(M)으로 밀어 그 표면에 완전히 밀착시키게 한다.
이 때문에 상기 제1단자함 본체(10)와 거푸집(M)과의 사이에는 간극이 발생되지 않아 결국 콘크리트 타설시 시멘트가 상기 제1단자함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단자함을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단자함을 커버만을 생략하고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단자함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단자함(100)은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어 단자(미도시)를 수용 설치하기 위한 제2수용공간(111a)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2전선 인입구들(112)을 갖는 제2통체(111)와, 그 제2통체(111)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2커버(C)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마련하는 제2커버 프레임(113)으로 이루어진 제2단자함 본체(110)를 구비하고 있는데, 그 제2단자함 본체(110)는 상기 제1실시예의 제1단자함 본체(10)와 구조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2단자함 본체(110)의 양측 벽부에는 탄성부(120)와 제2돌기들(130)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데, 그 구성은 양쪽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면에서 보아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탄성부(120)와 제2돌기들(130)만을 설명한다.
상기 탄성부(120)는 제2탄성체(121)와 금속 지지편(125)으로 대별되는데, 상기 제2탄성체(121)는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판체를 이루어 상기 제2단자함 본체(110)의 양측 벽부에 위치되며, 좌우 양단부를 상측으로 절곡하여 중앙에 철근(I)을 탄력적으로 끼우기 위한 제2끼움홈(122)을 형성하고 있고, 또한 그 제2끼움홈(122)의 하부에 장공(長空;123)을 형성하게 판체의 일부위를 절개하여 그 절개된 부위를 상기 제2끼움홈(122)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한 탄성편(124)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구조를 통해 상기 제2단자함 본체(1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서 상기 제2끼움홈(122)은 삼각형 모양을 이루고 있지만, 원형, U자형 또는 사다리꼴 모양 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따라서 이는 단지 예시된 것임을 밝혀두며, 상기 철근(I)을 끼우기 위해 벌어진 부위가 탄력적으로 오므라지기 때문에, 상기 철근(I)은 안정된 끼움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금속 지지편(125)은 상기 탄성편(124)의 선단부와 맞닿게 상기 제2단자함 본체(110)의 양측 벽부에 관통되게 고정 설치되어 상기 탄성편(124)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상기 제2단자함 본체(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나사 체결공(125a)을 형성하여 그 나사 체결공(125a)을 통해 상기 제2커버(C)를 나사 체결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돌기들(130)은 상기 제2탄성체(121)의 장공(123)에 끼워지게 상기 제2단자함 본체(110)의 양측 벽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탄성체(121)의 설치 위치를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제2단자함 본체(1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제2단자함 본체(110)는 벽체를 형성하고자 기 시공된 철근 골조(I)에 고정되는데, 그 고정은 상기 제2단자함 본체(110)의 양측 벽부에 설치된 상기 제2탄성체(121)의 제2끼움홈(122)에 철근 골조(I)가 끼워짐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단자함 본체(110)를 상기 제2탄성체(121)의 제2끼움홈(122)을 통해 철근 골조(I)에 대한 끼움 고정이 완료되면, 기 시공된 상기 철근 골조(I)의 주위로는 거푸집(M)이 설치되는데, 이때 철근 골조(I)의 시공시 상기와 같은 약간의 변형이 있게 되는 경우, 거푸집(M)과 상기 제2단자함 본체(110)와의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2단자함 본체(110)는 상기 제2탄성체(121)의 제2끼움홈(122)이 상기 제2단자함 본체(110)의 양 측벽부의 전단에 위치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2단자함 본체(110)를 철근 골조(I)에 고정시 거푸집(M)과 상기 철근 골조(I)와의 사이에 생기게 되는 간극보다는 항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거푸집(M)을 원래의 위치에 설치하고자, 상기 제2단자함 본체(110) 측에 대고서 밀면 그 압력으로 상기 제2단자함 본체(110)가 뒤로 밀려 나가게 되고, 그러면 상기 금속 지지편(125)의 지지를 받는 상기 탄성편(124)이 탄력적으로 변형되는데, 이와 같이 변형된 상기 탄성편(124)은 원상태 복원하려는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제2단자함 본체(110)를 상기 거푸집(M)으로 밀어 그 표면에 완전히 밀착시키게 한다.
이 때문에 상기 제2단자함 본체(110)와 거푸집(M)과의 사이에는 간극이 발생되지 않아 결국 콘크리트 타설시 시멘트가 상기 제2단자함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의 단자함을 나타낸 사시도,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의 단자함을 커버만을 생략하고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의 단자함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의 단자함(200)은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어 단자(미도시)를 수용 설치하기 위한 제3수용공간(211a)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3전선 인입구들(212)을 갖는 제3통체(211)와, 그 제3통체(211)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3커버(C)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마련하는 제3커버 프레임(213)으로 이루어진 제3단자함 본체(210)을 구비하고 있는데, 그 제3단자함 본체(210)는 상기 제1실시예의 제1단자함 본체(10)와 구조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3단자함 본체(210)의 양측 벽부에는 제3탄성체(220)와 제3돌기들(230)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데, 그 구성은 양쪽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면에서 보아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3탄성체(220)와 제3돌기들(230)만을 설명한다.
상기 제3탄성체(220)는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판체로부터 폐곡된 사다리꼴 모양을 이루어 상기 제3단자함 본체(210)의 양측 벽부에 위치되며, 중앙에 철근(I)을 탄력적으로 끼우기 위한 제3끼움홈(221)을 절곡 형성함과 아울러 하부에 내부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제2요홈들(222)을 서로 소정 거리를 두고 요입 형성하여 상기 제3단자함 본체(2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서 상기 제3끼움홈(221)은 U자형의 모양을 이루고 있지만, 원형,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모양 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따라서 이는 단지 예시된 것임을 밝혀두며, 상기 철근(I)을 끼우기 위해 벌어진 부위가 탄력적으로 오므라지기 때문에, 상기 철근(I)은 안정된 끼움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제3돌기들(230)은 상기 제3탄성체(220)의 제2요홈들(222)에 각각 끼워지게 상기 제3단자함 본체(210)의 양측 벽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3탄성체(220)의 설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제3단자함 본체(210)는 벽체를 형성하고자 기 시공된 철근 골조(I)에 고정되는데, 그 고정은 상기 제3단자함 본체(210)의 양측 벽부에 설치된 상기 제3탄성체(220)의 제3끼움홈(221)에 철근 골조(I)가 끼워짐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3단자함 본체(210)를 상기 제3탄성체(220)의 제3끼움홈(221)을 통해 철근 골조(I)에 대한 끼움 고정이 완료되면, 기 시공된 상기 철근 골조(I)의 주위로는 거푸집(M)이 설치되는데, 이때 철근 골조(I)의 시공시 상기와 같은 약간의 변형이 있게 되는 경우, 거푸집(M)과 상기 제3단자함 본체(210)와의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3단자함 본체(210)는 상기 제3탄성체(220)의 제3끼움홈(221)이 상기 제3단자함 본체(210)의 양 측벽부의 전단에 위치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3단자함 본체(210)를 철근 골조(I)에 고정시 거푸집(M)과 상기 철근 골조(I)와의 사이에 생기게 되는 간극보다는 항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거푸집(M)을 원래의 위치에 설치하고자, 상기 제3단자함 본체(210) 측에 대고서 밀면 그 압력으로 상기 제3단자함 본체(210)가 뒤로 밀려 나가게 되고, 그러면 상기 제3탄성체(220) 즉, 그 양 측부위가 탄력적으로 변형되는데, 이와 같이 변형된 상기 제3탄성체(220)는 원상태 복원하려는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제3단자함 본체(220)를 상기 거푸집(M)으로 밀어 그 표면에 완전히 밀착시키게 한다.
이 때문에 상기 제3단자함 본체(210)와 거푸집(M)과의 사이에는 간극이 발생되지 않아 결국 콘크리트 타설시 시멘트가 상기 제3단자함 본체(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간결한 구성으로 단자함 본체와 거푸집과의 사이에 아주 작은 간극의 허용도 없이 강한 탄성력으로 밀착 유지되게 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그 조립 공정이 매우 쉬워진 만큼 작업성이 향상된다는 효과와 그 결과 저렴한 가격으로 대량 공급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단자함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단자함을 커버만을 생략하고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단자함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단자함을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단자함을 커버만을 생략하고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단자함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의 단자함을 나타낸 사시도,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의 단자함을 커버만을 생략하고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의 단자함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단자함 10:제1단자함 본체
11:제1통체 11a:제1수용공간
12:제1전선 인입구 13:커버 프레임
20:제1탄성체 21:제1끼움홈
22:제1요홈 30:제1돌기
100: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단자함 110:제2단자함 본체
111:제2통체 111a:제2수용공간
112:제2전선 인입구 113:제2커버 프레임
120:탄성부 121:제2탄성체
122:제2끼움홈 123:장공
124:탄성편 125:금속 지지편
130:제2돌기 200:본 고안의 제3실시예의 단자함
210:제2단자함 본체 211:제3통체
211a:제3수용공간 212:제3전선 인입구
213:제3커버 프레임 220:제3탄성체
221:제3끼움홈 222:제2요홈
230:제3돌기 C:제1,제2및 제3커버

Claims (3)

  1.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단자함에 있어서,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어 단자를 수용 설치하기 위한 제1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1전선 인입구들을 갖는 제1통체와, 그 제1통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1커버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마련하는 제1커버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제1단자함 본체;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판체를 이루어 상기 제1단자함 본체의 양측 벽부에 그 일단을 고정하여 설치되며, 그 고정된 일단으로부터 S자형으로 절곡하여 타단에 상기 철근을 탄력적으로 끼우기 위한 제1끼움홈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제1끼움홈의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요홈을 요입 형성하여 상기 제1단자함 본체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탄성체; 및
    상기 제1요홈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단자함 본체의 양측 벽부에 돌출 설치되어 상기 제1탄성체의 설치 위치를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제1단자함 본체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돌기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2.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설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단자함에 있어서,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어 단자를 수용 설치하기 위한 제2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2전선 인입구들을 갖는 제2통체와, 그 제2통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2커버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마련하는 제2커버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제2단자함 본체;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판체를 이루어 상기 제2단자함 본체의 양측 벽부에 위치되며, 좌우 양단부를 절곡하여 중앙에 상기 철근을 탄력적으로 끼우기 위한 제2끼움홈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제2끼움홈의 하부에 장공(長空)을 형성하게 판체의 일부위를 절개하여 그 절개된 부위를 상기 제2끼움홈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한 탄성편을 통해 상기 제2단자함 본체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탄성체와, 상기 탄성편의 선단부와 맞닿게 상기 제2단자함 본체의 양측 벽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탄성편을 지지하기 위한 금속 지지편으로 이루어진 탄성부; 및
    상기 제2탄성체의 장공에 끼워지게 상기 제2단자함 본체의 양측 벽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탄성체의 설치 위치를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제2단자함 본체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2돌기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3.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설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단자함에 있어서,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어 단자를 수용 설치하기 위한 제3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3전선 인입구들을 갖는 제3통체와, 그 제3통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3커버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마련하는 제3커버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제3단자함 본체;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판체로부터 폐곡된 사다리꼴 모양을 이루어 상기 제3단자함 본체의 양측 벽부에 위치되며, 중앙에 상기 철근을 탄력적으로 끼우기 위한 제3끼움홈을 절곡 형성함과 아울러 하부에 내부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제2요홈들을 요입 형성하여 상기 제3단자함 본체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3탄성체; 및
    상기 제3탄성체의 제2요홈들에 끼워지게 상기 제3단자함 본체의 양측 벽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3탄성체의 설치 위치를 고정하는 제3돌기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KR20-2005-0008691U 2005-03-30 2005-03-30 단자함 KR2003875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691U KR200387576Y1 (ko) 2005-03-30 2005-03-30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691U KR200387576Y1 (ko) 2005-03-30 2005-03-30 단자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447A Division KR100715952B1 (ko) 2005-03-30 2005-03-30 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576Y1 true KR200387576Y1 (ko) 2005-06-20

Family

ID=43688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691U KR200387576Y1 (ko) 2005-03-30 2005-03-30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57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692B1 (ko) * 2006-09-06 2007-01-19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의 스프링 밀폐구조
KR100848181B1 (ko) 2008-03-27 2008-07-23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벽면 매입형 고정단자함
KR100848439B1 (ko) 2006-12-11 2008-07-28 윤기홍 파쇄형 전기단자박스
CN114809338A (zh) * 2022-04-26 2022-07-29 安徽理工大学 一种发泡混凝土保温板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692B1 (ko) * 2006-09-06 2007-01-19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의 스프링 밀폐구조
KR100848439B1 (ko) 2006-12-11 2008-07-28 윤기홍 파쇄형 전기단자박스
KR100848181B1 (ko) 2008-03-27 2008-07-23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벽면 매입형 고정단자함
CN114809338A (zh) * 2022-04-26 2022-07-29 安徽理工大学 一种发泡混凝土保温板
CN114809338B (zh) * 2022-04-26 2023-07-28 安徽理工大学 一种发泡混凝土保温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7576Y1 (ko) 단자함
KR100761047B1 (ko) 공동주택 천정 전기 케이블 설치구조
KR100715952B1 (ko) 단자함
KR100655881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구조
KR100687602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100787517B1 (ko) 공동주택용 스위치박스 고정장치
KR200255166Y1 (ko) 벽면 매설용 콘센트 박스
KR100640176B1 (ko) 단자함
KR100902654B1 (ko) 단자함
KR200318187Y1 (ko) 단자함
KR100615855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200335910Y1 (ko) 단자함 고정구
KR20040083598A (ko) 단자함
KR200383206Y1 (ko) 슬라이딩커버를 갖는 매입형 전선함
KR100910646B1 (ko)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KR100696233B1 (ko) 공동주택용 텐션 단자함 고정구
KR100876688B1 (ko) 단자함
KR200381082Y1 (ko)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
KR101638934B1 (ko)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 고정구조
KR200353271Y1 (ko)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
KR100727310B1 (ko) 공동주택 및 건축물용 단자함 고정구
KR100399416B1 (ko) 벽 매립형 통신기기의 부착장치
KR200363587Y1 (ko) 단자함
KR20090004038U (ko) 통신 및 전기 단자함용 고정구조
KR100640177B1 (ko) 단자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9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