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177B1 - 단자함 - Google Patents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177B1
KR100640177B1 KR1020040052505A KR20040052505A KR100640177B1 KR 100640177 B1 KR100640177 B1 KR 100640177B1 KR 1020040052505 A KR1020040052505 A KR 1020040052505A KR 20040052505 A KR20040052505 A KR 20040052505A KR 100640177 B1 KR100640177 B1 KR 100640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x
guide
terminal
movable bodies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2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3576A (ko
Inventor
김근수
Original Assignee
김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수 filed Critical 김근수
Priority to KR1020040052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177B1/ko
Publication of KR20060003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3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Abstract

본 발명은 간결한 구조의 가동체를 갖는 단자함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벽체에 매립되는 단자함의 양 측벽부에는 철근 골조에 고정되는 가동체를 그 단자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안내돌기들을 따라 슬라이딩 되게 설치함과 아울러 가동체에는 안내돌기들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탄지체들을 통해 탄성력이 작용되게 하여, 단자함을 철근 골조로부터 가동체의 가동 범위 내에서 이동되게 하였다. 따라서 철근 골조의 불규칙적인 배치에 의한 단자함의 위치에 변형이 있더라도, 단자함의 가동성에 의한 거푸집과의 간격 조절로 항시 밀착성을 유지하여, 시멘트 몰탈의 타설시 그 시멘트 몰탈이 단자함의 내부로 유입되는 일이 없게 한 것이다.
단자, 단자함, 통신, 가동, 이동, 탄성

Description

단자함{Terminal box}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단자함 110:단자함 본체
120:커버 프레임 130:커버
200a,200b:안내돌기 210a,210b:가동체
220a,220b:탄지체
본 발명은 단독, 공동주택 또는 건물 등의 벽체에 매설되어 배선되는 통신선과 연결되는 단자들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자함 본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가동체의 가동 구조를 간결하게 한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자함이라고 하면, 단독, 공동주택 혹은 건물 등의 시공시 벽체 에 매설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예컨대 전기선, 전화선, 인터넷 전용선, 안테나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인데, 위와 같은 단자함을 벽체에 매설하는 과정을 보면, 벽체를 형성하는 철근 골조를 먼저 설치 후, 그 철근 골조에는 기 준비된 단자함을 그 단자함의 개구부를 실내로 노출되게 위치하고, 이어서 거푸집을 설치 후 시멘트 몰탈을 타설함에 의해 단자함이 매입된 벽체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에서 거푸집의 설치시 그 거푸집은 단자함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상태로 설치해야만 한다. 그 이유는 시멘트 몰타르의 타설시 시멘트 몰타르가 개구를 통하여 단자함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단자함의 개구가 거푸집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지 않고 어느 정도의 간격이 있게 되는 경우에는 타설되는 그 거푸집의 내부로 타설되는 시멘트 몰탈은 상기 개구를 통해 유입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단자함의 개구를 별도의 부재나 도구를 사용하여 막지 않으면 안되는 불편이 있고, 만약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에는 시멘트 몰탈이 양생되어 거푸집을 이탈 시킨 후에는 상기 단자함으로 유입되어 굳어 진 시멘트 몰탈을 일일히 털어내지 않으면 안되는 불편과 번거로움이 있다.
위와 같은 일들이 발생되는 주된 이유는 철근 골조의 시공이 정확이 되지 못하는 작업상의 미숙에서 가끔씩 발생하게 되는데, 철근 골조의 시공상의 오차는 결과적으로 거푸집과 단자함과의 사이에 간극을 생기게 하는 문제를 유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결한 구성으로 작업성을 향상시킨 단자함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며 내부에는 그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설치되는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수용공간에는 다수개의 전선 인입구들이 형성된 단자함 본체와, 외력에 의해 분리되는 커버를 갖고 상기 단자함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며 그 커버의 분리시 상기 단자함 본체의 수용 공간을 외부로 개방되게 하는 커버 프레임을 구비한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단자함 본체와 상기 커버 프레임의 양측 벽부에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탄지체 부상(浮上) 방지용 돌기들이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일측 단부에는 신축되는 상기 탄지체를 안내하는 제1안내홈들이 형성된 안내돌기들; 상기 단자함 본체와 상기 커버 프레임의 양측 벽부에서 상기 안내돌기들에 이동되게 결합되고, 전면에는 상기 탄지체를 탈착되게 끼움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면에는 철근 고정홈이 형성된 가동체들; 및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부터 중앙에 타원형 모양으로 감긴 환형부를 형성하여, 그 일단부는 상기 고정홈에 결합함과 아울러 타단부는 수직 절곡하여 상기 제1안내홈들의 내부에 이동되게 결합하고 상기 안내돌기들의 외측면에서 상기 돌기들의 지지를 받으며 상기 가동체들의 이동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지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조에서 상기 안내돌기들의 내측면에는 제2안내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체들에는 이 제2안내홈들에 끼워지는 끼움돌기들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탄지체들은 탄성을 갖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이루 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 및 장점 그리고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의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100)은 단자들(미도시)이 설치되는 수용공간(미도시)의 개구를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하여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것인데, 그 단자함(100)은 전면만이 개구된 장방형상의 단자함 본체(110)를 구비하고 있는데, 그 내부에 단자를 설치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본체(110)에는 단자에 연결하기 위한 각종 전선들을 인입하기 위한 다수개의 전선 인입구들(113a)과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개방할 수 있게 임시로 폐쇄한 인입구들(113b)이 개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단자함 본체(110)의 전면에는 커버(130)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해 주는 커버 프레임(120)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커버(130)는 상기 커버 프레임(120)에 일체로 설치되며 그 주위로 요입 형성되는 분리홈(130a)을 통하여 타격 등의 외력에 의해 상기 커버 프레임(120)으로부터 분리되게 설치되어 상기 단자함 본체(110)의 수용 공간을 개방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단자함(100)의 양측에는 본원 발명의 단자함 본체(110)를 철근 골조(10)에 대하여 이동하게 지지하는 하기의 구성요소들을 통하여 하기의 거푸집과의 사이에 간극을 없게한다.
그 구성요소들을 대별하면, 상기 단자함 본체(110)와 상기 커버 프레임(120)의 상하측 벽부에서 한쌍을 이루면서 돌출 형성된 안내돌기들(200a,200b)과, 철근 골조(10)가 삽입 고정되는 가동체들(210a,210b) 및 탄지체들(220a,220b)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단자함(100)의 상하측에 설치되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의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면에서 보아 상부에 위치한 요소들만을 일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안내돌기들(200a)은 상기 단자함 본체(110)와 상기 커버 프레임(120)의 측벽부 까지 서로 간격을 두고 연장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안내돌기들(200a)은 레일과 같은 모양을 이루면서 상기 단자함 본체(110)와 상기 커버 프레임(120)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돌기들(200a)은 상기 단자함 본체(110)와 상기 커버 프레임(120)의 사출 성형시 일체로 성형된다.
이러한 안내돌기들(200a)에는 그 외측면에 상기 탄지체들(220a)이 위로 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상(浮上)방지용 돌기들(20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부상방지용 돌기들(201a)은 상기 탄지체들(220a)의 수축시 부상하지 않도록 상측으로부터 지지하여 상기 탄지체들(220a)이 유효한 탄성력을 발휘하게 한다. 또한 상기 안내돌기들(200a)은 일측 단부에 제1안내홈들(202a)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1안내홈들(202a)은 상기 안내돌기들(200a)의 일단부에서 일정 길이로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탄지체들(220a)이 제1안내홈들(202a)을 따라서 이동하게 안내 한다.
상기 가동체(210a)는 플라스틱 사출 형품으로 장방형체를 이루게 성형되며, 상면에는 상기 철근 골조(10)를 끼울 수 있게 한 철근 고정홈(211a)이 형성되어 상기 철근 골조(10)를 탄성적으로 가압되게 지지한다. 또한 가동체(210a)의 상기 철근 고정홈(211a)과의 반대면에는 상기 안내돌기들(200a)을 따라 이동되게 지지하고자, 그 안내돌기들(200a)에 이동되게 삽입되는 끼움홈들(212a)이 전(全) 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동체(210a)의 전면에는 상기 탄지체들 (220a)을 탈착되게 끼움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21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지체들(220a)은 상기 가동체(210a)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해 설치한 것으로, 상기 안내돌기들(200a)의 외측면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탄지체들(220a)은 탄성 부재로부터 중앙에 타원형 모양을 이루게 감은 환형부(221a)를 형성하여, 그 일단부(222a)는 상기 고정홈(213a)에 결합함과 아울러 타단부(223a)는 수직으로 절곡하여 상기 제1안내홈들(202a)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안내돌기들(200a)의 외측면에서 상기 부상 방지용 돌기들(201a)의 지지를 받으며 상기 가동체(210a)의 이동에 필요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탄지체들(220a)은 상기 가동체(210a)가 이동함에 따라 변형되는 환형부(221a)와 함께 상기 제1안내홈들(202a)을 슬라이딩되게 이동하는 상기 타단부(223a)를 통해 상기 가동체(210a)에 탄성력을 부여하고 있다. 이와 같은 탄지체들(220a)은 탄성력을 갖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식 방지면에서는 플라스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안내돌기(200a)의 내측면에는 제2안내홈들(203a)을, 그리고 상기 가동체(210a)에는 이 제2안내홈들(203a)에 끼워질 수 있는 끼움돌기(214a)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이 때문에 상기 가동체(210a)는 상기 안내돌기(200a)를 따라 이동시 상기 제2안내홈들(203a)과 끼움돌기들(214a)에 의해서 외부로 이탈됨이 방지된다.
도면부호(230a)는 상기 커버 프레임(120)의 양측 벽부를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각종 부속품(아울렛)들을 설치할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하는 금속편을 나타낸 것이고, 도면부호(216a)는 철근 골조(10)에 인접 배치되는 단자함(100)들의 간격을 변함이 없도록 하고자 사용하는 간격유지부재(미도시)를 삽입하는데 사용하는 간격 유지용 홈으로, 그 홈(216a)은 상기 가동체(210a)두께의 반만 들어가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고, 간격 유지용 홈(216a)은 그 간격 유지용 홈(216a)에 삽입되는 간격유지 부재의 크기에 따라 임의로 변형 가능하다.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단자함(100)은 벽체를 형성하고자 이미 시공된 철근 골조(10)에 고정되는데, 상기 철근 골조(10)에의 고정은 상기 단자함(100)의 양단에 구비된 가동체들(210a,210b)의 철근 고정홈들(211a,211b)(도1참조)을 통하여 실시된다. 상기 단자함(100)을 상기 가동체들(210a,210b)의 고정홈들(211a,211b)을 통해 철근 골조(10)에 끼움 고정이 완료되면, 이미 시공된 상기 철근 골조(10)의 주위로는 거푸집(5)이 설치된다. 이때 철근 골조(10)의 시공시 변형이 있게 되는 경우, 예컨대 철근 골조(10)자체의 휨 등으로 인한 변형이나 철근 골조(10)를 시공하는 작업자들의 잘못으로 인해 상기 철근 골조(10)가 원래 위치에서 들어가게 시공되는 경우, 상기 단자함(100)역시 철근 골조(10)의 변형에 따라 위치 변형이 있게 되어, 거푸집과 단자함(100)과의 사이에는 본원 발명의 선행기술의 설명란에서 설명하였듯이 간극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단자함(100)은 상기 안내돌기들(200a,200b), 가동체들(210a,210b) 및 탄지체들(220a,220b)이 단자함 본체(110)의 양 측벽부의 후단에 구비된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상기 단자함(100)을 철근 골조(10)에 고정시 거푸집(5)과 상기 철근 골조(10)와의 사이에 생기게 되는 간극보다는 항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단자함(100)의 돌출 거리 즉, 철근 골조(10)에 설치시 그 단자함(100)이 철근 골조(10)의 변형으로 인해 거푸집(5)과의 사이에 생기게 되는 간극보다는 제품의 제조 과정에서 더 돌출되게 설치되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안내돌기들(200a,200b), 가동체들(210a,210b) 및 탄지체들 (220a,220b)의 설치 위치가 상기 단자함(100)을 상기 철근 골조(10)로부터 거푸집(5)을 배치하는 위치보다 더 돌출되게 한다. 즉, 상기 단자함(100)은 철근 골조(10)에 설치될 때 마다 상기 철근 골조(10)로부터 거푸집(5)이 설치되는 원래의 위치 보다도 돌출되게 위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단자함(100)은 그 양단에 상기 안내돌기들(200a,200b), 가동체들 (210a,210b) 및 탄지체들(220a,220b)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단자함(100)의 본체(110)를 도3a의 위치에서 도3b의 실선 위치로 수축되어 이동되는 상태를 이루게 하므로, 거푸집(5)의 배치에 장해를 주지 않음은 물론 거푸집(5)과 단자함(100)과의 사이에 간극이 있게 되는 일은 전연 없게 하여, 시멘트 몰탈의 타설시 항시 그 시멘트 몰탈이 단자함의 내부로 유입됨을 없게 한 다. 상기 가동체들(210a,210b)은 철근 골조(10)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반면, 상기 가동체들(210a,210b)에 결합 되어 있는 상기 단자함 본체(110)는 어디에도 고정되어 있지 않고 오직 상기 가동체들(210a,210b)로부터만 이동할 수 있는 자유로운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함(100)이 상기 철근 골조(10)로부터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거푸집(5)을 원래의 위치에 설치하고자, 상기 단자함(100)측에 대고서 밀면, 이때의 압력에 의해 상기 단자함(100)의 본체(110)는 도3a의 위치에서 도3b의 실선 위치로 밀려 나가게 된다. 그러면 상기 탄지체들(220a,220b)의 환형부(221a)가 변형된다. 이와 같이 변형된 상기 탄지체들(220a,220b)의 환형부(221a)는 원상태, 즉 최초의 타원형 모양으로 복원되려고 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단자함 본체(110)를 상기 거푸집(5)으로 밀어 그 표면에 완전히 밀착시키게 한다. 이 때문에 상기 거푸집(5)은 단자함(100)의 위치에 관계없이, 항시 상기 단자함(100)과의 사이에 간극의 발생을 없게 하면서 설치할 수가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단자함(100)의 내부로 시멘트 몰탈이 유입됨을 전연 없게 한다. 특히 탄지체들(220a,220b)이 상하 좌우에서 강하게 탄성력을 부여하고 있는 구조로 인하여, 본원 발명의 단자함(100)은 편심없이 안정된 상태로 상기 거푸집(5)과의 사이에 극히 적은 간극이라도 허용됨이 없도록 강한 밀착성을 유지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자함 본체의 이동을 그 본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가동요소들에 의해서 실행되게 한 구조에 의해, 거푸집과의 사이에 극히 작은 간극의 허용도 없이 강한 탄성력으로 밀착 유지되게 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그 단자함 본체의 이동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 공정이 쉬워진 만큼 작업성이 향상된다는 효과와 그 결과 안가로 대량 공급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며, 내부에는 그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설치되는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함과 아울러 수용공간에는 다수개의 전선 인입구들이 형성된 단자함 본체와, 외력에 의해 분리되는 커버를 갖고 상기 단자함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가 분리되는 경우 상기 단자함 본체의 수용 공간을 외부로 개방되게 하는 커버 프레임을 구비하는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단자함 본체와 상기 커버 프레임의 양측 벽부에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탄지체 부상(浮上) 방지용 돌기들이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일측 단부에는 신축되는 탄지체를 안내하는 제1안내홈들이 형성된 안내돌기들;
    상기 단자함 본체와 상기 커버 프레임의 양측 벽부에서 상기 안내돌기들에 이동되게 결합되고, 전면에는 상기 탄지체를 탈착되게 끼움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면에는 철근 고정홈이 형성된 가동체들; 및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중앙에 타원형 모양으로 감은 환형부를 형성하여, 그 일단부는 상기 가동체들의 각 고정홈에 결합함과 아울러 그 타단부는 수직 절곡하여 상기 제1안내홈들에 각각 결합하고 상기 안내돌기들의 외측면에서 그 안내돌기들의 지지를 받으며 상기 가동체들의 이동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지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기들의 내측면에는 제2안내홈들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안내홈들에 끼워지는 끼움돌기들이 상기 가동체들에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지체들은 탄성을 갖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KR1020040052505A 2004-07-07 2004-07-07 단자함 KR100640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505A KR100640177B1 (ko) 2004-07-07 2004-07-07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505A KR100640177B1 (ko) 2004-07-07 2004-07-07 단자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9297U Division KR200364887Y1 (ko) 2004-07-07 2004-07-07 단자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576A KR20060003576A (ko) 2006-01-11
KR100640177B1 true KR100640177B1 (ko) 2006-11-06

Family

ID=37105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2505A KR100640177B1 (ko) 2004-07-07 2004-07-07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01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030B1 (ko) * 2006-08-31 2007-03-20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100677647B1 (ko) * 2006-09-04 2007-02-02 (주)지성전기기술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554Y1 (ko) 2002-11-29 2003-03-11 일 석 채 옥내배선용 접속함
KR200318130Y1 (ko) 2003-03-17 2003-06-27 남영기전 주식회사 배선용 접속함
KR200318187Y1 (ko) 2003-03-24 2003-06-28 김근수 단자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554Y1 (ko) 2002-11-29 2003-03-11 일 석 채 옥내배선용 접속함
KR200318130Y1 (ko) 2003-03-17 2003-06-27 남영기전 주식회사 배선용 접속함
KR200318187Y1 (ko) 2003-03-24 2003-06-28 김근수 단자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576A (ko) 200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78188A1 (en) Deflection resistant electrical enclosure
KR100640177B1 (ko) 단자함
KR100640176B1 (ko) 단자함
KR200318187Y1 (ko) 단자함
KR102073681B1 (ko) 단자함
KR20040083598A (ko) 단자함
KR200364887Y1 (ko) 단자함
KR200387576Y1 (ko) 단자함
KR20100024810A (ko)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KR200363587Y1 (ko) 단자함
KR100902654B1 (ko) 단자함
KR100715952B1 (ko) 단자함
KR100687602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100910646B1 (ko)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KR200381082Y1 (ko)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
KR100615855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200318130Y1 (ko) 배선용 접속함
KR200428597Y1 (ko) 단자함
KR200335910Y1 (ko) 단자함 고정구
KR20090008540A (ko) 건물내벽용 아웃렛박스 어셈블리
KR100696233B1 (ko) 공동주택용 텐션 단자함 고정구
KR200353271Y1 (ko)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
CN209812666U (zh) 生产预制构件的模具组件
KR200306554Y1 (ko) 옥내배선용 접속함
KR100648108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