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5855B1 -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5855B1
KR100615855B1 KR1020060042400A KR20060042400A KR100615855B1 KR 100615855 B1 KR100615855 B1 KR 100615855B1 KR 1020060042400 A KR1020060042400 A KR 1020060042400A KR 20060042400 A KR20060042400 A KR 20060042400A KR 100615855 B1 KR100615855 B1 KR 100615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x
corner
fastening
edge
tightening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2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구
맹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42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58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5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5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어 단자를 설치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전선인입구가 형성된 단자함을 철근에 고정시키는 단자함 고정구에 있어서; 중심에 수평방향의 철근이 삽입되어 감싸는 수평요홈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이와 직각방향으로 수평요홈 내측에 수직방향의 철근이 삽입되어 감싸는 수직요홈이 형성되며, 상,하,좌,우측의 각 사선방향 사방으로 연장되어 그 선단부는 전방측으로 수직절곡되고 나사공을 갖는 체결부가 형성되는 모서리 지지대와; 상기 모서리 지지대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나사와; 상기 모서리 지지대의 체결부의 내측면에 단자함의 모서리가 위치된 상태에서 모서리와 조임나사 사이에 위치되어 조임나사에 의해 단자함의 모서리에 밀착고정되는 밀대를 구비하는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체결볼트에 의해 압박되는 모서리 체결수단을 형성하여 단자함의 모서리를 철근에 손쉽게 고정결합시킬 수 있어 단자함의 설치가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고, 설치 후 철근에 고정결합된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모서리 지지대, 조임나사, 밀대

Description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Fixing implement for terminal box of apartment house}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단자함 고정구의 설치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단자함 고정구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단자함 고정구의 설치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단자함 고정구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단자함 고정구의 모서리 지지대의 수직요홈과 수평요홈에 철근이 고정된 모습을 확대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밀대 11 : 모서리지지판
12 : 모서리요부 13 : 고무판
14 : 금속판 20 : 조임나사
30 : 모서리 지지대 31 : 체결부
32 : 나사공 33 : 수직요홈
34 : 수평요홈 40 : 단자함
50 : 철근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체결볼트에 의해 압박되는 모서리 체결수단을 형성하여 단자함의 모서리를 철근에 손쉽게 고정결합시킬 수 있어 단자함의 설치가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고, 설치 후 철근에 고정결합된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는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자함이라고 하면, 단독, 공동주택 혹은 건물 등의 시공시 벽체에 매설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예컨대 전기선, 전화선, 인터넷 전용선, 안테나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단자함을 벽체에 매설하는 과정을 보면, 벽체를 형성하는 철근골조를 먼저 설치 후, 그 철근 골조에는 준비된 단자함을 그 단자함의 개구부를 실내로 노출되게 위치하고, 이어서 거푸집을 설치 후 시멘트 몰탈을 타설함에 의해 단자함이 매입된 벽체를 형성하고 있다.
거푸집의 설치시 그 거푸집은 단자함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상태로 설치해야만 한다. 그 이유는 시멘트 몰탈의 타설시 시멘트 몰탈이 개구를 통하여 단자함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단자함의 개구부가 거푸집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지 않고 어느 정도의 간격이 있게 되는 경우에는 타설되는 그 거푸집의 내부로 타설되는 시멘트 몰탈 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입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단자함의 개구부를 별도의 부재나 도구를 사용하여 막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만약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에는 시멘트 몰탈이 양생되어 거푸집을 이탈시킨 후, 단자함 내부로 유입되어 굳어진 시멘트 몰탈을 일일히 털어내야 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런 일이 발생되는 주된 이유는 철근 골조의 시공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작업상의 미숙에서 발생하게 되는데, 철근 골조의 시공상 오차는 결과적으로 거푸집과 단자함과의 사이에 간극 등을 생기게 하는 문제를 유발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단자함 본체와 커버 후레임의 양측 벽부에 형성된 지지홈을 따라 이동되게 지지되며, 어느 일 측면에는 철근 고정홈이 설치된 소정 형상의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에 고정지지되어 상기 커버 후레임의 양측으로 입설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들과 대향 위치된 상기 커버 후레임의 양측 벽부를 관통 설치하여 일단은 상기 스프링의 단부에 맞닿게 하고 그 반대 단은 상기 커버 결합용 나사 체결공을 형성하기위한 넓이를 형성하는 금속 고정편으로 이루어진 가동장치를 구비하여, 철근이 고정되는 가동체를 그 단자함에 슬라이딩 되게 설치함과 아울러 가동체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이 작용되게 하여, 상기 단자함을 철근 골조로부터 상기 가동체의 가동 범위 내에서 이동되게 한 단자함이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에 등록번호 제20-318187호로 개재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단자함은 여전히 상기 스프링의 결합시 섬세한 조작이 요구되며, 상기 고정홈은 단순히 철근에 대응되는 형상만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철근 골조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반면에 충격에 의해서 철근 골조가 고정홈으로 부터 손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체결볼트에 의해 압박되는 모서리 체결수단을 형성하여 단자함의 모서리를 철근에 손쉽게 고정결합시킬 수 있어 단자함의 설치가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고, 설치 후 철근에 고정결합된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는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어 단자를 설치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전선인입구가 형성된 단자함을 철근에 고정시키는 단자함 고정구에 있어서;
중심에 수평방향의 철근이 삽입되어 감싸는 수평요홈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이와 직각방향으로 수평요홈 내측에 수직방향의 철근이 삽입되어 감싸는 수직요홈이 형성되며, 상,하,좌,우측의 각 사선방향 사방으로 연장되어 그 선단부는 전방측으로 수직절곡되고 나사공을 갖는 체결부가 형성되는 모서리 지지대와;
상기 모서리 지지대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나사와;
상기 모서리 지지대의 체결부의 내측면에 단자함의 모서리가 위치된 상태에서 모서리와 조임나사 사이에 위치되어 조임나사에 의해 단자함의 모서리에 밀착고정되는 밀대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밀대는; 단자함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모서리요부가 형성된 모서리지지 판과; 상기 모서리지지판의 전방측 모서리요부에 고정되어 단자함과 밀착되는 고무판과; 상기 모서리지지판 후방측에 위치되어 조임나사 선단과 접촉되는 금속판을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단자함 고정구의 설치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단자함 고정구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단자함 고정구의 설치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단자함 고정구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단자함 고정구의 모서리 지지대의 수직요홈과 수평요홈에 철근이 고정된 모습을 확대한 측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는, 단자함(40)의 모서리 사방에서 단자함(40)을 완강히 고정지지시켜 철근(50)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철근(50)을 감아 고정시키는 지지대(30)와, 지지대(30) 선단부에 체결고정되어 밀대(10)를 단자함(40) 으로 밀고 푸는 조임나사(20)와, 조임나사(20)에 의해 단자함(40) 모서리와 밀착고정되어 지지하는 밀대(10)로 구성된다.
상기 모서리 지지대(30)는 내측 중심에 철근(50)을 감싸면서 사방 선단부에서 단자함(40)을 감싸는 판체로, 중심에는 수평방향의 철근(50)이 삽입되어 감싸이는 수평요홈(34)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이와는 직각방향으로 수평요홈(34) 내측에 수직방향의 철근(50)이 삽입되어 감싸이는 수직요홈(33)이 형성되며, 상,하,좌,우측의 각 사선방향 사방으로 연장되어 그 선단부는 전방측으로 수직절곡되고 나사공(32)을 갖는 체결부(31)가 형성되어 단자함(40)의 모서리를 감싼다.
상기 조임나사(20)는 상기 모서리 지지대(30) 체결부(31)의 나사공(32)에 나사결합되어 단자함(40)의 모서리로 밀대(10)를 밀어 압박하고 또한 풀어 분리시키는 나사이다.
상기 밀대(10)는 상기 모서리 지지대(30) 체결부(31)의 내측면에 단자함(40)의 모서리가 위치된 상태에서 모서리와 조임나사(20) 사이에 위치되어 조임나사(20)의 회동에 의해 단자함(40)의 모서리를 압착하는 것으로, 단자함(40)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모서리요부(12)를 갖는 모서리지지판(11)이 형성되고, 모서리지지판(11)의 전방측 모서리요부(12)에는 고무판(13)이 부착고정되며, 모서리지지판(11)의 후방측에는 조임나사(20) 선단과 접촉되는 금속판(14)이 형성되어 단자함(40)의 모서리 사방에서 단자함(40)을 완강히 고정지지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평방향의 철근(50)과 수평방향의 철근(50)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 서, 모서리 지지대(30)의 수평요홈(34)에 수평방향의 철근을 삽입시키고, 수직요홈(33)에 수직방향의 철근(50)을 삽입시킨다.
그 다음, 모서리 지지대(30)의 내측면에 단자함(40)을 밀착시키되, 단자함(40)의 네 곳 모서리에는 밀대(10) 모서리지지판(11)의 모서리요부(12)에 고정된 고무판(13)이 위치되어 조임나사(20)를 체결부(31)의 나사공(32)에서 회동시키면 된다.
이때, 조임나사(20)의 선단은 체결부(31) 내측에 위치된 밀대(10)의 금속판(14)을 단자함(40)의 모서리로 밀게 되고, 모서리지지판(11)의 모서리요부(12)에 부착된 고무판(13)이 단자함(40)의 모서리와 밀착되면서 압박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렇게 밀대(10)에 의해 단자함(40)의 네곳 모서리가 밀착된 상태로 압박되면, 단자함(40)은 모서리 지지대(30) 내측에 완강히 고정되어 철근(50)에 고정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체결볼트에 의해 압박되는 모서리 체결수단을 형성하여 단자함의 모서리를 철근에 손쉽게 고정결합시킬 수 있어 단자함의 설치가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고, 설치 후 철근에 고정결합된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2)

  1.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어 단자를 설치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전선인입구가 형성된 단자함을 철근에 고정시키는 단자함 고정구에 있어서;
    중심에 수평방향의 철근이 삽입되어 감싸는 수평요홈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이와 직각방향으로 수평요홈 내측에 수직방향의 철근이 삽입되어 감싸는 수직요홈이 형성되며, 상,하,좌,우측의 각 사선방향 사방으로 연장되어 그 선단부는 전방측으로 수직절곡되고 나사공을 갖는 체결부가 형성되는 모서리 지지대와;
    상기 모서리 지지대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나사와;
    상기 모서리 지지대의 체결부의 내측면에 단자함의 모서리가 위치된 상태에서 모서리와 조임나사 사이에 위치되어 조임나사에 의해 단자함의 모서리에 밀착고정되는 밀대를 구비하는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는;
    단자함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모서리요부가 형성된 모서리지지판과;
    상기 모서리지지판의 전방측 모서리요부에 고정되어 단자함과 밀착되는 고무판과;
    상기 모서리지지판 후방측에 위치되어 조임나사 선단과 접촉되는 금속판을 구비하는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1020060042400A 2006-05-11 2006-05-11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100615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400A KR100615855B1 (ko) 2006-05-11 2006-05-11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400A KR100615855B1 (ko) 2006-05-11 2006-05-11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5855B1 true KR100615855B1 (ko) 2006-08-28

Family

ID=37601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2400A KR100615855B1 (ko) 2006-05-11 2006-05-11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58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233B1 (ko) 2006-11-22 2007-03-20 주식회사 이정이앤씨 공동주택용 텐션 단자함 고정구
KR100986285B1 (ko) 2007-12-31 2010-10-12 (자)자유이엔씨 슬래브 매립형 박스 및 그 설치 방법
KR101111986B1 (ko) 2011-11-22 2012-02-24 (주)부건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8414U (ja) 1983-07-29 1985-02-26 武冨 保道 ボックス固定金具
JPH01150414U (ko) * 1988-04-07 1989-10-18
KR20010095508A (ko) * 2000-04-10 2001-11-07 조추희 콘크리트 실링 박스
KR20040083598A (ko) * 2003-03-24 2004-10-06 김근수 단자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8414U (ja) 1983-07-29 1985-02-26 武冨 保道 ボックス固定金具
JPH01150414U (ko) * 1988-04-07 1989-10-18
KR20010095508A (ko) * 2000-04-10 2001-11-07 조추희 콘크리트 실링 박스
KR20040083598A (ko) * 2003-03-24 2004-10-06 김근수 단자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233B1 (ko) 2006-11-22 2007-03-20 주식회사 이정이앤씨 공동주택용 텐션 단자함 고정구
KR100986285B1 (ko) 2007-12-31 2010-10-12 (자)자유이엔씨 슬래브 매립형 박스 및 그 설치 방법
KR101111986B1 (ko) 2011-11-22 2012-02-24 (주)부건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0917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KR100761047B1 (ko) 공동주택 천정 전기 케이블 설치구조
KR100760639B1 (ko)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
KR100615855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20090037721A (ko) 건축용 슬리브 고정장치
KR100687602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100787517B1 (ko) 공동주택용 스위치박스 고정장치
KR100805073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200387576Y1 (ko) 단자함
KR100696233B1 (ko) 공동주택용 텐션 단자함 고정구
KR100999521B1 (ko) 매입형 스위치 박스의 고정구조
KR101234813B1 (ko) 공동주택용 매립형 배전박스의 고정 장치
KR100634220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100715952B1 (ko) 단자함
KR100648108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100670692B1 (ko)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의 스프링 밀폐구조
KR20190020234A (ko) 콘크리트벽과 간격조절이 용이한 배전반 시공방법
KR200242769Y1 (ko) 단자함 구조
KR100727310B1 (ko) 공동주택 및 건축물용 단자함 고정구
KR100971469B1 (ko) 벽면 매설용 단자함
KR100910646B1 (ko)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JP3574969B2 (ja) 埋設ボックス装置、埋設ボックス及び埋設ボックス取付用バー材
KR200433304Y1 (ko) 벽부용 아웃렛 박스
KR200306554Y1 (ko) 옥내배선용 접속함
KR200256760Y1 (ko) 분전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