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521B1 - 매입형 스위치 박스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매입형 스위치 박스의 고정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99521B1 KR100999521B1 KR1020080041541A KR20080041541A KR100999521B1 KR 100999521 B1 KR100999521 B1 KR 100999521B1 KR 1020080041541 A KR1020080041541 A KR 1020080041541A KR 20080041541 A KR20080041541 A KR 20080041541A KR 100999521 B1 KR100999521 B1 KR 1009995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inforcing bar
- fixed
- switch box
- bar
- reinforc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입형 스위치 박스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철근간의 간격, 철근과 거푸집간의 거리 등에 상관없이 스위치 박스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매입형 스위치 박스의 고정구조는, 평평한 사각형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벽체에 배치되는 스위치 박스가 피봇(11)을 통해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방 모서리에 각각 후방을 향해 형성되는 4개의 철근 연결바(20)와; 철근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며 내주면에 철근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철근 연결바 중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2개의 철근 연결바의 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콘크리트 벽체 내부에 배근되는 종방향 철근에 끼워 고정되는 철근 고정스냅링(30)을 포함하며, 상기 철근 연결바는, 다단의 길이조절공이 구비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바, 일측 단부가 상기 철근 고정스냅링에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제1연결바의 길이조절공에 체결구를 통해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길이조절되는 제2연결바로 이루어진다.
스위치, 박스, 철근, 고정
Description
본 발명은 매입형 스위치 박스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근간의 간격, 철근과 거푸집간의 거리 등에 상관없이 스위치 박스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여 스위치 박스 내부에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콘크리트의 타설시 타설 압력에 의해 스위치 박스가 정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한 매입형 스위치 박스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로 시공되는 공동주택의 벽면 내부에는 옥내배선을 위하여 전선이 매설되고 있으며, 이 전선을 벽면 밖으로 인출한 후 스위치나 전원콘센트 등에 접속하기 위하여 매입형 스위치 박스를 콘크리트 타설 작업 전에 콘크리트 거푸집의 내측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킨 다음 거푸집을 제거하여 벽면 밖으로 노출된 매입형 스위치 박스에 스위치, 콘센트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매입형 스위치 박스를 거푸집의 내측면에 밀착시키기 위해 종래에 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 매입형 스위치 박스에 보강재를 결합하고, 결속와이어를 이용 벽면 내부에 배근된 철근에 보강재를 결속시킨 다음 거푸집을 설치하거나 콘크리트 벽면의 두께와 동일한 길이로 된 보조철근의 일측을 매입형 스위치 박스의 측면 또는 후면에 용접하고 보조철근의 타측은 배근된 철근에 용접시켜 거푸집을 설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보강재를 이용하는 것은 시공은 용이하나 매입형 스위치 박스가 철근에 설치된 후에는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거푸집을 설치할 때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거푸집과 매입형 스위치 박스 간에 틈이 발생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매입형 스위치 박스의 내부로 침투하여 매입형 스위치 박스가 벽체 내부에 매몰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콘크리트 내부에 배근되는 철근의 위치(철근간의 간격, 철근과 거푸집간의 간격)와 수량은 콘크리트 벽체의 두께, 높이 등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이와 같은 철근의 위치를 감안하지 않았기 때문에 매입형 스위치 박스를 원하는 위치에 셋팅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프링을 이용하여 스위치 박스를 지지하는 기술이 있지만, 스프링은 탄성력으로 인하여 콘크리트의 타설시 타설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스위치 박스의 위치를 유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스프링을 이용한 경우 스위치 박스의 각도를 어느 정도는 맞출 수 있지만, 철근과 거푸집간의 거리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체 내부에 스위치 박스를 매입하는 경우 이 스위치 박스를 철근에 용이하게 연결하고, 콘크리트 타설시 타설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스위치 박스를 정위치로 유지할 수 있는 매입형 스위치 박스의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위치 박스의 각도 조절은 물론, 철근과 거푸집간의 거리에 맞춰 스위치 박스를 고정하려는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매입형 스위치 박스의 고정구조는,
평평한 사각형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벽체에 배치되는 스위치 박스가 피봇(11)을 통해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방 모서리에 각각 후방을 향해 형성되는 4개의 철근 연결바(20)와; 철근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며 내주면에 철근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철근 연결바 중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2개의 철근 연결바의 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콘크리트 벽체 내부에 배근되는 종방향 철근에 끼워 고정되는 철근 고정스냅링(30)을 포함하며, 상기 철근 연결바는 길이조절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매입형 스위치 박스의 고정구조에 의하면, 스위치 박스의 설치시 철근 연결바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제1,2연결바를 통해 자체의 길이를 조절하여 콘크리트 건축물의 구조 검토에 따라 철근의 간격, 철근과 거푸집간의 거리가 바뀌어도 스위치 박스를 원하는 설계위치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스위치 박스 내부에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으며, 콘크리트 타설시 철근 연결바가 변형되지 않고 위치를 유지하여 스위치 박스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콘크리트 건축물의 양호한 품질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 박스가 피봇을 통해 각도 조절 가능하게 조립되어 스위치 박스를 거푸집과 동일 평면 상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스위치가 건축물의 벽체에 대해 삐뚫어지는 불량이 방지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매입형 스위치 박스의 고정구조는, 스위치 박스(1)를 철근(2)과 거푸집(3)의 거리, 철근(2)간의 간격에 상관없이 스위치 박스(1)를 거푸집(3)에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0), 철근 연결바(20), 철근 고정스냅링(30)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 플레이트(10)는 평평한 판상이며 스위치 박스(1)가 후술하는 피봇(11)을 통해 각도 조절 가능하게 지지된다.
피봇(11)은 피봇 안착플레이트(12)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지지된다.
피봇 안착플레이트(12)는 구형상의 피봇안착부(12a)를 갖으며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된다.
피봇(11)은 피봇 안착플레이트(12)의 피봇안착부(12a)에 구름 가능하게 삽입되며 체결구(13)를 통해 스위치 박스(1)에 체결된다.
즉, 스위치 박스(1)는 피봇(11)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0)에 고정 및 각도 조절되는 것이다.
철근 연결바(20)는 서로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연결바(21,22)로 이루어진다.
제1연결바(21)는 다단의 길이조절공(21a)이 구비되며 일측 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10)에 힌지(23)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연결바(22)는 일측 단부가 철근 고정스냅링(30)에 고정되며 타측이 제1연결바(21)의 길이조절공(21a)에 체결구(24)를 통해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철근 연결바(2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후방 모서리에 각각 후방을 향해 형성된다.
여기서, 4개의 철근 연결바(20) 중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2개의 철근 연결바(20)는 보강바(40)를 통해 연결된다.
철근 고정스냅링(30)은 철근(2)에 끼워 고정되는 구조이며, 예컨대, 일측이 개방된 곡선형 단면의 탄성체로서 철근 연결바(20) 중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2개의 철근 연결바(20)의 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철근(2)에 끼워 고정된다.
철근 고정스냅링(30)의 내주면에는 철근(2)의 돌기(2a)가 삽입되는 철근삽입홈(3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매입형 스위치 박스 고정구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콘크리트 건축물의 건축시 설계에 맞춰 철근(2)을 배근하고 거푸집(3)을 설치한다.
콘크리트의 타설 이전에 스위치 박스(1)를 설치하여야 할 것이며, 먼저 피봇(11)을 피봇 안착플레이트(12)의 피봇안착부(12a)에 삽입하고 체결구(13)를 피봇(11)에 관통시켜 스위치 박스(1)에 체결함으로써 스위치 박스(1)와 피봇(11)을 조립하고, 피봇 안착플레이트(12)를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체결구로 고정한다.
이어서, 철근 연결바(20)를 통해 스위치 박스(1)를 철근(2)에 연결하며, 먼저, 철근 고정스냅링(30)을 벌려 철근(2)에 끼워 장착한다.
이때, 철근(2)간의 간격에 따라 철근 연결바(20)가 힌지(23)를 통해 회동하여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철근 연결바(20)들의 간격과 상관없이 철근 연결바(20)가 철근(2)에 연결될 수 있다.
철근 고정스냅링(30)을 통해 스위치 박스(1)가 고정되었지만, 이 상태는 가조립 상태인 것으로, 이 상태에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스위치 박스(1)의 위치를 셋팅한다.
스위치 박스(1)가 거푸집(3)보다 돌출되거나 안쪽으로 배치된다면 철근 연결바(20)의 제1,2연결바(21,22)의 길이를 조절하여 스위치 박스(1)의 전후 위치를 조 절한다.
여기서, 철근 연결바(20)가 힌지(23)로 연결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0)를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것이므로 스위치 박스(1)의 좌우 위치도 조절할 수 있고, 철근(2)이 일렬로 배열되지 않아도 스위치 박스(1)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도 3a 참고). 이때 제1,2연결바(21,22)는 볼트가 각기 형성된 구멍을 관통함으로써 결합되는 것으로 도면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인 각도를 제한하지 않으므로, 반드시 1자를 유지한 상태로 결합할 필요없이 상대적인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한 상태에서 결합 가능하며, 결국 더욱 다양한 거리 및 위치에 스위치 박스를 고정할 수 있게 됨은 자명하다 할것이다.
아울러, 스위치 박스(1)를 거푸집(3)의 표면과 평행하도록 조절하여야 하며, 스위치 박스(1)를 움직이면 피봇(11)을 통해 스위치 박스(1)의 각도가 조절되어 스위치 박스(1)를 거푸집(3)과 평행하게 맞출 수 있다(도 3b 참고).
이상의 공정을 통해 스위치 박스(1)의 설치가 완료되며, 이어서, 거푸집(3)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콘크리트의 타설시 타설 압력이 철근 연결바(20)에 가해지더라도 철근 연결바(20)는 탄성 변형없이 설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매입형 스위치 박스의 고정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매입형 스위치 박스의 고정구조를 보인 횡단면도.
도 3a와 도 3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매입형 스위치 박스의 고정구조에 따른 작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스위치 박스, 2 : 철근
3 : 거푸집, 10 : 베이스 플레이트
11 : 피봇, 12 : 피봇 안착플레이트
20 : 철근 연결바, 21,22 : 연결바
23 : 힌지, 30 : 철근 고정스냅링
40 : 보강바,
Claims (2)
- 평평한 사각형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벽체에 배치되는 스위치 박스가 지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구형상의 피봇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피봇 안착플레이트와;상기 피봇 안착플레이트의 피봇안착부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체결구를 통해 상기 스위치 박스에 고정되어 상기 스위치 박스의 각도를 조절하는 피봇과;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방 모서리에 각각 후방을 향해 형성되는 4개의 철근 연결바와;철근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며 내주면에 철근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철근 연결바 중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2개의 철근 연결바의 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콘크리트 벽체 내부에 배근되는 종방향 철근에 끼워 고정되는 철근 고정스냅링을 포함하며,상기 철근 연결바는, 다단의 길이조절공이 구비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1연결바, 일측 단부가 상기 철근 고정스냅링에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제1연결바의 길이조절공에 체결구를 통해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길이조절되는 제2연결바로 이루어져, 상기 스위치 박스가 상기 철근 연결바를 통해 철근에 고정되어지되,상기 제1연결바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모서리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힌지에 축결합하여 회동 가능하며, 상기 제2연결바는 상기 제1연결바와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길이조절공에 결합가능함으로써, 제2연결바 단부의 철근 고정스냅링이 스위치 박스로부터의 상대적인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로이 위치하여 철근에 끼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입형 스위치 박스의 고정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철근 연결바 중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2개의 철근 연결바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철근 연결바를 지지하는 보강바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입형 스위치 박스의 고정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1541A KR100999521B1 (ko) | 2008-05-02 | 2008-05-02 | 매입형 스위치 박스의 고정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1541A KR100999521B1 (ko) | 2008-05-02 | 2008-05-02 | 매입형 스위치 박스의 고정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5607A KR20090115607A (ko) | 2009-11-05 |
KR100999521B1 true KR100999521B1 (ko) | 2010-12-08 |
Family
ID=41556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41541A KR100999521B1 (ko) | 2008-05-02 | 2008-05-02 | 매입형 스위치 박스의 고정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9952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4855B1 (ko) | 2019-04-12 | 2019-10-21 | 김기수 | 전기공사의 콘센트 박스 고정장치 |
KR102382922B1 (ko) | 2021-06-18 | 2022-04-08 | 조영진 | 전기공사의 콘센트박스 고정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4107085B3 (de) * | 2014-05-20 | 2015-08-13 | Günther Spelsberg GmbH & Co. KG | Elektroinstallationsvorrichtung für den Betonbau |
KR102234611B1 (ko) * | 2020-11-18 | 2021-04-01 | 이광흠 | 공동주택 건축물의 배전박스 고정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8079B1 (ko) | 2000-08-11 | 2003-06-18 | 한국전력공사 | 단완철 밴드 |
KR100649366B1 (ko) * | 2006-09-06 | 2006-11-29 |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용 매입형배전박스의 회전관절구조 |
KR100682603B1 (ko) | 2006-11-09 | 2007-02-16 | (주)미래엔지니어링 | 공동주택용 매입형배전박스의 밀착구조 |
KR100740917B1 (ko) * | 2007-03-27 | 2007-07-20 | 주식회사 일신이앤드씨 |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
-
2008
- 2008-05-02 KR KR1020080041541A patent/KR10099952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8079B1 (ko) | 2000-08-11 | 2003-06-18 | 한국전력공사 | 단완철 밴드 |
KR100649366B1 (ko) * | 2006-09-06 | 2006-11-29 |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용 매입형배전박스의 회전관절구조 |
KR100682603B1 (ko) | 2006-11-09 | 2007-02-16 | (주)미래엔지니어링 | 공동주택용 매입형배전박스의 밀착구조 |
KR100740917B1 (ko) * | 2007-03-27 | 2007-07-20 | 주식회사 일신이앤드씨 |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4855B1 (ko) | 2019-04-12 | 2019-10-21 | 김기수 | 전기공사의 콘센트 박스 고정장치 |
KR102382922B1 (ko) | 2021-06-18 | 2022-04-08 | 조영진 | 전기공사의 콘센트박스 고정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5607A (ko) | 2009-1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16109B1 (ko) | 건축물 기둥 양방향 너비조정 거푸집틀 | |
KR100999521B1 (ko) | 매입형 스위치 박스의 고정구조 | |
KR100682603B1 (ko) | 공동주택용 매입형배전박스의 밀착구조 | |
KR100805073B1 (ko) |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 |
KR100687602B1 (ko) |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 |
KR200288395Y1 (ko) | 건축용 관통슬리브 | |
KR200377292Y1 (ko) | 아웃렛박스 | |
KR100669921B1 (ko) | 길이조절이 가능한 측구용 덮개 | |
US20070111593A1 (en) | Terminal box | |
KR200460713Y1 (ko) |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 | |
KR102624599B1 (ko) | 건축용 배전 스위치박스 고정장치 | |
KR20080029331A (ko) |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 |
KR20100066959A (ko) | 내/외장 패널 설치용 어셈블리 | |
KR200375116Y1 (ko) | 천정판 설치용 연결거푸집 | |
KR20070043641A (ko) | 각도조절 가능한 거푸집 | |
KR100727310B1 (ko) | 공동주택 및 건축물용 단자함 고정구 | |
KR100696233B1 (ko) | 공동주택용 텐션 단자함 고정구 | |
KR200450661Y1 (ko) |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 | |
KR101404384B1 (ko) | 욕실용 천정패널 | |
JP4751729B2 (ja) | ガス栓の取付構造 | |
KR200368283Y1 (ko) | 철골 계단 시공 구조 | |
JP3521410B2 (ja) | 鉄筋取付用ボックス固定装置 | |
KR200386982Y1 (ko) | 단자함 | |
KR200274275Y1 (ko) | 옥내 배선용 접속함 | |
KR100627999B1 (ko) |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