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661Y1 -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661Y1
KR200450661Y1 KR2020100001459U KR20100001459U KR200450661Y1 KR 200450661 Y1 KR200450661 Y1 KR 200450661Y1 KR 2020100001459 U KR2020100001459 U KR 2020100001459U KR 20100001459 U KR20100001459 U KR 20100001459U KR 200450661 Y1 KR200450661 Y1 KR 2004506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lock
main body
fixing device
buried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4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점희
Original Assignee
권점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점희 filed Critical 권점희
Priority to KR20201000014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6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6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661Y1/ko
Priority to PCT/KR2011/000446 priority patent/WO2011090347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 콘센트나 스위치와 같은 단자블록을 벽에 매립 장착하기 위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테리어 공사나 개보수 공사시 건물 건축시 시공원 원 벽체가 아닌 간이 칸막이에 전기 콘센트나 스위치와 같은 단자블록을 고정할 경우에 사용되며, 제조 및 시공이 용이하고 단가경쟁력이 뛰어난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는 단자블록의 테두리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단자블록을 위하여 벽체에 형성된 매립홈의 개구부에 상기 본체가 머물도록 하는 스토퍼;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단자블록이 고정되는 고정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매립형 단자 블록 고정장치.

Description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FOR TERMINAL BLOCK}
본 고안은 전기 콘센트나 스위치와 같은 단자블록을 벽에 매립 장착하기 위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테리어 공사나 개보수 공사시 건물 건축시의 원래 벽체가 아닌 간이 칸막이에 전기 콘센트나 스위치와 같은 단자블록을 고정할 경우에 사용되며, 제조 및 시공이 용이하고 단가경쟁력이 뛰어난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테리어 공사나 개보수 공사시 간이 칸막이에 전기 콘센트나 스위치와 같은 단자블록을 쉽게 설치하기 위한 기구와 관련된 기술로는
정철호의 실용신안등록 제0151944호(1999년04월21일) [배선기구용 지지대]가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고안은 종래 건물 건축시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는 철재 또는 합성수지 소재의 박스와 큰 차이가 없고,
단가경쟁력 면에서도 유리한 것이 아니어서 상업적인 이점이 없다.
이에 본 고안은 석고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간이 칸막이에 전기 콘센트나 스위치와 같은 단자블록을 쉽게 매립 시공할 수 있고, 충분한 지지력과 내구성을 제공하며 단가경쟁력도 뛰어난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성 단자블록을 부분적으로 감싸 단자블록의 일부와 접촉하는 본체와, 간이 칸막이 벽체 매립홈의 개구부에 상기 본체가 머물도록 하는 스토퍼, 그리고 단자블록이 결합되는 고정체로 이루어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은 보강살을 상기 본체에 형성하여 재료절감과 강도 향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은 상기 고정체가 적절한 전후방 절곡부를 통하여 본체와 연결되어 있어 단자블록의 설치에 문제가 없도록 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스토퍼가 전방절곡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있어 간이 칸막이를 이루는 벽체의 외피를 물 수 있어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는
단자블록의 테두리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단자블록을 위하여 벽체에 형성된 매립홈의 개구부에 상기 본체가 머물도록 하는 스토퍼;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단자블록이 고정되는 고정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에서
상기 본체는 보강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본체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전방절곡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돌출 연결되도록 전방절곡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매립형 단자블록 고장장치는 기성 단자블록을 부분적으로 감싸 단자블록의 일부와 접촉하는 본체와, 간이 칸막이 벽체 매립홈의 개구부에 상기 본체가 머물도록 하는 스토퍼, 그리고 단자블록이 결합되는 고정체로 이루어지고, 또 보강살을 상기 본체에 형성하여 재료절감과 강도 향상을 달성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고정체가 적절한 전후방 절곡부를 통하여 본체와 연결되어 있어 단자블록의 설치에 문제가 없고, 또 상기 스토퍼가 전방절곡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있어 간이 칸막이를 이루는 벽체의 외피를 물 수 있어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어서, 결국 석고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간이 칸막이에 전기 콘센트나 스위치와 같은 단자블록을 쉽게 매립 시공할 수 있고, 충분한 지지력과 내구성을 제공하며 단가경쟁력도 뛰어나다.
도 1은 종래 매립형 단자블록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돌출부가 없는 스토퍼가 구비된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의 설치 상태도.
도 6 및 도 7은 각각 돌출부가 없는 스토퍼가 구비된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의 변형 예와 관련된 개략적인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매립형 단자블록 고장장치의 스토퍼 관련 변형 예에 대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른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F)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 및 도 5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본체(10)에 결합된 스토퍼(20) 쪽을 전방으로 정하고, 그 반대쪽을 후방으로 정하며,
벽체(W)의 표면은 수평방향으로 정하고, 매립홈(W3)의 전후방향은 수직방항으로 정한다.
본 고안에 따른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F)는 사시도인 도 2, 정면도인 도 3, 측면도인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10), 스토퍼(20), 고정체(30)를 포함한다.
또 콘센트 타입의 단자블록(B)의 후면을 도시한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된 박스(X)의 개구부측에 구비된 고정돌기에 단자블록의 고정나사공(B1)을 일치시키고 볼트로 고정하며, 이후 분리되어 있던 커버(B2)를 억지끼움식으로 결합하여 설치한다.
이에 비하여 인테리어 공사나 개보수 공사시에는 간이 칸막이를 설치하고, 간이 칸막이의 벽체를 파내어 매립홈을 형성하고,
여기에 실용신안등록 제0151944호나 기존 매립 박스를 박아 설치하고, 다시 전기 콘센트나 스위치와 같은 단자블록을 나사결합 한 후, 역시 분리되어 있던 커버(B2)를 억지끼움식으로 결합하여 설치한다.
이에 비하여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F)는 간이 칸막이의 벽체(W) 외피(W1)(예: 석고 패널)를 사각 형상으로 따내고, 내부 충진체(W2)(예: 석고 분말 고형체)를 파내어 매립홈(W3)을 형성하고,
평판형 본체(10)를 외피(W1)와 충진체(W2) 사이에 박아 넣고, 매립홈(W3) 개구부 상하단 표면에 고정체(30)가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단자블록(B)의 고정나사공(B1)(도 1 참조)과 고정체(30)의 고정공(31)을 일치시키고,
이어 나사를 결합하여 고정한 후, 커버(B2)(도 1 참조)를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작업이 진행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20)는 본체(10)에 대하여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전방절곡연결부(21)를 구비하고 있어,
도 5의 상부에 도시한 개략적인 부분 설치 상태도와 같이, 스토퍼(20)가 벽체(W)의 외피(W1)를 물게 되므로,
벽체(W)에 형성된 매립홈(W3)의 개구부에 상기 본체(10)가 머물러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전방절곡연결부(21)를 구비한 스토퍼(20)는 벽체(W) 작업 불량으로 벽체(W) 외피(W1)가 수직을 이루지 않고 비스듬하게 되어있는 경우에도 상기 본체(10)가 벽체(W)에 형성된 매립홈(W3)의 개구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돌출부(23)를 구비하여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변형 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20)가 벽체(W) 외피(W1)에 고정될 때 외피(W1)로 사용되는 석고 패널 등의 장수에 따라 전방절곡연결부(2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전방절곡연결부(21)의 길이를 길게 제작하여 전방절곡연결부(21)에 원형의 통공 형태의 눈금(25)을 형성하고 상기 눈금(25)이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하여 도 8의 상부 확대된 원 내 단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외피(W1)의 장수에 따라 그 두께에 맞게 전방절곡연결부(21)를 굽혀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전방절곡연결부(21)를 굽혔을 때 굽혀진 부분이 너무 길어서 커버(B2) 밖으로 노출되는 경우에도 커버(B2) 밖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용이하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10)에는 보강살(11)이 형성되어 있어 재료절감과 강도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도 2 및 도 3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우측 단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보강살(11)은 본체(10)의 중앙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10)를 하나의 금속패널을 프레스 가공하여 만든 딤플(dimple)에 해당한다.
특히 이러한 딤플형 보강살(11)은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어
본체(10)가 벽체(W)의 외피(W1)와 충진체(W2) 사이에 박힐 경우 상대적으로 무른 충진체(W2) 쪽에 위치하여 설치작업을 방해하거나 외피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며, 그 외 다양한 간이 칸막이에 설치할 경우 단자블록(B)의 장착이나 커버(B2)의 결합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시장에서 판매되는 전기 콘센트나 스위치와 같은 단자블록은 규격화되어 있으며, 도 1과 같은 2구 콘센트는 중앙 상하에 두 고정나사공(B1)을 위한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도 6과 같은 4구 콘센트는 중앙 상하에 두 개 또는 등간격으로 상하에 총 네 개의 고정나사공을 위한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F)에서 본체(10)에 형성된 고정체(30)는 단자블록의 고정나사공의 수 및 위치에 맞게 변형 설치된다.
본 고안의 핵심은 기성 단자블록을 부분적으로 감싸 단자블록의 일부와 접촉하는 본체(10)의 형상이어서 일단 재료 절감 및 단가 경쟁력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제공하는데 있는데,
본체(10)의 크기 및 형상은 설치 대상 단자블록의 종류 및 형상에 맞게 변형되는데,
적어도 단자블록의 고정나사공을 위한 돌기는 포함하는 형태여야 한다.
상부 고정체와 하부 고정체가 각각 별도의 본체에 형성되고 두 본체를 각각 벽체에 고정하는 것을 가정할 수 있으나,
설치 편리성을 고려하면 상하 고정체는 하나의 본체(10)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고정장치(F)의 본체(10)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스토퍼(20)는 본체(10)가 수평(특히 매립홈(W3) 외측) 방향 및 수직(특히 후방)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간이 칸막이의 종류에 따라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체(10) 형상 외에,
예를 들어 매립홈(W3)을 형성하는 충진체(W2)와 접하도록 본체를 수직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고, 이때 스토퍼는 본체가 수직(전후 양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하도록 고정장치를 변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자블록의 일부, 바람직하기로는 단자블록의 테두리 일부,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단자블록의 고정나사공을 위한 돌기를 포함하는 테두리의 일부,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단자블록의 상하 고정나사공을 위한 돌기를 포함하는 테두리의 일부를 감싸는 본체(10)를 구비한 고정장치(F)에서
상기 스토퍼(20)가 전방절곡연결부(21)를 통하여 본체(10) 전방으로 돌출된 것에 비하여,
상기 도 2 내지 도 4 및 도 1에서, 단자블록(B)의 고정나사공(B1)에 상응하는 고정공(31)을 갖는 상기 고정체(30)는 전방절곡부(33A)를 통하여 본체(10)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고정체(30)가 본체(10) 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고정체(30)를 상기 본체(10) 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하여 매립홈(W3)을 깊게 파지 않아도 단자블록의 설치에 문제가 없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도 4의 우측 원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체(30)는 설치 현장 상황에 따라
좌측 도시 형태와 같이, 본체(10)에 대하여 후방절곡부(33B)를 통하여 본체(10)와 연결되도록 하여 설치된 단자블록(B)과 벽체(W)사이에 틈새가 보이지 않고, 커버(B2)만이 노출되도록 변형되거나,
우측 도시 형태와 같이, 절곡부 없이 본체(10)와 동일 평면상에 고정체(30)가 연결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본형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F)는 설치시 벽체(W)에 본체(10)가 거의 외피(W1)에 가려지고, 전방절곡연결부(21) 두께 만큼 매립홈(W3) 개구부에 노출되는 형태일 수 있고,
또 외피(W1)는 정밀하게 따내어 전방절곡연결부(21)를 위한 홈을 외피에 형성하게 되면 본체는 완벽하게 벽체 외피에 가려지게 된다.
단자블록(B)을 고정나사공(B1)에 나사를 박아 고정하고 커버(B2)를 덮으면 커버의 영역은 매립홈(W3)의 외곽 테두리를 살짝 가리는 치수를 갖는 것이 미관상 완벽하고 깔끔하게 설치가 가능하게 한다.
수작업으로 매립홈(W3)을 형성하는 것을 고려하면 약간의 치수 차이를 완충할 수 있는 크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의 보강살(11)은 외피(W1)와 충진체(W2) 사이에 본체(10)를 박아 넣는 작업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생략하거나,
본체 중앙을 프레스 가공하여 딥플 형태로 보강살을 형성하는 대신에 본체 내측 테두리를 절곡하여 매립홈(W3)의 벽면을 이루는 수직 방향 충진체(W2) 벽과 접촉하는 형태의 보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스토퍼(20)는 본체(10)의 수평방향으로 돌출부(23)를 구비하여, 상기 돌출부(23)에서 이어진 전방절곡연결부(21)를 통하여 본체와 연결되는 형태이나,
도 2의 상부 원 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20)는 돌출부(23)를 구비하지 않고 본체(10)의 내측 단부에서 이어진 전방절곡연결부(21)를 통하여 본체와 연결되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하부 확대된 원 내 사시도 및 정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토퍼(20)는 본체(10) 내측 영역에 상부, 하부 및 좌측, 3방향 절개부(13)를 형성하고, 우측 연결부를 기준으로 절곡연결부(21)를 형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부(13)를 통한 스토퍼(20)의 형성은 재료 절감 효과와, 스토퍼(20)에 의한 단자블록(B) 장착시의 간섭(특히 커버(B2) 결합의 방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4구형 콘센트 타입 단자블록(B) 설치시 두 고정장치(F)를 이용하는 변형 구조를 제시하고 있고,
도 7에서는 하나의 고장장치(F)이나 상하 총 네 개의 고정 나사공을 위한 돌기를 갖는 단자블록(B)을 위하여 총 4개의 고정공(31)을 갖는 변형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도 7과 같은 4구형 콘센트 타입 단자블록이나 상하 총 두 개의 고정 나사공을 위한 돌기를 갖는 단자블록인 경우, 본 고안의 고정장치는 이에 맞게 상하 총 2개의 고정공을 갖는 변형 구조이면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전기 콘센트나 스위치와 같은 단자블록의 종류와 구조, 크기를 비롯하여 간이 칸막이의 종류 및 구조, 크기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고정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F: 고정장치 10: 본체
11: 보강살 13: 절개부
20: 스토퍼 21: 전방절곡연결부
23: 돌출부 25: 눈금
30: 고정체 31: 고정공
33A,33B: 절곡부 B: 단자블록
B1: 고정나사공 B2: 커버
W: 벽체 W1: 외피
W2: 충진체 W3: 매립홈

Claims (4)

  1. 단자블록의 테두리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단자블록을 위하여 벽체에 형성된 매립홈의 개구부에 상기 본체가 머물도록 하는 스토퍼;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단자블록이 고정되는 고정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돌출 연결되도록 전방절곡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방절곡연결부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눈금을 구비하고 있어
    필요에 따라 전방절곡연결부를 굽히고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단자 블록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보강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단자 블록 고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본체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전방절곡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단자 블록 고정장치.
  4. 삭제
KR2020100001459U 2010-01-21 2010-02-09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 KR2004506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459U KR200450661Y1 (ko) 2010-01-21 2010-02-09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
PCT/KR2011/000446 WO2011090347A2 (ko) 2010-01-21 2011-01-21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697 2010-01-21
KR2020100001459U KR200450661Y1 (ko) 2010-01-21 2010-02-09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661Y1 true KR200450661Y1 (ko) 2010-10-20

Family

ID=44479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459U KR200450661Y1 (ko) 2010-01-21 2010-02-09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6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12666A (ja) * 2017-06-30 2019-01-24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取付板及びその取付板を備えた平面スイッ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5134A (ja) * 2001-04-13 2002-10-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器具用プレート
KR200444499Y1 (ko) * 2006-11-24 2009-05-15 하준근 전기 배선기기용 고정구
KR20090130742A (ko) * 2008-06-16 2009-12-24 김영출 벽체 매립형 콘센트 고정브라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5134A (ja) * 2001-04-13 2002-10-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器具用プレート
KR200444499Y1 (ko) * 2006-11-24 2009-05-15 하준근 전기 배선기기용 고정구
KR20090130742A (ko) * 2008-06-16 2009-12-24 김영출 벽체 매립형 콘센트 고정브라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12666A (ja) * 2017-06-30 2019-01-24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取付板及びその取付板を備えた平面スイッ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7875B2 (en) Pull out extension contained in electrical box
KR100761047B1 (ko) 공동주택 천정 전기 케이블 설치구조
KR200460713Y1 (ko)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
US9787073B1 (en) ICF electrical box
KR100655881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구조
KR200450661Y1 (ko)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
RU2264013C2 (ru) Закрывающий торцевой наконечник для монтажного короба, содержащего электрические провода или кабели
KR200255166Y1 (ko) 벽면 매설용 콘센트 박스
JP2010259183A (ja) ダクトハウジング接続構造
KR200387576Y1 (ko) 단자함
JP4603057B2 (ja) 配線用ボックス装置
KR100974101B1 (ko)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설치용 콘센트 박스
KR100715952B1 (ko) 단자함
KR200383206Y1 (ko) 슬라이딩커버를 갖는 매입형 전선함
KR200401107Y1 (ko) 건물 천정용 단자함 고정구
KR200436059Y1 (ko) 매입형 아웃렛 박스
KR200403478Y1 (ko) 아우트렛박스 고정용 철근
KR101110760B1 (ko) 벽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전선 보호덕트
KR200400644Y1 (ko) 배선용 바닥재 구조체
KR200318130Y1 (ko) 배선용 접속함
KR200169453Y1 (ko) 전선 배관용 덕트
US8563857B2 (en) Old construction box
CN110892123A (zh) 一种将踢脚线系统安装于墙板上的施工方法
CN210039802U (zh) 一种电机保护器绝缘套
WO2011090347A2 (ko)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