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499Y1 - 전기 배선기기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전기 배선기기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499Y1
KR200444499Y1 KR2020060030368U KR20060030368U KR200444499Y1 KR 200444499 Y1 KR200444499 Y1 KR 200444499Y1 KR 2020060030368 U KR2020060030368 U KR 2020060030368U KR 20060030368 U KR20060030368 U KR 20060030368U KR 200444499 Y1 KR200444499 Y1 KR 2004444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ing plate
wall
guide rods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03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1410U (ko
Inventor
하준근
Original Assignee
하준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준근 filed Critical 하준근
Priority to KR20200600303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499Y1/ko
Publication of KR200800014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4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4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4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5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for wall or panel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a plate, spring, wire or ring immovable with regard to the bolt or object and main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bo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 배선기기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 배선기기의 단자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부가 형성된 프레임과, 프레임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벽면에 밀착되는 날개부 및 프레임의 상ㆍ하부에 두개가 한조로 끼워지는 가이드봉들과, 한조의 가이드봉에 대해 직선왕복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한조의 가이드봉을 따라 직선왕복 및 상ㆍ하 이동 가능토록 가이드봉에 관통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로 구성된 고정구를 구비함으로써, 가이드봉에 대한 고정플레이트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음은 물론 벽면에 밀착되는 프레임을 관통한 후 고정플레이트의 너트에 결합되는 볼트를 조임으로써 벽면의 내부공간에 관계없이 벽면의 안쪽면에 고정플레이트를 밀착시킬 수 있어 밀착성이 증대되고, 특히 볼트, 고정나사등의 고정부재가 조여지는 배선기기와 고정플레이트의 나사구멍을 일치시킬 수 있어 벽면에 배선기기를 견고하고 간편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배선기기, 프레임, 고정플레이트, 전기배선, 가이드봉

Description

전기 배선기기용 고정구{Fixed for electric power lin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 배선기기용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배선기기용 고정구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배선기기용 고정구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배선기기용 고정구를 벽면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고정구를 확대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 배선기기용 고정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프레임 12 : 날개부
14 : 끼움홈 20,20': 가이드봉
22 : 고정플레이트 22a : 수직장공
24 : 미끄럼방지돌기 26 : 너트
30 : 볼트
본 고안은 각종 전기 배선기기를 실내벽면 또는 칸막이벽에 대해 간편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는 전기 배선기기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면 내부에 고정구를 유동없이 장착시켜 벽면에 대해 고정 설치되는 배선기기의 탈락(脫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기 배선기기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 플러그 및 스위치 등의 배선기기는 벽면에 매설된 배선용 커넥터에 볼트 또는 나사 등을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 설치하지만, 커넥터의 크기 및 모양이 변형되어 배선기기의 고정작업이 어려울 뿐 아니라, 특히 석고보드 또는 합판 등 비교적 강성이 약한 재질로 제작된 조립 칸막이일 경우에는 고정부재의 조임력이 약해 조그만 외부 충격에서도 배선기기가 쉽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실용신안등록 제0151944호(고안의 명칭 : 배선기구용 지지대)가 개시되었다. 상기의 배선기구용 지지대는 날개부 및 고정홈이 형성된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는 본체와, 고정홈에 회전되도록 끼워지는 고정판이 주요부분으로 구성되어, 본체를 벽면에 형성된 홈으로 삽입한 다음 고정홈에 끼워진 고정판을 회전시켜 벽면 안쪽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배선기구를 고정나사로 고정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고정판을 회전시켜 벽면의 안쪽면에 밀착시켰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움은 물론 고정판이 회전할 수 있는 회전반경 즉, 고정판의 회전시 간섭을 받지 않는 벽면의 내부공간이 필요하며, 고정판의 크기를 가변이 불가능하여 벽면에 대한 고정판의 밀착성이 저하되므로 배선기구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실내벽면 또는 칸막이벽에 형성된 홈은 본체와 동일한 모양 및 크기로 시공되지 않아 통상적으로 합성수지재인 본체의 형상을 찌그러뜨리거나 변형하여 홈으로 삽입시켰기 때문에 고정 홈에 끼워진 고정판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없고, 더더욱 고정판과 배선기구에 형성된 나사구멍을 일치시킬 수 없어 벽면에 대해 배선기구를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 배선기기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벽면에 형성된 홈(2a)에 밀착되는 프레임(10)과 프레임의 후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벽면에 형성된 홈 내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봉(20)에 관통되어 홈 내부에서 가이드봉을 따라 직선왕복 및 상ㆍ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고정플레이트로 구성됨으로써, 고정플레이트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음은 물론 벽면에 형성된 홈의 내부공간에 관계없이 홈의 안쪽면에 대해 고정플레이트를 밀착시킬 수 있어 밀착성이 증대되고, 특히 볼트, 고정나사등의 고정부재가 조여지는 배선기기와 고정플레이트의 나사구멍을 쉽게 일치시킬 수 있어 벽면에 배선기기를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는 전기 배선기기용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실내벽면 및 칸막이벽에 장착되어 각종 전기 배선기기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고정구에 있어서, 전기 배선기기의 단자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부(10a)를 갖는 프레임(10)과, 프레임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홈(2a)의 가장자리 벽면에 밀착되는 날개부(12) 및 프레임의 상ㆍ하부에 두개가 한조로 끼워지는 가이드봉(20)들과, 한조의 가이드봉에 관통된 상태에서 직선왕복 및 상ㆍ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한조의 가이드봉에 대해 각각 장착되는 고정플레이트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전기 배선기기용 고정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따른 전기 배선기기용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배선기기용 고정구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배선기기용 고정구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전기 배선기기용 고정구는 실내벽면(2) 또는 칸막이벽에 형성된 벽면에 형성된 홈(2a)으로 끼워지며, 전기 배선기기의 단자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부(10a)를 갖는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의 후면측 상ㆍ하부에 두개가 한조로 각각 끼워지는 가이드봉(20)(20')들과, 가이드봉(20)(20')을 따라 직선왕복 및 상ㆍ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토록 한조의 가이드봉(20)에 각각 장착되는 고정플레이트(22)들로 구성된다.
프레임(10) 양측면에는 벽면의 바깥쪽면과 밀착하는 날개부(12)가 일체로 성형되고, 후면측에는 가이드봉(20)(20')들이 끼워지는 끼움홈(14)이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공간부(10a)의 상,하단에는 볼트(30)가 관통하는 관통공(16)이 형성된다.
고정플레이트(22)에는 한조의 가이드봉(20)이 각각 삽입되는 수직장공(22a) 이 형성되고, 수직장공(22a) 일측에는 벽면의 안쪽면에 대해 고정플레이트(22)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돌기(24)가 돌출되어 있으며, 수직장공(22a) 사이에는 볼트(30)와 조여지는 너트(26)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여기에서 수직장공(22a)은 한조의 가이드봉(20)이 서로 이격된 거리와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며, 너트(26)는 프레임(10)을 벽면에 시공할 때 프레임(10)에 형성된 관통공(16)의 중심과 일치되는 위치에 성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전기 배선기기용 고정구의 작용효과를 도 4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프레임(10)의 후면측 상ㆍ하부에 각각 형성된 끼움홈(14)으로 한조의 가이드봉(20)(20') 일단을 끼워 고정시킨 후 수직장공(22a)으로 한조의 가이드봉(20)을 삽입하여 프레임(10)에 대해 고정플레이트(22)의 장착을 완료한다. 이때, 고정플레이트(22)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2)에 형성된 홈(2a)으로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프레임(10)의 내측방향으로 각각 민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프레임(10)을 벽면(2)에 형성된 홈(2a)으로 삽입한 다음 한조의 가이드봉(20)(20')들에 장착된 고정플레이트(22)를 도 5a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밀고, 홈의 안쪽면과 미끄럼방지돌기(24)가 맞닿음 될 때까지 고정플레이트(22)를 직선이동시키면, 고정플레이트(22)는 수직장공(22a)으로 삽입된 한조의 가이드봉(20)(20')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프레임(10)에 형성된 관통공(16)과 고정플레이트(22)에 성형된 너트(26)의 중심이 일치된다.
그 후, 프레임(10) 전면에 배선기기의 커버(4)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볼트(30)를 배선기기의 커버(4)와 프레임(10)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4a)(16)으로 통과시킨 다음 볼트(30)를 너트(26)에 조여 배선기기의 고정 설치를 완료한다.
이때, 프레임(10)은 너트(26)에 조여지는 볼트(30)의 조임력에 의해서 벽면의 바깥 및 안쪽면에서 날개부(12)와 고정플레이트(22)의 미끄럼방지돌기(24)가 각각 밀착되므로 프레임(10)을 유동없이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벽면(2)에 형성된 홈(2a)의 크기와 모양이 프레임과 약간의 차이가 있을 경우에는, 합성수지재로 된 프레임(10)을 전술한 바와 같이 홈(2a)으로 삽입하고, 한조의 고정된 가이드봉(20)에 각각 관통된 상태의 고정플레이트(22)를 상ㆍ하 방향으로 움직여 고정플레이트(22)의 너트(26)와 프레임(10)의 관통공(4a)(16)을 일치시킨 다음 볼트(30)를 사용하여 배선기기를 고정시킨다.
따라서, 실내벽면 또는 칸막이벽의 시공시 벽면(2)에 형성된 홈(2a)의 크기 및 모양이 변경되어도 배선기기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 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배선기기용 고정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하나의 프레임(10)에 적어도 두개 이상의 고정플레이트(22)가 근접되게 장착되며, 프레임(10)의 상,하부 테두리는 내측방향으로 일정거리 함몰되어 스위치 및 정형화된 전원콘센트 등의 배선기기를 연속적으로 위치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전기 배선기기용 고정구에 의하면, 전기 배선기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프레임과, 프레임에 결합되는 가이드봉을 따라 직선왕복 및 상ㆍ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고정플레이트를 구성함으로써, 벽면에 형성된 홈 내부에에서의 고정플레이트 위치를 가변할 수 있음은 물론 벽면의 홈의 내부공의 크기에 관계없이 벽면의 안쪽면에 대해 고정플레이트를 밀착시킬 수 있어 밀착성이 증대되고, 특히 볼트, 고정나사등의 고정부재가 조여지는 배선기기와 고정플레이트의 나사구멍을 일치시킬 수 있어 벽면에 배선기기를 견고하고 간편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다.

Claims (3)

  1. 실내벽면(2) 및 칸막이벽에 장착되어 각종 전기 배선기기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전기 배선기기의 단자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부를 갖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 양측면에 형성되어 홈(2a)의 가장자리 벽면에 밀착되는 날개부(12) 및 상기 프레임의 상ㆍ하부에 두개가 한조로 끼워지는 가이드봉(20,20′)들과,
    상기 한조의 가이드봉에 관통된 상태에서 직선왕복 및 상ㆍ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한조의 가이드봉에 각각 장착되는 고정플레이트(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기기용 고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은 벽면에 대해 배선기기를 연속적으로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하나의 프레임(10)에 적어도 두개 이상의 고정플레이트(22)가 근접되게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ㆍ하부 테두리는 정형화된 전원콘센트 등의 배선기기를 삽입할 수 있도록 내측방향으로 일정거리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기기용 고정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22)에는 한조의 가이드봉(20,20′)이 각각 삽입되는 수직장공(22a)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장공 일측에는 벽면의 안쪽면에 대해 고정플레이트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돌기(24)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장공 사이에는 볼트(30)와 조여지는 너트(26)가 일체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기기용 고정구.
KR2020060030368U 2006-11-24 2006-11-24 전기 배선기기용 고정구 KR2004444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368U KR200444499Y1 (ko) 2006-11-24 2006-11-24 전기 배선기기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368U KR200444499Y1 (ko) 2006-11-24 2006-11-24 전기 배선기기용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410U KR20080001410U (ko) 2008-05-28
KR200444499Y1 true KR200444499Y1 (ko) 2009-05-15

Family

ID=41324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0368U KR200444499Y1 (ko) 2006-11-24 2006-11-24 전기 배선기기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49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61Y1 (ko) * 2010-01-21 2010-10-20 권점희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
KR20190116603A (ko) 2018-04-04 2019-10-15 박용래 사용이 편리한 배선기구용 지지대
KR20230156201A (ko) 2022-05-04 2023-11-14 (주) 진성화학 배선기구용 고정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61Y1 (ko) * 2010-01-21 2010-10-20 권점희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
KR20190116603A (ko) 2018-04-04 2019-10-15 박용래 사용이 편리한 배선기구용 지지대
KR20230156201A (ko) 2022-05-04 2023-11-14 (주) 진성화학 배선기구용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410U (ko) 200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0651B2 (en) Wiring device and cover plate snap-on assembly
US9287653B2 (en) Casing for electric connector coupled to a cable
KR101884644B1 (ko) 연결 커넥터를 구비한 조명레일 시스템
KR101842090B1 (ko)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전기배선기구
KR200444499Y1 (ko) 전기 배선기기용 고정구
US20190109445A1 (en) Mounting Mechanism for an Electrical Device
KR20060073509A (ko) 기기 장치 기부의 설치 지점을 표지하는 멀티스테이션전기기기용 소켓
US20090272572A1 (en) Mounting plate and cover assembly for electrical devices
KR102155536B1 (ko) 제1, 제2 부착 수단을 가지며, 제어 캐비닛에 설치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180072094A (ko) 케이블 배관부를 구비한 조명레일 시스템
CN107560292B (zh) 一种冰箱旋钮及其固定结构
KR200151944Y1 (ko) 배선기구용 지지대
CN107770994B (zh) 一种缆线固定结构及具有其的电器设备
EP3059822A1 (en) Electrical installation box assembly
CN211126098U (zh) 接线端子进线结构
JP5103271B2 (ja) 被取付物を取付用レールに取り付けるための取付金具
AU2010241518A1 (en) Mounting assembly and bracket for an electrical power outlet or alike
CN210129652U (zh) 一种面板组装结构
JP2003534644A (ja) 電気的な組込部材および/または電子的な組込部材を受容するためのケーシング
KR200486056Y1 (ko) 와이어하네스용 가변지그
RU2007146686A (ru) Корпус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щита
US9018555B2 (en) Security cover plate for light switch
KR20190011949A (ko) 조명레일 시스템의 전원 연결장치
AU2008202392B8 (en) Mounting panel
CN219371341U (zh) 耦合调节机构、耦合装置及通信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