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2090B1 -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전기배선기구 - Google Patents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전기배선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2090B1
KR101842090B1 KR1020160048290A KR20160048290A KR101842090B1 KR 101842090 B1 KR101842090 B1 KR 101842090B1 KR 1020160048290 A KR1020160048290 A KR 1020160048290A KR 20160048290 A KR20160048290 A KR 20160048290A KR 101842090 B1 KR101842090 B1 KR 101842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screw
plate
support
fastening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9949A (ko
Inventor
한창희
Original Assignee
두원소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원소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원소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8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090B1/ko
Publication of KR20170119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02G5/08Connection box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8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one or more screws

Landscapes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배선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대를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조임 나사와 배선 플레이트를 지지대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나사가 이중 나사 체결 구조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조임 나사를 이용해 지지대를 벽체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지지대의 중심 관통부를 통해 고정판이 배선기구 설치공 주변의 내벽면을 가압하는 정도를 보면서 조여 고정하도록 하여, 조임 나사가 너무 헐겁게 조여져 고정판을 통해 견고하게 지지되지 못하게 되거나 또는 필요 이상으로 조여져 고정판에 의해 벽체 일부가 파손되거나 또는 고정판이 변형되며 벽체면과 나란하지 못하고 비스듬하게 조여져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전기배선기구{Electric Trace Tool with Joining Structure Tightening by Double Screw}
본 발명은 배선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실내 벽면의 칸막이 공사시 배선기구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이중 나사 체결 방식으로 벽체 내에 좀더 쉽고 견고하게 매립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전기배선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배선용 커넥터나 스위치 등과 같은 배선기구는 외부로 돌출되거나 벽면에 매몰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도록 제작되기 때문에, 칸막이벽 공사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외관이 보기가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의 고정 작업이 힘들고 불편한 단점이 있었으며, 또한 칸막이벽에 설치하더라도 외부로 많이 돌출되어서 보기가 좋지 않으며 쉽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배선기구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볼트나 나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을 해야 되지만 내부 인테리어 공사시 칸막이벽에 사용되고 있는 제품은 주로 석고보드를 사용하거나 합판을 대용으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와 같은 제품들은 커넥터나 스위치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못질을 하거나 나사로 고정했을 때 쉽게 탈락되며, 칸막이벽 자체로는 견고히 고정되지 않아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벽면의 뒤쪽 여유공간에 다른 재료를 덧붙여서 고정하여야 했었다.
실제로 칸막이벽의 시공후 스위치나 커넥터 등을 이에 부착하는 관계로 벽면 뒤쪽 여유공간부에 다른 재료를 덧붙이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일단 탈락된 배선기구는 그대로 방치됨으로써 전기단락의 원인이 되어 화재의 위험성을 야기시키거나, 손상된 벽면이 그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고 배선기구 사용시 불편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51944호의 배선기구용 지지대의 경우 상기한 문제점들 해결하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플레이트에 의해 고정판이 가려지므로 설치 과정에서 고정 나사가 얼마큼 들어 갔는지를 확인할 수 없고, 그 결과 고정 나사가 너무 헐겁게 조여져 견고하게 지지되지 못하게 되거나 또는 필요 이상으로 조여져 고정판에 의해 벽체 일부가 파손되거나 또는 고정판이 변형되며 벽체면과 나란하지 못하고 비스듬하게 조여져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을 갖는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51944호(등록일자 1999년04월21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7935호(공개일자 2013년01월21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0969호(등록일자 2002년09월18일)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벽면의 칸막이 공사시 배선기구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이중 나사 체결 방식으로 벽체 내에 좀더 쉽고 견고하게 매립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전기배선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배선기구는, 중심부가 관통 형성되는 중공 틀의 내측으로 한 쌍 이상의 지지 다리가 연장 형성되고, 벽체에 형성된 배선기구 설치공 주위에 걸쳐져 삽입되게 중공 틀 외측 자장자리를 따라 걸림 날개가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 다리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양측 가이드 돌기부가 끼워져 설치되는 고정판; 상기 지지대를 통해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며 나사 결합되어, 상기 고정판을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고정판이 상기 배선기구 설치공 주변의 내벽면을 가압하며 상기 지지대를 고정하는 조임 나사; 상기 배선기구가 중심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가장자리부가 상기 배선기구 설치공 주변의 외벽면에 걸쳐지게 상기 지지대 외측에 덮는 배선 플레이트; 및 상기 배선 플레이트에 형성된 플레이트 체결공을 통해 상기 조임 나사 내부에 형성된 체결 나사 체결공 내에 끼워져 나사 체결되며, 상기 배선 플레이트를 상기 지지대에 체결 고정하는 체결 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는 중공 틀 내측으로 조임 나사 머리부가 걸린 상태로 조임 나사 몸통부가 관통하도록 나사 관통공이 구비된 체결 돌기들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임 나사는 상기 조임 나사 머리부에 상기 체결 나사 체결공 주위로 공구 삽입홈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 나사는 상기 조임 나사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선이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선기구는 콘센트 또는 스위치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전기배선기구에 따르면, 지지대를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조임 나사와 배선 플레이트를 지지대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나사가 이중 나사 체결 구조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조임 나사를 이용해 지지대를 벽체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지지대의 중심 관통부를 통해 고정판이 배선기구 설치공 주변의 내벽면을 가압하는 정도를 보면서 조여 고정하도록 하여, 조임 나사가 너무 헐겁게 조여져 고정판을 통해 견고하게 지지되지 못하게 되거나 또는 필요 이상으로 조여져 고정판에 의해 벽체 일부가 파손되거나 또는 고정판이 변형되며 벽체면과 나란하지 못하고 비스듬하게 조여져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전기배선기구에 대한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전기배선기구에 대한 분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전기배선기구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이중 체결 나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의 (a) 내지 (f)는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전기배선기구를 체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의 (a) 내지 (c)은 지지대 체결 과정에서 고정판의 회전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전기배선기구에 대한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전기배선기구에 대한 분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전기배선기구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이중 체결 나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전기배선기구(1; 이하, 전기배선기구라 한다.)는 지지대(10), 고정판(20), 조임 나사(30), 배선 플레이트(40), 체결 나사(50) 및 커버(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대(10)는 전기배선기구(1)가 칸막이 벽체(100)에 형성된 배선기구 설치공(미도시) 내부에 매립 설치될 수 있게 지지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지지대(10)는 중심부가 관통 형성되는 중공 사각 틀의 내측으로 두 쌍의 지지 다리가 연장 형성되고, 벽체(100)에 형성된 배선기구 설치공 주위에 걸쳐져 삽입되게 중공 틀 외측 자장자리를 따라 걸림 날개(1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0)의 중공 사각 틀 내측으로 나사 체결 돌기(13)들이 돌출 형성되고, 나사 체결 돌기(13)들의 중심부에는 조임 나사(30)의 조임 나사 머리부(31)가 걸린 상태로 조임 나사 몸통부(32)가 관통하도록 걸림턱을 형성하며 나사 관통공(14)이 형성된다.
고정판(20)은 상기 지지대(10)의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 다리(11)들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1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양측 가이드 돌기(21)들이 끼워져 설치되고, 두 가이드 돌기(21)들 사이의 폭 방향 중심부에는 나사 관통공(14)을 관통한 조임 나사 몸체부(32)가 통과하며 나사 결합되게 나사 체결공(22)이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판(20)은 상기 지지대(10)의 가이드 홈(20)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판(20)의 양측 가이드 돌기(21)의 양측 단부 모서리를 라운드지게 형성하여 가이드 돌기(21)가 가이드 홈(12)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판(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10)의 지지 다리(11) 쪽을 벽체에 형성된 배선기구 설치공 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고정판에 의해 간섭 받지 않게 안쪽으로 회전시켜 접을 넣을 수 있고, 이 후 조임 나사(30)를 조여 상기 고정판(20)을 통해 상기 지지대(1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밖으로 회전시켜 펼칠 수 있다(도 6 참조).
그리고, 조임 나사(30)는 상기 지지대(10)를 통해 상기 고정판(20)을 관통하며 나사 결합되어, 상기 고정판(20)을 상기 가이드 홈(12)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고정판(20)이 벽체(100)의 상기 배선기구 설치공 주변의 내벽면을 가압한 상태로 상기 지지대(10)를 잡아 고정하도록 한다.
여기서, 조임 나사(30)는 조임 나사 머리부(31)로부터 조임 나사 나사산(33)이 형성된 조임 나사 몸체부(32)가 연장 형성되고, 조임 나사 머리부(31)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깊이로 내부에 체결 나사 체결공(34)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조임 나사 머리부(31)에서 상기 체결 나사 체결공(34) 주위로 공구 삽입홈(35)이 형성된다.
따라서, 조임 나사(30)는 조임 나사 머리부(31)가 지지대(10)의 나사 관통공(14)에 내에 걸려 고정된 상태로 조임 나사 몸체부(32)가 조정판(20)의 나사 관통공(22)을 통과하며 나사 결합되어, 공구(미도시)를 통한 조임 나사(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고정판(20)이 지지 다리(11)의 가이드 홈(12)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배선기구 설치공 주변의 벽체 내벽면과 면접촉한 상태로 가압하며 상기 지지대(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배선 플레이트(40)는 상기 배선기구(41)가 중심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가장자리부가 상기 벽체(100)의 배선기구 설치공 주변의 외벽면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지지대(10) 외측에 덮도록 판형 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배선기구(41)는 전원 스위치인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러그(미도시)를 꽃아 연결하기 위한 전원 콘센트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의 배선기구가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체결 나사(50)는 상기 배선 플레이트(40)에 형성된 플레이트 체결공(42)을 통해 상기 조임 나사(30) 내부에 형성된 체결 나사 체결공(34) 내에 끼워져 나사 체결되어 상기 배선 플레이트(40)를 상기 지지대(10)에 체결 고정하도록 한다.
여기서, 체결 나사(50)는 상기 배선 플레이트(40)의 플레이트 체결공(42) 내에 걸려 고정되는 체결 나사 머리부(51)로부터 조임 나사(30)의 상기 체결 나사 체결공(34) 내에 나사 체결되도록 체결 나사 나사선(53)이 형성된 체결 나사 몸통부(52)가 연장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체결 나사 머리부(51)에는 체결 나사 공구 삽입홈(54)이 형성된다.
특히, 체결 나사(50)의 체결 나사 나사선(53)은 조임 나사(30)의 조임 나사 나사선(33)과 반대 방향으로 나선 형태를 이루며 감겨지도록 하여, 체결 나사(50)를 통해 배선 플레이트(40)를 지지대(10) 상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조임 나사(30)가 연동하며 필요 이상으로 조여져 고정판(20)에 의해 벽체(100) 일부가 파손되거나 또는 고정판(20)이 변형되어 지지대(10)의 지지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커버(30)는 배선 플레이트(40)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배선기구(4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중심부에 배선기구 통공(61)이 관통 형성되고, 내측에는 배선 플레이트(40)에 형성된 커버 체결홈(43)들에 대응되게 커버 체결 돌기(62)들이 형성되어, 지지대(10)에 체결 고정된 배선 플레이트(40) 외측을 덮어 보호하고 미관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본 실시예의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전기배선기구(1)의 벽체의 배선기구 설치홈 내에 체결하는 과정을 도 5의 (a) 내지 (e)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의 (a) 내지 (f)는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전기배선기구를 체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6의 (a) 내지 (c)은 지지대 체결 과정에서 고정판의 회전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먼저, 도 5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판(20)의 양측 가이드 돌기(21)가 지지 다리(11)들의 가이드 홈(12)에 끼워진 상태로 지지대(10)의 지지 다리(11)쪽을 벽체(100)에 형성된 배선기구 설치공 내에 삽입한 후, 걸림 날개(15)들이 벽체(100)의 배선기구 설치공 주변의 외벽면에 걸리도록 밀어 넣는다.
이때, 고정판(20)은, 도 6의 (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0)의 지지 다리(11) 쪽을 벽체(100)에 형성된 배선기구 설치공 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지지 다리(11) 안쪽으로 회전시켜 접어 고정판에 의해 삽입 과정이 간섭 받지 않도록 하고, 지지대가 벽체(100)의 배선기구 설치공 내에 삽입된 후에는 지지 다리(11) 밖으로 펼쳐 조임 나사(30)로 통해 상기 지지대(1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구를 이용해 조임 나사(30)를 시계 방향으로 돌려 고정판(20)을 지지 다리(11)들의 가이드 홈(12)을 따라 이동시켜 고정판이(20)이 벽체(100)의 상기 배선기구 설치공 주변의 내벽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압착시켜 상기 지지대(10)를 고정한다.
이때, 조임 나사(30)를 통해 고정판(20)을 조여 지지대(10)를 벽체(10)에 우선 고정하는 과정에서 지지대(10)의 개방된 중공 틀을 내부를 통해 조임 나사(30)의 조임 정도를 작업자가 눈으로 직접 확인해가며 조임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임 나사(30)가 너무 헐겁게 조여져 고정판(20)을 통해 견고하게 지지되지 못하게 되거나 또는 필요 이상으로 조여져 고정판(20)에 의해 벽체(100)의 배선기구 설치공 주변 일부가 파손되거나 또는 고정판(20)이 변형되며 벽체 내측면과 면접촉하지 못하고 비스듬하게 선 또는 점 접촉 한 상태로 조여져 지지대(10)를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들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5의 (d) 및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지지대(10) 고정 작업이 완료되면 지지대(10)의 중공 틀 내부로 내측 중심으로 돌출 형성된 배선기구(41)가 삽입되게 배선 플레이트(40)를 지지대(10)의 외측 노출면을 덮도록 한 후, 플레이트 체결공(42) 통해 조임 나사(30)의 체결 나사 체결공(34) 내에 체결 나사(50)를 끼운 후 왼쪽으로 돌려 조임 나사(30) 내에 나사 결합되며 배선 플레이트(40)를 조여 고정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 나사(50)의 체결 나사 나사선(53) 조임 방향과 조임 나사(30)의 조임 나사 나사선(33) 조임 방향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체결 나사(50)를 통해 배선 플레이트(40)를 지지대(10) 상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조임 나사(30)가 연동하며 필요 이상으로 조여져 고정판(20)에 의해 벽체 일부가 파손되거나 또는 고정판(20)이 변형되어 지지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조임 나사(30)에 이중 체결되는 체결 나사(50)에 의해 지지대(10) 상에 체결된 배선 플레이트(40)의 가장자리가 상기 벽체(100)의 배선기구 설치공 주변의 외벽면에 덮이며 가압 고정되게 때문에 고정판과 협력하여 전기배선기구(10)의 벽체 지지력을 좀더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5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배선 플레이트(40)의 체결 작업이 완료되면, 커버(60)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 커버 체결 돌기(62)들을 배선 플레이트(40)에 형성된 커버 체결홈(43)들에 맞춰 끼워 커버(60)가 배선 플레이트(40) 외측을 덮으며 고정되도록 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전기배선기구(1)는 지지대(10)를 벽체(100)에 고정하기 위한 조임 나사(30)와 배선 플레이트(40)를 지지대(10)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나사(50)가 이중 나사 체결 구조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조임 나사(30)를 이용해 지지대(10)를 벽체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지지대(10)의 중심 관통부를 통해 고정판(20)이 벽체(100)의 배선기구 설치공 주변의 내벽면을 가압하는 정도를 보면서 조여 고정하도록 하여, 실내 벽면의 칸막이 공사시 전기배선기구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벽체 내에 좀더 쉽고 견고하게 매립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전기배선기구 10: 지지대
11: 지지 다리 12: 가이드 홈
13: 나사 체결 돌기 14: 나사 관통공
15: 걸림 날개 20: 고정판
21: 가이드 돌기 22: 나사 체결공
30: 조임 나사 31: 조임 나사 머리부
32: 조임 나사 몸통부 33: 조임 나사 나사산
34: 체결 나사 체결공 35: 조임 나사 공구 삽입홈
40: 배선 플레이트 41: 배선기구
42: 플레이트 체결공 43: 커버 체결홈
50: 체결 나사 51: 체결 나사 머리부
52: 체결 나사 몸통부 53: 체결 나사 나사산
54: 체결 나사 공구 삽입홈 60: 커버
61: 배선기구 통공 62: 커버 체결돌기

Claims (6)

  1. 중심부가 관통 형성되는 중공 틀에 한 쌍 이상의 지지 다리가 연장 형성되고, 중공 틀 자장자리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 날개가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 다리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양측 가이드 돌기부가 끼워져 설치되는 고정판;
    상기 지지대를 통해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며 나사 결합되어, 상기 고정판을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시키는 조임 나사;
    배선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를 덮는 배선 플레이트; 및
    상기 배선 플레이트에 형성된 플레이트 체결공을 통해 상기 조임 나사 내부에 형성된 체결 나사 체결공 내에 끼워져 나사 체결되며, 상기 배선 플레이트를 상기 지지대에 체결 고정하는 체결 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에는 조임 나사 머리부가 걸린 상태로 조임 나사 몸통부가 관통하도록 나사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조임 나사는 상기 조임 나사 머리부에 상기 체결 나사 체결공 주위로 공구 삽입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나사는 상기 조임 나사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선이 형성되는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전기배선기구.
  2. 제1항에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나사 관통공이 형성된 체결 돌기들이 상기 지지대의 중공 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전기배선기구.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배선기구는,
    콘센트 또는 스위치인 것을 포함하는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전기배선기구.
  6. 제1항에서,
    상기 고정판의 양측 가이드 돌기부는 가이드 홈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체결되는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전기배선기구.
KR1020160048290A 2016-04-20 2016-04-20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전기배선기구 KR101842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290A KR101842090B1 (ko) 2016-04-20 2016-04-20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전기배선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290A KR101842090B1 (ko) 2016-04-20 2016-04-20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전기배선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949A KR20170119949A (ko) 2017-10-30
KR101842090B1 true KR101842090B1 (ko) 2018-03-26

Family

ID=60300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290A KR101842090B1 (ko) 2016-04-20 2016-04-20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전기배선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0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297B1 (ko) * 2022-04-07 2023-06-22 정제실 나사 체결용 커넥터
KR20230115257A (ko) 2022-01-26 2023-08-02 임예찬 배선기구 고정장치
KR20240050570A (ko) 2022-10-12 2024-04-19 신휘관 건축용 내장패널 타공 가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6603A (ko) 2018-04-04 2019-10-15 박용래 사용이 편리한 배선기구용 지지대
KR20230156201A (ko) 2022-05-04 2023-11-14 (주) 진성화학 배선기구용 고정구
KR102559393B1 (ko) * 2023-02-27 2023-07-26 한지범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520Y1 (ko) * 2006-11-10 2007-01-30 김원기 트레이 클램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520Y1 (ko) * 2006-11-10 2007-01-30 김원기 트레이 클램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5257A (ko) 2022-01-26 2023-08-02 임예찬 배선기구 고정장치
KR20240000417A (ko) 2022-01-26 2024-01-02 임예찬 배선기구 고정장치
KR102547297B1 (ko) * 2022-04-07 2023-06-22 정제실 나사 체결용 커넥터
KR20240050570A (ko) 2022-10-12 2024-04-19 신휘관 건축용 내장패널 타공 가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949A (ko) 2017-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2090B1 (ko)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전기배선기구
US8013243B2 (en) Add-a-depth ring and cover plate assembly
CA2843975C (en) Electrical box extension assembly
CA2577641C (en) Mounting bracket for an electrical device
US10263403B2 (en) Adjustable mud ring assembly
US20180013277A1 (en) Adjustable mud ring assemblies
US20190109445A1 (en) Mounting Mechanism for an Electrical Device
KR20170060646A (ko) 가구용 콘센트
JP2015032832A (ja) ハウジング壁へ取付けるグロメット
KR101219019B1 (ko) 방수용 플러그와 콘센트 구조체
KR20160023436A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20190116603A (ko) 사용이 편리한 배선기구용 지지대
KR101538641B1 (ko) 케이블 연결용 커넥터
KR200444499Y1 (ko) 전기 배선기기용 고정구
JP6246108B2 (ja) コンセントホルダ
JP4429582B2 (ja) 配線用ボックス
JP2010027421A (ja) 配線装置及び配線ダクトシステム
KR20240000417A (ko) 배선기구 고정장치
KR20230156201A (ko) 배선기구용 고정구
JP2024063427A (ja) 配線器具用取付枠
JP6426055B2 (ja) 器具固定具
JPH06141439A (ja) 配線器具プレート枠の構造
KR200422695Y1 (ko) 스터드볼트용 고정 클립
KR200267268Y1 (ko) 전기매트용 접속기
KR20130007953A (ko) 배선기구 고정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