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5257A - 배선기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배선기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5257A
KR20230115257A KR1020230009588A KR20230009588A KR20230115257A KR 20230115257 A KR20230115257 A KR 20230115257A KR 1020230009588 A KR1020230009588 A KR 1020230009588A KR 20230009588 A KR20230009588 A KR 20230009588A KR 20230115257 A KR20230115257 A KR 20230115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ell
square frame
frame body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9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예찬
Original Assignee
임예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예찬 filed Critical 임예찬
Publication of KR20230115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5257A/ko
Priority to KR1020230183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4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3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th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Cooker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칸막이 벽체 부착판에 형성된 사각홀에 배선기구를 두 개의 볼트의 조임만으로 간단히 고정할 수 있는 배선기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칸막이 칸막이 벽체 부착판에 형성된 사각홀에 관통 고정되어 배선기구 매립홈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칸막이 벽체 부착판의 사각홀 둘레 주위의 전방에 밀착되는 사각틀을 포함하고, 사각틀의 후방 둘레의 내측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둘레판이 형성된 사각틀 몸체와; 상기 사각틀 몸체의 둘레 내측의 상부 일측과 하부 타측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각각에는 종방향의 종형홀이 형성되며, 각 종형홀에서 사각틀 몸체 외측의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게 종형 가이드홀이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돌출부와; 각 상기 종형홀에 나사축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는 볼트와; 각 상기 볼트의 나사축에 일 단부가 관통 체결되고, 상기 볼트의 풀림방향의 회전을 통해 후퇴되어 나사축의 후방에 수평으로 눕혀지게 회전되고, 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의 조임방향의 회전을 통해 사각틀 몸체의 외측의 방향으로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종형 가이드홀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사각홀 둘레 주위의 칸막이 벽체 부착판의 후면에 밀착되는 이동 고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선기구 고정장치{Wiring appliance fixing device}
본 발명은 배선기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벽체 칸막이 공사시에 벽체 부착판에 형성된 사각홀에 전기 배선기구를 두 개의 볼트 조임만으로 간단히 고정할 수 있는 배선기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 스위치, 접속기는 건축물의 옥내 배선에서 전기 기구와 접속하거나 전기 공급을 차단하는데 필요한 것으로, 이러한 콘센트, 스위치, 접속기를 총칭하여 배선기구라 하며 배선기구는 실내의 벽체에 매립되어 설치된다.
또한 건축물의 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에서는 건축물의 실내 공간의 벽체에 배선기구가 삽입되는 배선기구 매립홈을 형성한다.
그리고 건축물의 실내 공간의 칸막이 벽체의 내측면에는 단열효과와 소음차단의 효과를 가지는 석고보드, 단열판 등(이하, 포괄하여 "칸막이 벽체 부착판"이라 한다 )이 벽체에 부착되어 시공된다.
아울러 상기 칸막이 벽체 부착판을 시공한 후에는, 벽체에 매립되는 배선기구를 취부하기 하기 위하여 상기 배선기구 매립홈과 상응되는 위치의 칸막이 벽체 부착판에 배선기구를 취부하기 위한 사각홀을 타공한다.
먼저, 상기 벽체부착판의 사각홀을 관통하여 배선기구 매립홈에 배선기구를 취부할 경우에는 사각홀에 삽입되어 사각홀의 주위에 고정되는 배선기구 고정구를 사용한다.
이러한 배선기구 고정구는 여러 종류가 알려져 시판되고 있는데, 그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842090호의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전기배선기구"(이하, "종래의 배선기구"라 한다.)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배선기구는 중심부가 관통 형성되는 중공 틀에 한 쌍 이상의 지지 다리가 연장 형성되고 중공 틀 자장자리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 날개가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 다리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양측 가이드 돌기부가 끼워져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지지대를 통해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며 나사 결합되어 상기 고정판을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시키는 조임 나사를 포함한다.
따라서 종래의 배선기구를 구성하는 지지대를 배선기구 설치공에 관통되게 설치할 경우에는, 먼저, 지지대의 상,하부에 구비된 고정판을 수평지게 회전시킨다.
다음 벽체 콘크리트의 내측면에 시공된 칸막이 벽체에 형성된 배선기구 설치공에 지지대를 삽입한다.
다음 작업자가 지지대의 내부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손가락으로 각각의 고정구를 수직으로 세운 다음, 조임 나사를 고정판에 형성된 나사 체결공에 체결하는 과정을 통해 고정판을 이동시켜 지지대를 배선기구 설치공의 내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배선기구를 구성하는 지지대를 배선기구 설치공의 내부에 설치하는 과정에서는, 배선기구 설치공에 지지대를 삽입한 다음, 작업자가 지지대의 내부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손가락으로 지지대에서 수평으로 눕혀져 있는 각각의 고정구를 수직으로 세워야 함으로써 지지대의 설치에 많은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배선기구는 고정판이 고정된 틀안에서 움직이는 범위가 제한적이라서 석고보드 1장과 2장 만 고정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서 다양한 두께의 가변두께에 사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842090호의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전기배선기구"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칸막이 벽체 부착판에 형성된 사각홀에 배선기구 고정장치를 삽입한 상태에서 두 개의 볼트의 조임만으로 배선기구 고정장치를 사각홀의 둘레 주위에 칸막이 벽체 부착판의 두께에 상관없이 6mm에서 45mm까지 이동이 가능한 가변성 이동 고정대로 간단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배선기구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 개의 돌출대가 사각틀 몸체의 상,하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세워진 상태에서 볼트들의 간단한 풀림 회전만으로 각 돌출대를 사각틀 몸체의 후방에 수평으로 눕혀져 숨겨지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배선기구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각틀 몸체를 구성하는 둘레판과 후판 사이의 모서리부분에 분리가 가능한 커버판을 가진 다수의 관통장홀을 형성함에 따라, 현장에서 하나 이상의 관통장홀의 커버판을 이탈시켜 각 관통장홀에 전선이 내장되는 주름관 둘레의 깊은 나선형 홈부가 관통장홀의 둘레 단부를 타고 둘레 외부에서 하측면으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배선기구 고정장치를 칸막이 벽체 부착판의 사각홀에 원활하게 삽입되게 하고, 본 발명에 따른 배선기구 고정장치의 전후 방향의 폭을 54mm까지 낮출 수 있도록 하는 배선기구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선기구 고정장치"는 상기 칸막이 벽체 부착판의 사각홀 둘레 주위의 전방에 밀착되는 사각틀을 포함하고, 사각틀의 후방 둘레의 내측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둘레판이 형성된 사각틀 몸체와; 상기 사각틀 몸체의 둘레 내측의 상부 일측과 하부 타측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각각에는 종방향의 종형홀이 형성되며, 각 종형홀에서 사각틀 몸체 외측의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게 종형 가이드홀이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돌출부와; 각 상기 종형홀에 나사축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는 볼트와; 각 상기 볼트의 나사축에 일 단부가 관통 체결되고, 상기 볼트의 풀림방향의 회전을 통해 후퇴되어 나사축의 후방에 수평으로 눕혀지게 회전되고, 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의 조임방향의 회전을 통해 사각틀 몸체의 외측의 방향으로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종형 가이드홀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사각홀 둘레 주위의 칸막이 벽체 부착판의 후면에 밀착되는 이동 고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칸막이 벽체 부착판에 형성된 사각홀에 배선기구 고정장치를 삽입한 상태에서 두 개의 볼트의 조임만으로 배선기구 고정장치를 사각홀의 둘레에 주위에 간단히 고정함으로써, 칸막이 벽체 부착판의 두께에 상관없이 쉽고 간단히 현장에서 설치 시간을 최소로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설치시 작업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배선기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 개의 돌출대가 사각틀 몸체의 상,하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세워진 상태에서 볼트들의 간단한 풀림 회전만으로 각 돌출대를 사각틀 몸체의 후방에 수평으로 눕혀져 숨겨지게 함으로써, 돌출대가 사각틀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세워진 경우에 신속하게 돌출부를 수평으로 눕혀 배선기구 고정장치를 칸막이 벽체 부착판의 사각홀에 신속하게 삽입할 수 있게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각틀 몸체를 구성하는 둘레판과 후판 사이의 모서리부분에 분리가 가능한 커버판을 가진 다수의 관통장홀을 형성하여 현장에서 하나 이상의 관통장홀의 커버판을 이탈시켜 각 관통장홀에 전선이 내장되는 주름관을 유동없이 관통 설치함에 따라, 주름관의 설치시 필요한 연결 부품들의 사용을 전혀 필요없게 함으로써 사각틀 몸체를 구성하는 둘레판의 전후 길이를 약 54mm까지 줄여 배선기구 고정장치의 재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배선기구 고정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전방에서 본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1c는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배선기구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이동 고정대들이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A-A선 일부 절개 단면도로서 배선기구 고정장치를 사각홀에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2c는 후방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배선기구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이동 고정대들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2a의 B-B선 일부 절개 단면도로서 배선기구 고정장치가 사각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3c는 후방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배선기구 고정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b는 관통장홀들 중 하나의 커버판을 분리하여 주름관을 관통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배선기구 고정장치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배선기구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이동 고정대들이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배선기구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이동 고정대들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배선기구 고정장치는 건식 칸막이공사 벽체에 시공된 부착판(20)에 형성된 사각홀(30)에 관통 고정되어 배선기구 매립홈(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각틀 몸체(1), 돌출부(2), 볼트(3), 이동 고정대(4)를 포함한다.
상기 사각틀 몸체(1)는 칸막이 벽체 부착판(20)의 사각홀(30) 둘레 주위의 전방에 밀착되고 양측 수직대와 상,하부 수평대로 구성되는 사각틀(1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사각틀(12)의 후방 둘레의 내측에는 상기 사각홀(30)에 삽입 관통되게 후방으로 돌출되는 양측 종형 수직판과 상,하부 수평판을 포함하는 둘레판(12)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사각틀 몸체(1) 전방의 양측 사이의 중앙의 상,하부에는 콘센트, 스위치, 접속기 등의 배선기구(미도시)를 탭핑나사로 고정하는 조립홀(15)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는 사각틀 몸체(1) 둘레 내측의 상부 일측과 하부 타측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각각에는 후술할 볼트(3)의 나사축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는 종방향의 종형홀(21)이 형성되는 것이다.
각각의 상기 종형홀(21)의 전방에는 후술할 볼트(3)의 볼트머리가 삽입되는 자리파기홈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상기 종형홀(21)에는 종형홀(21)에서 사각틀 몸체(1) 외측의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게 종형 가이드홀(22)이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종형 가이드홀(22)은 종형홀(21)과 연통되게 종형홀(21)을 따라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할 이동 고정대(4)를 구성하는 돌출대(42)가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볼트(3)는 두 개가 구비되어 각각은 상기 종형홀(21)에 나사축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는 것이다. 좀 더 구제적으로, 상기 볼트(3)는 전방에 드라이버나 엘랜치의 공구로 회전되게 구비된 볼트머리와 볼트머리의 후방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종형홀(21)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는 나사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각 상기 볼트(3)를 구성하는 상기 나사축은 후술할 이동 고정대(4)의 종형관(41)의 내부에 관통 체결되어 종형관(41)이 상기 종형홀(21)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볼트(3) 나사축의 외경은 상기 종형홀(2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 고정대(4)는 두 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각각은 상기 볼트(3)의 나사축에 일 단부가 관통 체결되고, 상기 볼트(3)의 풀림방향의 회전을 통해 후퇴되어 나사축의 후방에 눕혀지게 회전되고, 후방에 수평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3)의 조임방향의 회전을 통해 사각틀 몸체(1)의 외측의 방향으로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종형 가이드홀(22)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사각홀(30) 둘레 주위의 칸막이 벽체 부착판(20)의 후면에 밀착되어, 사각틀 몸체(1)를 사각홀(30)의 주위의 칸막이 벽체 부착판(2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이동 고정대(4)는, 일 단부에 형성되어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나사축이 관통 체결되는 탭홀(411)이 형성되며 상기 종형홀(21)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종형관(41)과, 상기 종형관(41)의 외측 둘레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면 상기 종형 가이드홀(22)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돌출대(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대(42)는 종형관(41)의 외측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판과 돌출판(421)의 전방 외측에 돌출판(421)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칸막이 벽체 부착판(20)의 후면에 전면이 밀착되는 밀착판(4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착판(422)의 전면은 외측 끝단부가 칸막이 벽체 부착판(20)에 박혀 고정될 수 있도록 외측에서 내측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상기 돌출부(2)의 종형홀(21) 후방의 주위에는 상기 볼트(3)가 풀림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돌출대(42)가 후퇴하여 종형 가이드홀(22)의 후방으로 수직으로 세워지게 이동된 다음 사각틀 몸체(1)의 양측 중앙의 방향으로 수평 회전되게 하는 회전 단속홈(23)이 상기 종형홀(21)의 후방과 연통되게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단속홈(23)은 볼트(3)가 풀림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돌출대(42)가 후퇴하여 종형 가이드홀(22)의 후방에서 수평으로 바로 회전되게 할 수 있도록, 전방에 형성되는 수직면(231)과, 상기 수직면(231)의 하부에서 후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대(42)가 밀착되는 수평면(23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 실시예의 배선기구 고정장치의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각틀 몸체(1)의 상,하부에 돌출대(42)가 돌출된 상태, 즉 각각의 상기 이동 고정대(4)의 종형관(41)이 상기 각각의 볼트(3)의 나사축에 체결되고 종형홀(21)의 내부에 위치되어 각각의 돌출대(42)가 사각틀 몸체(1)의 상,하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세워진 상태에서, 일 실시예의 배선기구 고정장치를 칸막이 벽체 부착판(20)에 형성된 사각홀(30)의 둘레 주위에 칸막이 벽체 부착판(20)에 고정하여 벽체에 형성된 배선기구 매립홈(10)에 매립되게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각각의 볼트(3)의 볼트머리에 드라이버나 엘렌치를 삽입하여 각각의 볼트(3)를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볼트(3)가 풀림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볼트(3)의 나사축에 체결된 이동 고정대(4)가 후방으로 이동되고 후방의 회전 단속홈(23)까지 후퇴된 다음, 이동 고정대(4)의 종형관(41)이 회전 단속홈(23)까지 후퇴된 후에는 볼트(3)의 나사축이 더 풀리게 됨으로써, 이동 고정대(4)의 종형관(41)과 돌출대(42)가 나사축을 중심으로 사각틀 몸체(1)의 양측 중앙의 방향으로 수평 회전되게 회전되어 상기 돌출대(42)가 회전 단속홈(23)의 수평면(232)에 밀착되어 수평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기 사각틀 몸체(1)의 상,하부에 돌출대(42)가 돌출된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볼트(3)를 풀리게 회전시키면 상,하 두 개의 이동 고정대(4)의 돌출대(42)가 사각틀 몸체(1)의 후방에 수평으로 눕혀져 숨겨지게 된다.
다음, 상기와 같이, 상,하 두 개의 이동 고정대(4)의 돌출대(42)가 사각틀 몸체(1)의 후방에 수평으로 눕혀져 숨겨진 상태에서, 상기 사각틀 몸체(1)의 둘레판(12)을 칸막이 벽체 부착판(20)의 사각홀(30)에 삽입 관통시켜 사각틀 몸체(1)의 전방에 형성된 사각틀(12)을 사각홀(30) 주위의 칸막이 벽체 부착판(20)의 전면에 밀착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배선기구 고정장치는 두 개의 돌출대(42)가 사각틀 몸체(1)의 상,하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세워진 상태에서, 볼트(3)들의 간단한 풀림 회전만으로 돌출대(42)를 사각틀 몸체(1)의 후방에 수평으로 눕혀져 숨겨지게 함으로써, 두 개의 돌출대(42)가 사각틀 몸체(1)의 상,하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세워진 경우에 신속하게 각 돌출부(2)를 수평으로 눕혀 배선기구 고정장치를 칸막이 벽체 부착판(20)의 사각홀(30)에 신속하게 삽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이, 배선기구 고정장치가 사각홀(30)에 삽입된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볼트(3)의 볼트머리에 드라이버나 엘렌치를 삽입하여 각각의 볼트(3)를 조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볼트(3)가 조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볼트(3)의 나사축이 조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나사축에 체결된 이동 고정대(4)의 종형관(41)이 조여져 종형관(41)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대(42)가 수직으로 세워진 다음 상기 종형 가이드홀(22)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사각홀(30) 둘레 주위의 칸막이 벽체 부착판(20)의 후면에 밀착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배선기구 고정장치를 사각홀(30) 주위의 칸막이 벽체 부착판(20)에 간단히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배선기구 고정장치는 칸막이 벽체 부착판(20)에 형성된 사각홀(30)에 배선기구 고정장치를 삽입한 상태에서 두 개의 볼트(3)의 조임만으로 배선기구 고정장치를 사각홀(30)의 둘레에 주위에 간단히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현장에서 설치 시간을 최소로 줄일 수 있고 칸막이 벽체 부착판(20)의 두께에 상관없이 쉽고 간단히 설치시 작업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배선기구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배선기구 고정장치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에의 배선기구 고정장치는 상술한 일 실시예의 배선기구 고정장치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배선기구 고정장치는 상기 둘레판(12)이 상기 돌출부(2)의 끝단까지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둘레판(12)의 후방에는 후판(13)이 일체로 더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둘레판(12)과 후판(13) 사이의 모서리부분에는 전선이 통과되는 주름관(40) 둘레의 나선형 홈부(50)가 둘레 단부에 삽입되면서 관통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장홀(14)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관통장홀(14)의 내부에는 외측 둘레가 관통장홀(14)의 내측 둘레와 부러짐이 가능한 다수의 일체형 연결살(142)로 연결되는 내부 커버판(141)이 더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배선기구 고정장치는, 상기 사각틀 몸체(1)를 구성하는 둘레판(12)과 후판(13) 사이의 모서리부분에 분리가 가능한 커버판(141)을 가진 다수의 관통장홀(14)을 형성하여 현장에서 하나 이상의 관통장홀(14)의 커버판(141)을 이탈시켜 각 관통장홀(14)에 전선이 내장되는 주름관(40)을 유동없이 관통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배선기구 고정장치는, 상기 주름관(40)의 둘레 외측에 형성된 나선형 홈부(50)를 상기 관통장홀(14)의 둘레 단부에 회전 삽입되면서 관통 고정되게 함에 따라, 상기 주름관(40)의 고정에 필요한 고정 부품들의 사용을 전혀 필요 없게 함으로써 사각틀 몸체(1)를 구성하는 둘레판(12)의 전후 길이를 54mm까지 최소로 줄여 배선기구 고정장치의 재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아니라, 배선기구 매립홈(10)의 깊이가 깊지 않은 공간에서도 사용을 가능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사각틀 몸체
11 : 사각틀
12 : 둘레판
13 : 후판
14 : 관통장홀
15 : 조립홀
2 : 돌출부
21 : 종형홀
22 : 종형 가이드홀
23 : 회전 단속홈
3 : 볼트
4 : 이동 고정대
41 : 종형관
42 : 돌출대
10 : 배선기구 매립홈
20 : 칸막이 벽체 부착판
30 : 사각홀
40 : 주름관
50 : 나선형 홈부

Claims (5)

  1. 칸막이 벽체 부착판에 형성된 사각홀에 관통 고정되어 배선기구 매립홈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칸막이 벽체 부착판의 사각홀 둘레 주위의 전방에 밀착되는 사각틀을 포함하고, 사각틀의 후방 둘레의 내측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둘레판이 형성된 사각틀 몸체와;
    상기 사각틀 몸체의 둘레 내측의 상부 일측과 하부 타측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각각에는 종방향의 종형홀이 형성되며, 각 종형홀에서 사각틀 몸체 외측의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게 종형 가이드홀이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돌출부와;
    각 상기 종형홀에 나사축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는 볼트와;
    각 상기 볼트의 나사축에 일 단부가 관통 체결되고, 상기 볼트의 풀림방향의 회전을 통해 후퇴되어 나사축의 후방에 수평으로 눕혀지게 회전되고, 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의 조임방향의 회전을 통해 사각틀 몸체의 외측의 방향으로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종형 가이드홀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사각홀 둘레 주위의 칸막이 벽체 부착판의 후면에 밀착되는 이동 고정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축의 외경은 상기 종형홀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이동 고정대는
    일 단부에 형성되어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나사축이 관통 체결되는 탭홀이 형성되며 상기 종형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종형관과,
    상기 종형관의 외측 둘레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면 상기 가이드장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돌출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각 상기 돌출부의 종형홀 후방의 주위에는
    상기 볼트가 풀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돌출대가 후퇴하여 종형 가이드홀의 후방으로 수직으로 세워지게 이동된 다음 사각틀 몸체의 양측 중앙의 방향으로 수평 회전되게 하는 회전 단속홈이 상기 종형홀의 후방과 연통되게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배선기구 고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판은 상기 돌출부의 끝단까지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둘레판의 후방에는 후판이 일체로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판과 후판 사이의 모서리부분에는 전선이 통과되는 주름관의 둘레 홈부가 둘레 단부에 삽입되면서 관통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장홀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관통장홀의 내부에는 외측 둘레가 관통장홀의 내측 둘레와 부러짐이 가능한 다수의 일체형 연결살로 연결되는 내부 커버판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 고정장치.
KR1020230009588A 2022-01-26 2023-01-25 배선기구 고정장치 KR202301152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3222A KR20240000417A (ko) 2022-01-26 2023-12-15 배선기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221 2022-01-26
KR20220011221 2022-01-2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3222A Division KR20240000417A (ko) 2022-01-26 2023-12-15 배선기구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257A true KR20230115257A (ko) 2023-08-02

Family

ID=875668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9588A KR20230115257A (ko) 2022-01-26 2023-01-25 배선기구 고정장치
KR1020230183222A KR20240000417A (ko) 2022-01-26 2023-12-15 배선기구 고정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3222A KR20240000417A (ko) 2022-01-26 2023-12-15 배선기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11525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2090B1 (ko) 2016-04-20 2018-03-26 두원소방 주식회사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전기배선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2090B1 (ko) 2016-04-20 2018-03-26 두원소방 주식회사 이중 나사 체결식 지지 구조를 갖는 전기배선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417A (ko) 202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0072B2 (en) Electrical box extension
US5042673A (en) Electric box extension
US5117996A (en) Electrical box extension
EP3378138B1 (en) An adjustable mounting assembly
US5939671A (en) Ceiling medallion assembly
US7109418B2 (en) Adapter for mounting a faceplate of a first style on to an electrical outlet cavity of a second style
US5861576A (en) Cable raceway cable exit box
US5598670A (en) Wall mounting system for electrical devices
CA2218962A1 (en) Adjustable hanger assembly
US4717101A (en) Adjustable backing board bracket
US11079081B2 (en) Panel light mounting structure, a panel light and mounting method thereof
KR20230115257A (ko) 배선기구 고정장치
US20170188122A1 (en) L-brackets for mounting with extended mobility range
CN218040577U (zh) 一种设置有转角定向结构的线缆桥架
US6173935B1 (en) Cathedral ceiling fixture mounting system
JPH08121878A (ja) 給湯機の壁掛装置
US5166476A (en) Electric junction box/outlet
WO2007023211A1 (en) Fastening piece for fastening a lighting device or part of it to light mounting holes in an electrical installation box or a building
EP2712041B1 (en) Device for installing junction and/or wallplate boxes for electrical systems and relative method of installation
KR100564294B1 (ko) 천장 전기 단자함
KR20080001410U (ko) 전기 배선기기용 고정구
KR200398640Y1 (ko) 전기배선박스 설치지지장치
US20230378733A1 (en) Adjustable-Depth Electrical Boxes
KR102576413B1 (ko) 배선박스를 원터치로 배선박스설치대에 조립하는 배선용박스 고정판넬
KR102582929B1 (ko) 콘센트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