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4810A -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 Google Patents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4810A
KR20100024810A KR1020080083536A KR20080083536A KR20100024810A KR 20100024810 A KR20100024810 A KR 20100024810A KR 1020080083536 A KR1020080083536 A KR 1020080083536A KR 20080083536 A KR20080083536 A KR 20080083536A KR 20100024810 A KR20100024810 A KR 20100024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late
terminal box
cover frame
communication
fixed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수
Original Assignee
김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수 filed Critical 김근수
Priority to KR1020080083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4810A/ko
Publication of KR20100024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8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3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thin walls
    • H02G3/125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thin walls with supporting bar extending between two separate studs of a wall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통신 및 전기 단자들을 설치하기 위한 전선 인출입용 소켓단자들을 갖는 고정벽판의 서로 대향하는 양벽판부에 임의크기로 절개된 절개부를 형성하고, 그 절개부에는 상기 고정벽판의 소켓단자들과 적어도 2열 이상으로 나열되는 소켓단자들을 갖는 평판형(平板形)의 분리벽판이 끼움결합되게 하여 단자함의 설치 및 공간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신, 전기, 단자함, 수용공간, 고정벽판, 절개부, 분리벽판, 함체, 커버프레임.

Description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TERMINAL BOX FOR COMMUNICATION AND ELECTRICITY}
본 발명은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 인출입용 소켓단자들을 갖는 고정벽판에 절개부를 형성하고, 그 절개부에 고정벽판의 소켓단자들과 적어도 2열 이상으로 나열되는 소켓단자들을 갖는 평판형(平板形)의 분리벽판이 끼움결합되게 하여 단자함의 설치 및 공간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은 단독, 공동주택 또는 빌딩 등의 시공시 벽체에 매립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을 연결하는 단자의 설치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단자함을 벽체에 매립하는 과정은, 먼저, 벽체를 형성하는 철근골조를 설치한 다음, 사용자가 요구하는 철근골조의 소정위치에 커버프레임의 개방부가 벽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한다. 그 다음, 거푸집으로 커버프레임의 개방부를 차단한 후,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고 콘크리트가 굳은 후에 거푸집을 떼어 낸다. 이에 의해, 벽체에 커버프레임의 개방부가 노출되어 매립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단자함에 의하면, 통신 및 전기 단자용 전선들이 인출입되는 소켓단자가 설치된 벽체가 함체의 몸통을 구성하고 있으므로, 단자함의 설치 및 공간의 활용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선 인출입용 소켓단자들을 갖는 고정벽판에 절개부를 형성하고, 그 절개부에 고정벽판의 소켓단자들과 적어도 2열 이상으로 나열되는 소켓단자들을 갖는 평판형(平板形)의 분리벽판이 끼움결합되게 하여 단자함의 설치 및 공간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통신 및 전기 단자들을 설치하기 위한 전면만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벽체 형성용 철근골조에 지지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어느 양측 벽판부만이 고정벽판과 상기 고정벽판으로부터 분리되게 결합되는 분리벽판을 갖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벽판과 분리벽판에는 전선인출입용 소켓단자들을 적어도 2열 이상으로 밀집되게 배치할 수 있게 한 함체 및 반발력과 수밀성(水密性)을 발생하는 패킹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함체에 전후로 이동되게 결합되는 커버프레임을 포함하는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커버프레임 및 함체의 각 모서리부에는, 일단부가 절단된 형태로 분기되어 탄력적으로 펼침과 오므라짐이 가능하게 형성된 탄지편과, 내향(內向)으로 좁아지는 경사홈을 갖고 상기 탄지편과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되게 형성된 탄지편 수 용함으로 이루어진 탄지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은, 전선 인출입용 소켓단자들을 갖는 고정벽판에 절개부를 형성하고, 그 절개부에 고정벽판의 소켓단자들과 적어도 2열 이상으로 나열되는 소켓단자들을 갖는 평판형(平板形)의 분리벽판이 끼움결합되게 하여 단자함의 설치 및 공간의 활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함체와 분리벽판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결합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및 전기 단자들의 수용공간(112), 고정벽판(111) 및 분리벽판(116)을 갖는 함체(110)와, 함체(110)에 전후로 이동되게 결합되는 커버프레임(120)과, 함체(110) 및 커버프레임(120) 사이에 설치되는 패킹부재(126)로 구성된다.
함체(110)에는 전면만이 개방된 수용공간(112)이 마련되고, 그 수용공간(112)에는 통신 및 전기 단자들이 설치된다. 함체(110)는 소켓단자(118)들이 형성된 고정벽판(111)과, 고정벽판(111)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벽 판(116)으로 구성된다.
고정벽판(111)의 소정위치에는 관통형성되어 전선이 인출입되는 소켓단자(118)들이 구비된다. 이러한, 소켓단자(118)들을 통해 통신 및 전기 단자에 연결하기 위한 각종 전선(예를 들어, 전기선, 전화선, 인터넷 전용선, 안테나선 등)이 인출입된다.
함체(110)의 고정벽판(111) 소정위치에는 함체(110)를 철근골조(130)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고정구(119)가 구비된다.
함체(110)의 내벽면에는 커버프레임(120)에 구비된 체결돌기(124)들이 이동되어 끼워지는 체결홈(113)이 형성된다.
함체(110)의 고정벽판(111)에 서로 대면되는 위치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 크기로 절개된 절개부(114)가 구비된다. 절개부(114)의 양측부에는 오목하게 들어간 가이드홈(115)이 형성된다.
절개부(114)에는 평판형(平板形)의 분리벽판(116)이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된다. 분리벽판(116)에는 관통형성되어 전선이 인출입되는 다수개의 소켓단자(11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분리벽판(116)의 소켓단자(118)들은 고정벽판(111)의 절개부(114)에 결합되는 경우, 고정벽판(111)의 소켓단자(118)들과 적어도 2열 이상으 나열된다.
분리벽판(116)의 양측부에는 절개부(114)의 가이드홈(115)에 대응하는 가이드돌기(117)가 형성되고, 이에 의해, 가이드돌기(117)가 가이드홈(115)에 의해 안내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100)에 의하면, 사용자의 요구 또는 설치환경에 따라 고정벽판(111)의 절개부(114)로부터 분리벽판(116)을 착탈되게 하여 단자함의 설치 및 공간의 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함체(110)와 대면하는 커버프레임(120)의 일측에는 함체(110)의 전면 둘레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끼움홈(122)이 마련된다. 끼움홈(122)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프레임(120)의 두께를 손상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홈을 내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끼움홈(122)을 보호할 수 있는 다른 하나의 측벽을 더 형성하여 마련될 수도 있다. 끼움홈(122)은 함체(110)의 고정벽판(111) 두께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커버프레임(120)은 함체(110)에 대하여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커버프레임(120)의 일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10)의 수용공간(112)에 대응하는 개방부(미도시)가 마련된다. 개방부는 수용공간(112)과 연통되어 단자와 각종 전선 등이 설치된다.
커버프레임(120)의 개방부 둘레(예를 들어, 좌/우측 선단)에는 함체(110)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체결돌기(124)가 마련되는 한편, 그 내벽부의 소정위치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돌편(121)을 구비하여 함체(110)와의 결합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커버프레임(120)의 일측에는 탄성력을 부여하여 커버프레임(120)이 함체(110)에 대하여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지수단(128)이 마련된다.
탄지수단(128)은 커버프레임(120)의 개방부 둘레의 소정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탄지편(128a)과, 내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경사지는 경사홈(128b)을 갖고 탄지편(128a)과 대응하게 함체(110)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탄지편 수용함(128c)을 포함한다.
탄지편(128a)은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절단되고 끝단부에 반호형의 절곡부를 형성한 막대편들로 마련될 수 있으며, 마름모꼴로 마련될 수도 있다.
탄지편(128a)들은 경사홈(128b)에 끼워져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경사각을 따라 탄력적으로 펼침과 오므라짐이 가능하게 되어 커버프레임(120)이 함체(110)에 대하여 전/후 이동하게 된다.
탄지편(128a)는 함체(110)에 구비될 수 있고, 경사홈(128b)을 갖는 탄지편 수용함(128c)은 커버프레임(12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커버프레임(120)에는 함체(110)와 결합되는 반대방향에 커버가 착탈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함체(110)와 커버프레임(120)과의 사이에는, 도 1,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패킹부재(126)가 끼움결합될 수 있다. 패킹부재(126)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마련되어, 함체(110)로부터 커버프레임(120)을 밀어주는 반발력을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패킹부재(126)는 쿠션력을 갖게 한 연질의 합성수지발포제 또는 합성고무재 등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함체와 분리벽판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4의 결합단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단자함, 110 : 함체,
111 : 고정벽판, 112 : 수용공간,
113 : 체결홈, 114 : 절개부,
115 : 가이드홈, 116 : 분리벽판,
117 : 가이드돌기, 118 : 소켓단자,
119 : 고정구, 120 : 커버프레임,
122 : 끼움홈, 124 : 체결돌기,
126 : 패킹부재, 128 : 탄지수단,
128a : 탄지편, 128b : 경사홈,
128c : 탄지편 수용함, 130 : 철근골조.

Claims (2)

  1. 통신 및 전기 단자들을 설치하기 위한 전면만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벽체 형성용 철근골조에 지지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어느 양측 벽판부만이 고정벽판과 상기 고정벽판으로부터 분리되게 결합되는 분리벽판을 갖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벽판과 분리벽판에는 전선인출입용 소켓단자들을 적어도 2열 이상으로 밀집되게 배치할 수 있게 한 함체; 및
    반발력과 수밀성(水密性)을 발생하는 패킹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함체에 전후로 이동되게 결합되는 커버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프레임 및 함체의 각 모서리부에는,
    일단부가 절단된 형태로 분기되어 탄력적으로 펼침과 오므라짐이 가능하게 형성된 탄지편과, 내향(內向)으로 좁아지는 경사홈을 갖고 상기 탄지편과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되게 형성된 탄지편 수용함으로 이루어진 탄지수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KR1020080083536A 2008-08-26 2008-08-26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KR201000248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536A KR20100024810A (ko) 2008-08-26 2008-08-26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536A KR20100024810A (ko) 2008-08-26 2008-08-26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810A true KR20100024810A (ko) 2010-03-08

Family

ID=42176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536A KR20100024810A (ko) 2008-08-26 2008-08-26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481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612B1 (ko) * 2012-02-20 2014-03-26 주식회사 케이씨씨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단열시스템
KR200476183Y1 (ko) * 2013-09-05 2015-02-04 주식회사 세홍 분리형 배선분기장치
KR102156205B1 (ko) * 2020-07-06 2020-09-15 (주)동화이엔씨 공동주택의 통신 단자함 시스템
KR20210062187A (ko) * 2019-11-21 2021-05-31 주식회사 대일리리빙 병렬형 전선인입구를 갖는 세대분전함
KR20210138299A (ko) 2020-05-12 2021-11-19 주식회사 탐진 통신 및 전기 배선용 단자함
KR20230119902A (ko) 2022-02-08 2023-08-16 (주)진성디지털 통신 배선 공사를 위한 단자함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612B1 (ko) * 2012-02-20 2014-03-26 주식회사 케이씨씨 진공단열재 복합패널 단열시스템
KR200476183Y1 (ko) * 2013-09-05 2015-02-04 주식회사 세홍 분리형 배선분기장치
KR20210062187A (ko) * 2019-11-21 2021-05-31 주식회사 대일리리빙 병렬형 전선인입구를 갖는 세대분전함
KR20210138299A (ko) 2020-05-12 2021-11-19 주식회사 탐진 통신 및 전기 배선용 단자함
KR102156205B1 (ko) * 2020-07-06 2020-09-15 (주)동화이엔씨 공동주택의 통신 단자함 시스템
KR20230119902A (ko) 2022-02-08 2023-08-16 (주)진성디지털 통신 배선 공사를 위한 단자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4810A (ko)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US6965078B1 (en) Rainproof recessed outlet box
US7388162B1 (en) Electrical box and adapter assembly for brick wall installation
US8686287B1 (en) Surface mount electrical box for shallow wall cavities
KR100740946B1 (ko) 공동주택 실내 전기 케이블용 보호 케이스
KR102356112B1 (ko)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JP5942249B2 (ja) 電線引込支柱及びそれを用いた配電システム
KR100832722B1 (ko) 건물용 환기 덕트 슬리이브
KR100910646B1 (ko)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KR101908088B1 (ko) 전선 시공이 용이한 덕트 프레임 창호
KR100615033B1 (ko) 건축물 내부 전선 인입용 박스 시설
KR20100111933A (ko) 전기 및 통신용 단자함
KR20100024812A (ko)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KR20090005872U (ko) 단자함
KR200383206Y1 (ko) 슬라이딩커버를 갖는 매입형 전선함
EP2960699B1 (en) Installation box having movable support member
JP2021090353A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KR20100008257U (ko) 수밀기능을 갖는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JP6953174B2 (ja) キャビネット
KR100812874B1 (ko)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의 단열구조
KR101380772B1 (ko) 노출형 전기계량기 함
JP2016084583A (ja) フレーム部材
KR200428597Y1 (ko) 단자함
KR101028292B1 (ko) 전기배관박스용 임시마개
WO2019218193A1 (zh) 一种嵌置于墙板凹槽的布线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