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088B1 - 전선 시공이 용이한 덕트 프레임 창호 - Google Patents

전선 시공이 용이한 덕트 프레임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088B1
KR101908088B1 KR1020180055223A KR20180055223A KR101908088B1 KR 101908088 B1 KR101908088 B1 KR 101908088B1 KR 1020180055223 A KR1020180055223 A KR 1020180055223A KR 20180055223 A KR20180055223 A KR 20180055223A KR 101908088 B1 KR101908088 B1 KR 101908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piping
pipe
piping space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동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Priority to KR1020180055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0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 E06B1/528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with ducts for cables o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에 형성되는 프레임 창호에 있어서, 벽면의 외벽 또는 내벽 중 적어도 하나의 벽면 측에 형성되어 복수의 전선이 매립되는 배관 공간 및 폭 방향 양측이 절곡되어 제2삽입부가 형성되는 형상으로, 상기 배관 공간과 결합하여 상기 배관 공간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선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관 캡을 포함하되, 상기 배관 공간의 높이 방향 일측 및 상기 배관 캡의 폭 방향 일측과 결합하는 제1삽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배관 캡이 상기 배관 공간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켓을 더 포함하는 전선 시공이 용이한 덕트 프레임 창호다.

Description

전선 시공이 용이한 덕트 프레임 창호{Window duct frame for installation electric line}
본 발명은 벽면에 유리창을 고정시키는 프레임 창호(섀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 창호 내에 매립되는 전선을 시공해야할 시의 작업이 용이하도록 제작되는 프레임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각종 창이나 문을 말하며, 그 사용재료에 따라 목재 창호와 금속재 창호로 분류되나 최근에는 플라스틱에 의한 문이나 창틀 등도 만들어지고 있는 추세다.
에어컨 실내외기의 분리 또는 태양 전지 모듈 설치 등에 의한 전기배선 공사를 할 경우, 이로 인해 파생되는 전선은 건물의 외부에서 내부로 통과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창호 주변에 복수의 정리되지 않은 전선이 형성됨에 따라 정리되지 않은 전선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7098호는 전선이 매립되는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에 관한 기술을 기재하였으며, 이는 내부 공간을 길이방향으로 연장시킨 합성수지재의 몸체를 상부에서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힌지부가 형성된 커버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른 상기 힌지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몸체의 상부가 개폐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은 전선을 정리할 수는 있지만 외부에 드러난 곳에 설치되어 미관을 해치고, 설치 후 시간이 경과되면 양면테이프의 접착력이 떨어져 고정이 용이하지 않으며,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7098호 "커버 일체형 연질 배선 몰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선을 매립시키는 프레임 창호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전선을 매립시키는 구성의 선택적인 개폐가 용이한 프레임 창호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에 형성되는 프레임 창호에 있어서, 벽면의 외벽 또는 내벽 중 적어도 하나의 벽면 측에 형성되어 복수의 전선이 매립되는 배관 공간 및 폭 방향 양측이 절곡되어 제2삽입부가 형성되는 형상으로, 상기 배관 공간과 결합하여 상기 배관 공간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선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관 캡을 포함하되, 상기 배관 공간의 높이 방향 일측 및 상기 배관 캡의 폭 방향 일측과 결합하는 제1삽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배관 캡이 상기 배관 공간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켓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관 공간은 벽면의 외벽 또는 내벽 측에 복수로 형성되어, 연장되는 방향이 상이한 복수의 전선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관 공간의 폭 방향 일측에는 상기 배관 캡의 폭 방향 일측 하면이 안치되는 제2결합부 및 상기 가스켓의 상기 제1삽입부가 삽입되는 제3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관 공간의 폭 방향 타측에는 상기 배관 캡의 폭 방향 타측이 삽입되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스켓은 상기 배관 캡의 폭 방향 일측의 상부와 접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결합부와 상기 제1삽입부의 결합여부에 따라 상기 배관 캡의 이탈여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가스켓은 탄성에 의한 변형 및 복원이 이루어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창호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전선 시공 및 교체시 프레임 창호를 벽면으로부터 이탈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전선이 엉켜진 상태를 주거자가 보지 않음으로 인하여 주거 공간의 전반적인 미관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전선을 정리하는 배선 몰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창호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배관 공간의 단면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캡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창호에 수용되는 전선을 시공하는 순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 절연재가 삽입된 프레임 창호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창호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전선이 수용되는 배관 공간(100), 상기 배관 공간(100)을 밀폐시키는 배관 캡(200) 및 상기 배관 캡(2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가스켓(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관 공간(100)은 도 2처럼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에 접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되는 방향이 상이한 복수의 전선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배관 공간(100)이 별도의 파티션으로 구분되어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배관 공간(110) 및 제2배관 공간(120)으로 구분되어 이루어진 형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제1배관 공간(110)은 창호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A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선을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이에 반하여 상기 제2배관 공간(120)은 창호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B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선을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1배관 공간(110)과 제2배관 공간(120)을 구분짓는 제3배관 공간(1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배관 공간(100)은 총 3개의 구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의 전선을 수용한 상기 배관 공간(100)의 두께 방향 일측에는 상기 배관 캡(200)이 결합되어 전선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배관 공간(100) 및 배관 캡(200)의 결합구조는 도 2와 같이 상기 배관 공간(100)에 복수의 결합부가 형성됨으로써, 상호간의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상기 결합부(130)가 형성되어 상기 배관 캡(200)과 선택적으로 결합을 이루는 상기 제1배관 공간(110) 및 제2배관 공간(120)에는 연장 방향이 서로 상이한 전선을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제3배관 공간(130)에는 교체 작업이 비교적 덜 수행되는 통신선을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상기 제3배관 공간(130)이 도 2에 도시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전선이 수용되는 공간을 상기 제1배관 공간(110) 및 제2배관 공간(120)으로 분리된 채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다량의 전선 및 통신선이 하나의 공간에 수용되어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건물의 외부와 내부의 열교환을 차단하는 단열재(300)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창호가 형성되는 벽을 통한 열의 손실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300)는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창호의 외부와 내부 사이에서 열에너지를 차단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배관 공간(110)과 상기 배관 캡(200) 및 가스켓(400)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과 같이, 상기 제1배관 공간(110)은 창호의 폭 방향 타측 상부에 상기 배관 캡(200)의 폭 방향 타측이 삽입되는 제1결합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부(111)는 상기 배관 캡(200)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배관 캡(200)의 상부 및 하부를 밀폐시키는 요(凹)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별도로 형상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배관 캡(200)의 폭 방향 일측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결합부(112)가 상기 제1결합부(111)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2결합부(112)는 단순히 상기 배관 캡(200)의 하부를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게 되는 상기 배관 캡(200) 및 가스켓(400)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더 나아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결합부(112)와 접하는 위치에 상기 가스켓(400)이 위치하는 제3결합부(113)가 형성된다. 상기 제3결합부(113)는 후술하는 상기 가스켓(400)의 제1삽입부(410)가 삽입되는 요(凹)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제1삽입부(41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구조라면 별도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삽입부(41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3결합부(113) 상부에는 별도의 제2삽입부로 인하여 상기 가스켓(40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선이 수용되는 상기 배관 공간(100)의 내부를 절연소재로 이루어진 삽입 절연재(140)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선이 상기 배관 공간(100) 내에서 합선되어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삽입 절연재(140)가 상기 복수의 배관 공간(110,120)내에 삽입된 실시예는 도 7에 도시하였으며, 상기 삽입 절연재(140)는 절연소재인 동시에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필요시 시공자가 상기 복수의 배관 공간(110,120)에서 상기 삽입 절연재(140)를 선택적으로 추가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배관 캡(200)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관 캡(200)은 폭 방향으로 양측이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결합부(111) 및 제2결합부(112)에 상기 배관 캡(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배관 캡(200)이 외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배관 캡(200)이 절곡된 제2삽입부(210)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111) 및 상기 가스켓(400)이 상기 절곡부(210)에 접함으로써 결합이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삽입부(210)가 형성되지 않았을 때보다 상기 배관 공간(100)의 빈 공간이 증가함에 따라 전선을 수용할 수 있는 부피가 커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상기 가스켓(400)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와 같이 상기 가스켓(400)은 상기 제3결합부(113)에 삽입되는 상기 제1삽입부(410)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부(410)는 상기 제3결합부(113)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배관 공간(100)으로부터 상기 가스켓(40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삽입부(410)는 상기 제3결합부(113)의 걸림턱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삽입부(410)의 선단은 상기 제3결합부(113)의 개구부보다 큰 구조로 형성되어야 상기 가스켓(400)이 결합되었을 시, 의도하지 않은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이는 상기 배관 공간(100)에 상기 가스켓(400)이 결합하는 데 어려움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위하여 상기 가스켓(400)의 재질을 탄성에 의해 변형 및 복원이 이루어지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가스켓(400)은 상기 제2결합부(112)가 밀폐시키지 못하는 상기 배관 캡(200)의 폭 방향 일측 상부를 밀폐시키는 고정부(420)가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가스켓(400)의 상기 제1삽입부(410)가 상기 제3결합부(113)에 삽입이 되면, 상기 고정부(420)가 상기 배관 캡(200)을 고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삽입부(410)가 상기 제3결합부(113)를 이탈하지 않는 이상 상기 배관 캡(200)은 상기 제1결합부(111)를 이탈할 수 없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상호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해지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창호에 수용되는 전선을 시공하는 순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a)는 연장되는 방향이 상이한 복수의 전선을 상기 제1배관 공간(110) 및 제2배관 공간(120)에 수용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때, 상기 제3배관 공간(130)에는 복수의 통신선이 수용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전선이 수용되는 공간과 분리된 공간에 수용됨으로 인하여 합선과 같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복수의 전선이 수용된 상기 배관 공간(100)의 상기 제1결합부(111) 및 제2결합부(112)에 상기 배관 캡(200)을 결합시켜 밀폐시킨다. 이로 인하여 복수의 전선이 프레임 창호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2결합부(112)는 상기 배관 캡(200)의 폭 방향 일측 하부만을 지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배관 캡(200)이 작은 외력에 의해 의도치 않게 프레임 창호에서 이탈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켓(400)을 상기 제3결합부(113)에 삽입시킨다. 이로써, (d)와 같이 복수의 전선이 수용된 상기 배관 공간(100)을 완벽하게 밀폐시켜 전선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추후에 상기 복수의 전선을 교체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는 순서는 상기한 시공 순서의 역순으로 진행하여 용이한 전선 교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1 : 종래 배관 몰드의 커버 2 : 종래 배관 몰드의 기저부
3 : 종래 배관 몰드의 롤
100 : 배관 공간
110 : 제1배관 공간
111 : 제1결합부 112 : 제2결합부
113 : 제3결합부
120 : 제2배관 공간 130 : 제3배관 공간
140 : 삽입 절연재
200 : 배관 캡 210 : 제2삽입부
300 : 단열재
400 : 가스켓
410 : 제1삽입부 420 : 고정부
500 : 유리창

Claims (7)

  1. 건물의 벽면에 형성되는 프레임 창호에 있어서,
    벽면의 외벽 또는 내벽 중 적어도 하나의 벽면 측에 형성되어 복수의 전선이 매립되는 배관 공간(100); 및
    폭 방향 양측이 절곡되어 제2삽입부(210)가 형성되는 형상으로, 상기 배관 공간(100)과 결합하여 상기 배관 공간(100)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선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관 캡(200);
    을 포함하되,
    상기 배관 공간(100)의 높이 방향 일측 및 상기 배관 캡(200)의 폭 방향 일측과 결합하는 제1삽입부(410)가 형성되어, 상기 배관 캡(200)이 상기 배관 공간(100)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스켓(400);
    을 더 포함하는 전선 시공이 용이한 덕트 프레임 창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공간(100)은
    벽면의 외벽 또는 내벽 측에 복수로 형성되어,
    연장되는 방향이 상이한 복수의 전선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시공이 용이한 덕트 프레임 창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공간(100)은
    창호의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복수의 전선이 수용되는 제1배관 공간(110) 및 제2배관 공간(120)과,
    상기 제1배관 공간(110) 및 제2배관 공간(120) 사이에 형성되어 복수의 통신선을 수용하는 제3배관 공간(1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시공이 용이한 덕트 프레임 창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공간(100)의 폭 방향 일측에는
    상기 배관 캡(200)의 폭 방향 일측 하면이 안치되는 제2결합부(112) 및 상기 가스켓(400)의 상기 제1삽입부(410)가 삽입되는 제3결합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배관 공간(100)의 폭 방향 타측에는
    상기 배관 캡(200)의 폭 방향 타측이 삽입되는 제1결합부(1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시공이 용이한 덕트 프레임 창호.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400)은
    상기 배관 캡(200)의 폭 방향 일측의 상부와 접하는 고정부(4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결합부(113)와 상기 제1삽입부(410)의 결합여부에 따라 상기 배관 캡(200)의 이탈여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시공이 용이한 덕트 프레임 창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400)은
    탄성에 의한 변형 및 복원이 이루어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시공이 용이한 덕트 프레임 창호.
KR1020180055223A 2018-05-15 2018-05-15 전선 시공이 용이한 덕트 프레임 창호 KR101908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223A KR101908088B1 (ko) 2018-05-15 2018-05-15 전선 시공이 용이한 덕트 프레임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223A KR101908088B1 (ko) 2018-05-15 2018-05-15 전선 시공이 용이한 덕트 프레임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8088B1 true KR101908088B1 (ko) 2018-10-15

Family

ID=63865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223A KR101908088B1 (ko) 2018-05-15 2018-05-15 전선 시공이 용이한 덕트 프레임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0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658B1 (ko) 2019-03-28 2020-02-11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내부 전선의 진행 방향을 유도하는 창호 프레임 결합 브라켓
KR102421568B1 (ko) 2021-11-10 2022-07-15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가변 결합구조의 단열재가 구비되는 창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667B1 (ko) 2007-04-24 2007-11-26 (주)이도엔지니어링 기술사사무소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1110760B1 (ko) 2011-10-13 2012-02-24 (주)정엔지니어링 벽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전선 보호덕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667B1 (ko) 2007-04-24 2007-11-26 (주)이도엔지니어링 기술사사무소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1110760B1 (ko) 2011-10-13 2012-02-24 (주)정엔지니어링 벽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전선 보호덕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658B1 (ko) 2019-03-28 2020-02-11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내부 전선의 진행 방향을 유도하는 창호 프레임 결합 브라켓
KR102421568B1 (ko) 2021-11-10 2022-07-15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가변 결합구조의 단열재가 구비되는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626B1 (ko) 단열 방화문
JP5395802B2 (ja) 太陽光発電ソーラーパネル用接続箱
KR101908088B1 (ko) 전선 시공이 용이한 덕트 프레임 창호
JP2018053707A (ja) 太陽電池等のケーブル引込ユニット及び太陽電池等のケーブル引込ユニットの施工方法
CN105304378B (zh) 一种防水防触电安全开关
EP3021438B1 (en) Electrical insulating box with two options of tightness degree for electricity, information technology and/or telephony
KR101524973B1 (ko) 알루미늄-피브이씨 일체형 복합 이중창호의 커튼월 구조
CN102678924B (zh) 用于管材穿插连接的单边孔防水密封组件
US8445778B2 (en) Cable entry device for wiring boxes
KR101199847B1 (ko) 선박용 도어의 패킹구조
JP2007086180A (ja) 成端キャビネット
KR100880344B1 (ko) 복합 개폐식 창호
KR200398634Y1 (ko) 이중 밀폐형 로칼 스위치 박스
KR200479319Y1 (ko) 케이블의 방수 보호 커버
JP5483418B2 (ja) ロアシール
US20160301361A1 (en) Housing for Solar Panel Electric Connection
KR980009839U (ko) 통신케이블용 단자함
JP2012029409A (ja) グロメット
KR20100008257U (ko) 수밀기능을 갖는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CN211480875U (zh) 一种可拼接式地下管廊电力保护管
CN209539185U (zh) 一种密封隔音效果好的推拉门
KR200436995Y1 (ko) 벽부용 아웃렛박스
CN215009389U (zh) 一种应用于装配式内装的线槽
JP2014233153A (ja) 配線引き込み構造および配線引き込み具
JP6119506B2 (ja) ドア用グロメット及びグロメット付ワイヤー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