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995Y1 - 벽부용 아웃렛박스 - Google Patents

벽부용 아웃렛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995Y1
KR200436995Y1 KR2020060030982U KR20060030982U KR200436995Y1 KR 200436995 Y1 KR200436995 Y1 KR 200436995Y1 KR 2020060030982 U KR2020060030982 U KR 2020060030982U KR 20060030982 U KR20060030982 U KR 20060030982U KR 200436995 Y1 KR200436995 Y1 KR 2004369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box
cover
wall
outward flange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09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왕
Original Assignee
(주)대교에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교에이스 filed Critical (주)대교에이스
Priority to KR20200600309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9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9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9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부용 아웃렛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에 내부로 관통된 커넥터가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된 아웃렛박스, 상기 아웃렛박스의 개방된 일면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아웃렛박스와 커버 사이에 삽입되어 외부의 습기나 이물질이 아웃렛박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밀폐패드의 테두리에는 외향플랜지부가 연장형성되어 상기 아웃렛박스 또는 커버의 내면에 밀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벽부, 매입, 아웃렛박스, 밀폐, 패드.

Description

벽부용 아웃렛박스{OUTLET BOX FOR WALL}
도 1은 종래 벽부용 아웃렛 박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벽부용 아웃렉 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벽부용 아웃렛 박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벽부용 아웃렛 박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도이다.
<주요 도면 부호에 관한 설명>
110 : 박스 본체 111 : 커넥터
112 : 프레임홀더 115, 141 : 외향플랜지
130 : 커버 134 : 걸림턱
140 : 밀폐패드
본 고안은 더욱 상세하게는 작동이 용이하면서도 아웃렛박스와 커버가 보다 밀착결합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습기나 이물질의 유입을 완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벽부용 아웃렛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건축물의 전화 또는 전기배선에 사용되는 옥내용 배관박스는 건물천정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실링 박스(concrete ceiling box)와 건물내벽의 철근 사이에 취부되는 콘크리트 월 박스(concrete wall box)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박스는 배관을 외부로 연결한다하여 아웃렛 박스(outlet box)라고 하며, 그 중 종래의 월 박스, 즉 벽부용 아웃렛 박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와 커버(2)와 연결링(3)이 결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아웃렛 박스의 케이스(1)에는 다수의 커넥터(4)가 형성되고, 이 커넥터(4)로부터 전선 등의 배관이 분기된다. 또한, 케이스(1)와 결합되는 커버(2)에는 철근걸이(5)가 형성되며, 이와 같은 상,하측의 철근걸이(5)를 매개로 건물벽체의 철근에 취부된다. 케이스(2)에는 연결링(3)이 결합되며, 건물 벽체의 콘크리트 시공후 이 연결링(3)의 전면이 벽체 밖으로 개통된다.
아웃렛 박스의 설치에 있어서, 벽부용 아웃렛 박스는 건물벽체용 철근에 취부된 상태에서 철근의 안쪽과 바깥쪽에 목재 폼을 대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 후, 폼을 제거하였을 때 벽체 콘크리트내에 고정되면서 아웃렛 박스의 전면만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시공되며, 이 때, 벽부용 아웃렛 박스가 그 전면, 즉 연결링(3)의 앞면이 폼에 맞닿도록 철근에 취부되어야 하나, 철근의 설치위치가 일정하지 못하 여 시공시 아웃렛 박스의 위치를 잡는데 상당한 애로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커버(2)와 연결링(3) 간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커버(2)와 연결링(3)의 결합 시 탄성력을 갖도록 하여 아웃렛 박스의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벽부용 아웃렛 박스는 커버(2)와 연결링(3)의 결합 시 외부로부터 습기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종래에는 연결링(3)의 테두리에 오링(O-ring) 등을 설치하여 밀폐력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아웃렛 박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2)와 연결링(3) 간에 탄성력을 갖도록 결합되므로 통상적인 실링 부재로 사용되는 오링을 아웃렛 박스에 적용할 경우 오링이 커버(2)의 내벽에 밀착되어 연결링(3)과 커버(2) 간에 탄성력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고, 그에 따라 연결링(3)을 커버(2)의 내외측으로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연결링(3)과 커버(2) 간의 탄성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커버(2)와 연결링(3)의 대응치수가 매우 정밀하게 제작되어야 하므로 생산 시 치수 부정합으로 인해 불량품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작동이 용이하면서도 아웃렛박스와 커버가 밀착결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습기나 이물질의 유입을 완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양측에 내부로 관통된 커넥터가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된 아웃렛박스, 상기 아웃렛박스의 개방된 일면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아웃렛박스와 커버 사이에 삽입되어 외부의 습기나 이물질이 아웃렛박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패드를 포함하되,상기 밀폐패드의 테두리에는 외향플랜지부가 연장형성되어 상기 아웃렛박스 또는 커버의 내면에 상기 외향플랜지부가 꺾이면서 밀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용 아웃렛박스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양측에 내부로 관통된 커넥터가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된 아웃렛박스 및 상기 아웃렛박스의 개방된 일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아웃렛박스는 상기 커버와 접하는 일측 테두리에 외향플랜지부가 연장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내면에 상기 외향플랜지부가 꺾이면서 밀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용 아웃렛박스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양측에 내부로 관통된 커넥터가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된 아웃렛박스 및 상기 아웃렛박스의 개방된 일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아웃렛박스와 접하는 일측 테두리에 외향플랜지부가 연장형성되어 상기 아웃렛박스의 내면에 상기 외향플랜지부가 꺾이면서 밀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용 아웃렛박스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며,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고안인 벽부용 아웃렉 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벽부용 아웃렛 박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벽부형 아웃렛 박스는 전선이 수용되는 커넥터(111)가 형성된 박스 본체(110)와 박스 본체(110)에 결합되는 커버(130) 및 박스 본체(110)와 커버(130)의 사이에 삽입되어 외부의 습기나 이물질이 아웃렛 박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패드(140)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밀폐패드(140)는 일반적인 고무 패킹이 아닌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밀폐패드(140)는 외부의 습기나 이물질이 아웃렛박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두리가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외향플랜지(141)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외향플랜지부(141)는 얇게 형성되어 쉽게 꺾어질 수 있으므로 커버(130)와의 결합 시 외향플랜지부(141)의 상단이 커버(130)의 상단 내측으로 꺾이면서 삽입되어 커버(130)의 상단 내측과 밀착결합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외향플랜지부(141)에 의해 밀폐력이 유지되므로 외향플랜지부(141)의 길이를 여유있게 형성하면 박스 본체(110)와 커버(130) 간의 치수가 정확하게 맞지 않더라도 충분히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외향플랜지부(141)의 두께를 얇게 하면 커버(130)가 박스 본체(110)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커버(130)의 내측에는 상기 박스 본체(110)의 내측면에 체결고정되는 걸림턱(134)들이 더 연장형성된다.
박스 본체(110), 커버(130), 커버(130)의 걸림턱(134)과 박스 본체(110)의 걸림부(미도시)의 체결구조는 종래와 동일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고안인 벽부용 아웃렛 박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도이다.
상기 아웃렛박스(110) 또는 커버(130)의 일측 테두리에는 외향플랜지부(115)가 더 연장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상기 커버(130)의 일측이 밀접되는 상기 아웃렛박스(110)의 일측 테두리에 상기 아웃렛박스(110)와 커버(130)의 밀폐력을 강화하기 위한 외향플랜지부(115)가 더 연장형성된다.
외향플랜지부(115)는 탄성체가 아닌 합성수지재로 얇은 두께로 사출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30)와의 결합 시 외향플랜지부(115)의 양단이 커버(130)의 상단 내측으로 꺾이면서 삽입되어 커버(130)의 상단 내측과 밀착결합되어 이물질이나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아웃렛박스(110)의 일측 테두리에 외향플랜지부(115)가 더 연 장형성될 경우 상기 밀폐패드(140)의 구성 없이도 아웃렛박스(110)와 커버(130)와의 견고한 밀착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밀폐패드를 더 구성할 경우에는 그 밀폐력이 더욱 증가되어 아웃렛박스의 내부에 먼지나 습기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외에도 본 고안인 벽부용 아웃렛 박스는 다양하게 변형실시 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작동이 용이하면서도 아웃렛박스와 커버가 밀착결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습기나 이물질의 유입을 완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3)

  1. 양측에 내부로 관통된 커넥터가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된 아웃렛박스;
    상기 아웃렛박스의 개방된 일면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아웃렛박스와 커버 사이에 삽입되어 외부의 습기나 이물질이 아웃렛박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밀폐패드의 테두리는 외향플랜지부가 연장형성되어 상기 아웃렛박스 또는 커버의 내면에 상기 외향플랜지부가 꺾이면서 밀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용 아웃렛박스.
  2. 양측에 내부로 관통된 커넥터가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된 아웃렛박스; 및
    상기 아웃렛박스의 개방된 일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아웃렛박스는 상기 커버와 접하는 일측 테두리에 외향플랜지부가 연장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내면에 상기 외향플랜지부가 꺾이면서 밀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용 아웃렛박스.
  3. 양측에 내부로 관통된 커넥터가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된 아웃렛박스; 및
    상기 아웃렛박스의 개방된 일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아웃렛박스와 접하는 일측 테두리에 외향플랜지부가 연장형성되어 상기 아웃렛박스의 내면에 상기 외향플랜지부가 꺾이면서 밀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용 아웃렛박스.
KR2020060030982U 2006-12-05 2006-12-05 벽부용 아웃렛박스 KR2004369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982U KR200436995Y1 (ko) 2006-12-05 2006-12-05 벽부용 아웃렛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982U KR200436995Y1 (ko) 2006-12-05 2006-12-05 벽부용 아웃렛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995Y1 true KR200436995Y1 (ko) 2007-10-23

Family

ID=41637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0982U KR200436995Y1 (ko) 2006-12-05 2006-12-05 벽부용 아웃렛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9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228B1 (ko) 2012-05-31 2013-05-21 김성복 접지구조를 갖는 옥내용 아웃렛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228B1 (ko) 2012-05-31 2013-05-21 김성복 접지구조를 갖는 옥내용 아웃렛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93808B2 (ja) 基礎部の配管構造及び基礎部の配管工法
KR200436995Y1 (ko) 벽부용 아웃렛박스
KR100655881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구조
KR100907244B1 (ko) 단자함
KR20120041433A (ko) 조립식 욕실방수판용 가변형 몰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욕실방수판
KR100951956B1 (ko) 조립식 욕실의 난방파이프 설치구조
KR101591295B1 (ko) 공동주택용 콘센트박스 설치방법
KR101355822B1 (ko) 단자함
KR200436059Y1 (ko) 매입형 아웃렛 박스
KR200334688Y1 (ko) 천장 매입형 배선함
KR200466523Y1 (ko) 전선관연결체
KR20090008540A (ko) 건물내벽용 아웃렛박스 어셈블리
KR101354139B1 (ko) 단자함
KR101100872B1 (ko) 천장 매입형 접속함의 고정장치
KR20100008257U (ko) 수밀기능을 갖는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JPS6325624Y2 (ko)
KR200169453Y1 (ko) 전선 배관용 덕트
KR100820645B1 (ko)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
KR200433304Y1 (ko) 벽부용 아웃렛 박스
JP2006101575A (ja) 地中埋設箱の構造
JP2003113633A (ja) 排水桝
WO1994003951A1 (en) Switches and taps housing box with cover
KR200430669Y1 (ko) 단자함 고정구
KR100945853B1 (ko) 단자함 고정구
JP2022130089A (ja) 排水器具取付構造、水槽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