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0645B1 -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0645B1
KR100820645B1 KR1020070127548A KR20070127548A KR100820645B1 KR 100820645 B1 KR100820645 B1 KR 100820645B1 KR 1020070127548 A KR1020070127548 A KR 1020070127548A KR 20070127548 A KR20070127548 A KR 20070127548A KR 100820645 B1 KR100820645 B1 KR 100820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x
box
fixture
terminal
box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7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산전기기술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산전기기술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산전기기술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70127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06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0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0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박스체 외면에 원형홈이 형성되고 수평하게 고정구가 돌출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견고하게 고정됨은 물론, 단자함의 내부에 단자소켓이 볼트결합되는 방식으로 연결구조를 가지는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면이 오픈(open)된 형태로, 박스체(11)의 외면에 다수개의 원형홈(12)이 형성되고, 박스체(11)의 상,하면으로 원형홀(13)이 관통형성되며, 박스체(11)의 측면에 원형 파이프 형태로 고정구(14)가 돌출형성되며, 박스체(11)의 내부 바닥 중앙에 오픈된 쪽으로 돌출봉부(15)가 돌출형성되고, 박스체(11)의 내부 측에 사각핀(16)이 형성되며, 박스체(11)의 모서리에 체결홀(17)이 형성된 단자함(10);
박스체(11)의 측면 고정구(14)가 돌출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견고하게 고정됨과 아울러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작되되, 원형홀(13)에 볼트결합되어 파이프(2)를 연결시키는 연결구(30);
단자함(10)의 돌출봉부(15)에 볼트체결되되, 원기둥 형태의 몸체를 가지고 외면에 다수개이 사각홈(41)이 형성되고, 사각홈(41)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케이블(3)이 연결되며, 2개의 연결홀(42)이 형성되고, 내부에 단자(43)가 형성되며, 후방에 볼트부(45)가 돌출형성된 단자 소켓(40);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작한 평판이 이용되되, 중앙에 대구경의 원형홀(51) 이 형성되고 모서리에 체결홀(52)이 형성되어 볼트(55)에 의해 단자함(10)에 고정되는 전면판(50);을 포함하되,
단자함(10)의 고정구(14)에 마개(20)가 설치되어 마감되고,
거푸집 내부에 설치된 단자함(10)은 원형홈(12)과 고정구(14)가 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와 고착력을 강화시키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가 제시된다.
건축물, 전기, 단자함, 단자 소켓, 연결구

Description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FIXING IMPLEMENT FOR ELECTRIC BOX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박스체 외면에 원형홈이 형성되고 수평하게 고정구가 돌출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견고하게 고정됨은 물론, 단자함의 내부에 단자소켓이 볼트결합되는 방식으로 연결구조를 가지는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자함이라고 하면, 단독, 공동주택 혹은 건물 등의 시공시 벽체에 매설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예컨대 전기선, 전화선, 인터넷 전용선, 안테나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단자함을 벽체에 매설하는 과정을 보면, 벽체를 형성하는 철근골조를 먼저 설치 후, 그 철근 골조에는 준비된 단자함을 그 단자함의 개구부를 실내로 노출되게 위치하고, 이어서 거푸집을 설치 후 시멘트 몰탈을 타설함에 의해 단자함이 매입된 벽체를 형성하고 있다.
벽체에 단자함이 매설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단자함의 내부에 단자 소켓을 설치시 불편한 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박스체 외면에 원형홈이 형성되고 수평하게 고정구가 돌출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견고하게 고정됨은 물론, 단자함의 내부에 단자소켓이 간단한 볼트결합 방식으로 연결구조를 가지는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박스체의 외면에 다수개의 원형홈이 형성되고, 상,하면에 원형홀이 관통되며, 측면에 고정구가 돌출되고, 내부 바닥 중앙에 돌출봉부가 돌출되며, 내부 측에 사각핀이 다수개 형성되며, 모서리에 체결홀이 형성된 단자함;
박스체의 측면 고정구가 돌출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견고하게 고정됨과 아울러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작되되, 원형홀에 볼트결합되어 파이프를 연결시키는 연결구;
단자함의 돌출봉부에 볼트체결되되, 원기둥 형태의 몸체를 가지고 외면에 다수개이 사각홈이 형성되고, 사각홈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케이블이 연결되며, 2개의 연결홀이 형성되고, 내부에 단자가 형성되며, 후방에 볼트부가 돌출형성된 단자 소켓;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작한 평판이 이용되되, 중앙에 대구경의 원형홀이 형성되고 모서리에 체결홀이 형성되어 볼트에 의해 단자함에 고정되는 전면판;을 포 함하되,
단자함의 고정구에 마개가 설치되어 마감되고,
거푸집 내부에 설치된 단자함은 원형홈과 고정구가 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와 고착력을 강화시키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가 제시된다.
본 발명의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에 의해 발생되는 효과를 하기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에 따르면, 박스체 외면에 원형홈이 형성되고 수평하게 고정구가 돌출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견고하게 고정됨은 물론, 단자함의 내부에 단자소켓이 간단한 볼트결합 방식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단자함 고정구조가 제공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단자 소켓의 사시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 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는, 박스체(11)의 외면에 원형홈(12)이 다수개 형성되어 콘크리트와 부착을 향상시킨 단자함(10)을 주요 요부로 하며, 벽체(1) 내부에 설치되는 파이프(2)와 단자함(10)의 원형홀(13)에 체결되어 파이프(2)와 단자함(10)을 연결시키는 파이프용 연결구(30)와, 단자함(10)의 내부 바닥면에 돌출봉부(15)가 형성되어 볼트부(45)가 볼트결합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단자소켓(40)과, 단자함(10)의 전면에 볼트고정되는 전면판(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단자함(10)은, 도 2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직육면체로 일측면이 오픈(open)된 형태로, 박스체(11)의 외면에 다수개의 원형홈(12)이 형성되고, 박스체(11)의 상,하면으로 원형홀(13)이 관통형성되며, 박스체(11)의 측면에 원형 파이프 형태로 고정구(14)가 돌출형성되며, 박스체(11)의 내부 바닥 중앙에 오픈된 쪽으로 돌출봉부(15)가 돌출형성되고, 박스체(11)의 내부 측에 사각핀(16)이 형성되며, 박스체(11)의 모서리에 체결홀(17)이 형성된다.
즉, 단자함(10)에는 박스체(11)의 외면에 원형홈(12)이 다수개 형성되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고착력을 강화시키게 됨은 물론, 단자함(10)에는 박스체(11)의 측면 고정구(14)가 돌출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견고하게 고정되며, 원 형홀(13)에 연결구(30)가 볼트결합되어 파이프(2)를 연결하게 되고, 고정구(14)에 마개(20)가 설치되어 마감된다.
상기 연결구(30)는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작되되, 연결구(30)는 원형 파이프 형태로, 하부에 볼트부가 형성되어 단자함(10)의 원형홀(13)에 볼트체결된다.
상기 단자함(10)의 돌출봉부(15)에는 단자 소켓(40)이 볼트체결되되, 원기둥 형태의 몸체를 가지는 단자 소켓(40)에는 외면에 다수개이 사각홈(41)이 형성되고, 사각홈(41)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케이블(3)이 연결되어 전기가 통하게 되며, 단자 소켓(40)에는 2개의 연결홀(42)이 형성되고, 내부에 단자(43)가 형성되며, 후방에 볼트부(45)가 돌출형성된다.
즉, 단자 소켓(40)은 볼트부(45)가 단자함(10)의 돌출봉부(15)에 볼트결합되되, 단자(43)에 케이블(3)의 피복을 벗겨서 연결설치하게 된다.
전면판(50)은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작한 평판이 이용되되, 중앙에 대구경의 원형홀(51)이 형성되고 모서리에 체결홀(52)이 형성되어 볼트(55)에 의해 단자함(1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단자함(10)에는 박스체(11) 외면에 원형홈(12)이 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단자함(10)과 벽체(1)의 고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단자함(10)에는 박스체(11)의 내부 바닥에 단자 소켓(40)이 볼트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이때, 단자함(10)이 설치된 위치에는 도면상 미도시 되었지만 거푸집 내부에 철근이 배근되고 사이에 단자함(10)이 위치되며,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 여 벽체(1)가 시공된다.
뿐만 아니라, 단자함(10)에는 도 3과 같이 측면에 고정구(14)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콘크리트 타설 후에 견고한 고정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단자함(10)에는 내부에 단자 소켓(40)을 결합한 뒤 케이블(3)의 피복을 벗겨서 사각홈(41)의 관통홀에 삽입하면 전기가 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단자 소켓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벽체 2 ; 파이프
3 ; 케이블 10; 단자함
11; 박스체 12; 원형홈
13; 원형홀 14; 고정구
15; 돌출봉부 16; 사각핀
20; 마개 30; 연결구
40; 단자 소켓 41; 사각홈
42; 연결홀 45; 볼트부
50; 전면판 51; 원형홀
52; 체결홀 55; 볼트
60; 플러그

Claims (1)

  1. 일측면이 오픈(open)된 형태로, 박스체(11)의 외면에 다수개의 원형홈(12)이 형성되고, 박스체(11)의 상,하면으로 원형홀(13)이 관통형성되며, 박스체(11)의 측면에 원형 파이프 형태로 고정구(14)가 돌출형성되며, 박스체(11)의 내부 바닥 중앙에 오픈된 쪽으로 돌출봉부(15)가 돌출형성되고, 박스체(11)의 내부 측에 사각핀(16)이 형성되며, 박스체(11)의 모서리에 체결홀(17)이 형성된 단자함(10);
    박스체(11)의 측면 고정구(14)가 돌출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견고하게 고정됨과 아울러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작되되, 원형홀(13)에 볼트결합되어 파이프(2)를 연결시키는 연결구(30);
    단자함(10)의 돌출봉부(15)에 볼트체결되되, 원기둥 형태의 몸체를 가지고 외면에 다수개이 사각홈(41)이 형성되고, 사각홈(41)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케이블(3)이 연결되며, 2개의 연결홀(42)이 형성되고, 내부에 단자(43)가 형성되며, 후방에 볼트부(45)가 돌출형성된 단자 소켓(40);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작한 평판이 이용되되, 중앙에 대구경의 원형홀(51)이 형성되고 모서리에 체결홀(52)이 형성되어 볼트(55)에 의해 단자함(10)에 고정되는 전면판(50);을 포함하되,
    단자함(10)의 고정구(14)에 마개(20)가 설치되어 마감되고,
    거푸집 내부에 설치된 단자함(10)은 원형홈(12)과 고정구(14)가 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와 고착력을 강화시키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
KR1020070127548A 2007-12-10 2007-12-10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 KR100820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548A KR100820645B1 (ko) 2007-12-10 2007-12-10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548A KR100820645B1 (ko) 2007-12-10 2007-12-10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0645B1 true KR100820645B1 (ko) 2008-04-17

Family

ID=39571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7548A KR100820645B1 (ko) 2007-12-10 2007-12-10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06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035B1 (ko) * 2006-05-11 2006-08-01 주식회사 맥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단자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035B1 (ko) * 2006-05-11 2006-08-01 주식회사 맥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단자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특허공보10-060703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29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lugging core holes
US8759676B1 (en) Electrical box assembly for concrete poured floors
KR100761047B1 (ko) 공동주택 천정 전기 케이블 설치구조
KR101093898B1 (ko) 건축물용 매입형 전기스위치박스
KR100655881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구조
KR200403590Y1 (ko) 단자함
KR100820645B1 (ko)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
US20020125247A1 (en) Electrical wiring box
KR100697030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100836190B1 (ko) 벽면매설용 건축물 콘센트박스
EP1961093B1 (en) Ceiling box
KR100805073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100648090B1 (ko) 공동주택용 십자형 단자함 고정구
KR100687602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101591295B1 (ko) 공동주택용 콘센트박스 설치방법
KR101511952B1 (ko) 모듈 확장 및 교체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유닛
KR101638934B1 (ko)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 고정구조
KR20080029331A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100564294B1 (ko) 천장 전기 단자함
KR200236129Y1 (ko) 매설용 멀티 콘센트 박스
KR200334688Y1 (ko) 천장 매입형 배선함
KR101004046B1 (ko) 설치가 용이한 건축용 벽면 매설 단자함
KR200492152Y1 (ko) 건물 벽체의 매입 박스용 고정 시스템
KR200436995Y1 (ko) 벽부용 아웃렛박스
KR100836192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