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129Y1 - 매설용 멀티 콘센트 박스 - Google Patents

매설용 멀티 콘센트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129Y1
KR200236129Y1 KR2020010007316U KR20010007316U KR200236129Y1 KR 200236129 Y1 KR200236129 Y1 KR 200236129Y1 KR 2020010007316 U KR2020010007316 U KR 2020010007316U KR 20010007316 U KR20010007316 U KR 20010007316U KR 200236129 Y1 KR200236129 Y1 KR 2002361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telephone
box
cover
elect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3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균
이충현
Original Assignee
이성균
이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균, 이충현 filed Critical 이성균
Priority to KR20200100073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1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1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129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 전화, 안테나 및 통신용 콘센트가 내장되어 벽체에 매설되는 매설용 멀티 콘센트 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 콘센트와 전기 콘센트 사이에 격벽을 설치하여 전화 콘센트와 전기 콘센트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유도 장애를 방지함과 동시에 부품수를 줄여 생산원가를 감소토록한 것에 관한 것인데 그 구성은 사측벽면에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는 다수의 구멍(51)이 형성되어 벽체에 매설되는 박스 몸체(50)와; 상기 박스 몸체(50)의 상부에 후크로 결합되는 프레임 (40)과; 상기 프레임(40)에 나사(21)로 연결 고정되며 내부 양측에 전기콘센트 어셈블리 (30)와 전화콘센트 어셈블리(31)가 후크(32) 결합되는 커버틀 몸체(20)와; 상기 커버틀 몸체(20)의 상면에 스프링(11)으로 힌지 결합되고 저면 중앙부 하방향으로 격벽(12)이 형성되며 하부에 형성된 한쌍의 도어(13)의 저면 뒷부분에 설치된 스프링(14)에 의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형성된 커버(1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매설용 멀티 콘센트 박스로서 이것은 콘센트 박스에 전기 콘센트와 전화 콘센트가 동시에 설치되어 있더라도 전기콘센트의 강전류 전선과 전화콘센트에 연결된 약전류 전선 상호 간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유도 장애를 차단하고, 콘센트에 연결되어 전기선이 배출되는 도어를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므로서 번거로움을 없애줌과 동시에 틈을 최소화하여 미관상으로 보기 좋도록하는 한편, 멀티 콘센트 박스의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원가 절감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한 효과가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매설용 멀티 콘센트 박스{a buried socket box}
본 고안은 전기, 전화, 안테나 및 통신용 콘센트가 내장되어 벽체에 매설되는 매설용 멀티 콘센트 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 콘센트와 전기 콘센트 사이에 격벽을 설치하여 전화 콘센트와 전기 콘센트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유도 장애를 방지함과 동시에 부품수를 줄여 생산원가를 감소토록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체에는 전기 콘센트 박스, 전화 콘센트 박스, 안테나 콘센트 박스 등 다양한 콘센트 박스가 별개로 각각 설치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각각의 콘센트 박스는 시공시 각기 별개의 배관을 설치해야 함으로 인건비 및 자재비의 손실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전기 콘센트 박스, 전화 콘센트 박스, 안테나 콘센트 박스 등이 서로 대향되게 마주보면서 매설된 멀티 콘센트 박스가 등장하고 있다.
이와같은 종래의 매립용 콘센트 박스는 일반적으로 한개의 도어와 잠금부가 각각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를 힌지 결합한 커버틀과; 상기 커버틀 하부에 순차적으로 각각의 전기콘센트 어셈블리와 전화콘센트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장착틀로구성된 어셈블리 결합판과; 확장 프레임 및 박스 몸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것은 콘센트 어셈블리에서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전기콘센트의 강전류 전선과 전화콘센트에 연결된 약전류 전선은 상호 정전등 기타 여러 가지 유도 장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각각의 콘센트에 연결되는 전기선과 전화선이 인츨되는 도어 부분이 항상 선의 굵은 부분만큼 열려져 있으므로 미관상 보기가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기,전화콘센트 어셈블리를 결합하는 별도의 어셈블리 결합판이 있어야 하므로 멀티 콘센트 박스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부품수가 많이 들어가므로 생산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고나서 선이 인출되는 커버 도어는 미관상 사람이 직접 닫아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박스 몸체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으로 전기 파이프를 관통시킨 다음 박스 몸체 내부에서 너트로 고정시켜야 하므로 작업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전기,전화콘센트 어셈블리를 별도의 어셈블리 결합판에 나사 결합해야하므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목적은, 첫째, 콘센트 박스에 전기 콘센트와 전화 콘센트가 동시에 설치되어 있더라도 강전류와 약전류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유도 장애를 미리 방지하고, 둘째, 콘센트에 연결되어 인출되는 전기선이나 전화선이 배출되는 도어를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므로서 도어를 일일이 닫아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애주고, 셋째,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원가를 절감토록하며, 넷째, 콘센트 박스 설치시 전기,전화콘센트 어셈블리를 간편하게결합되도록하여 작업 효율을 높이도록한 데 그 목적을 둔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콘센트 박스의 뚜껑의 저면에 격벽을 설치하고 도어 부분에는 스프링을 설치하며, 커버가 결합되는 커버틀의 몸체에 전기,전화 콘센트 어셈블리를 후크로 결합할 수 있도록한 콘센트 박스를 제공하므로서 그 목적은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고안인 콘센트 박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2에서 나타낸 뚜껑의 저부를 나타낸 저면도
도 4는 도2에서 박스 몸체의 평면도
도 5는 본고안에 따른 박스 몸체와 프레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고안에 따른 전기콘센트 어셈블리와 전화콘센트 어셈블리가 커버틀
몸체에 후크 결합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커버 11: 스프링
12: 격벽 13: 도어
14: 스프링 15: 장식 부착 영역
20: 커버틀 몸체 21: 나사
30: 전기콘센트 어셈블리 31: 전화콘센트 어셈블리
32: 후크 40: 프레임
41: 결합돌기 50: 박스 몸체
51: 구멍 52: 돌기
53: 장홈 60: 파이프 연결구
61: 홈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고안인 콘센트 박스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도2에서 나타낸 뚜껑의 저부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벽체에 매설되는 박스 몸체(50)와 박스 몸체의 상면이 변형이 가지 않도록함과 동시에 커버틀 몸체(20)를 연결 고정되도록하는 프레임(40)과;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며 내부 양측에 전기콘센트 어셈블리(30)와 전화콘센트 어셈블리(31)가 결합되는 커버틀 몸체(20)와; 상기 커버틀 몸체(20)의 상면에 스프링(11)으로 힌지 결합되는 커버(10)로 구성된다.
상기 박스 몸체(50)의 측면에는 다수의 파이프 연결 구멍(51)이 형성되는데 구멍의 양쪽 서로 대향되게 돌기(52)가 형성되어 파이프 연결구(60)의 홈(61)으로 결합 고정되도록한 구성이며, 박스 몸체의 상변에는 장홈(53)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도5에 도시된 바와같이 프레임(40)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돌기(41)와 결합되도록한 구성이다.
한편, 커버틀 몸체(20)에는 내부 양측에 전기콘센트 어셈블리(30)와 전화콘센트 어셈블리(31)를 도6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 후크(32) 결합되도록 한 구성이다.
또한, 커버틀 몸체(20)의 상면에 스프링(11)으로 힌지 결합되는 커버(10)는 저면 중앙부 하방향으로 격벽(12)이 형성되도록한 구성이고 도어(13)의 열리는 부분의 뒷면에는 스프링(14)을 설치한 구성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박스 몸체(50)의 상변에 형성된 장홈(53)과 프레임(40)의 저부에 형성된 결합돌기(41)가 결합하므로서 박스 몸체가 콘크리트 타설시 측면에서 가중되는 압력에 변형이나 파손이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또한, 커버(10)의 저면 중앙부에 형성된 격벽(12)은 커버틀 몸체(20)의 양측으로 결합된 전기콘센트의 강전류 전선과 전화콘센트에 연결된 약전류 전선 상호 간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유도 장애를 차단코저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10)의 하단부에 형성된 도어(13)의 뒷부분에 설치된 스프링(14)은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하여 도어를 자동으로 닫히게 하므로서 각각의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선이나 전화선이 배출되는 도어 개폐부분을 최소화하여 미관적으로도 보기 좋음은 물론 번거롭게 도어를 닫아야 하는 불편을 없도록 한 것이다.
또한, 커버(10)의 저부 양쪽에 스프링(11)으로 커버틀 몸체(20)에 힌지 결합한 것은 커버를 열면 자동으로 커버가 90° 각도로 열려져 있어 콘센트에 플러그를 쉽게 꽂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커버의 전면에는 벽지나 사진 등을 부착할 수 있도록 벽지 부착 영역(15)이 마련된다.
한편, 전화콘센트 어셈블리(31)는 전화 콘센트와 통신 콘센트, 텔레비전 방송 수신용 안테나 콘센트 및 케이블 방송 수신용 콘센트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같이 상술된 본 고안은, 콘센트 박스에 전기 콘센트와 전화 콘센트가 동시에 설치되어 있더라도 전기콘센트의 강전류 전선과 전화콘센트에 연결된 약전류 전선 상호 간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유도 장애를 차단하고, 콘센트에 연결되어 전기선이 배출되는 도어를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므로서 번거로움을 없애줌과 동시에 틈을 최소화하여 미관상으로 보기 좋도록하는 한편, 멀티 콘센트 박스의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원가 절감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한 효과가 있게 한 것이다.

Claims (2)

  1. 사측벽면에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는 다수의 구멍(51)이 형성되어 벽체에 매설되는 박스 몸체(50)와;
    상기 박스 몸체(50)의 상부에 후크로 결합되는 프레임(40)과;
    상기 프레임(40)에 나사(21)로 연결 고정되며 내부 양측에 전기콘센트 어셈블리 (30)와 전화콘센트 어셈블리(31)가 후크(32) 결합되는 커버틀 몸체(20)와;
    상기 커버틀 몸체(20)의 상면에 스프링(11)으로 힌지 결합되고 저면 중앙부 하방향으로 격벽(12)이 형성되며 하부에 형성된 한쌍의 도어(13)의 저면 뒷부분에 설치된 스프링(14)에 의하여 도어(13)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형성된 커버(1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매설용 멀티 콘센트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몸체(50)의 사측면에 형성된 구멍(51)의 주연부에 서로 대향되게 돌기(52)가 형성되어 파이프 연결구(60)와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한편, 박스 몸체(50)의 상부 사변에는 장홈(53)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프레임(40)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돌기(41)와 결합되도록함을 특징으로하는 매설용 멀티 콘센트 박스
KR2020010007316U 2001-03-17 2001-03-17 매설용 멀티 콘센트 박스 KR2002361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316U KR200236129Y1 (ko) 2001-03-17 2001-03-17 매설용 멀티 콘센트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316U KR200236129Y1 (ko) 2001-03-17 2001-03-17 매설용 멀티 콘센트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129Y1 true KR200236129Y1 (ko) 2001-10-08

Family

ID=73063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316U KR200236129Y1 (ko) 2001-03-17 2001-03-17 매설용 멀티 콘센트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129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340B1 (ko) 2008-04-04 2008-08-26 주식회사 맥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벽면 매설용 콘센트박스
KR101125064B1 (ko) 2009-11-13 2012-03-21 김다희 시스템 박스
KR101181080B1 (ko) 2011-11-16 2012-09-07 김성복 플로아 매설용 시스템박스의 커버
KR200475609Y1 (ko) 2014-08-19 2014-12-16 김성복 시스템박스의 커버 도어용 안내 캡
KR101532876B1 (ko) * 2014-04-29 2015-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KR102622759B1 (ko) * 2023-04-17 2024-01-09 설재훈 무정전 공사용 개폐기 안전잠금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340B1 (ko) 2008-04-04 2008-08-26 주식회사 맥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벽면 매설용 콘센트박스
KR101125064B1 (ko) 2009-11-13 2012-03-21 김다희 시스템 박스
KR101181080B1 (ko) 2011-11-16 2012-09-07 김성복 플로아 매설용 시스템박스의 커버
KR101532876B1 (ko) * 2014-04-29 2015-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KR200475609Y1 (ko) 2014-08-19 2014-12-16 김성복 시스템박스의 커버 도어용 안내 캡
WO2016028051A3 (ko) * 2014-08-19 2016-04-14 김성복 시스템박스의 커버 도어용 안내 캡
KR102622759B1 (ko) * 2023-04-17 2024-01-09 설재훈 무정전 공사용 개폐기 안전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93162B2 (en) Wallhung arrangement for a cordless telephone
US5598670A (en) Wall mounting system for electrical devices
JP7378579B2 (ja) ゲートウェイ装置
US20120231657A1 (en) Electrical Receptacle Enclosure
KR200236129Y1 (ko) 매설용 멀티 콘센트 박스
EP0723101B1 (en) Splashproof enclosure for electronic faucet
JPS63268418A (ja) 情報用ジヨイント装置
KR100902185B1 (ko)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
KR102285484B1 (ko) 케이블 몰드
CN2894016Y (zh) 室内暗装开启式综合线槽
KR200354304Y1 (ko) 벽면 매설용 콘센트 박스
KR20170088541A (ko) 패널 벽면 매립형 복합 전기단자박스
KR200205750Y1 (ko) 멀티플렉스 콘센트 박스
US8802979B2 (en) Tamper-resistant self-contained receptacle
CN2571903Y (zh) 家庭信息接线箱
CN219106691U (zh) 一种装配式内装插座
KR20060045097A (ko) 공간확장용 연결박스를 결합한 세대단자함의 구성
CN213879113U (zh) 一种灯具布线用的固定机构
KR100852674B1 (ko) 가변벽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회전콘센트
KR200271499Y1 (ko) 전기 및 통신 케이블용 조인트 박스
KR200171985Y1 (ko) 통신인출구를 조합한 세대통신함
KR200267005Y1 (ko) 바닥재용 높이조절부재의 구조
JP2601657Y2 (ja) 住宅設備機器ユニット用電気配線ボックス
KR101561630B1 (ko)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함 전원박스
GB2286929A (en) An electrical accessory moun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