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985Y1 - 통신인출구를 조합한 세대통신함 - Google Patents

통신인출구를 조합한 세대통신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985Y1
KR200171985Y1 KR2019990018467U KR19990018467U KR200171985Y1 KR 200171985 Y1 KR200171985 Y1 KR 200171985Y1 KR 2019990018467 U KR2019990018467 U KR 2019990018467U KR 19990018467 U KR19990018467 U KR 19990018467U KR 200171985 Y1 KR200171985 Y1 KR 2001719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box
household
outle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4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철
김홍수
Original Assignee
신종철
김홍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종철, 김홍수 filed Critical 신종철
Priority to KR20199900184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9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9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9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주거용건물의 통신선로시설의 일부로서 시설하여 세대내 각 실에 전화, TV 등 통신선로를 배선하는 세대통신함(3)에 전화, TV 등의 인출구(2)를 같이 또는 독립적으로 조합하여 구성된 통신인출구를 조합한 세대통신함(1)에 관한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통신인출구를 조합한 세대통신함(1)을 이용하면 배관/배선과 매립박스 등의 시설부담을 줄이고 세대내 통신선로활용과 시설공정의 편의성이 증대되며 배선작업의 효율이 높아지고 이 부분의 시설공사비 등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인출구를 조합한 세대통신함{Inhouse Cabling Box patched up Communication Outlet(s)}
본 고안은 주로 주거용건물의 통신선로시설의 일부로서 시설하여 세대내 각 실에 전화, TV 등 통신선로(41 내지 42)를 배선하는 세대통신함(3)에 전화, TV 등의 인출구(2)를 같이 또는 독립적으로 조합하여 구성된 통신인출구를 조합한 세대통신함(1)에 관한것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종래의 이 분야에서 적용하던 통칭 세대단자함체 내지 세대공통분배함체의 외형을 도시하는 평면도 및 측면도로서, 도시된 바 와 같이 종래에는 이러한 세대통신함체 내지 공통분배함체를 단순한 함체(31 내지 32)로 구성하여 세대내 적절한 위치에 취부하여 그 내용물의 구성형태에 따라 각 실로 통신선로 등을 배선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방식은 그 세대단자함체 내지 세대공통분배함체가 단순한 함체(31 내지 32)만으로 구성되므로서 각 함에 주어진 기능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주거용건물의 실내 미관 등을 고려하여 되도록 이러한 함체(31 내지 32)를 은폐된 장소에 시설하므로서 설치공간을 확보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주로 종래의 세대통신함체(31 내지 32)가 그 함체 내에 시설되는 내용물의 시설공간을 마련하거나 보호하기 위한 단순한 함체이고 별다른 기능이 없어 실내미관을 저해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 1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주로 통신함체의 외부 뚜껑(11)에 전화 및 데이터 케이블(52)용 모듈러잭(21 내지 22) 및 동축케이블(51)을 이용하는 TV선로 등에 적합한 F형 커넥터(23 내지 24) 등을 다중조합하거나 독립된 형태로 부착하여 세대통신함(3)의 기능과 통신인출구(2)의 기능을 하나의 함체로 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통신인출구를 조합한 세대통신함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통신인출구를 조합한 세대통신함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2a는 종래의 이 분야에서 사용하던 통신용 인출구 평면도
도 2b는 종래의 이 분야에서 사용하던 통신용 인출구 측면도
도 3a는 종래의 이 분야에서 사용하던 통칭 세대통신함의 평면도
도 3b는 종래의 이 분야에서 사용하던 통칭 세대통신함의 측면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통신인출구를 조합한 세대통신함(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별 통신함체의 외부 뚜껑(11)에 전화 및 데이터용 모듈러잭(21 내지 22) 및 동축케이블을 이용하는 TV선로 등에 적합한 F형커넥터(23 내지 24) 등을 다중조합하(41)거나 독립된 형태로 부착된 통신인출구(42내지 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통신인출구를 조합한 세대통신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신인출구를 조합한 세대통신함(1)의 내용물과 통신인출구(41 내지 43) 간의 배선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실내의 거실 내지 방에 통상 시설되는 통신인출구(2)와 동일한 위치 내지 적절한 위치에 통신인출구를 겸하여 설치 되므로서 인출구용 매립박스와 배관을 따로 시설할 필요가 없고 함체 내부의 극히 짧은 거리내에서 배선할 수 있으므로 고주파광대역 데이터용 배선에 적합하다. 또한, 주택내 통신망 구성 등에 필요한 NT(Network Termination), TA(Terminal Ad아파트er), STB(Set-Top Box) 등을 외장형으로 구축하여 세대통신함체에 부착된 통신인출구를 통하여 이러한 장치들과 연결하므로써 주택내 각종 통신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다. 한편, 통신인출구가 부착된 세대통신함체(1)의 뚜껑(11)등을 각종 부대 장식등과 겸하므로서 실내미관을 저해하지 않거나 오히려 인테리어 효과도 얻을 수 있는 등 현격하게 활용성과 이용성이 증대된다. 세대통신함체 뚜껑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취부되는 통신인출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대통신함체 뚜껑의 가장자리 부근에 관통된 홈을 형성하여 취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세한 설명도는 생략한다.
이하, 본 고안의 통신인출구를 조합한 세대통신함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1) 통신인출구의 기능과 세대통신함의 기능이 조합되므로서 통신인출구를 시설하기위한 매립박스 배관/배선 등을 제거하거나 줄일 수 있으므로 시설의 편의성이 증대되며 저렴하게 시설할 수 있다.
2) 주택내 통신망 구성 등에 필요한 NT(Network Termination), TA(Terminal Ad아파트or), STB(Set-Top Box) 등을 외장형으로 구축하여 세대통신함체에 부착된 통신인출구를 통하여 이러한 장치들과 연결하므로써 주택내 각종 통신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3) 통신인출구가 부착된 세대통신함체의 뚜껑 등을 각종 부대 장식등과 겸하므로서 실내미관을 저해하지 않거나 오히려 인테리어 효과도 얻을 수 있는 등 현격하게 활용성과 이용성이 증대된다.

Claims (1)

  1. 통신함체의 외부 뚜껑(11)에 전화 및 데이터 케이블(52)용 모듈러잭(21 내지22) 및 동축케이블(51)을 이용하는 TV선로 등에 적합한 F형 커넥터(23 내지 24) 등이 다중조합(41)되거나 독립된 형태(42 내지 43)로 부착되어 세대통신함(3)의 기능과 통신인출구(2)의 기능을 하나의 함체로 겸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인출구를 조합한 세대통신함(1)
KR2019990018467U 1999-09-01 1999-09-01 통신인출구를 조합한 세대통신함 KR2001719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467U KR200171985Y1 (ko) 1999-09-01 1999-09-01 통신인출구를 조합한 세대통신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467U KR200171985Y1 (ko) 1999-09-01 1999-09-01 통신인출구를 조합한 세대통신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985Y1 true KR200171985Y1 (ko) 2000-03-15

Family

ID=19587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467U KR200171985Y1 (ko) 1999-09-01 1999-09-01 통신인출구를 조합한 세대통신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98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9788B2 (en) Adapter for mounting a faceplate of a first style to an electrical outlet cavity of a second style
US5727055A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s
US5130893A (en) Signal distribution system
AU2015252666B2 (en) The electric power connecting kit
KR200171985Y1 (ko) 통신인출구를 조합한 세대통신함
EP2364463B1 (en) Electronic system for video door entry communication and/or for home automation with optimised sizing
KR200236129Y1 (ko) 매설용 멀티 콘센트 박스
KR200190907Y1 (ko) 조합구성되는 다목적 세대단자함
US7162730B1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s
JP2573456B2 (ja) 屋内配線システム
GB2412502A (en) Multi wiring system for houses
CA2174134A1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s
JP3326422B2 (ja) 住戸内情報通信線の配線構造
KR200216043Y1 (ko) 통합형 멀티미디어콘센트
KR19990078631A (ko) 통합형멀티미디어콘센트
WO2001057557A2 (en) A device for connecting one or more optical fibres to an optical converter
JP5189745B2 (ja) 光ファイバーおよび電話線の配線方法
JP3242433B2 (ja) 住戸内情報通信線の配線方法
JPH1132417A (ja) 電気配線システム
JPH08214388A (ja) 映像監視システム
JP2002217795A (ja) 分岐配線ユニットと分岐配線方法
KR20040001245A (ko) 외부 판넬에 홈네트워크 장비 연결용 인입 및 인출단자를갖는 세대단자함
JP2003125089A (ja) 端子ユニット装置およびインターホン装置
JPH1094150A (ja) 弱電ケーブルの配線ユニット
JP2000032505A (ja) 情報コンセントの設置方法および配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