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2185B1 -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 - Google Patents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2185B1
KR100902185B1 KR1020070049142A KR20070049142A KR100902185B1 KR 100902185 B1 KR100902185 B1 KR 100902185B1 KR 1020070049142 A KR1020070049142 A KR 1020070049142A KR 20070049142 A KR20070049142 A KR 20070049142A KR 100902185 B1 KR100902185 B1 KR 100902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system box
housing
frame member
u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2546A (ko
Inventor
송진우
Original Assignee
송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진우 filed Critical 송진우
Priority to KR1020070049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185B1/ko
Publication of KR20080102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 빌딩이나 오피스텔 등의 실내 콘크리트 바닥 상부에 실내 바닥용 플로어(Floor)를 깔아 그 하부에 매설하여 전원공급코드, 전화선 및 통신선 모듈러잭 등을 꽂아 사용할 수 있는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플로어형 시스템박스는, 하우징의 테두리면 상에 전원선, 전화선, 통신선 등을 접속 연결시키기 위한 각종 콘센트가 결합된 콘센트플레이트가 설치 고정되고, 플로어의 상면에 걸려 안착되도록 걸림턱이 외향 절곡되면서 각 내측모서리와 대응되도록 고정쇠와 함께 조절나사의 체결을 통해 상부틀부재가 하우징의 상단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조절나사의 회전과 대응되어 고정쇠가 상승하면서 플로어의 저면에 결착 고정되며, 상기 상부틀부재의 상단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개폐되는 커버의 양측 또는 일측에 인출공부재가 끼움 결합되는 플로어용 시스템박스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에 의해 플로어 상면에 걸려 안착되는 상태로 매설되는 시스템박스의 설치 방향성이 자유롭고 용이함과 동시에 상기 플로어의 상면에 설치되는 사각패널 형태의 바닥재와 대응되는 시스템박스의 설치 형태가 제한적이지 않도록 상기 시스템박스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상단과 대응되는 상부틀부재의 하단이 양측면은 직선형태를 이루고 이와 연결되는 다른 양측면은 곡면형태를 이루는 장방형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틀부재의 걸림턱에 의해 플로어 상면에 걸려 안착되는 상태로 매설되는 시스템박스의 설치가 360° 회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마음대로 위치를 선정하여 설치할 수 있는 등 종래 직사각 구조의 플로어 시스템박스에 비해 상기 시스템박스의 설치 방향성이 자유롭고 용이하며, 특히 플로어의 상면에 설치되는 사각패널 형태의 바닥재와 대응되는 시스템박스의 설치 형태가 제한적이지 않는 등의 효과와 함께 본 발명의 플로어형 시스템박스 중 하우징이나 또는 상기 하우징 및 상부틀부재를 사출 성형할 경우 이에 대한 제작원가 및 무게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으며, 사출 성형에 따른 세련된 미관과 더불어 부식방지, 누전 및 전자파 장애를 차단할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 악세스, 플로어(Floor), 하우징, 상부틀부재, 직선 또는 곡면형태의 플레이트고정홈, 코드연결작업홀, 조절나사, 공회전, 고정쇠, 인출공부재, 인출공

Description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The system box with access floor}
도 1은 본 발명의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에 대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에 대한 커버가 개방된 상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에 대한 A-A선 및 B-B선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대한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의 매설 시공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대한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가 플로우에 매설된 상태에서 각 전선이 인출되어 사무기기나 전화기 컴퓨터 등과 연결된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플로어형 시스템박스 10. 하우징
11, 22. 체결보스 14, 14a. 플레이트고정홈
15. 콘센트플레이트 16. 전선고정밴드
20. 상부틀부재 21. 걸림턱
24. 힌지결합홀 25. 조절나사
26. 코드연결작업홀 26a. 락킹홀
27. 고정쇠 29. 톱니고정부
30. 커버 31. 락킹부재
33. 슬라이드홀 34. 인출공부재
35, 인출공 36. 수평부
37. 힌지홀 38. 힌지
39. 스프링 40. 바닥재삽입홈
C. 콘센트 F. 플로어
본 발명은 고층 빌딩이나 오피스텔 등의 실내 콘크리트 바닥 상부에 실내 바닥용 플로어(Floor)를 깔아 그 하부에 매설하여 전원공급코드, 전화선 및 통신선 모듈러잭 등을 꽂아 사용할 수 있는 플로어형 시스템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무기기, 전화기 및 컴퓨터를 연결 설치하기 위한 각종 전선을 사용처 근처에서 인출하여 접속 연결시키는 등 실내 바닥의 외부로 배선상태가 보이지 않고 각종 전선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하우징, 상부틀부재, 커버, 조절나사 및 고정쇠로 이루어진 플로어형 시스템박스 중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상단과 대응되는 상부틀부재의 하단을 양측면은 직선형태를 이루고 이와 연결되는 다른 양측면은 곡면형태를 이루는 장방형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상부틀부재의 걸림턱에 의해 플로어 상면에 걸려 안착되는 상태로 매설되는 시스템박스의 설치가 360° 회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마음대로 위치를 선정하여 설치할 수 있는 등 종래 직사각 구조의 플로어 시스템박스에 비해 상기 시스템박스의 설치 방향성이 자유롭고 용이하며, 특히 플로어의 상면에 설치되는 사각패널 형태의 바닥재와 대응되는 시스템박스의 설치 형태가 제한적이지 않도록 한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빌딩이나 오피스텔 등의 실내 콘크리트 바닥 상부에 외관의 미려감을 창출할 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의 플로어(Floor)를 깔고 그 위에 바닥재인 아스타일이나 카펫 등을 깔아 실내의 바닥으로 사용함에 있어, 사무기기, 전화기 및 컴퓨터를 연결 설치하기 위한 각종 전선을 사용처 근처에서 인출하여 접속 연결시키는 등 실내 바닥의 외부로 배선상태가 보이지 않고 각종 전선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상기 풀로어 하부에 플로어 시스템박스를 매설한 후 상기 시스템박스의 각종 콘센트에 건물 내부로 인입된 전원선, 전화선, 통신선 및 기타 전선 등을 접속 연결한 상태에서 각종 사무기기나 전화기, 컴퓨터 등의 플러그를 꽂아 실내에 배선되는 각종 전선을 정리 정돈되게 사용하여 왔던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와 같은 종래 플로어 시스템박스의 경우 2000년 12월 15일자로 공고된 플로어 매설용 시스템 박스(실용신안 공고번호 20-0207526호)의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일정한 크기로 양측이 개방되고 전·후방을 일정크기로 천공된 상태로 절곡되면서 상단을 일정한 면적이 유지되게 내향절곡한 베이스박스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박스의 상측엔 플로어의 상면에 걸려 고정될 수 있는 걸림편을 프레싱 절곡하고 내측에 일정크기의 설치공이 형성되며, 양측 하면엔 안착편이 내향절곡된 상부틀부재를 올려놓고 나사 고정하되, 상기 베이스박스와 상부틀부재 사방모서리에 조절스크류의 회동에 따라 집게가 상하로 이동되어 플로어 하면을 압박 또는 해제토록 직사각 형태의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틀부재의 상부 양측에는 상부틀부재의 내부 두께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양측에 높이조절편이 나사 고정되고, 상기 설치공엔 양측에 다수개의 인출공이 뚜껑에 슬라이드 결합된 커버가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플로어 시스템박스의 경우 일정한 크기의 베이스박스의 전, 후면을 절첩 형성하고 그 상부에 상부틀부재를 나사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틀부재의 상부에 뚜껑을 나사 고정하며, 상기 베이스박스의 양측 개방부와 상부틀부재의 사이에 콘센트가 고정된 콘센트플레이트를 유동없이 고정함에 따라 상기 플로어의 두께가 각기 다를 경우 그 두께의 변화에 따라 베이스박스 상측에 외향절곡된 걸림턱과 베이스박스 양측의 콘센트플레이트에 고정된 콘센트간의 간섭으로 인해 설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상기 플로어의 두께에 따라 시스템박스의 제작을 주문방식에 따라 각기 다른 타입으로 생산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아울러 상기 주문에 따른 프레스 금형 역시 각기 다른 타입으로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 및 상기 프레스 작업에 의한 철판의 선(先) 타공작업과 후(後) 절곡작업을 통해 직사각 구조의 플로어 시스템박스를 제작함에 따라 현장시공에서 작업자에 의한 타공작업 즉, 현장작업 여건에 맞게 콘센트플레이트 설치를 위한 베이스박스의 타공 작업을 원활히 실행할 수 없는 등의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따라 플로어 시스템박스 대한 생산성 효율의 저하와 함께 생산 코스트가 높아짐은 물론 시공상의 작업공정 및 작업시간 역시 증가하게 되어 이에 따른 작업능률의 저하 요인으로 작용함과 더불어 이로 인한 인건비의 상승으로 이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 역시 있었다.
그리고, 종래 플로어 시스템박스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스 작업에 의한 철판의 선(先) 타공작업과 후(後) 절곡작업을 통해 직사각 구조로 제작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박스 및 상부틀부재의 형태가 원형 또는 양측면이 원호형태인 장방형 구조에 비해 플로어 하단에 매설 시공 시 종래 시스템박스의 설치 방향성이 자유롭고 용이하지 않음과 동시에 사용자 마음대로 위치를 선정하여 설치하는데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상기 플로어의 상면에 설치되는 사각패널 형태의 바닥재와 대응되는 시스템박스의 설치 형태 역시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이와 더불어, 종래 플로어 시스템박스의 경우 재질이 철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제작원가 및 무게가 증가함과 아울러 장기간 사용 시 산화작용에 따른 부식발생과 함께 재질 특성상 누전 및 전자파 장애를 차단하지 못해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자나 사용자가 감전되거나 전자파에 노출되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실용신안 공고번호 20-0207526호의 플로어 매설용 시스템 박스가 제안되었으나 이 역시 전술한 종래 플로 어 시스템박스와 마찬가지로 프레스 작업에 의한 철판의 선(先) 타공작업과 후(後) 절곡작업을 통해 직사각 구조로 제작됨에 따라 이를 통해 발생되는 전술한 문제점 즉, 현장작업 여건에 맞게 작업자가 콘센트플레이트 설치를 위한 베이스박스의 타공작업을 원활히 실행할 수 없고, 이로 인한 생산성 효율 및 작업능률의 저하 요인으로 생산 코스트와 함께 인건비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과, 프레스 작업에 의한 철판의 선(先) 타공작업과 후(後) 절곡작업을 통해 직사각 구조로 제작됨에 따라 플로어 하단에 매설 시공 시 시스템박스의 설치 방향성이 용이하지 않고 사용자 마음대로 위치를 선정하여 설치하는데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며, 플로어의 상면에 설치되는 사각패널 형태의 바닥재와 대응되는 시스템박스의 설치 형태 역시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문제점 및 철재에 의한 제작원가 및 무게의 증가와 더불어 장기간 사용 시 산화작용에 따른 부식발생과 함께 재질 특성상 누전 및 전자파 장애를 차단하지 못해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자나 사용자가 감전되거나 전자파에 노출되게 되는 문제점 등과 동일하게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고층 빌딩이나 오피스텔 등의 실내 콘크리트 바닥 상부에 실내 바닥용 플로어(Floor)를 깔아 그 하부에 매설하여 이를 통해 사무기기, 전화기 및 컴퓨터를 연결 설치하기 위한 각종 전선을 사용처 근처에서 인출하여 접속 연결시키는 등 실내 바닥의 외부로 배선상태가 보이지 않고 각종 전선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하우징, 상부틀부재, 커버, 조절나사 및 고정쇠로 이루어진 플로어형 시스템박스 중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상단과 대응되는 상부틀부재의 하단을 양측면은 직선형태를 이루고 이와 연결되는 다른 양측면은 곡면형태를 이루는 장방형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상부틀부재의 걸림턱에 의해 플로어 상면에 걸려 안착되는 상태로 매설되는 시스템박스의 설치가 360° 회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마음대로 위치를 선정하여 설치할 수 있는 등 종래 직사각 구조의 플로어 시스템박스에 비해 상기 시스템박스의 설치 방향성이 자유롭고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상기와 같이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상단과 대응되는 상부틀부재의 하단을 양측면은 직선형태를 이루고 이와 연결되는 다른 양측면은 곡면형태를 이루는 장방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플로어의 상면에 설치되는 사각패널 형태의 바닥재와 대응되는 시스템박스의 설치 형태 역시 종래 직사각 구조의 플로어 시스템박스에 비해 제한적이지 않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경우 플로어형 시스템박스 중 하우징이나 또는 상기 하우징 및 상부틀부재를 사출 성형이 원활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이에 대한 제작원가 및 무게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으며, 사출 성형에 따른 세련된 미관과 더불어 부식방지, 누전 및 전자파 장애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상기와 같이 플로어형 시스템박스의 하우징이나 또는 상기 하우징 및 상부틀부재를 사출 성형할 경우 프레스를 통해 철판의 선(先) 타공작업과 후(後) 절곡작업을 통해 제작되는 종래 직사각 구조의 플로어 시스템박스에 비해 작업자가 현장시공에서 콘센트플레이트 설치를 위한 하우징의 타공작업을 간 단하게 행할 수 있는 등 이에 대한 현장 타공작업의 간편성과 아울러 이를 통한 시공상의 작업공정과 작업시간 및 인건비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특히 커버 상부를 평면형으로 성형 제작함에 따라 바닥재(아스타일)의 색상에 상관없이 독자적 사용이 가능함으로 인한 자재비 및 인건비 절감과 더불어 상기 바닥재(아스타일)의 시공 후 본드 효과 상실 시 보수의 단점을 개선하는 등 사후관리가 매우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는, 하우징의 테두리면 상에 전원선, 전화선, 통신선 등을 접속 연결시키기 위한 각종 콘센트가 결합된 콘센트플레이트가 설치 고정되고, 플로어의 상면에 걸려 안착되도록 걸림턱이 외향 절곡되면서 각 내측모서리와 대응되도록 고정쇠와 함께 조절나사의 체결을 통해 상부틀부재가 하우징의 상단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조절나사의 회전과 대응되어 고정쇠가 상승하면서 플로어의 저면에 결착 고정되며, 상기 상부틀부재의 상단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개폐되는 커버의 양측 또는 일측에 인출공부재가 끼움 결합되는 플로어용 시스템박스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에 의해 플로어 상면에 걸려 안착되는 상태로 매설되는 시스템박스의 설치 방향성이 자유롭고 용이함과 동시에 상기 플로어의 상면에 설치되는 사각패널 형태의 바닥재와 대응되는 시스템박스의 설치 형태가 제한적이지 않도록 상기 시스템박스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상단과 대응되는 상부틀부재의 하단이 양측면은 직선형태를 이루고 이와 연결되는 다른 양측면은 곡면형태를 이루는 장방형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이하, 플로어형 시스템박스라 함)를 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에 대한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에 대한 커버가 개방된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에 대한 A-A선 및 B-B선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플로어형 시스템박스(1)는, 고층 빌딩이나 오피스텔 등의 실내 콘크리트 바닥 상부에 외관의 미려감을 창출할 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의 플로어(Floor)(F)를 깔고 그 위에 바닥재인 아스타일이나 카펫 등을 깔아 실내의 바닥으로 사용함에 있어, 상기 실내 바닥에 설치하는 사무기기나 또는 책상이나 탁자 등에 올려 놓고 사용하는 전화기나 컴퓨터를 연결 설치하기 위한 각종 전선을 실내 바닥의 외부로 배선이 보이지 않는 상태로 사용처 근처에서 인출하여 각종 사무기기나 전화기, 컴퓨터에 연결하는 등 실내에 배선되는 각종 전선을 정리 정돈 할 수 있는 전선연결용 박스로서, 크게 플로어(F)의 상면에 바닥재를 설치하여 형성된 실내 바닥에 매설되면서 테두리면 상에 전원선, 전화선, 통신선 등을 접속 연결시키기 위한 각종 콘센트(C)가 결합된 콘센트플레이트(15)가 설치 고정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플로어(F)의 상면에 걸려 안착되도록 걸림턱(21)이 외향 절곡되면서 각 내측모서리와 대응되도록 조절나사(25)의 체결을 통해 하우징(10)의 상단에 고정되는 상부틀부재(20)와; 상기 조절나사(25)의 회전 시 이와 대응되어 상승하면서 플로어(F)의 저면에 결착 고정되도록 조절나사(25) 상에 체결되는 고정쇠(27)와; 상기 상부틀부재(20)의 상단 일측에 힌지(38) 결합되어 회동 개폐됨과 동시에 부재의 양측 또는 일측에 각 전선의 인출을 위한 인출공부재(34)가 끼움 결합되는 커버(30)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플로어형 시스템박스(1)에 있어, 상기 걸림턱(21)에 의해 플로어(F) 상면에 걸려 안착되는 상태로 매설되는 시스템박스(1)의 설치 방향성이 자유롭고 용이함과 동시에 상기 플로어(F)의 상면에 설치되는 사각패널 형태의 바닥재와 대응되는 시스템박스(1)의 설치 형태가 제한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박스(1)의 하우징(10) 및 상기 하우징(10) 상단과 대응되는 상부틀부재(20)의 하단이 양측면은 직선형태를 이루고 이와 연결되는 다른 양측면은 곡면형태를 이루는 장방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플로어형 시스템박스(1) 중 상기 하우징(10)의 경우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이 개방되면서 양측면은 직선형태를 이루고 이와 연결되는 다른 양측면은 곡면형태를 이루는 등 전체 형상이 장방형 구조로 이루어지되, 그 상단 테두리의 양측면 및 각 내측모서리에는 상부틀부재(20)를 하우징(10)의 상단에 나사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홀(13)과 더불어 상기 고정쇠(27)와 체결되는 조절나사(25)가 상부틀부재(20)를 통해 대응 삽입될 수 있도록 조절나 사삽입홀(12)이 관통된 체결보스(11)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 역시 상기 체결보스(11)의 조절나사삽입홀(12)과 대응되는 동일위치 상에 조절나사(25)의 하단이 삽입되기 위한 하부삽입홀(12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방형 구조의 하우징(10) 중 직선형태를 이루는 양측면에는 전원선과 접속 연결되는 콘센트(C)가 결합된 콘센트플레이트(15)가 설치되도록 직선형태의 플레이트고정홈(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방형 구조의 하우징(10) 중 곡면형태를 이루는 양측면에는 전화선 및 통신선과 접속 연결되는 데이터콘센트(미도시) 및 통신용모듈러(미도시)가 결합된 콘센트플레이트(15)가 설치되도록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고정홈(14a)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직선형태의 플레이트고정홈(14)과 같이 하우징(10)의 곡면 전체에 플레이트고정홈(14a)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전원선 접속 연결용 콘센트플레이트(15)가 설치되는 플레이트고정홈(14)과 상기 전화선 및 통신선 접속 연결용 콘센트플레이트(15)가 설치되는 플레이트고정홈(14a)의 경우 플로우에 매설 전(前)에는 밀폐된 상태를 이루다가 각 전선의 연결 사용에 따라 작업자가 매설 시공 현장에서 해당 플레이트고정홈(14,14a)을 관통 형성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하우징(10) 중 직선형태의 플레이트고정홈(14)에 나사 고정되는 전원선 접속 연결용 콘센트플레이트(15)의 경우 하우징(10) 상단 테두리의 양측면에 형성된 체결홀(13)과 대응되어 상부틀부재(20)로부터 하우징(10)의 상단 테두리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나사에 의해 고정되도록 상단 중앙에 체결홀(15a)이 관통되면서 전면(前面)에 하나 이상의 콘센트(C)가 설치 고정되는 등 전체 형상이 상단에 비해 하단이 길게 형성된 브라켓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콘센트플레이트(15)의 하단 후방에는 건물 내부로 인입된 전원선을 안정되게 고정시켜 상기 콘센트(C)의 단자(미도시)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전선고정밴드(16)가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 때, 상기한 콘센트플레이트(15)의 전면(前面)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콘센트(C) 즉, 전원공급용 콘센트(C)를 끼워 조립하거나 또는 전화선 및 통신선과 접속 연결을 위한 데이터콘센트 및 통신용모듈러 등을 끼워 조립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이들을 서로 혼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을 미리 밝혀둔다.
그리고, 본 발명의 플로어형 시스템박스(1) 중 상기 상부틀부재(20)의 경우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어(F)의 상면에 걸려 안착되도록 원형의 걸림턱(21) 형태로 이루어진 상단 내측으로부터 프레싱 작업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의 상단 테두리에 긴밀히 접촉되어 나사 및 조절나사(25)에 의해 체결되기 위한 하단이 절곡 형성되는 등 전체 형상이 중앙에 코드연결작업홀(26)이 관통된 원반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코드연결작업홀(26)의 경우 커버(30)의 락킹부재(31)와 대응 결합되는 타측면은 하우징(10)의 곡면형태와 동일한 곡률반경의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측면과 대향되는 일측면 즉, 커버(30)가 힌지(38) 결합되는 일측면을 포함하여 좌우 양측면인 3면은 상호 직각인 사각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곡면형태로 형성된 코드연결작업홀(26)의 타측면 테두리 중앙에는 상기 커버(30)의 락킹부재(31)와 대응 결합되는 락킹홀(26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코드연결작업홀(26)의 내측 테두리 양측면 및 각 내측모서리에는 상기 하우징(10) 상단 테두리의 양측면 및 각 내측모서리에 형성된 체결홀(13)과 상기 조절나사삽입홀(12)이 관통된 체결보스(11)와 각기 대응되는 상태의 나사삽입홀(23)과 조절나사삽입홀(22a)이 관통된 체결보스(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상부틀부재(20)의 상단 일측 즉, 상기 코드연결작업홀(26)의 일측면 상단에는 커버(30)와의 힌지(38) 결합을 위한 힌지결합홀(24)이 좌우 양측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플로어형 시스템박스(1) 중 상기 고정쇠(27)의 경우 상부틀부재(20) 중앙에 관통 형성된 코드연결작업홀(26) 내측 테두리의 각 내측모서리 및 상기 하우징(10) 상단 테두리의 각 내측모서리 상에 각각 돌출된 체결보스(22,11)의 조절나사삽입홀(22a,12)에 대응 삽입되는 조절나사(25)와 체결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 중 직선형태의 양측면 즉, 전원선 접속 연결용 콘센트플레이트(15)가 설치되도록 플레이트고정홈(14)이 각각 관통 형성된 직선형태의 하우징(10) 양측면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틀부재(20)와 하우징(10)에 연통된 상태로 삽입된 조절나사(25)의 공회전 시 상기 조절나사(25)의 나사면을 따라 상승함과 동시에 플로어(F)의 저면에 결착되면서 상기 플로어(F) 상에 본 발명의 플로어형 시스템박스(1)를 완전히 고정시키는 요소로서,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의 요(凹)자 형태의 브라켓으로 형성되되, 그 일단에는 조절나사(25)와 체결되는 암나사홀(28)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 일측에는 조절나사(25)의 공회전에 따라 상승되는 고정쇠(27)가 플로어(F)의 저면에 결착될 수 있도록 하는 톱니고 정부(29)가 형성되어 있다.
미 설명 부호 31a는 조절나사(25)와 락킹부재(31)의 하단에 결착되어 상기 조절나사(25)와 락킹부재(31)가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되는 스냅링(31a)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플로어형 시스템박스(1) 중 상기 커버(30)의 경우 코드연결작업홀(26)이 관통된 상부틀부재(20)의 상단 일측에 힌지(38) 결합된 상태로 회동되면서 상기 상부틀부재(20)의 코드연결작업홀(26)을 개폐하는 요소로서,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이 상기 상부틀부재(20)의 코드연결작업홀(26)과 동일형태로 형성되되, 그 일측 하단에는 상기 상부틀부재(20)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힌지결합홀(24) 대응되면서 상기 상부틀부재(20)와의 힌지(38)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브라켓 형태의 힌지홀(37)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그 타측에는 곡면형태로 형성된 상기 상부틀부재(20)의 코드연결작업홀(26) 타측면 테두리 중앙에 형성된 락킹홀(26a)과 대응되면서 회동 시 이와 대응되어 전후 이송되는 걸림턱(32)에 의해 커버(30)의 락킹이 이루어지는 락킹부재(31)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힌지(38) 결합된 커버(30)의 양측 또는 일측면에는 콘센트플레이트(15)의 각 콘센트(C)에 접속 연결된 각 전선을 실내의 각 사무기기나 전화기, 컴퓨터 등으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인출공부재(34)를 슬라이딩 결합시키기 위한 슬라이드홀(33)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와 같이 각 전선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인출공부재(34)를 커버(30)의 슬라이드홀(33)에 결합시킬 때 상기 인출공부재(34)의 인출공(35)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하여 상기 커버(30)의 슬 라이드홀(33)을 개방시키고 이와 반대로 비사용시에는 인출공(35)이 하측으로 향하게 상기 인출공(35)과 대향된 수평부(36)를 슬라이드 결합시켜 상기 커버(30)의 슬라이드홀(33)을 밀폐시킨다.
여기서, 상기 락킹부재(31)의 락킹 해제 시 상부틀부재(20)의 코드연결작업홀(26) 개방을 위한 커버(30)의 회동작용은 힌지(38)에 삽착된 상태로 양단이 각각 커버(30)와 상부틀부재(20) 상에 대응 위치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때 상기 탄성부재의 경우 상부틀부재(20)의 상단 일측에 힌지(38) 결합된 커버(30)의 락킹 해제시 탄성력에 의해 폐쇄된 상부틀부재(20)의 타측으로부터 일측으로 한번에 커버(30)의 완전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코일형태의 스프링(39)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커버(30)의 상단에는 플로어(F) 위에 설치되는 바닥재 즉, 아스타일이나 카펫의 일부를 절단 삽입하여 실내 바닥과 같은 동일한 미려감을 커버(30)측에서도 창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바닥재삽입홈(4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대한 플로어형 시스템박스(1)의 경우 시스템박스(1)에 대한 제작원가 및 무게를 절감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플로어형 시스템박스(1)의 구성요소 중 하우징(10)이나 또는 상기 하우징(10) 및 상부틀부재(20)를 사출 성형이 원활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두며, 이 때 상기와 같이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할 경우 세련된 미관과 더불어 부식방지, 누전 및 전자파 장애를 차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플로어형 시스템박스(1)를 실내 바닥인 플로우 상에 매설 시공 과정을 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대한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의 매설 시공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대한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가 플로우에 매설된 상태에서 각 전선이 인출되어 사무기기나 전화기 컴퓨터 등과 연결된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2와 같이 결합된 본 발명의 플로어형 시스템박스(1)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의 플로어(F)를 분리시킨 다음 건물 내부로 인입된 전원선, 전화선 및 통신선 등의 각 전선을 도 4와 같이 상기 시스템박스(1)의 하우징(10)에 형성된 직선형태 또는 곡면형태의 플레이트고정홈(14,14a)에 설치 고정된 콘센트플레이트(15)에 접속 연결한 상태로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웃한 플로어(F)의 상면에 상부틀부재(20)의 상단인 원형의 걸림턱(21)이 안착되게 상기 상부틀부재(20)와 나사 고정된 하우징(10)을 플로어(F)와 콘크리트 바닥 사이의 공간에 매설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시스템박스(1)를 매설 시공함에 있어 상기 시스템박스(1) 중 하우징(10) 및 상기 하우징(10) 상단과 대응되는 상부틀부재(20)의 하단이 양측면은 직선형태를 이루고 이와 연결되는 다른 양측면은 곡면형태를 이루는 장방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상부틀부재(20)의 걸림턱(21)에 의해 플로어(F) 상면에 걸려 안착되는 상태로 매설되는 시스템박스(1)의 설치가 360° 회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마음대로 위치를 선정하여 설치할 수 있는 등 상기 시스템박스(1)의 설치 방향성이 자유롭고 용이하며, 특히 상기 플로어(F)의 상면에 설치되는 사각패널 형태의 바닥재와 대응되는 시스템박스(1)의 설치 형태가 종래 직사각 구조의 플로어 시스템박스에 비해 제한적이지 않는 등의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플로어형 시스템박스(1)가 매설된 상태에서 상부틀부재(20)의 코드연결작업홀(26)을 폐쇄하고 있는 커버(30)의 락킹 해제를 통해 상기 상부틀부재(20)로부터 커버(30)를 오픈 개방시킨 다음 상기 상부틀부재(20)에 형성된 코드연결작업홀(26) 내측 테두리의 각 내측모서리 및 상기 하우징(10) 상단 테두리의 각 내측모서리 상에 각각 대응 돌출된 체결보스(22,11)의 각 조절나사삽입홀(22a,12)에 대응 삽입된 조절나사(25)를 일방향으로 공회전시키게 되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나사(25)와 체결된 상태로 직선형태의 하우징(10) 양측면에 위치된 고정쇠(27)가 회전하는 조절나사(25)의 나사면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조절나사(25)의 회전에 따라 상승하는 고정쇠(27)의 톱니고정부(29)가 플로어(F)의 저면에 결착되면서 상기 고정쇠(27) 결착에 따른 플로어(F) 상에 본 발명의 플로어형 시스템박스(1)가 완전히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쇠(27)의 결착에 따라 플로어(F) 상에 본 발명의 플로어형 시스템박스(1)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커버(30)가 개방된 상부틀부재(20)의 코드연결작업홀(26)을 통해 접속 연결시키고자 하는 전선 즉, 전원선, 전화선 및 통신선의 연결코드나 모듈러잭을 콘센트플레이트(15)의 전면(前面)에 결합된 콘센트(C)에 접속 연결시킨 다음 상기 콘센트(C)에 접속 연결된 각 전선을 실내의 각 사무기기나 전화기, 컴퓨터 등으로 인출시키기 위하여 그 해당 전선 부위의 인출공부재(34)를 커버(30)의 슬라이드홀(33)에 결합시킬 때 상기 인출공부재(34)의 인출공(35)이 상측 으로 돌출되도록 슬라이드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인출공(35)을 통한 상기 커버(30)의 슬라이드홀(33)이 개방되게 되며, 이와 같이 개방된 인출공(35)을 통해 콘센트(C)에 접속 연결된 각 전선이 안정화되게 실내로 인출되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사무기기나 전화기, 컴퓨터 등에 접속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플로어형 시스템박스(1)의 매설과정과 함께 상기 시스템박스(1)의 콘센트(C)와 접속 연결된 각 전선을 각 사무기기나 전화기, 컴퓨터 등에 접속 연결시키는 과정이 모두 종료되게 되면, 실내 바닥면으로부터 분리시킨 플로어(F)를 다시 이웃한 플로어(F)와 대응되게 결합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대한 모든 작업이 종료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플로어형 시스템박스는, 고층 빌딩이나 오피스텔 등의 실내 콘크리트 바닥 상부에 실내 바닥용 플로어(Floor)를 깔아 그 하부에 매설하여 이를 통해 사무기기, 전화기 및 컴퓨터를 연결 설치하기 위한 각종 전선을 사용처 근처에서 인출하여 접속 연결시키는 등 실내 바닥의 외부로 배선상태가 보이지 않고 각종 전선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하우징, 상부틀부재, 커버, 조절나사 및 고정쇠로 이루어진 플로어형 시스템박스 중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상단과 대응되는 상부틀부재의 하단을 양측면은 직선형태를 이루고 이와 연결되는 다른 양측면은 곡면형태를 이루는 장방형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상부틀부재의 걸림턱에 의해 플로어 상면에 걸려 안착되는 상태로 매설되는 시스템박스의 설치가 360° 회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마음대로 위치를 선정하여 설치할 수 있는 등 종래 직사각 구조의 플로어 시스템박스에 비해 상기 시스템박스의 설치 방향성이 자유롭고 용이할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상기와 같이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상단과 대응되는 상부틀부재의 하단을 양측면은 직선형태를 이루고 이와 연결되는 다른 양측면은 곡면형태를 이루는 장방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플로어의 상면에 설치되는 사각패널 형태의 바닥재와 대응되는 시스템박스의 설치 형태 역시 종래 직사각 구조의 플로어 시스템박스에 비해 제한적이지 않는 등의 효과 역시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경우 플로어형 시스템박스 중 하우징이나 또는 상기 하우징 및 상부틀부재를 사출 성형이 원활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이에 대한 제작원가 및 무게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으며, 사출 성형에 따른 세련된 미관과 더불어 부식방지, 누전 및 전자파 장애를 차단할 수 있는 등의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상기와 같이 플로어형 시스템박스의 하우징이나 또는 상기 하우징 및 상부틀부재를 사출 성형할 경우 프레스를 통해 철판의 선(先) 타공작업과 후(後) 절곡작업을 통해 제작되는 종래 직사각 구조의 플로어 시스템박스에 비해 작업자가 현장시공에서 콘센트플레이트 설치를 위한 하우징의 타공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등 이에 대한 현장 타공작업의 간편성과 아울러 이를 통한 시 공상의 작업공정과 작업시간 및 인건비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특히 커버 상부를 평면형으로 성형 제작함에 따라 바닥재(아스타일)의 색상에 상관없이 독자적 사용이 가능함으로 인한 자재비 및 인건비 절감과 더불어 상기 바닥재(아스타일)의 시공 후 본드 효과 상실 시 보수의 단점을 개선하는 등 사후관리가 매우 용이할 수 있는 효과 등도 있다.

Claims (4)

  1. 하우징의 테두리면 상에 전원선, 전화선, 통신선 등을 접속 연결시키기 위한 각종 콘센트가 결합된 콘센트플레이트가 설치 고정되고, 플로어의 상면에 걸려 안착되도록 걸림턱이 외향 절곡되면서 각 내측모서리와 대응되도록 고정쇠와 함께 조절나사의 체결을 통해 상부틀부재가 하우징의 상단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조절나사의 회전과 대응되어 고정쇠가 상승하면서 플로어의 저면에 결착 고정되며, 상기 상부틀부재의 상단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개폐되는 커버의 양측 또는 일측에 인출공부재가 끼움 결합되는 플로어용 시스템박스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에 의해 플로어 상면에 걸려 안착되는 상태로 매설되는 시스템박스의 설치 방향성이 자유롭고 용이함과 동시에 상기 플로어의 상면에 설치되는 사각패널 형태의 바닥재와 대응되는 시스템박스의 설치 형태가 제한적이지 않도록 상기 시스템박스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상단과 대응되는 상부틀부재의 하단이 양측면은 직선형태를 이루고 이와 연결되는 다른 양측면은 곡면형태를 이루는 장방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방형 구조의 하우징 중 직선형태를 이루는 양측면에는 전원선과 접속 연결되는 콘센트플레이트가 설치되도록 직선형태의 플레이트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방형 구조의 하우징 중 곡면형태를 이루는 양측면에는 전화선 및 통신선과 접속 연결되는 콘센트플레이트가 설치되도록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고정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락킹 해제시 탄성력에 의해 폐쇄된 상부틀부재의 타측으로부터 일측으로 커버의 완전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힌지 상에 코일형태의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박스에 대한 제작원가 및 무게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 또는 상기 하우징 및 상부틀부재를 사출 성형이 원활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
  3. 삭제
  4. 삭제
KR1020070049142A 2007-05-21 2007-05-21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 KR100902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142A KR100902185B1 (ko) 2007-05-21 2007-05-21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142A KR100902185B1 (ko) 2007-05-21 2007-05-21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546A KR20080102546A (ko) 2008-11-26
KR100902185B1 true KR100902185B1 (ko) 2009-06-10

Family

ID=40288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142A KR100902185B1 (ko) 2007-05-21 2007-05-21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18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620B1 (ko) 2010-10-25 2011-07-12 (주)원영이엔지 이중 플로어용 배선접속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190139372A (ko) 2018-06-08 2019-12-18 (주)원영이엔지 바닥 배선용 시스템 박스의 커버
KR102147522B1 (ko) 2019-04-19 2020-08-25 (주)원영이엔지 바닥 배선용 시스템 박스
KR200492483Y1 (ko) 2019-04-16 2020-10-23 (주)원영이엔지 이중 바닥 설치용 시스템 배선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064B1 (ko) * 2009-11-13 2012-03-21 김다희 시스템 박스
KR200469309Y1 (ko) * 2013-07-04 2013-10-10 성원 전기배선을 위한 라인배열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8022A (ja) * 1991-07-25 1993-02-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フロア用配線器具
KR200305634Y1 (ko) 2002-12-06 2003-03-03 주식회사 신일정밀 전선박스용 결합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8022A (ja) * 1991-07-25 1993-02-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フロア用配線器具
KR200305634Y1 (ko) 2002-12-06 2003-03-03 주식회사 신일정밀 전선박스용 결합조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620B1 (ko) 2010-10-25 2011-07-12 (주)원영이엔지 이중 플로어용 배선접속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190139372A (ko) 2018-06-08 2019-12-18 (주)원영이엔지 바닥 배선용 시스템 박스의 커버
KR200492483Y1 (ko) 2019-04-16 2020-10-23 (주)원영이엔지 이중 바닥 설치용 시스템 배선박스
KR102147522B1 (ko) 2019-04-19 2020-08-25 (주)원영이엔지 바닥 배선용 시스템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546A (ko) 200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2185B1 (ko)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
AU2015252666B2 (en) The electric power connecting kit
US7563979B1 (en) Protective cable chute for decora cover plate
US6239368B1 (en) Siding box
CN206346452U (zh) 一种双线槽踢脚线结构
US6723921B2 (en) Exterior mounting block for electrical fixtures
JPH09511296A (ja) 低い持上げパネル床の接続箱
US20120231657A1 (en) Electrical Receptacle Enclosure
CA2442238C (en) Exterior mounting block for electrical fixtures
CN201266813Y (zh) 一种线槽型材
KR102285484B1 (ko) 케이블 몰드
CN201238155Y (zh) 单相电能计量箱
JPS62104417A (ja) フロアパネルの配線装置
KR100863265B1 (ko) 배선 덕트의 연결구
KR200207526Y1 (ko) 플로아 매설용 시스템 박스
CN202509746U (zh) 多功能踢脚线
KR200236129Y1 (ko) 매설용 멀티 콘센트 박스
KR200440761Y1 (ko) 책상 매립형 멀티콘센트용 케이스
US20070111593A1 (en) Terminal box
CN211530625U (zh) 一种适用于安装全屋智能家居设备的辅助布线结构
KR20130003614U (ko) 배선덕트가 형성된 책상
US2140771A (en) Building construction
KR200469309Y1 (ko) 전기배선을 위한 라인배열모듈
CN2638305Y (zh) 压、隔线板装置
CN204385969U (zh) 角柱连接结构及具有其的可拆卸箱式房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