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522B1 - 바닥 배선용 시스템 박스 - Google Patents

바닥 배선용 시스템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522B1
KR102147522B1 KR1020190045954A KR20190045954A KR102147522B1 KR 102147522 B1 KR102147522 B1 KR 102147522B1 KR 1020190045954 A KR1020190045954 A KR 1020190045954A KR 20190045954 A KR20190045954 A KR 20190045954A KR 102147522 B1 KR102147522 B1 KR 102147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roove
wiring
outlet
box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균
Original Assignee
(주)원영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영이엔지 filed Critical (주)원영이엔지
Priority to KR1020190045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5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 배선용 시스템 박스(10)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 커버(20)의 내측 커버(23)에 구비된 복수의 배선 인출구(30)에 캡(40)의 개방부(41) 또는 덮개부(44) 중 어느 하나의 부분을 위치하도록 캡(40)을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시켜, 배선 인출구(30)를 개폐한다. 본 발명은 캡(40)을 배선 인출구(30)에서 분리하지 않고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시켜 배선 인출구(30)를 개폐하므로 조작이 편리하고, 캡(20)의 분실염려가 없다.

Description

바닥 배선용 시스템 박스{ELECTRIC WIRING BOX FOR ACCESS FLOOR}
본 발명은 바닥 배선용 시스템 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 배선용 시스템 박스의 커버에 복수의 배선 인출구가 형성되고, 이들 각 배선 인출구에서 캡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배선 인출구를 개폐할 수 있게 된 바닥 배선용 시스템 박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무실의 바닥은 이중 바닥으로 되어 있다. 사무실의 이중 바닥은, 통상 콘크리트 슬라브로 이루어지는 하부 바닥과, 하부 바닥위에 지지대로써 지지되어 하부 바닥과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의 공간을 형성하는 실내 바닥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중 바닥 구조의 사무실에서는, 실내 바닥 위에서는 각종 전선이나 통신선이 눈에 보이지 않도록, 실내 바닥의 아래쪽 공간에 전선과 통신선을 배치하고, 그 실내 바닥의 아래쪽 공간의 배선과 실내측 전선 및/또는 통신선을, 실내 바닥 아래쪽 공간에 설치된 배선 박스의 콘센트나 커넥터를 통하여 서로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배선 박스를 통상 '시스템 박스'라 부른다. 이러한 바닥 배선용 시스템 박스의 예로서, 아래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콘센트박스(시스템박스(1))는, 실내측의 배선들을 실내 바닥의 아래쪽에 설치된 시스템 박스 내부의 콘센트 또는 커넥터에 연결하기 위하여 시스템박스(1) 내부로 진입시킬 때, 특허문헌 1의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박스의 커버(30)에 구비된 인출공부재(34)의 인출공(35)을 통하여 시스템박스의 하우징(10) 내부로 진입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시스템박스에서, 배선연결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인출공부재(34)의 수평부(36)가 커버(30)의 배선통과구멍을 폐쇄하도록 인출공부재(34)를 뒤집은 상태로 커버(30)의 슬라이드홀(33)에 결합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시스템박스에서는 커버(30)의 슬라이드홀(33)의 결합방향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인출공부재(34)를 슬라이드홀(33)에서 완전히 분리하여야만 하므로, 작업자가 인출공부재(34)를 분리하고나서 다시 슬라이드홀(33)에 재조립하지 않고 분실할 염려가 있었다. 인출공부재(34)가 분실된 경우, 실내 바닥측에 인출공부재(34)가 조립되지 않은 빈구멍이 그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칠 뿐아니라 실내 바닥을 통하여 콘센트박스 내부로 물이 침투하여 누전을 일으키는 사고를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2에서는 인출공부재(특허문헌 2에서는 인출구 캡(130)이라 함)를 힌지핀(134)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커버(120)에 힌지결합하여 커버(12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 것이 개시되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종래의 콘센트박스의 커버(120)에서는, 인출구 캡(130)을 인출구 개방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커버(120)를 본체(110)에서 오픈한 후, 다시 닫을 때까지, 작업자가 4개의 인출구 캡(130)를 손가락으로 들어올린 상태(인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동작은 2인의 작업자의 협력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므로 인출구 개방작업이 불편하였다.
한편, 건물의 바닥 배선기구로서 위에서 설명한 바닥 배선용 박스 이외에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하부 바닥(슬래브(1))에 바닥 배선용 시스템박스(4)를 지지대(3)로 설치한 상태에서 실내 바닥까지 콘크리트로 충전하여, 시스템박스(4)를 실내 바닥 하부에 매설하는 구조로 시공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
이 경우, 시스템 박스(4)의 상단 개방부에 결합되는 커버(10)가 결합되고, 이 커버(10)에 전선 또는 통신선과 같은 배선의 인출구(2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KR 10-0902185 B1 KR 10-2011-0004076 A
이에 본 발명은, 바닥 배선용 시스템 박스의 캡을 박스 커버에서 완전히 분리해내지 않고 박스 커버의 배선 인출구에 결합된 상태에서 배선 인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위치로 방향전환할 수 있도록 되어 캡이 커버에서 이탈하여 분실될 염려가 없고, 배선 인출구의 개폐 전환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닥 배선용 시스템 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박스 몸체의 상단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일측이 상기 박스 몸체의 상단에 힌지결합되고, 마주보는 양측 선단에 각각 박스 몸체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배선 인출구가 형성된 박스 커버; 및 중앙에서 길이방향 한쪽 선단 사이에는 내부에 배선이 통과하는 통로를 가진 개방부가 구비되고, 중앙 부분에서 길이방향 반대 쪽 선단에는 상기 배선 인출구를 폐쇄하는 배선 인출구 덮개부가 구비되어, 상기 개방부와 덮개부 중 어느 한쪽이 상기 배선 인출구에 결합되어 상기 박스 커버의 배선 인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캡;을 구비한 바닥 배선용 시스템 박스에 있어서,
상기 배선 인출구는, 좌/우측 측벽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하방향의 일정한 폭을 가진 직선 안내홈과, 상기 직선 안내홈의 경로상의 외측 선단에 상기 직선 안내홈의 폭보다 큰 직경의 회전 안내홈으로 이루어진 안내홈을 가지고,
상기 캡은, 상기 직선 안내홈의 구간에서는 상기 직선 안내홈에 슬라이드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배선 인출구의 측벽의 회전 안내홈 안에서만 회전가능하게 하는 안내핀을 좌우측 측벽에 각각 구비하며,
상기 각 안내핀은, 상기 직선 안내홈에 슬라이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직선 안내홈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고, 상기 회전 안내홈 안에서는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안내홈의 직경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회전 안내홈 안에서 회전할 때, 캡의 길이방향 끝단이 상기 배선 인출구의 길이방향 안쪽 벽에 맞닿아 회전이 방해되지 않도록, 길이방향 중심에서 캡의 길이방향 끝단까지의 거리가 배선 인출구의 측벽의 회전 안내홈의 중심에서 배선 인출구의 안쪽 끝단까지의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홈은 상기 배선 인출구의 좌우측 측벽 저면에 형성된 상측 안내면과, 상기 상측 안내면의 아래쪽에 체결되는 하부 안내편에 형성된 하측 안내면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부 안내편의 선단과 상측 안내면의 선단 사이에 형성된 간극은 상기 안내핀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간극을 통하여 안내핀이 이탈하지 않게 되어 있다.
상기 안내핀은 상기 회전 안내홈 안에서 회전 안내홈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드 회전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 양단은 원호형 곡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캡을 박스 커버에서 완전히 분리해내지 않고 박스 커버의 배선 인출구에 결합된 상태에서 배선 인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위치로 방향전환할 수 있도록 되어 캡이 커버에서 이탈하여 분실될 염려가 없고, 배선 인출구의 개폐 전환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닥 배선용 시스템 박스에서 박스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배선용 시스템 박스의 박스 커버에서 캡을 분리한 상태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 박스의 박스 커버에 구비된 배선 인출구의 안내홈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 2의 'A'부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시스템 박스의 캡의 측면도이다.
도 4b는 배선 인출구가 형성된 내측 커버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캡이 배선 인출구를 개방하는 자세에서 배선 인출구를 폐쇄하는 자세로 전환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 상태도로서,
도 5는 캡이 배선 인출구를 개방하고 있을 때의 결합 측단면도이고,
도 6은 캡이 배선 인출구를 폐쇄하는 자세로 전환을 위해 안내핀이 배선 인출구의 회전 안내홈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캡이 도 6의 상태에서 배선 인출구를 폐쇄하는 자세로 회전한 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8은 캡이 도 7의 상태에서 배선 인출구를 완전히 폐쇄한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 박스(10)는, 실내 바닥의 아래쪽에 하부 공간에 설치되는 하부 배선과 실내측 배선(전선 또는 통신선)을 연결하기 위한 콘센트 및/또는 커넥터를 가진 박스 몸체(11)와, 이 박스 몸체(11)의 상단 개방부(12)에 결합되는 지지링(13)에 설치되는 박스 커버(2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닥 배선용 시스템 박스(10)는 박스 몸체(11)의 상단 개방부(12)를 개폐하도록 일측 힌지부(24)에서 커버 플랜지(21)에 힌지결합되고, 마주보는 양측 선단에 각각 박스 몸체(1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배선 인출구(30)가 형성된 내측 커버(23); 및 중앙 부분(43)에서 길이방향 한쪽 선단 사이에는 내부에 배선이 통과하는 통로를 가진 개방부(41)가 구비되고, 중앙부분(43)에서 길이방향 반대 쪽 선단에는 상기 배선 인출구(30)를 폐쇄하는 덮개부(44)이 구비되어, 상기 개방부(41)와 덮개부(44) 중 어느 한쪽이 상기 배선 인출구(30)에 결합되어 상기 박스 커버(23)의 배선 인출구(3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캡(40);을 구비한다.
상기 배선 인출구(30)는, 도 3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측벽(31)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하방향의 일정한 폭(h2)을 가진 직선 안내홈(34)과, 상기 직선 안내홈(34)의 경로상의 외측 선단에 상기 직선 안내홈(34)의 폭(h2)보다 큰 직경(D)의 회전 안내홈(35)으로 이루어진 안내홈(36)을 가진다.
상기 캡(40)은, 도 2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선 안내홈(34)의 구간에서는 상기 직선 안내홈(34)에 슬라이드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배선 인출구(30)의 측벽(31)의 회전 안내홈(35) 안에서만 회전가능하게 하는 안내핀(45)을 좌우측 측벽에 각각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각 안내핀(45)은, 상기 직선 안내홈(34)에 슬라이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직선 안내홈(34)의 폭(h2)에 대응하는 폭(h1)을 가지고, 상기 회전 안내홈(35) 안에서는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안내홈(35)의 직경(D)에 대응하는 길이(W)를 가지며, 상기 회전 안내홈(35) 안에서 회전할 때, 캡(40)의 길이방향 끝단이 상기 배선 인출구(30)의 길이방향 안쪽 벽에 맞닿아 회전이 방해되지 않도록, 길이방향 중심에서 캡(40)의 길이방향 끝단까지의 거리(R1, R2)가 배선 인출구(30)의 측벽(31)의 회전 안내홈(35)의 중심에서 배선 인출구(30)의 안쪽 끝단까지의 거리(L1)보다 상대적으로 짧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캡(40)이 회전 안내홈(35)에서 회전할 때, 끝단이 배선 인출구(30)의 내측 벽에 맞닿지 않고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안내홈(36)은 도 3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선 인출구(30)의 좌우측 측벽(31) 저면에 형성된 상측 안내면(32)과, 상기 상측 안내면(32)의 아래쪽에 체결되는 하부 안내편(33)에 형성된 하측 안내면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부 안내편(33)의 선단과 상측 안내면(32)의 선단 사이에 형성된 간극(35)은 상기 안내핀(45)의 폭(h1)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간극을 통하여 안내핀(45)이 이탈하지 않게 되어 있다.
상기 안내핀(45)은 상기 회전 안내홈(35) 안에서 회전 안내홈(35)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드 회전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 양단은 원호형 곡면으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캡(40)으로 박스 커버(23)의 배선 인출구(30)를 개폐시키는 작동을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 캡(40)의 개방부(41)가 박스 커버(10)의 배선 인출구(30)에 결합한 상태: 도 5>
캡(40)의 개방부(41)가 내측 커버(23)의 위쪽에 배치되고 덮개부(44)이 내측 커버(23)의 저면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캡(40)을 배치한 다음, 캡(40)의 측벽에 구비된 안내핀(45)을 배선 인출구(30)의 측벽(31)에 마련된 안내홈에 안내되게 조립한다. 이렇게 캡(40)을 안내홈에 끼워넣고, 배선 인출구(30)의 안쪽까지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배선 인출구(3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배선 인출구(30)를 캡(40)의 덮개부(44)으로 폐쇄한다.
이를 위하여, 박스 커버(20)의 내측 커버(23)를 커버 플랜지(21)에서 들어올리고 이 상태에서 캡(40)의 안내핀(45)이 내측 커버(23)의 측벽 선단의 회전 안내홈(35)까지 이동시킨다.
캡(40)을 회전 안내홈(35)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선회(회전)시킨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44)이 배선 인출구(30)를 향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캡(40)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 인출구(30)의 안쪽 선단까지 밀어넣어, 덮개부(44)으로 배선 인출구(30)를 폐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안내핀(45)을 안내하는 안내홈의 선단 간극이 안내핀(45)의 폭(h1)보다 작게 형성되어 캡(40)이 안내홈(35)에서 이탈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캡(40)의 분실 염려가 없고, 내측 커버(23)를 열고, 캡(40)을 안내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직선이동과 회전 동작만으로 배선 인출구의 개폐를 간단하게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캡(40)의 안내핀(45)의 중심에서 양쪽 선단, 즉 덮개부(44)의 끝단까지의 길이(R2)와 개방부(41)의 끝단까지의 길이(R1)가 배선 인출구(30)의 회전 안내홈(35)의 중심에서 배선 인출구(30)의 내측벽)까지의 거리(L1) 보다 작게 형성한다. 이에 따라, 캡(40)은 배선 인출구(30)의 회전 안내홈(35)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제한없이(즉, 360도로) 회전할 수 있다.
10: 본 발명의 시스템 박스 11: 박스 몸체
12: 상단 개방부 13: 지지링
20: 박스 커버 21: 커버 플랜지
23: 내측 커버 24: 힌지부
30: 배선 인출구
31: 배선 인출구의 좌우측 측벽 32: 상측 안내면
33: 하부 안내편 34: 직선 안내홈
35: 회전 안내홈 36: 안내홈
40: 캡 41: 개방부
43: 중앙부분 44: 덮개부
45: 안내핀 h1: 안내핀의 상하 폭
h2: 직선 안내홈의 상하 폭 W: 안내핀의 길이

Claims (5)

  1. 박스 몸체(11)의 상단 개방부(12)를 개폐하도록 일측이 상기 박스 몸체(11)의 상단에 힌지결합되고, 마주보는 양측 선단에 각각 박스 몸체(1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배선 인출구(30)가 형성된 박스 커버(20); 및 중앙부분(43)에서 길이방향 한쪽 선단 사이에는 내부에 배선이 통과하는 통로를 가진 개방부(41)가 구비되고, 중앙 부분(43)에서 개방부(41)의 반대 쪽 선단에는 상기 배선 인출구(30)를 폐쇄하는 덮개부(44)가 구비되어, 상기 개방부(41)와 덮개부(44) 중 어느 한쪽이 상기 배선 인출구(30)에 배치되어 상기 박스 커버의 배선 인출구(3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캡(40);을 구비한 바닥 배선용 시스템 박스에 있어서,
    상기 배선 인출구(30)는, 좌/우측 측벽(31)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하방향의 일정한 폭(h1)을 가진 직선 안내홈(34)과, 상기 직선 안내홈(34)의 경로상의 선단에 상기 직선 안내홈(34)의 폭(h1)보다 큰 직경(D)의 회전 안내홈(35)으로 이루어진 안내홈(36)을 가지고,
    상기 캡(40)은, 상기 직선 안내홈(34)의 구간에서는 상기 직선 안내홈(34)에 슬라이드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배선 인출구(30)의 측벽(31)의 회전 안내홈(35) 안에서만 회전가능하게 하는 안내핀(45)을 좌우측 측벽 중앙 부분(43)에 각각 구비하며,
    상기 각 안내핀(45)은, 상기 직선 안내홈(34)에 슬라이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직선 안내홈(34)의 폭(h1)에 대응하는 폭(h2)을 가지고, 상기 회전 안내홈(35) 안에서는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안내홈(35)의 직경(D)에 대응하는 길이(W)를 가지며, 상기 회전 안내홈(35) 안에서 회전할 때, 캡(40)의 길이방향 끝단이 상기 배선 인출구(30)의 길이방향 안쪽 벽에 맞닿아 회전이 방해되지 않도록, 길이방향 중심에서 캡(40)의 길이방향 끝단까지의 거리(R1, R2)가 회전 안내홈(35)의 중심에서 배선 인출구(30)의 안쪽 끝단까지의 거리(L1)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선용 시스템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36)은 상기 배선 인출구(30)의 좌우측 측벽(31) 저면에 형성된 상측 안내면(32)과, 상기 상측 안내면(23)의 아래쪽에 체결되는 하부 안내편(33)에 형성된 하측 안내면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선용 시스템 박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안내편(33)의 선단과 상측 안내면(32)의 선단 사이에 형성된 간극(35a)은 상기 안내핀(45)의 폭(h1)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간극(35a)을 통하여 안내핀(45)이 이탈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선용 시스템 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핀(45)은 상기 회전 안내홈(35) 안에서 회전 안내홈(35)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드 회전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 양단은 원호형 곡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선용 시스템 박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박스는 콘크리트 바닥 매설용 시스템 박스 또는 이중 바닥의 실내 바닥 아래에 설치되는 이중 바닥 배선용 시스템 박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선용 시스템 박스.
KR1020190045954A 2019-04-19 2019-04-19 바닥 배선용 시스템 박스 KR102147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954A KR102147522B1 (ko) 2019-04-19 2019-04-19 바닥 배선용 시스템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954A KR102147522B1 (ko) 2019-04-19 2019-04-19 바닥 배선용 시스템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522B1 true KR102147522B1 (ko) 2020-08-25

Family

ID=72242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954A KR102147522B1 (ko) 2019-04-19 2019-04-19 바닥 배선용 시스템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52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915U (ko) * 2007-01-24 2008-07-29 박종학 바닥 배선용 콘센트 박스 덮개
KR100902185B1 (ko) 2007-05-21 2009-06-10 송진우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
KR20110004076A (ko) 2009-07-07 2011-01-13 전동우 플로아 매설용 시스템 박스
KR101181080B1 (ko) * 2011-11-16 2012-09-07 김성복 플로아 매설용 시스템박스의 커버
CN204927664U (zh) * 2015-09-12 2015-12-30 叶志荣 一种防水防尘安全型弹起式地面插座
KR20170001998A (ko) * 2015-06-29 2017-01-06 양영진 대피용 안전사다리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915U (ko) * 2007-01-24 2008-07-29 박종학 바닥 배선용 콘센트 박스 덮개
KR100902185B1 (ko) 2007-05-21 2009-06-10 송진우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
KR20110004076A (ko) 2009-07-07 2011-01-13 전동우 플로아 매설용 시스템 박스
KR101181080B1 (ko) * 2011-11-16 2012-09-07 김성복 플로아 매설용 시스템박스의 커버
KR20170001998A (ko) * 2015-06-29 2017-01-06 양영진 대피용 안전사다리 장치
CN204927664U (zh) * 2015-09-12 2015-12-30 叶志荣 一种防水防尘安全型弹起式地面插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3956B2 (ja) 余長処理構造
AU2014382804B2 (en) A port sealing device and assembly for an optical cable termination box
KR20080024547A (ko) 벽 아웃렛
KR102147522B1 (ko) 바닥 배선용 시스템 박스
TW201547115A (zh) 電插塞連接器
CN106168430B (zh) 带有具有摆动轴线的在门侧的支承件和布置在侧向把手槽之外的摆动轴线的家用制冷器具
US8921693B2 (en) Distribution cabinet for optical fibre cables
KR20070065139A (ko) 드럼세탁기의 도어개폐방향 변경구조
CN102317831A (zh) 用于光纤组件的插入件和使用该插入件的光纤组件
KR102082708B1 (ko) 바닥 배선용 시스템 박스의 커버
EP2616860B1 (en) Riser box for optical fiber cable drop-off
JP4294018B2 (ja) 光コネクタ接続部用の光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光接続箱
CN108150038B (zh) 铰链以及门结构
JP4252046B2 (ja) 成端キャビネット
CZ68697A3 (en) Wiring box for hollow walls
KR100427847B1 (ko)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
KR200457438Y1 (ko) 광 케이블 접속 장치
JP4368285B2 (ja) 光コネクタローゼット
JPH1090525A (ja) 光ファイバの分岐接続装置
GB2074686A (en) Multi line hose or cable connector
KR101787551B1 (ko) 유틸리티 박스가 구비된 실험대
JP2012522486A (ja) ハウジング装置
KR101695235B1 (ko) 터미널 장치
CN214280902U (zh) 旁路作业电缆中间接头保护盒
KR200349547Y1 (ko) 책상용 배선덕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