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620B1 - 이중 플로어용 배선접속장치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플로어용 배선접속장치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620B1
KR101048620B1 KR1020100103826A KR20100103826A KR101048620B1 KR 101048620 B1 KR101048620 B1 KR 101048620B1 KR 1020100103826 A KR1020100103826 A KR 1020100103826A KR 20100103826 A KR20100103826 A KR 20100103826A KR 101048620 B1 KR101048620 B1 KR 101048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floor
box
connection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균
Original Assignee
(주)원영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영이엔지 filed Critical (주)원영이엔지
Priority to KR1020100103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86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플로어( 2 )와 하부 플로어( 1 )의 이중 플로어에서 실내 배선과 상부 플로어 아래쪽에 배치된 주 배선을 서로 접속시켜 주는 이중 플로어용 배선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서는 실내측 배선단자 및 플러그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주 배선이 연결되는 주 배선 접속소켓(12,14)을 내부에 구비한 배선함(10)과, 이 배선함(10)을 하부에 결합하여 상부를 상부 플로어(2)의 설치구멍(4)의 저면에 연결하는 연결박스(20)와, 상기 설치구멍(4)위에 설치하여 체결나사로 상기 연결박스(3)를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3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30)의 상부를 덮어 주도록 설치되는 원형의 커버(4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중 플로어용 배선접속장치 및 그 설치방법{Electric wire juction box for acess floor and method of mounting the same under the floor}
본 발명은 이중 구조의 플로어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배선접속장치 및 그 배선접속장치를 이중 구조의 상부 플로어에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건물의 바닥 플로어(통상 슬라브) 위에 일정한 배선 공간을 두고 상부 플로어를 설치한 이중 플로어(통상 "액세스 플로어(Access floor)"라고 한다.)에서 상부 플로어의 설치구멍 하부에 부착설치되어 실내의 배선을 바닥 플로어 상에 배치된 주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이중 플로어용 배선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무실, 전산실, 학교 등과 같이 여러가지 전자기기 및 통신기기를 사용하는 곳에서는 그 전자기기와 통신기기에 연결되는 전원선과 통신선을 플로어 하부 공간에 배치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중 플로어 구조, 소위 "액세스 플로어(Access Floor)"가 사용된다. 이 이중 플로어 시스템에서는 슬라브로 이루어진 하부 플로어(1)위에 상부 플로어(2)를 지지대로 지하여 이들 플로어 사이에 배선용 공간을 마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플로어(2)는 시공하기 편리하도록 일정한 크기로 재단한 플로어 유니트들을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하부 플로어에 높이조절가능한 지지대로 지지시켜 설치한다.
상기한 이중 플로어 구조에서는 상부 플로어(2)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4각형 설치구멍(4)들을 뚫고, 각 설치구멍(4)마다 4각형의 배선접속장치를 설치하여 실내에 배치되는 전자기기, 통신기기 및 전기기구에 연결되는 실내 배선들을 상기 배선접속장치를 통하여 상부 플로어(2)의 하부 배선공간(S)안에 배치된 주 배선들(5,7)에 접속한다.
이러한 이중 플로어용 배선접속장치의 일예로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종래의 이중 플로어용 배선접속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몸체(100)를 상부 플로어의 설치구멍(4)안에 설치할 때, 박스 몸체(100)의 상단부를 상부 플로어(2)의 설치구멍(4)의 가장자리 단턱부(4a)에 얹어서 고정하기 위하여 박스 몸체(100)의 상단 가장자리에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01)를 구비한다. 그런데 이 플랜지부(101)가 박스 몸체의 상단에서 일체로 성형되어 박스몸체(10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전체 폭이 설치구멍(4)의 폭보다 커서 박스 몸체(100)는 상부 플로어를 설치하고나서 상부 플로어의 위쪽에서만 조립하여야 하는 작업순서상 한계가 있다.
그리고, 박스 몸체(101)에는 실내 전선 접속구(102)를 설치한 접속구 플레이트(103)와 통신단자 접속구(104)를 설치한 통신단자 접속구 플레이트(105)가 조립되는 데, 이들 접속구 플레이트(103,105)는 박스 몸체(100)에 조립할 때 먼저 이들 접속구 플레이트(103,105)를 상부 플로어( 2 )의 외측으로 꺼내어 놓고, 그리고 상부 플로어(2)의 하부 공간에 배치된 주 전선(5)이나 주 통신선(7)을 박스 몸체(100) 안쪽 공간을 통하여 상부 플로어( 2 )위로 인출한 다음 실내 전선 접속구(102)나 통신단자 접속구(104)의 단자에 직접 연결하여야 하고, 배선을 연결한 후에는 플레이트(103,105)를 다시 박스 몸체(100)의 내부 공간을 통과시켜 박스 몸체(100)의 측벽 개방부(100a, 100b)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전기배선작업이나 통신배선작업은 박스 몸체를 플로어 설치작업 후에 진행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고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박스 몸체 설치작업 전에는 배선작업을 진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배선접속장치를 플로어에 설치하는 작업과, 전기배선작업과, 통신배선작업의 주체가 각각 다른 경우, 전기배선작업과 통신배선작업을 완료하기 전에는 박스 몸체를 설치하는 작업을 진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전기배선작업이나 통신배선작업중 어느 하나의 배선작업을 하고 박스 몸체를 설치한 후에, 나머지 하나의 배선 작업을 하려면 이미 설치해 놓은 박스 몸체를 플로어에서 분리해체한 후 배선작업을 마치고나서 다시 박스몸체를 플로어에 재설치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상부 플로어(2)에 형성되는 설치구멍은 원형 또는 다른 형상으로 가공하기 어려워 통상 4각형으로 가공되고, 이에 설치구멍(4)의 4각 형상에 맞추어 배선접속장치의 커버(110)도 4각형으로 제작된다. 그런데 상부 플로어(2)에 형성하는 설치구멍(4)중 일부의 설치구멍(4)이 정렬선에 일치하지 않게 되면 이 설치구멍(4)에 설치된 배선접속구의 커버(40)도 정렬되지 않아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플로어에 배선함을 설치하는 작업, 전기배선 연결작업, 통신배선 연결작업을 임의의 순서로 진행하여 불필요한 작업대기기간을 줄여서 공기를 줄일 수 있고, 설치작업도 간편한 이중 플로어용 배선접속장치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로어에 형성된 설치구멍들중 일부 설치구멍이 정렬라인에 맞지 않는 경우 열이 정렬되지 않게 형성되어 있더라도 이들 설치구멍에 설치되어 상부 플로어의 표면위로 노출되는 배선접속장치의 커버들은 정확하게 정렬되도록 조정할 수 있는 이중 플로어용 배선접속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선접속장치는,
내부공간이 전기배선부, 중간 격실, 통신배선부로 구획되고, 상기 전기배선부는 중간 격실쪽으로 향한 일측벽에 실내측 전기선을 접속하기 위한 실내 전선 실내 전선 접속소켓을 구비하고 다른 일측벽에는 하부 플로어에 배치된 주 전선을 접속하기 위한 주 전선 접속소켓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배선부는 상기 중간 격실쪽을 향한 일측벽에 실내측 통신선 접속구를 구비하고 다른 일측벽에는 하부 플로어에 배치된 주 통신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주 통신선 접속구를 구비한 배선함;
이중 플로어의 상부 플로어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상부가 상부 플로어의 설치구멍의 아래쪽에 고정되고 하부에 상기 배선함을 결합하여 상기 배선함을 상부 플로어의 저면에 부착하고, 중앙에 상기 배선함의 중간 격실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개방부를 구비하며, 상기 개방부의 상부에는 원형 홈이 형성된 연결박스;
상부 플로어의 설치구멍의 위쪽에서 설치구멍의 가장자리 단턱부에 지지되고 하측에 배치된 연결박스를 체결하여 연결박스를 상부 플로어에 견고히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되고, 개폐가능한 뚜껑을 구비하며 상기 뚜껑에는 배선 인출구를 다수개 구비한 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배선접속장치 설치방법은,
하부 플로어의 주 전선을 배선 배선함의 전기 배선부에 결합하고, 하부 플로어의 주 통신선을 배선함의 통신 배선부에 결합하는 주 배선 결합단계;
주 배선이 결합된 배선함위에 연결박스를 얹어서 서로 결합하는 연결박스 결합단계;
저면에 배선 배선함이 결합된 연결박스를 상부 플로어의 아래쪽에서 설치구멍에 끼워서 설치구멍의 가장자리에 고정하는 예비 고정단계;
상기 설치구멍의 위쪽에 고정플레이트를 얹고 고정플레이트에 상기 연결박스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고정단계; 및
상기 설치구멍에 고정된 고정플레이트상에 커버를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이중 플로어용 배선 접속장치에 의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접속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선 배선함에 주 전선과 주 통신선을 연결하고 상면에 연결박스를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연결박스과 배선함의 결합체를 상부 플로어의 아래쪽에서 설치구멍에 결합한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상부 플로어의 설치구멍 위쪽에 고정플레이트를 얹어 연결박스를 고정한 상태의 결합단면도,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클램프를 조여 연결박스를 상부 플로어에 견고히 고정한 상태의 부분 결합단면도,
도 7은 설치구멍의 위쪽에서 고정플레이트에 커버를 결합하여 배선접속장치의 설치를 완료한 상태의 결합단면도,
도 8은 종래 배선 접속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9은 도 8의 배선 접속장치를 상부 플로어에 결합한 상태의 결합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플로어용 배선접속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선접속장치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중 플로어란, 하부 플로어(1)와, 상부 플로어(2)로 이루어지고, 하부 플로어(1)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부 플로어(2)가 지지대(3)로 지지되어 상부 플로어(2)와 하부 플로어(1) 사이에 배선공간(S)을 형성한 것을 지칭한다. 이러한 이중 플로어 구조에서는 상부 플로어(2)에 복수개의 설치구멍(4)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 각 설치구멍(4)마다 본 발명과 같은 배선접속장치를 설치한다.
본 발명의 배선접속장치는, 실내측 전기기기 및 전자통신기기에 전원과 통신신호를 제공하도록 실내측 배선(도시생략)을 상부 플로어(2)의 하부의 배선공간(S)에 배치된 주 배선(주 전선과 주 통신선을 통합하여 지칭하고, 도면부호 5는 주 전선, 7은 주 통신선을 나타낸다)에 접속시킨다.
본 발명의 배선접속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로어(2)의 하부 배선공간(S)에 배치되는 배선함(10)과, 상기 배선함(10)을 저면에 결합하여 상부 플로어(2)의 설치구멍(4)의 아래쪽에 고정되는 연결박스(20)와, 상기 상부 플로어(2)의 설치구멍(4)의 단턱부(4a)에 가장자리가 지지되고 아래쪽에 배치된 연결박스(20)를 체결나사(31)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3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30)위에 결합되고 개폐가능한 뚜껑(41)을 구비하여 상기 배선함(10)에 접근을 허용하는 커버(4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선함(10)은 전기배선부(10A)와 통신배선부(10B)를 구비하고, 이들 전기배선부(10A)와 통신배선부(10B)는 중간 격실(10C)에 의해 분리된다.
전기배선부(10A)는 중간 격실(10C)을 향하는 내측벽에 실내 전선측 접속플러그를 결합시키는 실내 전선 접속소켓(12)을 구비하고, 다른 쪽 측벽에는 주 전선측 접속플러그(5a)가 결합되는 주 전선 접속소켓부(6)를 구비한다.
그리고, 전기배선부(10A)의 상면은 개폐가능한 덮개판(11)으로 덮여져 내부 공간 안으로 접근가능하게 하고 외부의 이물질의 침입을 차단한다.
상기 전기배선부(10A)의 실내 전선 접속소켓(12)과 주 전선 접속소켓부(6)는 서로 통전되도록 내부 배선(도시생략)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기배선작업시 주 전선 접속소켓부(6)에 주 전선 접속플러그(5a)를 결합하고 실내 전선 접속소켓(12)에 실내 전선측 접속플러그를 결합하는 작업만으로 전선접속을 위한 배선작업을 간단하게 마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 전선 접속소켓(12)을 설치한 플레이트를 전기배선부( 10A )의 내측벽과 분리가능한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배선함 설치작업을 완료한 후에도 주 통신선 배선작업이 가능하다.
통신배선부(10B)는 상측에 개폐가능한 덮개판(13)을 구비하여 내부 공간안으로 접근가능하게 하고 외부의 이물질의 침입을 차단한다. 상기 통신배선부(10B)는 중간 격실(10C)에 대향하는 측벽에 실내 통신선의 단자를 결합하기 위한 실내 통신선 접속소켓(14)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있으며, 좌/우 측벽에는 각각 주 통신선(7)을 결합하기 위한 주 통신선 접속구(1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통신배선부(10B)의 실내 통신선 접속소켓(14)과 주 통신선 접속구(15)는 서로 통전되도록 내부 배선(도시생략)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통신 배선작업시 주 통신선 접속구(15)에 주 통신선(7)을 접속하고 실내 통신선 접속소켓(14)에 실내 통신선측 접속단자를 결합하는 작업만으로 통신선접속을 위한 배선작업을 간단하게 마칠 수 있다.
중간 격실(10C)은 전기배선부(10A)와 통신배선부(10B)를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게 분리하고, 아울러 상기 전기배선부(10A)와 통신배선부(10B)의 배선접속작업을 위한 여유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중간 격실(10C)은 중앙을 가로지르는 격판(16)을 설치하여 제1격실과 제2격실로 분할할 수 있다. 상기 격판(16)을 탈착가능하게 격판(16)의 양단을 끼워서 지지하는 지지턱(17)에는 체결나사구멍(17a)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고정플레이트(30)와 연결박스(20)를 차례로 관통하여 연장된 배선함 체결나사(18)를 체결한다.
한편, 연결박스(20)는 배선함(10)을 설치구멍(4)의 아래쪽에서 상부 플로어(2)의 저면에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박스(20)는 중앙에 배선함(10)의 중간 격실(10C)과 연통하는 개방부(23)를 형성하여 실내 전선측 플러그나 실내 통신선 단자가 상부 플로어(2)의 위쪽 실내에서 배선함(10)의 중간 격실(10C)안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연결박스(20)는 상면에 일정한 깊이로 형성된 원형 홈(24)을 구비하고, 이 원형 홈(24)에는 고정플레이트(30)의 저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원형 몸체부가 안착한다.
상기 연결박스(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함(10)의 중간 격실(10C)의 위쪽에 얹혀지고, 양쪽 가장자리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부 후크(22)와 하부 후크(21)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후크(22)를 설치구멍(4)의 단턱부(4a)에 걸어서 연결박스(20)과 연결박스(20)에 결합된 배선함(10)을 상부 플로어(2)에 고정설치한다. 그리고 하부 후크(21)는 배선함(10)의 양쪽 측벽에 각각 형성된 하부 후크 결합구멍(19a, 19b)에 끼워져 배선함(10)을 연결박스(20)에 고정해준다.
또한 연결박스(20)의 모서리마다 클램프(25)가 조임나사(26)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연결박스(20)의 위쪽에서 조임나사(26)를 회전시키면 조임나사(26)에 나사결합식으로 맞물린 클램프(25)는 조임나사(26)에 의해 회전하다가 측벽에 맞닿아 회전저지된 후 조임나사(26)를 따라 위쪽으로 계속 상승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로어(2)의 저면에 밀착하게 되고, 이로써 연결박스(20)와 배선함(10)은 서로 결합한 상태로 상부 플로어(2)의 저면에 견고히 고정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저면에 연결박스(20)와 배선함(10)이 고정된 상부 플로어(2)의 설치구멍(4)의 위쪽에 상기 연결박스(20)와 배선함(1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플레이트(30)를 얹고, 이 고정플레이트(30)의 네 모서리마다 연결박스 체결나사(31)를 관통시켜 연결박스(20)의 네 모서리에 체결함으로써 연결박스(20) 및 배선함(10)을 고정플레이트(30)에 견고히 고정한다.(도 6 참조)
이 고정플레이트(30)는 설치구멍(4)의 단턱부(4a)에 얹혀져 지지될 때 단턱부(4a)에 걸린 상부 후크(22)와 간섭하지 않도록 대응위치마다 절개부(32)를 형성한다. (도 1참조)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플레이트(30)를 설치구멍(4)에 설치하고나서 고정플레이트(30)위에 커버(40)를 얹어서 조립한다. 커버(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하부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고정플레이트(30)의 커버 결합홈(34)안에 설치된다. 이 커버(40)는 체결나사로 고정플레이트(30)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커버(40)의 상면에는 뚜껑(41)이 힌지결합되어 개폐가능하게 되어 있다. 뚜껑(41)에는 다수의 배선 인출구(42)가 형성되어 실내 배선이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보통 설치구멍(4)들은 4각형의 구멍으로 상부 플로어(2)에 마련되는데, 상부 플로어(2)에 형성된 복수개의 설치구멍(4)들 중 어느 하나의 설치구멍(4)이 다른 설치구멍(4)들의 테두리들이 정렬되어 이루는 가상의 정렬선에서 어긋나게 뚫려진 경우에도, 원형의 커버(40)가 가상의 정렬선을 벗어난 설치구멍(4)의 테두리선을 상부 플로어(2)에서 보이지 않도록 덮어준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배선접속장치를 이중 플로어에 설치하는 과정을 차례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배선접속장치를 매입하여 설치하기 위한 설치구멍(4)이 소정의 위치마다 형성된 상부 플로어(2)를 하부 플로어(1)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상부 플로어(2)와 하부 플로어(1)사이에 배선공간(S)을 마련한다. 상기 상부 플로어(2)는 작업의 편리성을 위하여 일정한 크기로 재단한 유니트로 구성하고, 이들 상부 플로어 유니트를 연속하여 배치하여 높이조절가능한 지지대(3)로 지지하여 상부 플로어(2)를 설치한다.
이렇게 이중 플로어 구조로 이루어진 플로어 시스템에서 실내 전기기구, 전자기구 및 통신기구의 레이아웃(lay-out)에 따라 상부 플로어(2)위에 배치된 실내배선의 단자를 상부 플로어(2)의 하측 배선공간(S)에 배치된 주 배선(전선 케이블과 통신선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선접속장치를 아래의 과정을 거쳐 설치한다.
(1). 주 전선(5)과 주 통신선(7)을 각각 배선함(10)의 전기배선부(10A)와 통신배선부(10B)에 연결하는 단계;(도 1 및 도 2 참조)
하부 플로어(1)상에 배선함(10)을 배치하고, 외부에서 배선공간(S)안으로 인입하여 미리 배치한 주 전선(5)을 배선함(10)의 전기배선부(10A)내에 구비된 실내 전선 접속소켓(12)의 단자에 연결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함(10)의 일측벽에 주 전선 접속소켓부(6)가 설치되어 있고, 이 주 전선 접속소켓부(6)와 실내 전선 접속소켓(12)이 전기배선부(10A)의 내부 배선으로 미리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주 전선(5)의 끝단에 접속플러그(5a)를 연결하고, 이 접속플러그(5a)를 배선함(10) 측벽에 구비된 주 전선 접속소켓부(6)에 결합한다. 이 경우 주 전선을 접속소켓의 단자에 일일이 직접 연결하는 것에 비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실내 전선 접속소켓(12)이, 별개의 플레이트상에 구비되어 전기배선부(10A)의 측벽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에는, 이 실내 전선 접속소켓(12)이 설치된 플레이트를 배선함(10)에서 분리하여 주 전선(5)을 실내 전선 접속소켓(12)의 단자에 직접 연결한 후, 이 실내 전선 접속소켓(12)을 전기배선부(10A)의 내벽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이중 플로어 작업시 주 전선과는 별도로 배선공간(S)에 설치한 주 통신선(7)을 배선함(10)의 주 통신선 접속구(15)에 연결한다.
상기 주 통신선 접속구(15)와 실내 통신선 접속소켓(14)이 통신배선부(10B)의 내부 배선으로 미리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주 통신선(7)의 끝단을 주 통신선 접속구(15)에 접속함으로써 주 통신선 연결작업을 간단하게 마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내 통신선 접속소켓(14)이 별개의 플레이트상에 구비되고 이플레이트를 통신배선부(10B)의 측벽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는, 실내 통신선 접속소켓(14)이 설치된 플레이트를 배선함(10)에서 분리하여 주 통신선(7)을 실내 통신선 접속소켓(14)의 단자에 직접 연결한 후, 그 플레이트를 통신배선부(10B)의 내벽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주 통신선을 배선함의 통신배선부에 연결하는 작업은 배선작업 상황에 따라 주 전선 연결작업 전 또는 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2). 배선함(10)과 연결박스(20)를 결합하는 단계(도 2 및 도 3참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배선(5,7)을 연결접속한 배선함(10)의 위면에 연결박스(20)를 얹고 서로 결합한다. 연결박스(20)의 측벽 하단에 구비된 하부 후크(21)를 배선함(10)의 양쪽 측벽에 각각 형성된 하부 후크 결합구멍(19a, 19b)에 끼워서 배선함(10)과 연결박스(20)를 결합한다.
(3). 배선함(10)이 결합된 연결박스(20)를 상부 플로어(2)의 하부에서 설치구멍(4)의 아래쪽에 설치하여 고정하는 단계(도 4 참조);
배선함(10)이 결합된 연결박스(20)를 상부 플로어(2)의 하부에서 설치구멍(4)쪽으로 밀어올려, 상부 후크(22)를 설치구멍(4)의 단턱부(4a)에 걸어준다. 이로써 연결박스(20)과 연결박스(20)에 결합된 배선함(10)이 상부 플로어(2)에 저면에 고정설치된다.
(4). 설치구멍(4)의 위쪽에 고정플레이트(30)를 설치하고나서 연결박스(20)를 고정플레이트(30)의 4모서리에 각각 체결나사(31)로 체결하여 고정하고(도 5 참조), 조임나사(26)를 회전시켜 클램프(25)로 연결박스(20)를 상부 플로어(2)의 저면에 고정한다.
이로써, 연결박스(20)는 설치구멍의 단턱부에 결합된 상부 후크(22)와, 설치구멍(4)의 단턱부(4a)에 지지되는 고정플레이트(30)와, 클램프(25)의 고정에 의해 상부 플로어(2)에 견고히 고정된다.
(5). 상기 고정플레이트(30)위에 커버(40)를 얹고 체결나사(도시되지 않음)로 고정플레이트에 고정하여 본 발명의 배선접속장치의 설치작업을 완료한다.
상기 커버(40)는 상부 플로어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상부 플로어(2)에 형성된 설치구멍(4)의 테두리선들을 덮어서 가려주므로, 상부 플로어(2)에 형성된 일부 설치구멍(4)의 테두리선이 다른 설치구멍(4)들의 테두리들이 정렬되어 이루는 가상의 정렬선에서 어긋나게 뚫려진 경우에도, 그 정렬선을 벗어난 설치구멍(4)의 테두리선이 상부 플로어(2)에서 보이지 않게 되어 미관을 좋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본 발명의 배선접속장치를 플로어에 설치하지만, 배선접속장치에 주 전선 연결작업이나 통신선 연결작업중 어느 하나의 작업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배선접속장치를 플로어에 설치하고, 그 이후에 주 배선 작업을 하는 경우에도 배선접속장치를 상부 플로어에서 분리하는 작업이 간편하므로 배선접속장치의 분리후 주 배선작업을 한 다음에 다시 플로어에 부착설치할 수 있다.
1: 하부 플로어 2: 상부 플로어
3: 지지대 S: 배선공간
4: 설치구멍 4a: 단턱부
5: 주 전선 5a: 접속플러그
6: 주 전선 접속소켓부 7: 주 통신선
10: 배선함 10A: 전기배선부
10B: 통신배선부 10C: 중간 격실
11: 전기배선부 덮개판 12: 실내전선 접속소켓
13: 통신배선부 덮개판 14: 실내 통신선 접속소켓
15: 주 통신선 접속구 16: 격판
17: 지지턱 18: 배선함 체결나사
19a, 19b: 하부 후크 결합구멍
20: 연결박스 21: 하부 후크
22: 상부 후크 23: 개방부
24: 원형 홈 25: 클램프
26: 조임나사
30: 고정플레이트 31: 체결나사
32: 절개부 34: 커버 결합홈
40: 커버 41: 뚜껑
42: 배선 인출구

Claims (8)

  1. 하부 플로어(1)위에 일정한 배선공간(S)을 두고 상부 플로어(2)가 설치되는 이중 플로어 구조에서 상부 플로어(2)에 형성된 설치구멍(4)에 설치되어 배선공간(S)에 배치된 주 전선(5) 및 주 통신선(7)과, 상부 플로어(2)의 위쪽 실내 배선을 서로 접속시키는 이중 플로어용 배선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선접속장치는,
    실내측 전선측 플러그를 결합하기 위한 실내 전선 접속소켓(12)과, 주 전선의 접속플러그(5a)를 접속하기 위한 주 전선 접속소켓부(6)와, 실내 통신선을 접속하기 위한 실내 통신선 접속구와, 배선공간(S)에 배치된 주 통신선(7)을 접속하기 위한 주 통신선 접속구(15)를 구비한 배선함(10);
    상기 배선함(10)을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설치구멍(4)의 아래쪽에서 상부 플로어(2)에 고정되고, 중앙에 상기 배선함(10)의 내부와 연통하는 개방부(23)가 형성된 연결박스(20);
    상기 설치구멍(4)의 가장자리 단턱부(4a)에 얹혀지게 설치되고 상부 플로어(2)의 아래쪽에 배치된 상기 연결박스(20)를 고정하여 상기 연결박스(20)과 상기 배선함(10)을 상기 상부 플로어(2)에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30);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30)의 위쪽에 얹혀져 결합되고, 개폐가능한 뚜껑(41)을 구비하여 실내에서 상기 배선함(10)의 내부공간에 접근가능하게 하는 커버(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플로어용 배선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함(10)은 전기배선부(10A), 통신배선부(10B), 및 상기 전기배선부(10A)와 통신배선부(10B)가 분리되게 구획하는 중간 격실(10C)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배선부(10A)는 중간 격실(10C)쪽으로 향한 내측벽에 상기 실내 전선 접속소켓(12)을 설치하고, 외측벽에는 상기 주 전선 접속소켓부(6)를 설치하며,
    상기 통신배선부(10B)는 중간 격실(10C)쪽으로 향한 내측벽에 실내 통신선 접속구를 설치하고, 일측 외측벽에 상기 주 통신선 접속구(15)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플로어용 배선접속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함(10)은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에 각각 형성된 하부 후크 결합구멍(19a, 19b)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박스(20)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 상단에 상기 설치구멍(4)의 단턱부(4a)에 걸려 고정되는 상부 후크(22)를 구비하고, 측벽 하단에는 상기 배선함(10)의 하부 후크 결합구멍(19a, 19b)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결합하는 하부 후크(2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플로어용 배선접속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전선 접속소켓(12)과 상기 주 전선 접속소켓부(6)는 상기 전기배선부(10A) 내부에서 내부 배선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플로어용 배선접속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배선부(10B)의 실내 통신선 접속구와 상기 주 통신선 접속구(15)는 상기 통신배선부(10B)의 내부 배선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플로어용 배선접속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박스(20)는 개방부(23)의 상부에 원형 홈(24)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30)는 상기 연결박스(20)의 원형 홈(24)안에 삽입되도록 아래쪽으로 돌출된 원형의 커버 결합홈(34)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40)는 하부 몸체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플레이트(30)의 커버 결합홈(34)에 결합되고, 상부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플로어용 배선접속장치.
  7. 하부 플로어(1)위에 일정한 배선공간(S)을 두고 상부 플로어(2)가 설치되는 이중 플로어 구조에서 배선공간(S)에 배치된 주 전선(5) 및 주 통신선(7)과, 상부 플로어( 2 )의 위쪽 실내 배선을 서로 접속시키는 이중 플로어용 배선접속장치를 상부 플로어( 2 )에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배선공간(S)에서 주 전선(5)과 주 통신선(7)을 배선함(10)의 실내전선 접속소켓(12)과 실내 통신선 접속소켓(14)에 각각 연결하는 단계;
    상기 배선함(10)위에 연결박스(20)를 얹어서 서로 결합하는 단계;
    저면에 배선함(10)이 결합된 상기 연결박스(20)를 상부 플로어(2)의 저면 아래쪽에서 상부 플로어(2)의 설치구멍(4)에 끼워 설치하되, 상기 연결박스(20)의 상단 양측 가장자리에 돌출되게 형성된 탄성의 상부 후크(22)를 상부 플로어(2)에 형성된 설치구멍(4)의 단턱부(4a)에 걸어서, 저면에 배선함(10)이 결합된 연결박스(20)를 상부 플로어(2)의 설치구멍(4)의 아래쪽에 예비고정하는 단계;
    상기 설치구멍(4)의 위쪽에 고정플레이트(30)를 얹고 고정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들을 설치구멍(4) 아래쪽에 예비고정된 연결박스(20)에 각각 체결나사(31)로 체결하여 고정플레이트(30)와 연결박스(20)를 서로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30)위에 커버(40)를 덮고 고정플레이트(30)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플로어용 배선접속장치의 설치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전선(5)을 실내전선 접속소켓(12)에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주 전선(5)의 선단에 접속플러그(5a)를 연결하고, 상기 배선함(10)의 측벽에 마련된 주 전선 접속소켓부(6)에 상기 접속플러그(5a)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플로어용 배선접속장치의 설치방법.
KR1020100103826A 2010-10-25 2010-10-25 이중 플로어용 배선접속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1048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826A KR101048620B1 (ko) 2010-10-25 2010-10-25 이중 플로어용 배선접속장치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826A KR101048620B1 (ko) 2010-10-25 2010-10-25 이중 플로어용 배선접속장치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8620B1 true KR101048620B1 (ko) 2011-07-12

Family

ID=44923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826A KR101048620B1 (ko) 2010-10-25 2010-10-25 이중 플로어용 배선접속장치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86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103B1 (ko) 2011-10-14 2013-03-25 주식회사 서광정밀 케이블 클램프 및 서포트가 구비된 멀티 플로어 박스
KR200492483Y1 (ko) * 2019-04-16 2020-10-23 (주)원영이엔지 이중 바닥 설치용 시스템 배선박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1017U (ja) 1984-04-20 1985-11-13 松下電工株式会社 フロアコンセント
JPH06243923A (ja) * 1991-07-25 1994-09-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フロア用配線器具
KR200207526Y1 (ko) 2000-07-14 2000-12-15 삼도개발산업주식회사 플로아 매설용 시스템 박스
KR100902185B1 (ko) 2007-05-21 2009-06-10 송진우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1017U (ja) 1984-04-20 1985-11-13 松下電工株式会社 フロアコンセント
JPH06243923A (ja) * 1991-07-25 1994-09-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フロア用配線器具
KR200207526Y1 (ko) 2000-07-14 2000-12-15 삼도개발산업주식회사 플로아 매설용 시스템 박스
KR100902185B1 (ko) 2007-05-21 2009-06-10 송진우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103B1 (ko) 2011-10-14 2013-03-25 주식회사 서광정밀 케이블 클램프 및 서포트가 구비된 멀티 플로어 박스
KR200492483Y1 (ko) * 2019-04-16 2020-10-23 (주)원영이엔지 이중 바닥 설치용 시스템 배선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7329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in-wall power
US9490616B1 (en) In-floor electrical fitting
US20120096780A1 (en) Office partition electrical system
US20160294137A1 (en) Electrical power outlet housing assembly
US20160276773A1 (en) Modular electrical wire housing unit
KR101048620B1 (ko) 이중 플로어용 배선접속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1586709B1 (ko) 조명기구 고정용 레이스 웨이
EP3104470A1 (en) Socket assembly with multiple flush-mounting boxes
JPH0287920A (ja) カーペット下の電力用配線システムおよびアダプタ
JP2007236150A (ja) 光・電力共用引込盤
JP2828241B2 (ja) 船舶の居室における配電システム
JP4494608B2 (ja) 埋め込み形分電盤ユニット
KR100732726B1 (ko) 이중바닥 배선용 전선박스
KR20070120338A (ko) 콘센트 구조
JPH0815365B2 (ja) フロアコンセント
JP2002078119A (ja) 埋め込み形分電盤と縦型分電盤ユニット
JPS62107626A (ja) フリ−アクセスフロアの配線システム
CN208078568U (zh) 一种集成式阴角布线装置
EP1962399A1 (en) Distribution box for raised floors
JPH11346834A (ja) 机用配線ダクト装置
JPS6326056Y2 (ko)
JP2003023270A (ja) 電気機器
JP2750031B2 (ja) フロアパネル用床コンセント装置
KR100547637B1 (ko) 노출 버스배선식 전기기기 제어시스템
JPS62107625A (ja) フリ−アクセスフロアの配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