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5634Y1 - 전선박스용 결합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전선박스용 결합조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5634Y1 KR200305634Y1 KR20-2002-0036605U KR20020036605U KR200305634Y1 KR 200305634 Y1 KR200305634 Y1 KR 200305634Y1 KR 20020036605 U KR20020036605 U KR 20020036605U KR 200305634 Y1 KR200305634 Y1 KR 20030563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box
- main body
- box
- coupling gear
- coupl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 H02G3/185—Floor outlets and access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빌딩이나 오피스텔 등과 같은 내부바닥에 깔린 플로아(floor)에 매설하여 전원공급코드, 통신선, 전화선코드 및 각종잭코드를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박스용 전선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에 깔린 시스템박스 패널의 두께에 상관없이 호환성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어떤 위치에서도 설치시공이 가능하며 작업공정의 축소로 인하여 설치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전선박스용 결합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정면 장공의 중간위치에 주지지대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게 구성하고, 주지지대에 근접되게 설치한 보조지지대의 사이에 결합기어가 삽입되어 수평조절용 나사와 나사식 결합되어 줄어든 작업공정을 통하여 시스템판넬과 결착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기어는 좌우상부에 톱니가 형성되며, 좌우내측으로 가이드편이 돌출되어 주지지대 및 보조지지대와 밀착되게 구성하여 결합시에 가이드편으로 인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제공하여 조절장치가 가지는 작업의 불편함을 수평조절용나사 및 결합기어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결합 및 조절을 할 수 있게 하여 설치에 걸리는 시간과 작업공정을 줄일 수 전선박스용 결합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빌딩이나 오피스텔 등과 같은 내부바닥에 깔린 플로아(floor)에 매설하여 전원공급코드, 통신선, 전화선코드 및 각종잭코드를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박스용 전선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전선박스 설치로 인하여 각종 전선의 정리를 간편용이하게 하고 시스템판넬두께 및 위치조절을 사용자가 임의로 간편용이하게 조절사용하여, 바닥에 깔린 시스템박스 패널의 두께에 상관없이 호환성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어떤 위치에서도 설치시공이 가능하며 작업공정의 축소로 인하여 설치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전선박스용 결합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급빌딩이나 오피스텔등의 바닥의 일정위치 즉, 사무기기등이 배열된 적당한 위치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매립형 시스템박스용 전선박스를 일체로 매립하여 바닥의 외부로 배선이 보이지 않는 상태로 전선 또는 전화선 등을 인출하여 각종 사무기기나 전화기에 연결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종래의 시스템박스용 전선박스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면(100)과 하부면(11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면(100)에는 중앙의 덮개면(101)이 개폐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상기 덮개면(101)의 좌우측에는 전기선이나 통신선등을 외부로 인출하는 선인출구(102)가 다수개 설치되어져 있으며,상기 하부면(110) 좌우측에는 선정렬구(111)가 형성되어 있어 전기선이나 통신선 등을 정렬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종래의 전선박스 사방에는 시스템판넬과의 결합시 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재(103)가 상기 전선박스의 하부면(110)에 일체로 형성되어, 나사(104)로 두께조절을 할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다.
상기 조절부재(103)에 연이어 연결되며 모서리면에 나사식고정된 결합집게(105)는 시스템판넬과 결합시에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며, 시스템판넬을 더욱 밀착하며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전선박스는 작업자가 나사 및 볼트등을 조여주는 시간 등이 길어지며, 사방으로 지지부재 및 결합부재가 있어 수평이 맞지 않거나, 한 모서리가 강하게 조여질 경우 다른 모서리들이 맞지 않는 경우가 있다.
상기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작업자는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수평이 맞지않아 재시공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가지게 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부면과 본체로 구성된 시스템박스용 전선박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정면 장공의 중간위치에 주지지대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게 구성하고, 주지지대에 근접되게 설치한 보조지지대의 사이에 결합기어가 삽입되어 수평조절용 나사와 나사식 결합되어 줄어든 작업공정을 통하여 시스템판넬과 결착할 수있는 전선박스용 결합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전선박스용 결합조절장치의 결합기어는 좌우상부에 톱니가 형성되며, 좌우내측으로 가이드편이 돌출되어 주지지대 및 보조지지대와 밀착되게 구성하여 결합시에 가이드편으로 인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조립용 시스템판넬에 전선박스가 적용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박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전선박스에 사용되는 결합조절장치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박스에 사용되는 결합조절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박스와 시스템 판넬의 결합상태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박스의 사용상태사시도,
도 7은 종래의 시스템박스용 전선박스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선박스 10, 11 : 시스템판넬
20 : 상부면 21 : 덮개면
22 : 개폐나사 23 : 선인출구
30 : 본체 31 : 선정렬구
32 : 요철판 33 : 콘센트결합홈
34 : 나사구멍 35 : 장공
36 : 주지지대 37 : 보조지지대
40 : 수평조절용나사 50 : 결합기어
51 : 톱니 52 : 가이드편
도 1은 조립용 시스템판넬에 전선박스가 적용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시스템판넬(10)은 각각 다른 시스템판넬(11)과 조립되어 사무실 또는 전산실의 바닥면으로 사용된다. 특히, 사무실 또는 전산실에서 전선을 사용할 때 전선박스(1)를 통하여 전기선이나 통신선(랜선, 전화선)등을 인출하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박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선박스(1)는 상부면(20)과 본체(30)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면(20)에는 중앙의 덮개면(21)이 개폐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개폐시 개폐나사(22)를 돌려서 내부의 도시되지 아니한 잠금장치를 개폐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면(21)의 좌우측에는 전기선이나 통신선등을 외부로 인출하는 선인출구(23)가 다수개 설치되어져 있다.
상기 본체(30) 좌우측에는 선정렬구(31)가 형성되어 있고, 선정렬구(31)는 사각형상의 요철판(32)이 나사와 고정되어 전기선이나 통신선 등을 정렬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선정렬구(31)와 연이어 설치된 콘센트결합홈(33)은 도시되지 아니한 콘센트가 삽입된 후 나사구멍(34)에 나사를 통하여 고정되게 구성한다.
상기 본체(30)의 정면에는 장공(35)을 형성시킨 후 상기 장공(35)의 중간위치에 주지지대(36)가 본체(30)와 일체로 형성되게 구성하고, 주지지대(36)에 근접되게 보조지지대(37)를 설치한다.
상기 주지지대(36)와 보조지지대(37)의 사이에 결합기어(50)가 수평조절용 나사를 통하여 상하이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관계는 도 3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전선박스에 사용되는 결합조절장치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상기 결합조절장치는 결합기어(50), 수평조절용나사(40), 주지지대(36) 및 보조지지대(3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지지대(36)는 본체(30)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보조지지대(37)는 주지지대(36)와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30)에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본체(30)상부에는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수평조절용나사(40)가 회전이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주지지대(36) 및 보조지지대(37)의 사이에는 결합기어(50)가 삽입되어 상기 수평조절용나사(40)와 나사식 결합되어 있다(도 6의 내부에 설치된 수평조절용나사 X와 나사식 결합된 결합기어 Y 참조). 상기 결합기어(50)는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상부에 톱니(51)가 형성되어 있고 좌우내측으로 가이드편(52)이 돌출되어 주지지대(36) 및 보조지지대(37)와 밀착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관계는 도 4에 의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박스에 사용되는 결합조절장치에 대한 정면도이다. 여기서 결합기어(50)는 좌우상부에 톱니(51)가 형성되어 있고 좌우내측으로 가이드편(52)이 돌출되어 주지지대(36) 및 보조지지대(37)와 밀착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1과 같이 시스템 패널내부에 다수개의 전기선 또는 통신선이 배치되어 있다. 전기선이나 통신선 등이 필요한 위치에는 시스템판넬에 전선박스가 설치된다.
즉, 도 5와 같이 전선박스(1)가 시스템 판넬(10)과 고정된다.
전선박스는 상부면(20)과 밀착되게 시스템 패널(10)을 고정시킨 후 상기 수평조절용나사(40)를 돌려서 나사식결합된 결합기어(50)를 상하로 이동하여 시스템판넬(10)을 고정시킨다 (도 4참조). 일반적으로는 도 1과 같이 시스템 패널(10)의 끝단면과 전선박스(1)가 결합되게 된다. 즉, 전선박스(1)의 외측에 돌출되어 나온 결합기어(50)로 인하여 시스템판넬(10)의 끝단면에서 전선박스(1)를 삽입시키며 결합한다.
이때, 도 3과 같이 수평조절용나사(40)를 드라이버로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나사식결합된 결합기어(50)가 나선을 타고 회전하게 되지만, 상기 본체(30)의 주지지대(36)와 보조지지대(37)에 의해서 저지됨으로 하방향(A)로 진행하게 되며, 역으로 수평조절용나사(40)를 드라이버로 시계반대방향으로 돌리면 나사식결합된 결합기어(50)가 나선을 타고 회전하여 상방향(B)로 진행하게 된다 (이 방향을 역으로실시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과 같이 시스템 패널의 끝단면과 전선박스가 결합되지 않는 다른 설치예로서, 시스템 패널중앙에 전선박스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도 3의 점선으로 도시된 결합기어(50)를 수평조절용 나사를 시계방향으로 최대한 돌려서 상기 본체(30)에 돌출된 보조지지대(37)를 통과시킨 후 내부의 C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부연설명하자면 상기 전선박스에서 돌출된 결합기어(50)를 수평조절용 나사를 시계방향으로 최대한 돌려서 상기 본체(30)에 돌출된 보조지지대(37)를 통과시킨 후 내부의 C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전선박스의 덮개면(21)이 시스템판넬의 중앙부에 안착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박스의 사용상태사시도이다.
전기선이나 통신선등이 요철판(32)에 의하여 정렬되고 다시 콘센트로 연결되어 시스템박스 내부의 전기선이나 통신선을 정리하여 사용하는 것을 나타낸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전선박스의 좌우측에 형성된 선정렬구(31)는 사각형상의 요철판(32)을 이용하여 전기선이나 통신선 등을 정렬시킨 후 전선박스 내부로 통하게 한 후 상기 전기선이나 통신선 등을 상부면(20) 좌우에 설치된 선인출구(23)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선박스용 결합조절장치는 종래 전선박스의 조절장치가 가지는 작업의 불편함을 수평조절용나사(40) 및 결합기어(50)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결합 및 조절을 할 수 있게 하여 설치에 걸리는 시간과 작업공정을 줄일 수 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수평조절용나사와 결합기어를 나사식결합함으로서 시스템판넬과 결합시에 생기는 작업의 번거로움과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공정의 간소화 및 작업물의 수평성등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작업효율이 높아지며, 또한 부품의 간소화로 인하여 재료의 원가절감이라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전선박스가 가지는 한정된 공간 내지는 규격화된 공간에 삽설하는 것을 본 고안으로 하여금 시스템판넬의 끝단부 및 중앙부등 어느 곳이든 삽설할 수 있으므로 작업설치공간의 제한성이 없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 상부면(20)과 본체(30)로 구성되어 상부면(20)에는 덮개면(21)이 개폐나사(22)로 개폐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덮개면(21)의 좌우측에는 전기선등을 인출하는 선인출구(23)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30) 좌우측에는 선정렬구(31)가 형성되어 있는 시스템박스용 전선박스에 있어서,상기 본체(30)정면 장공(35)의 중간위치에 주지지대(36)가 본체(30)와 일체로 형성되게 구성하고, 주지지대(36)에 근접되게 설치한 보조지지대(37)의 사이에 결합기어(50)가 삽입되어 수평조절용나사(40)와 나사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전선박스용 결합조절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결합기어(50)는 좌우상부에 톱니(51)가 형성되며, 좌우내측으로 가이드편(52)이 돌출되어 주지지대(36) 및 보조지지대(37)와 밀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박스용 결합조절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36605U KR200305634Y1 (ko) | 2002-12-06 | 2002-12-06 | 전선박스용 결합조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36605U KR200305634Y1 (ko) | 2002-12-06 | 2002-12-06 | 전선박스용 결합조절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5634Y1 true KR200305634Y1 (ko) | 2003-03-03 |
Family
ID=49401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36605U KR200305634Y1 (ko) | 2002-12-06 | 2002-12-06 | 전선박스용 결합조절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05634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2185B1 (ko) | 2007-05-21 | 2009-06-10 | 송진우 |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 |
-
2002
- 2002-12-06 KR KR20-2002-0036605U patent/KR20030563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2185B1 (ko) | 2007-05-21 | 2009-06-10 | 송진우 | 악세스 플로어형 시스템박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07213B1 (en) | Horizontal electrical box with internal mounting arrangement | |
KR200457588Y1 (ko) |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함 | |
US20080020632A1 (en) | Universal electrical wiring component | |
US7117591B1 (en) | Method of mounting a light fixture to a vertical wall | |
US12081004B2 (en) | Weatherproof electrical enclosure with reinforcement | |
US9853401B2 (en) | Single-fastener mounting plate for electrical outlets | |
US20040149475A1 (en) | Cable entry box | |
KR200305634Y1 (ko) | 전선박스용 결합조절장치 | |
US20020125247A1 (en) | Electrical wiring box | |
JP3935483B2 (ja) | ガス栓の取付構造 | |
US8152542B2 (en) | Electrical connector enclosure | |
US5166476A (en) | Electric junction box/outlet | |
US4874334A (en) | Electrical outlet positioner | |
JP6603138B2 (ja) | 外構用電源装置 | |
KR101442205B1 (ko) | 아웃렛 박스의 연결조절박스 | |
JP3140891B2 (ja) | 配線器具付き二重床用パネル及び配線器具付き二重床用パネルによる床配線方法 | |
KR19990031050U (ko) | 매립형 배전박스 | |
US20090244926A1 (en) | Surface-Mountable Light Fixture Having an Access Port and Corresponding Method and Kit | |
KR200444210Y1 (ko) | 전구 소켓 고정구조 | |
CN217128863U (zh) | 一种可收纳分类电线的踢脚线 | |
KR200267365Y1 (ko) | 철판 판넬 시설물용 콘센트 박스 | |
JPH0785431B2 (ja) | 接続ボツクス | |
KR102364781B1 (ko) | 콘센트수납부 일체형 배선덕트 및 이를 이용한 배선덕트설치방법 | |
KR200190907Y1 (ko) | 조합구성되는 다목적 세대단자함 | |
KR20060045097A (ko) | 공간확장용 연결박스를 결합한 세대단자함의 구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EXTG | Extinguishment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