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2674B1 - 가변벽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회전콘센트 - Google Patents

가변벽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회전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2674B1
KR100852674B1 KR1020070055693A KR20070055693A KR100852674B1 KR 100852674 B1 KR100852674 B1 KR 100852674B1 KR 1020070055693 A KR1020070055693 A KR 1020070055693A KR 20070055693 A KR20070055693 A KR 20070055693A KR 100852674 B1 KR100852674 B1 KR 100852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outlet
wire
hol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5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해동
김성완
Original Assignee
삼신설계(주)
대한주택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신설계(주), 대한주택공사 filed Critical 삼신설계(주)
Priority to KR1020070055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26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8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one or more scre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 H01R13/745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separate from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01R35/025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having a flexible conductor wound around a rotation axis

Landscapes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개의 가변벽체 사이에 배선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인터페이스를 두어 벽체를 손상하지 않고 배선을 할 수 있게 한 구조에서 인터페이스의 설치홀에 설치하여 벽체의 전후면에서 간단한 콘센트박스 회전으로 양측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가변벽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회전콘센트에 관한 것이며, 전후가 개방된 박스체(31)가 인터페이스(20)의 설치홀(24)에 삽입되어 고정핀으로 고정되고, 박스체(31)의 상면 전후가 절개되어 바형연결부(32)가 형성되며, 바형연결부(32)의 중앙과 박스체(31)의 바닥면 중앙에 회전축홀(33)이 각각 형성되는 설치케이스(30); 후방이 개방된 박스체(41)에 플러그를 삽탈할 수 있는 콘센트홀(44)이 형성되어 있고, 박스체(41)의 후방 개방구에 배면벽체커버(42)가 고정되며, 배면벽체커버(42)의 상하단에 회전축(43)이 형성되어 설치케이스(30)의 회전축홀(3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배면벽체커버(42)에 전후 관통되도록 두개의 홀(45)이 형성되며, 홀(45)에 전선고정구조(100)가 형성되어 중앙관체부(21)의 배선공간(23)을 통하여 인입된 전선(3)이 콘센트홀(44)과 전원 연결되는 콘센트박스(40); ㄷ자형 외부판체(72)의 내측에 방음재(71)가 고정되고, 콘센트박스(40)와 설치케이스(30)의 사이 공간을 양측에서 막아주는 두개의 부분커버(70); 설치케이스(30)의 개방된 부분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ㄷ자형 외부판체(82)의 내부에 방음재(81)가 고정되며, 콘센트박스(40)의 후방에서 설치케이스(30)의 개방된 부분에 삽입되어 개방된 부분을 막아주는 전체커버(8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벽체, 인터페이스, 배선, 콘센트, 전선연결체, 연결단자

Description

가변벽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회전콘센트{A turning socket using moving wall}
도 1은 본 발명의 가변벽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회전콘센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변벽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회전콘센트가 인터페이스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변벽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회전콘센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가변벽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회전콘센트에 사용하는 콘센트 박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변벽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회전콘센트의 콘센트 박스를 배면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가변벽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회전콘센트에 사용하는 연결단자와 전선연결체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가변벽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회전콘센트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가변벽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회전콘센트에서 연결단자와 전선연결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가변벽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회전콘센트에서 설치케이스에 고정된 콘센트박스의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종래의 건축물 내력벽의 콘센트 배선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벽체 2 : 전선홈
3 : 배선 4 : 콘센트
10 : 벽체 11 : 홈부
20 : 인터페이스 21 : 중앙관체부
22 : 결합돌출부 23 : 배선공간
24 : 설치홀 30 : 설치케이스
31 : 박스체 32 : 바형연결부
33 : 회전축홀 40 : 콘센트박스
41 : 박스체 42 : 배면벽체커버
43 : 회전축 44 : 콘센트홀
45 : 홀 50 : 연결단자
51 : 원통관 52 : 내부전선고정부
53 : 고정절개부 60 : 전선연결체
61 : 손잡이부 62 : 금속절개관
63 : 절개부 64 : 탄성밀착부
65 : 전선홀 66 : 압박돌기
70 : 부분커버 71 : 방음재
72 : 외부판체 80 : 전체커버
81 : 방음재 82 : 외부판체
100 : 전선고정구조
본 발명은 가변벽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회전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개의 가변벽체 사이에 배선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인터페이스를 두어 벽체를 손상하지 않고 배선을 할 수 있게 한 구조에서 인터페이스의 설치홀에 설치하여 벽체의 전후면에서 간단한 콘센트박스 회전으로 양측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가변벽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회전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현재 공동주택 세대 간벽, 외벽, 세대 내부벽 등의 구조 시스템은 대부분 내력벽 구조로서 거주자의 기호에 따른 실 가변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생활 수준 향상에 따른 거주자의 욕구 증대와 다양한 기호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뼈대는 고정요소로서 구조체의 하중을 100% 담당하고, 뼈대를 제외한 모든 벽은 가변 요소로서, 실가변에 자유로운 대응이 가능하게 구성한다.
이러한 실가변은 초기 건축계획에서부터 향후 거주자의 기호예측까지 포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실가변이 이루어질 경우 벽체간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적절한 구성이 존재하여야 할 것이다.
벽체간 인터페이스의 경우 벽체와 벽체 사이의 이음을 위한 목적이 주가 될 수 있으나, 기존 내력벽 시스템의 경우 벽체의 이동이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내력벽에 매립된 배선 또한 이동의 필요성이 거의 없었다.
그러나 가변 벽체의 경우에는 벽체의 이동에 따른 배선의 이동이 수반되어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소득 수준의 향상 및 미래형 전기 전자 제품의 급격한 증대로 인하여 콘센트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대응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벽체에 형성하는 콘센트 배선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벽체(1)의 일정 부위에 수직으로 전선홈(2)을 파고, 전선홈(2)을 통해 배선(3)을 하며, 배선된 말단에 콘센트(4)를 설치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배선 구조에서는 벽체의 이동시마다, 적절한 위에 홈을 파고 배선을 다시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가변 벽체는 서로 연결시 맞대어 다수개의 스테이블핀을 꽂아 고정하는데, 이는 결합력이 떨어지고, 미관상 좋지 않아 문제가 있으며, 가변 벽체를 이동할 때는 스테이블핀을 제거하여 분리하므로 벽체의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배선을 벽체 사이에 설치한 인터페이스 내부를 통하여 하게 되는데, 인터페이스에 콘센트를 간편하게 설치하는 구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가변 벽체 사이에 쉽게 고정하고 분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두어 가변벽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에서 인터페이스에 벽체 전후면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회전콘센트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회전콘센트에 전선을 연결할 때, 간단한 삽입 동작만으로 전선의 연결이 완료되게 하여 전선 연결이 간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벽체의 전후면을 선택적으로 향하도록 콘센트를 회전시켜 콘센트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콘센트의 설치공간의 개방구를 부분커버와 전체커버로 막아 소리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단에 수직으로 홈부가 형성되는 벽체 사이에 중앙관체부와 결합돌출부가 형성되어 벽체를 고정하는 인터페이스가 구비되고, 인터페이스의 중앙관체부 하부에 설치홀이 형성되는 가변 벽체 구조에서, 전후가 개방된 박스체가 인터페이스의 설치홀에 삽입되어 고정핀으로 고정되고, 박스체의 상면 전후가 절개되어 바형연결부가 형성되며, 바형연결부의 중앙과 박스체의 바닥면 중앙에 회전축홀이 각각 형성되는 설치케이스; 후방이 개방된 박스체에 플러그를 삽탈할 수 있는 콘센트홀이 형성되어 있고, 박스체의 후방 개방구에 배면벽체커버가 고정되며, 배면벽체커버의 상하단에 회전축이 형성되어 설치케이스의 회전축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배면벽체커버에 전후 관통되도록 두개의 홀이 형성되며, 홀에 전선고정구조가 형성되어 중앙관체부의 배선공간을 통하여 인입된 전선이 콘센트홀과 전원 연결되는 콘센트박스; ㄷ자형 외부판체의 내측에 방음재가 고정되고, 콘센트박스와 설치케이스의 사이 공간을 양측에서 막아주는 두개의 부분커버; 설치케이스의 개방된 부분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ㄷ자형 외부판체의 내부에 방음재가 고정되며, 콘센트박스의 후방에서 설치케이스의 개방된 부분에 삽입되어 개방된 부분을 막아주는 전체커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전선고정구조는 배면벽체커버의 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연결단자와 연결단자에 체결되는 전선연결체로 이루어지고, 연결단자는 금속의 원통관의 일단 둘레에 원반형의 내부전선고정부가 형성되며, 원통관의 타단 일부가 절개되어 고정절개부가 형성되고, 고정절개부는 원통관이 배면벽체커버의 내측에서 홀에 삽입되었을 때 외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절곡 고정되며, 내부전선고정부는 콘센트홀의 단자와 연결되는 전선이 연결고정되고, 원통관에는 전선연결체가 삽입되어 체결되며, 전선연결체는 원판형 손잡이부의 중앙에 전선홀이 형성되고, 전선홀과 통하도록 금속절개관이 손잡이부 일측에 고정되며, 금속절개관의 단부에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되는 탄성밀착부가 형성되고, 탄성밀착부와 금속절개관에 절개부가 형성되며,
금속절개관의 내측면 일측에 압박돌기가 형성되고, 전선홀을 통해 금속절개관 내부로 삽입된 전선을 탄성밀착부가 연결단자에 삽입되면서 오무려질때 압박돌기가 압박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벽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회전콘센트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가변의 벽체(10) 사이에 인터페이스(20)를 삽입하여 고정하되, 벽체(10)에 형성된 홈부(11)에 인터페이스(20)의 연결돌출부(22)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인터페이스(20)의 중앙관체부(21)의 내부 공간인 배선공간(23)을 통하여 배선되는 인터페이스에 형성되는 설치홀(24)에 설치케이스(30)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설치케이스(30)에 콘센트박스(4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콘센트박스(40)에 전선을 한번에 고정할 수 있는 연결단자(50)와 전선연결체(60)가 구비되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중공의 배선공간(23)을 가진 인터페이스(20)에 형성된 설치홀(24)에 설치케이스(30)가 고정되는데, 설치케이스(30)는 전후가 개방된 박스체(31)로 이루어지고, 이 박스체(31)의 개방구가 벽체의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인터페이스(20)의 설치홀(24)에 삽입되어 고정핀으로 고정된다.
설치케이스(30)의 박스체(31) 상면 전후가 절개되어 바형연결부(32)가 형성되고, 바형연결부(32)는 상부의 전후를 횡으로 가로지르도록 중앙에 형성된다. 따라서 바형연결부(32)의 양쪽으로는 홈이 형성되어 전선(3)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설치케이스(30)는 바형연결부(32)의 중앙과 박스체(31)의 바닥면 중앙에 회전축홀(33)이 각각 같은 수직선상에 형성되어 콘센트박스(4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바형연결부(32)를 위로 밀면 탄성을 가지면서 휘어져 약간 들어 올려지므로 콘센트박스(40)의 회전축(43)을 회전축홀(33)에 삽입시킬 수 있다.
콘센트박스(40)는 후방이 개방된 박스체(41)에 플러그를 삽탈할 수 있는 콘센트홀(44)이 형성되어 있고, 박스체(41)의 후방 개방구에 배면벽체커버(42)가 고정된다. 콘센트홀(44)에 삽입되는 플러그의 핀이 전원에 연결되는 단자구조는 일반적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배면벽체커버(42)와 박스체(41)의 결합구조는 볼트로 결합하거나, 걸림돌기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배면벽체커버(42)의 상하단 중앙에 회전축(43)이 형성되어 설치케이스(30)의 회전축홀(3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콘센트박스(40)가 설치케이스(30)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배면벽체커버(42)에 전후 관통되도록 두개의 홀(45)이 형성되고, 각각의 홀(45)에 전선고정구조(100)가 형성되어 중앙관체부(21)의 배선공간(23)을 통하여 인입된 전선(3)이 콘센트홀(44)과 전원 연결된다.
콘센트박스(40)가 벽체(10)의 일측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이 멈추었을 때, 콘센트박스(40)와 설치케이스(30) 사이의 공간을 막기 위해 부분커버(70) 두개와, 전체커버(80) 하나가 구비된다.
부분커버(70)는 단면이 ㄷ자형 외부판체(72)의 내측으로 방음재(71)가 고정 되고, 콘센트박스(40)와 설치케이스(30)의 사이 공간을 양측에서 막아주도록 삽입되어 고정된다.
전체커버(80)는 콘센트박스(40)의 후방으로 완전히 개방되는 설치케이스(30)의 개방구를 막아주는 것으로서, 설치케이스(30)의 개방된 부분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단면이 ㄷ자형 외부판체(82)의 내부에 방음재(81)가 고정된다.
부분커버(70)와 전체커버(80)에 사용되는 방음재(71)(81)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유리섬유나 스치로폼과 같은 일반적인 방음재를 성형하여 사용한다.
콘센트박스(40)에 전선(3)을 연결하기 위한 전선고정구조(100)는 배면벽체커버(42)의 홀(45)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연결단자(50)와 연결단자(50)에 체결되는 전선연결체(60)로 이루어진다.
연결단자(50)는 금속의 원통관(51)의 일단 둘레에 원반형의 내부전선고정부(52)가 형성되고, 내부전선고정부(52)에 내부의 전선이 납땜 등으로 고정되어 전원 연결된다.
그리고 원통관(51)의 타단 일부가 절개되어 고정절개부(53)가 형성되고, 고정절개부(53)는 원통관(51)이 배면벽체커버(42)의 내측에서 홀(45)에 삽입되었을 때 외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절곡시켜 연결단자(50)를 배면벽체커버(42)에 고정시킨다.
내부전선고정부(52)는 콘센트홀(44)의 단자와 연결되는 전선이 연결고정되고, 원통관(51)에는 전선연결체(60)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전선연결체(60)는 원판형 손잡이부(61)의 중앙에 전선홀(65)이 형성되고, 전선홀(65)과 통하도록 금속절개관(62)이 손잡이부(61) 일측에 고정된다. 손잡이부(61)는 절연체로 되어있고, 그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잡아 당기기 편리하게 구성된다.
금속절개관(62)의 단부에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되는 탄성밀착부(64)가 형성되고, 탄성밀착부(64)와 금속절개관(62)에 절개부(63)가 형성된다. 탄성밀착부(64)와 금속절개관(62) 사이에는 공간이 있어 탄성밀착부(64)가 탄성적으로 눌려 질 수 있다.
금속절개관(62)의 내측면 일측에 압박돌기(66)가 형성되고, 전선홀(65)을 통해 금속절개관(62) 내부로 삽입된 전선(3)을 탄성밀착부(64)가 연결단자(50)에 삽입되면서 오무려질때 압박돌기(66)가 압박하여 고정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가변 벽체 사이에 쉽게 고정하고 분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두어 가변벽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에서 인터페이스에 벽체 전후면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콘센트박스를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회전콘센트에 전선을 연결할 때, 간단한 삽입 동작만으로 전선의 연결이 완료되게 하여 전선 연결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벽체의 전후면을 선택적으로 향하도록 콘센트를 회전시킬 수 있어서, 콘센트의 활용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고, 콘센트의 설치공간의 개방구를 부분커버와 전 체커버로 막아 소리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양단에 수직으로 홈부가 형성되는 벽체 사이에 중앙관체부와 결합돌출부가 형성되어 벽체를 고정하는 인터페이스가 구비되고, 인터페이스의 중앙관체부 하부에 설치홀이 형성되는 가변 벽체 구조에서,
    전후가 개방된 박스체(31)가 인터페이스(20)의 설치홀(24)에 삽입되어 고정핀으로 고정되고, 박스체(31)의 상면 전후가 절개되어 바형연결부(32)가 형성되며, 바형연결부(32)의 중앙과 박스체(31)의 바닥면 중앙에 회전축홀(33)이 각각 형성되는 설치케이스(30);
    후방이 개방된 박스체(41)에 플러그를 삽탈할 수 있는 콘센트홀(44)이 형성되어 있고, 박스체(41)의 후방 개방구에 배면벽체커버(42)가 고정되며, 배면벽체커버(42)의 상하단에 회전축(43)이 형성되어 설치케이스(30)의 회전축홀(3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배면벽체커버(42)에 전후 관통되도록 두개의 홀(45)이 형성되며, 홀(45)에 전선고정구조(100)가 형성되어 중앙관체부(21)의 배선공간(23)을 통하여 인입된 전선(3)이 콘센트홀(44)과 전원 연결되는 콘센트박스(40);
    ㄷ자형 외부판체(72)의 내측에 방음재(71)가 고정되고, 콘센트박스(40)와 설치케이스(30)의 사이 공간을 양측에서 막아주는 두개의 부분커버(70);
    설치케이스(30)의 개방된 부분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ㄷ자형 외부판체(82)의 내부에 방음재(81)가 고정되며, 콘센트박스(40)의 후방에서 설치케이스(30)의 개방된 부분에 삽입되어 개방된 부분을 막아주는 전체커버(80); 로 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벽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회전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선고정구조(100)는 배면벽체커버(42)의 홀(45)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연결단자(50)와 연결단자(50)에 체결되는 전선연결체(60)로 이루어지고, 연결단자(50)는 금속의 원통관(51)의 일단 둘레에 원반형의 내부전선고정부(52)가 형성되며, 원통관(51)의 타단 일부가 절개되어 고정절개부(53)가 형성되고, 고정절개부(53)는 원통관(51)이 배면벽체커버(42)의 내측에서 홀(45)에 삽입되었을 때 외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절곡 고정되며, 내부전선고정부(52)는 콘센트홀(44)의 단자와 연결되는 전선이 연결고정되고, 원통관(51)에는 전선연결체(60)가 삽입되어 체결되며, 전선연결체(60)는 원판형 손잡이부(61)의 중앙에 전선홀(65)이 형성되고, 전선홀(65)과 통하도록 금속절개관(62)이 손잡이부(61) 일측에 고정되며, 금속절개관(62)의 단부에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되는 탄성밀착부(64)가 형성되고, 탄성밀착부(64)와 금속절개관(62)에 절개부(63)가 형성되며, 금속절개관(62)의 내측면 일측에 압박돌기(66)가 형성되고, 전선홀(65)을 통해 금속절개관(62) 내부로 삽입된 전선(3)을 탄성밀착부(64)가 연결단자(50)에 삽입되면서 오무려질때 압박돌기(66)가 압박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벽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회전콘센트.
KR1020070055693A 2007-06-07 2007-06-07 가변벽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회전콘센트 KR100852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693A KR100852674B1 (ko) 2007-06-07 2007-06-07 가변벽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회전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693A KR100852674B1 (ko) 2007-06-07 2007-06-07 가변벽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회전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2674B1 true KR100852674B1 (ko) 2008-08-19

Family

ID=39878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5693A KR100852674B1 (ko) 2007-06-07 2007-06-07 가변벽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회전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26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594B1 (ko) * 2020-04-20 2020-11-17 박진태 가설형 배선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16A (ja) * 1991-06-25 1993-01-08 Mitsubishi Denki Eng Kk フイルタ回路
JPH11155215A (ja) * 1997-11-20 1999-06-08 Daiwa House Ind Co Ltd コンセント等の端末器の取付け構造
JP2000021488A (ja) * 1998-06-29 2000-01-21 Comany Kk 移動可能なコンセントの取り付け構造
JP2007009806A (ja) * 2005-06-30 2007-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燃料供給装置
KR20070015481A (ko) * 2005-07-31 2007-02-05 주식회사 두남 파티션용 멀티탭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16A (ja) * 1991-06-25 1993-01-08 Mitsubishi Denki Eng Kk フイルタ回路
JPH11155215A (ja) * 1997-11-20 1999-06-08 Daiwa House Ind Co Ltd コンセント等の端末器の取付け構造
JP2000021488A (ja) * 1998-06-29 2000-01-21 Comany Kk 移動可能なコンセントの取り付け構造
JP2007009806A (ja) * 2005-06-30 2007-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燃料供給装置
KR20070015481A (ko) * 2005-07-31 2007-02-05 주식회사 두남 파티션용 멀티탭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실개평05-003416호
일본 특개평11-155215호
일본 특개평12-021488호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60794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15481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594B1 (ko) * 2020-04-20 2020-11-17 박진태 가설형 배선장치
WO2021215607A1 (ko) * 2020-04-20 2021-10-28 Park Jin Tae 가설형 배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90900C (en) Weatherproof while-in-use electrical box cover with insertable hinge pin
US8118606B2 (en) Conductor arrangement, system and method
KR200401340Y1 (ko)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KR102017184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콘센트함
KR100852674B1 (ko) 가변벽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회전콘센트
US7270564B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electrical wires to electronic boards in domotic networks
KR20080054110A (ko) 단자함
KR200354304Y1 (ko) 벽면 매설용 콘센트 박스
KR100615857B1 (ko) 공동주택용 방송스피커 전기배관의 세대간 소음차단구조
KR200273519Y1 (ko) 조립식 초고속 통합 배선 단자함
US7083466B1 (en) Cover of wiring box for use in telecommunication line
CN212517906U (zh) 一种用于盘柜的电缆固定装置
KR200236129Y1 (ko) 매설용 멀티 콘센트 박스
KR200423752Y1 (ko) 바닥배선용 전선박스
CN108832370B (zh) 一种适配器
KR20080029331A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100564294B1 (ko) 천장 전기 단자함
KR100856553B1 (ko) 세대별광단자함이 부설되는 전화용구내단자함 및 고정구조
KR200492152Y1 (ko) 건물 벽체의 매입 박스용 고정 시스템
CN213184869U (zh) 一种拆装便捷式音视频转换器
KR101203180B1 (ko)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
CN218103820U (zh) 一种正面开合的电器
CN214011584U (zh) 光缆接头盒
KR100766380B1 (ko)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KR102624424B1 (ko) Dcu 모듈 결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