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340Y1 -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 Google Patents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340Y1
KR200401340Y1 KR20-2005-0025701U KR20050025701U KR200401340Y1 KR 200401340 Y1 KR200401340 Y1 KR 200401340Y1 KR 20050025701 U KR20050025701 U KR 20050025701U KR 200401340 Y1 KR200401340 Y1 KR 2004013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x
cover plate
communication
wall
build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7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수
Original Assignee
김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수 filed Critical 김근수
Priority to KR20-2005-00257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3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3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3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 벽체에 설치되는 단열재 등의 두께에 따라 대응하며 그 벽체에 콘센트 등과 같은 단자의 설치를 편리하게 하기 위한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건물 벽체에 매설되는 단자함 본체와 건물 벽체에 노출되어 콘센트 등과 같은 단자의 역할을 하는 커버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건물 벽체에 설치되는 단열재 등의 두께에 따라 커버 플레이트와 단자함 본체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용 주름관체를 설치한 것이다. 이 때문에 건물 벽체에 설치되는 단열재 등의 두께에 적합하게 대응하며 그 벽면에 콘센트 등과 같은 단자의 설치를 편리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Terminal box for communication and electricity}
본 고안은 단독, 공동주택 또는 건물 등의 벽체에 매설되어 배선되는 전선 등과 연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 벽체에 설치되는 단열재 등의 두께에 따라 대응하며 그 벽면에 콘센트 등과 같은 단자의 설치를 편리하게 한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자함이라고 하면, 단독, 공동주택 혹은 건물 등의 시공시 벽체에 매설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예컨대 전기선, 전화선, 인터넷 전용선, 안테나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예컨대, 콘센트 등과 같은 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인데, 그러나 기존의 단자함은 건물 벽체에 덧대어 설치되는 단열재 등의 두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 벽체에 설치되는 단열재 등의 두께에 따라 대응하며 그 벽면에 콘센트 등과 같은 단자의 설치를 편리하게 한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물 벽체에 매설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전면만이 개구된 단자함 본체; 상기 단자함 본체의 개구를 폐쇄하는 상태로 위치되어 상기 단자와 접속하기 위한 각종 플러그들을 꼽기 위한 삽입공이 설치된 커버 플레이트; 및 양단이 개구된 통형 구조로 주름부를 갖으며, 양단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단자함 본체에 각각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주름부로 하여금 상기 벽체에 설치되는 판들의 두께에 따라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단자함 본체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용 주름관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조절용 주름관체는 원형 또는 사각형 중 어느 1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 및 장점 그리고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의 다른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은 철근에 결합된 상태에서 건물 벽체(W)에 매설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1a)을 형성하는 전면만이 개구된 단자함 본체(1)와, 상기 단자함 본체(1)의 개구를 폐쇄하는 상태로 위치되어 상기 단자와 접속하기 위한 각종 플러그들을 꼽기 위한 삽입공(11)이 설치된 커버 플레이트(10)와, 양단이 개구된 통형 구조로 주름부(21)를 갖으며 양단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10)와 상기 단자함 본체(1)에 각각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주름부(21)로 하여금 상기 벽체(W)에 설치되는 예컨대, 단열재 등과 같은 판들(30)의 두께에 따라 상기 커버 플레이트(10)와 상기 단자함 본체(1)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용 주름관체(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간격조절용 주름관체(20)는 그 양단의 내부에 각각 제1및 제2나사공들(22,23)을 형성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10) 및 상기 단자함 본체(1)와 일체화 되게 나사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0)와 결합하는 상기 간격조절용 주름관체(20)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24)는 상기 판들(30)과 대면하여 그 간격조절용 주름관체(20)의 설치 상태를 안정하게 한다. 이와 같은 상기 간격조절용 주름관체(20)는 원형 또는 사각형 중 어느 1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간격조절용 주름관체(20)에 결합된 상기 커버 플레이트(10)의 삽입공(11)은 상기 간격조절용 주름관체(20)의 내부를 관통하는 전선(미도시)을 통해 상기 단자함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그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또는 통신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콘센트 등과 같은 단자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격조절용 주름관체(20)는 그 일단을 건물 벽체(W)에 기 매설된 단자함 본체(10)의 외부 노출된 개구된 전면에 결합시키고, 상기 건물 벽체(W)에 덧대어 설치되는 단열재 등과 같은 판들(30)의 두께에 따라 그 주름부(21)를 신축하여 그 두께와 상응하게 길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판들(30)의 외벽면에 노출된 타단에 상기 커버 플레이트(10)를 결합시키면, 건물 벽체(W)에 설치되는 판들(30)의 벽면에 각종 플러그를 꼽기 위한 상기 커버 플레이트(1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건물 벽체에 설치되는 단열재 등의 두께에 적합하게 대응하며 그 벽면에 콘센트 등과 같은 단자의 설치를 편리하게 한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그 작동 및 설치가 쉽기 때문에 작업시간을 단축함과 아울러 가격이 저렴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의 다른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단자함 본체 1a:공간
10:커버 플레이트 11:삽입공
20:간격조절용 주름관체 21:주름부
30:단열재 등의 판들

Claims (2)

  1. 건물 벽체에 매설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전면만이 개구된 단자함 본체;
    상기 단자함 본체의 개구를 폐쇄하는 상태로 위치되어 상기 단자와 접속하기 위한 각종 플러그들을 꼽기 위한 삽입공이 설치된 커버 플레이트; 및
    양단이 개구된 통형 구조로 주름부를 갖으며, 양단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단자함 본체에 각각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주름부로 하여금 상기 벽체에 설치되는 판들의 두께에 따라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단자함 본체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용 주름관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용 주름관체는 원형 또는 사각형 중 어느 1형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KR20-2005-0025701U 2005-09-06 2005-09-06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KR2004013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701U KR200401340Y1 (ko) 2005-09-06 2005-09-06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701U KR200401340Y1 (ko) 2005-09-06 2005-09-06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693A Division KR100766380B1 (ko) 2005-09-06 2005-09-06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340Y1 true KR200401340Y1 (ko) 2005-11-15

Family

ID=43702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701U KR200401340Y1 (ko) 2005-09-06 2005-09-06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340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461B1 (ko) 2006-03-15 2006-07-05 (주)서광전기컨설팅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조립식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760639B1 (ko) 2007-07-10 2007-09-20 (주)공간이. 엔. 지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
KR100836192B1 (ko) 2007-11-28 2008-06-09 주식회사 전기설계 협인 건축물 전기 단자함구조
KR100937013B1 (ko) 2007-08-24 2010-01-15 (주)진성테크 매입형 전선함의 연결박스
KR100999471B1 (ko) 2010-03-12 2010-12-09 김세열 전선 콘센트 박스
KR102073681B1 (ko) 2018-10-01 2020-02-05 김근수 단자함
KR102076632B1 (ko) 2018-12-06 2020-02-13 (주)진성테크 매입형 전선함용 커버의 높이 조절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461B1 (ko) 2006-03-15 2006-07-05 (주)서광전기컨설팅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조립식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760639B1 (ko) 2007-07-10 2007-09-20 (주)공간이. 엔. 지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
KR100937013B1 (ko) 2007-08-24 2010-01-15 (주)진성테크 매입형 전선함의 연결박스
KR100836192B1 (ko) 2007-11-28 2008-06-09 주식회사 전기설계 협인 건축물 전기 단자함구조
KR100999471B1 (ko) 2010-03-12 2010-12-09 김세열 전선 콘센트 박스
KR102073681B1 (ko) 2018-10-01 2020-02-05 김근수 단자함
KR102076632B1 (ko) 2018-12-06 2020-02-13 (주)진성테크 매입형 전선함용 커버의 높이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340Y1 (ko)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US6768055B1 (en) Cable entry box
US8455772B2 (en) Open back junction box and method for pre-fab wiring
JP2010252543A (ja) アース線中継端子台及びこれを内部に備えた分電盤
US6227499B1 (en) Rough-in mounting bracket for CEBUS tap point unit
KR100655881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구조
KR100674263B1 (ko) 전기 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
KR100766380B1 (ko)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US7888597B2 (en) Fixture box enclosure
KR100615857B1 (ko) 공동주택용 방송스피커 전기배관의 세대간 소음차단구조
KR20090004184U (ko) 가로등 단자함
KR20130039107A (ko)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
KR200312266Y1 (ko) 멀티조인트박스
KR200190399Y1 (ko) 콘센트 박스 고정판
KR20080029331A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CN205385146U (zh) 一种高防水性能射频连接器
US20060289192A1 (en) Modular electrical outlet assembly
KR100836192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구조
CN208630525U (zh) 一种牌照灯电线束总成
RU2666748C2 (ru) Сдвоенная настенная розетка
KR20180002889U (ko) 콘센트 일체형 전선용 배관 커버체
KR100852674B1 (ko) 가변벽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회전콘센트
CN218550069U (zh) 一种路由器线路固定装置及其路由器
KR100493177B1 (ko) 전기배선박스 연설용 접속구
KR200238326Y1 (ko) 코일 단자대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6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