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681B1 - 단자함 - Google Patents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681B1
KR102073681B1 KR1020180116705A KR20180116705A KR102073681B1 KR 102073681 B1 KR102073681 B1 KR 102073681B1 KR 1020180116705 A KR1020180116705 A KR 1020180116705A KR 20180116705 A KR20180116705 A KR 20180116705A KR 102073681 B1 KR102073681 B1 KR 102073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x
cover body
locking
elastic
ladd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수
Original Assignee
김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수 filed Critical 김근수
Priority to KR1020180116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립된 단자함 본체를 기준으로, 연결단자가 마련되는 커버체의 깊이가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단자함으로서, 전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벽면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단자함 본체(100); 상기 단자함 본체(100)의 전면을 통해 슬라이딩되어 상기 단자함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커버체(200); 상기 단자함 본체(100)의 내측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단자함 본체(100)의 전면을 향해 연장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홈(310)이 일정간격으로 관통형성되는 래더부재(300); 및 상기 래더부재(300)를 향해 탄성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체(200)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걸림홈(310)과 대등한 높이로 걸림돌기(410)가 구비되는 탄성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자함{A termianl box}
본 발명은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립된 단자함 본체를 기준으로, 단자가 마련되는 커버체의 깊이가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단자함이란 전기선, 전화선, 인터넷 전용선, 안테나선과 같은 전선의 연결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건물의 벽체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단자함은 연결박스, 아웃렛박스, 배선박스, 매입스위치박스, 시디박스 등으로도 불리며, 설치장소에 따라 건물 천정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실링 박스(Concrete Ceiling Box)와 건물내벽의 철근 사이에 취부되는 콘크리트 윌 박스(ConcreteWall Box)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단자함은 준비된 단자함 본체의 개구된 전면부를 실내로 노출되게 위치하고, 상기 전면부에 커버체를 설치한 후 시멘트 몰탈을 타설하는 방식으로 벽체에 매설된다.
기존의 단자함은 건물의 벽면에 일치되도록 콘크리트에 고정되는 구조였기 때문에, 벽면에 덧대어 설치되는 내장재의 두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것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7292호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지금까지 다양한 기술들을 제안한 바 있다. 관련된 예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6904호, 등록특허공보 제10-1505367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3587호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1340호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6904호(공개일자 2012년03월20일, 발명의 명칭 : 단자함 연결박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5367호(공고일자 2015년03월23일, 발명의 명칭 : 천장용 단자함 연결박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3587호(공고일자 2004년10월13일, 고안의 명칭 : 단자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1340호(공고일자 2005년11월15일, 고안의 명칭 :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7292호(공고일자 2005년03월11일, 고안의 명칭 : 아웃렛박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물 벽체에 설치되는 단열재 등의 두께에 따라 설치깊이를 쉽고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고, 깊이 조절을 보다 부드럽고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조립 및 제작이 용이한 새로운 방식의 단자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단자함은, 전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벽면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단자함 본체(100); 상기 단자함 본체(100)의 전면을 통해 슬라이딩되어 상기 단자함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커버체(200); 상기 단자함 본체(100)의 내측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단자함 본체(100)의 전면을 향해 연장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홈(310)이 일정간격으로 관통형성되는 래더부재(300); 및 상기 래더부재(300)를 향해 탄성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체(200)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걸림홈(310)과 대등한 높이로 걸림돌기(410)가 구비되는 탄성부재(40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체(200)의 외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410)와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는 삽입홈(210)과, 상기 삽입홈(210)의 상하측에서 각각 돌출되다 절곡형성되는 한 쌍의 홀딩돌기(220)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400)는, 상기 삽입홈(210)에 삽입되는 삽입부(420)와, 상기 래더부재(300)를 감싸도록 상기 삽입부(420)에서 연장형성되고 내부 일측면에 상기 걸림돌기(410)가 결합되는 고리부(430)와, 상기 고리부(430)에서 상기 한 쌍의 홀딩돌기(220)에 걸리도록 연장되는 탄성편(440)으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체(200)를 전후로 밀면, 상기 탄성부재(400)의 걸림돌기(410)가 상기 래더부재(300)의 걸림살(311)에 밀려 올라가 상기 걸림홈(310)에서 빠짐과 동시에, 상기 탄성편(440)은 상기 홀딩돌기(220)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단자함 본체(100) 측으로 만곡되게 휘어지게 되고, 상기 탄성부재(400)의 걸림돌기(410)가 상기 래더부재(300)의 걸림살(311)을 타고 넘으면, 상기 탄성편(440)이 원상태가 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돌기(410)가 원위치되어 다음 걸림홈(310)으로 들어가 고정되는 방식으로 상기 커버체(200)의 삽입깊이가 탄성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래더부재(300)는, 세로길이가 더 긴 장방형의 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200)의 외측면에는, 상기 래더부재(300)의 상하측과 나란하게 상기 커버체(200)의 전면에서 상기 탄성부재(400)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보강살(2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자함에 따르면, 슬라이드 이동 구조와 선택적 걸림 구조을 조합한 방식을 이용하여 연결단자가 마련되는 커버체의 삽입깊이를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자함 설치에 들어가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자함 본체과 래더부재를 PVC 플라스틱 사출로 일체로 제작하고, 금속으로 된 탄성부재의 탄성편를 약간 구부려 커버체에 장착함으로써, 간격 조절이 가능한 단자함을 용이하게 조립/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래더부재의 단면을 세로길이가 긴 장방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커버체의 위치 이동을 보다 부드럽고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함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자함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자함을 일부 투명하게 렌더링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a와 도 4b는 도 1의 단자함에 포함된 래더부재와 탄성부재 간의 탄성변형 관계를 부분확대하여 나타낸 과정도.
도 5는 도 1의 단자함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과정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자함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단자함을 일부 투명하게 렌더링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a와 도 4b는 도 1의 단자함에 포함된 래더부재와 탄성부재 간의 탄성변형 관계를 부분확대하여 나타낸 과정도이며, 도 5는 도 1의 단자함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과정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함은 매립된 단자함 본체(100)를 기준으로, 연결단자가 마련되는 커버체(200)의 조립 깊이가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단자함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함 본체(100), 커버체(200), 래더부재(300)와 탄성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자함 본체(100)는 전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개구된 전면이 벽면을 향하도록 벽면(미도시)에 매립되게 설치된다.
단자함 본체(100)는 육면체 형상의 상하면에 각각 복수의 전선 인입구가 형성되고, 각 전선 인입구에 연결용 소켓(S)이 결합된 구조로 제작되는데, 필요에 따라 본체 형상, 전선 인입구 위치 및 개수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단자함 본체(100)의 내부 양측면에는 후술되는 커버체(200)의 슬라이딩 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암슬라이드돌기(100a)가 서로 나란하게 각각 형성된다.
커버체(200)는 단자함 본체(100)의 전면을 통해 슬라이딩되어 단자함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체(200)는 전면판(201)과 측면판(202)으로 구분된다. 전면판(201)은 단자함 본체(100)의 전면에 밀착되고 콘센트와 같은 연결단자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다. 측면판(202)은 전면부(201)에서 연장되어 단자함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측면판(202) 중, 전선 인입구와 마주보는 상하측의 측면판(202)에는 각각 전선 인입홀(202a)이 형성된다. 좌우측의 측면판(202)에는 단자함 본체(100)의 암슬라이드돌기(100a)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복수의 수슬라이드돌기(202a)가 돌출형성된다.
래더부재(300)는 단자함 본체(100)의 내측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고, 단자함 본체(100)의 전면을 향해 연장되며,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홈(310)이 일정간격으로 관통형성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래더부재(300)는 단자함 본체(100)의 내부 양측면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었으나, 한 측면에만 설치되어도 무방하고, 모든 면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한 측면에 래더부재(300)가 복수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탄성부재(400)는 래더부재(300)를 향해 탄성회동이 가능하도록 커버체(200)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탄성부재(400)에는 래더부재(300)의 걸림홈(310)과 대등한 높이로 걸림돌기(410)가 구비된다.
이것은 커버체(200)가 단자함 본체(10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래더부재(300)의 걸림홈(310)에 탄성부재(400)의 걸림돌기(410)가 선택적으로 걸리면서 커버체(200)의 삽입깊이가 가변적으로 조절된 후 가고정될 수 있도록 설계된 구조로서, 이 구조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래더부재(300)는 고정부(301)와 연장부(302)로 구성된다. 고정부(301)는 단자함 본체(100)의 내측면에 일정높이로 결합되는 부분이다. 연장부(302)는 단자함 본체(100)의 내측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단자함 본체(100)의 전면을 향해 연장되고 다수의 걸림홈(310)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관통형성되는 부분이다.
커버체(200)의 외측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400)의 걸림돌기(410)와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는 삽입홈(210)과, 삽입홈(210)의 상하측에서 각각 돌출되다 서로 나란하게 절곡형성되는 한 쌍의 홀딩돌기(220)가 구비된다. 삽입홈(210) 및 한 쌍의 홀딩돌기(220)는 하나의 선에 존재하게 된다.
탄성부재(400)는 삽입홈(210)에 삽입되는 삽입부(420)와, 래더부재(300)를 감싸도록 삽입부(420)에서 연장형성되고 내부 일측면에 걸림돌기(410)가 결합되는 고리부(430)와, 고리부(430)에서 한 쌍의 홀딩돌기(220)에 걸리도록 상하로 연장되는 한 쌍의 탄성편(440)으로 구성된다.
삽입부(420)는 삽입홈(210)에 삽입된 상태로 탄성부재(400)의 상하방향(Z) 및 전후방향(Y) 이탈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고리부(430)는 래더부재(300)에 구속되어 전후방향(Y)을 따라 삽입되는 커버체(200)의 슬라이딩 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한 쌍의 탄성편(440)은 걸림돌기(410)가 좌우방향(X)으로 탄성운동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더 구체적으로, 한 쌍의 탄성편(440)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고리부(43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단자함 본체(100)를 향해 만곡된 형태의 곡선을 이루면서 홀딩돌기(220)에 밀착고정된다. 이때, 탄성편(440)은 홀딩돌기(220)에 의해 커버체(200) 측으로 가압되어 예압이 걸린 상태가 된다. 예압이 걸린 탄성부재(400)가 홀딩돌기(220)에 견고하게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탄성편(440)의 일단부에는 이탈방지돌기(440a)가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체(200)의 삽입깊이를 조절하기 위해 커버체(200)를 전후(도면상 깊이방향)로 밀면, 커버체(200)에 장착된 탄성부재(400)의 걸림돌기(410)가 래더부재(300)의 걸림홈(310) 사이마다 존재하는 걸림살(311, 도 2 참조)에 밀리게 된다. 이때, 걸림돌기(410)가 걸림살(311)을 자연스럽게 타고 올라갈 수 있도록 걸림돌기(410)의 단부는 라운드지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400)의 걸림돌기(410)가 걸림살(311)에 밀려 올라가 걸림홈(310)에서 빠지면, 걸림돌기(410)와 일체를 이루는 고리부(430)가 커버체(200)에서 이격된다. 이와 동시에, 한 쌍의 탄성편(440)의 타단부가 커버체(200)에 고정된 홀딩돌기(220)에 지지·고정된 상태로, 탄성편(440)이 단자함 본체(100) 측으로 휘어지게 되면서 좌우방향(X)에 대한 탄성복원력을 갖게 된다.
이후, 탄성부재(400)의 걸림돌기(410)가 걸림살(311)을 타고 넘으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편(4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걸림돌기(410)가 원위치되고, 그 다음 걸림홈(310)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 이동 구조와 선택적 걸림 구조을 조합한 방식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매립된 단자함 본체(100)를 기준으로 연결단자가 마련되는 커버체(200)의 깊이를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자함 설치에 들어가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단자함 본체(100)과 래더부재(300)를 PVC 플라스틱 사출로 일체로 제작하고, 금속으로 된 탄성부재(400)의 탄성편(440)를 약간 구부려 커버체(200)에 장착함으로써, 간격 조절이 가능한 단자함을 용이하게 조립/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탄성부재(400)의 고리부(430)에 삽입되는 래더부재(30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400)의 걸림돌기(410)가 걸림홈(310)에 삽입되어 걸려 있는 상태에서는 아무런 가압력을 받지 않으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400)의 걸림돌기(410)가 인접한 걸림홈(310)으로 넘어갈 때는 걸림돌기(410)에 밀리면서 단자함 본체(100)의 측면에서 멀어지는 좌우방향(X)으로 가압력을 받게 된다.
이때, 래더부재(300)의 세로길이가 가로길이보다 더 긴 장방형의 단면으로 구성되면, 좌우방향(X)에 대한 래더부재(300)의 휨강성은 상대적으로 약해지게 되고, 상하방향(Z)에 대한 래더부재(300)의 휨강성은 상대적으로 강해지게 된다.
따라서, 탄성부재(400)가 다수의 걸림홈(310)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래더부재(300)가 수직방향으로 잘 변형되지 않게 되므로, 걸림작용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400)가 걸림홈(310) 사이의 걸림살(311, 도 2 참조)을 타고 넘어갈 시에, 탄성부재(400)는 래더부재(300)에서 멀어지게 탄성변형되고, 이와 동시에 래더부재(300)는 탄성부재(400)에서 멀어지게 휘어짐으로써, 커버체(200)의 위치 이동, 즉 깊이 조절을 보다 부드럽고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허공에 띈 상태로 있는 래더부재(300)가 상하방향(Z)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더부재(300)의 상하측과 나란하게 커버체(200)의 외측면에 한 쌍의 제1 보강살(230)이 커버체(200)의 전면에서 탄성부재(400)까지 연장된 형태로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체(200)에 고정된 홀딩돌기(220)에서 커버체(200)의 외측면을 따라 커버체(200)의 전면까지 연장된 형태로 한 쌍의 제2 보강살(240)이 더 형성되는 것이 홀딩돌기(220)의 손상 방지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제1 보강살(230)와 제2 보강살(240)은 커버체(200)의 측면 강성을 보강하는 작용도 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단자함은, 슬라이드 이동 구조와 선택적 걸림 구조을 조합한 방식을 이용하여 연결단자가 마련되는 커버체의 삽입깊이를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자함 설치에 들어가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자함 본체과 래더부재를 PVC 플라스틱 사출로 일체로 제작하고, 금속으로 된 탄성부재의 탄성편를 약간 구부려 커버체에 장착함으로써, 간격 조절이 가능한 단자함을 용이하게 조립/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래더부재의 단면을 세로길이가 긴 장방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커버체의 위치 이동을 보다 부드럽고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단자함 본체
200 : 커버체
300 : 래더부재
400 : 탄성부재

Claims (4)

  1. 전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벽면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단자함 본체(100);
    상기 단자함 본체(100)의 전면을 통해 슬라이딩되어 상기 단자함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커버체(200);
    상기 단자함 본체(100)의 내측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단자함 본체(100)의 전면을 향해 연장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홈(310)이 일정간격으로 관통형성되는 래더부재(300); 및
    상기 래더부재(300)를 향해 탄성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체(200)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걸림홈(310)과 대등한 높이로 걸림돌기(410)가 구비되는 탄성부재(40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체(200)의 외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410)와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는 삽입홈(210)과, 상기 삽입홈(210)의 상하측에서 각각 돌출되다 절곡형성되는 한 쌍의 홀딩돌기(220)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400)는, 상기 삽입홈(210)에 삽입되는 삽입부(420)와, 상기 래더부재(300)를 감싸도록 상기 삽입부(420)에서 연장형성되고 내부 일측면에 상기 걸림돌기(410)가 결합되는 고리부(430)와, 상기 고리부(430)에서 상기 한 쌍의 홀딩돌기(220)에 걸리도록 연장되는 탄성편(440)으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체(200)를 전후로 밀면, 상기 탄성부재(400)의 걸림돌기(410)가 상기 래더부재(300)의 걸림살(311)에 밀려 올라가 상기 걸림홈(310)에서 빠짐과 동시에, 상기 탄성편(440)은 상기 홀딩돌기(220)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단자함 본체(100) 측으로 만곡되게 휘어지게 되고,
    상기 탄성부재(400)의 걸림돌기(410)가 상기 래더부재(300)의 걸림살(311)을 타고 넘으면, 상기 탄성편(440)이 원상태가 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돌기(410)가 원위치되어 다음 걸림홈(310)으로 들어가 고정되는 방식으로 상기 커버체(200)의 삽입깊이가 탄성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더부재(300)는, 세로길이가 더 긴 장방형의 단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200)의 외측면에는, 상기 래더부재(300)의 상하측과 나란하게 상기 커버체(200)의 전면에서 상기 탄성부재(400)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보강살(23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KR1020180116705A 2018-10-01 2018-10-01 단자함 KR102073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705A KR102073681B1 (ko) 2018-10-01 2018-10-01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705A KR102073681B1 (ko) 2018-10-01 2018-10-01 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681B1 true KR102073681B1 (ko) 2020-02-05

Family

ID=69514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705A KR102073681B1 (ko) 2018-10-01 2018-10-01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6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87493A (zh) * 2020-08-27 2020-11-24 江苏亚光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海底线缆岸基浮动连接器
CN112909860A (zh) * 2021-01-14 2021-06-04 青岛黄海学院 一种电气工程用墙面电气盒封堵装置
CN114115447A (zh) * 2020-08-25 2022-03-01 英业达科技有限公司 保护壳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6236U (ja) * 1992-11-24 1994-09-1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KR200363587Y1 (ko) 2004-07-02 2004-10-13 김근수 단자함
KR200377292Y1 (ko) 2004-12-06 2005-03-11 아이월드 주식회사 아웃렛박스
KR200401340Y1 (ko) 2005-09-06 2005-11-15 김근수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KR20120026904A (ko) 2010-09-10 2012-03-20 김근수 단자함 연결박스
KR101505367B1 (ko) 2014-03-04 2015-03-23 주식회사 탐진 천장용 단자함 연결박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6236U (ja) * 1992-11-24 1994-09-1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KR200363587Y1 (ko) 2004-07-02 2004-10-13 김근수 단자함
KR200377292Y1 (ko) 2004-12-06 2005-03-11 아이월드 주식회사 아웃렛박스
KR200401340Y1 (ko) 2005-09-06 2005-11-15 김근수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KR20120026904A (ko) 2010-09-10 2012-03-20 김근수 단자함 연결박스
KR101505367B1 (ko) 2014-03-04 2015-03-23 주식회사 탐진 천장용 단자함 연결박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15447A (zh) * 2020-08-25 2022-03-01 英业达科技有限公司 保护壳
CN111987493A (zh) * 2020-08-27 2020-11-24 江苏亚光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海底线缆岸基浮动连接器
CN112909860A (zh) * 2021-01-14 2021-06-04 青岛黄海学院 一种电气工程用墙面电气盒封堵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681B1 (ko) 단자함
KR200459675Y1 (ko) 콘센트 고정용 전기박스
JP2016208631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外装材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KR20100129941A (ko) 금속판재 절곡용 금형틀
KR100937013B1 (ko) 매입형 전선함의 연결박스
KR102055659B1 (ko) 프로파일용 멀티블록
KR100905978B1 (ko) 일체형 삼각 전선몰딩
KR200387576Y1 (ko) 단자함
KR100910646B1 (ko) 통신 및 전기용 단자함
JP4501775B2 (ja) コネクタ
KR20040083598A (ko) 단자함
KR100640176B1 (ko) 단자함
KR100715952B1 (ko) 단자함
KR200415692Y1 (ko) 책상의 수직전선 안내장치
KR100902654B1 (ko) 단자함
KR200383206Y1 (ko) 슬라이딩커버를 갖는 매입형 전선함
KR100636290B1 (ko) 건축물용 콘크리트 벽체 안전콘센트 구조
JP4224821B2 (ja) 保護キャップ
KR101372070B1 (ko) 전기배선박스
KR20190076083A (ko) 다양한 형태의 윈도우프레임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단열바
WO2005027269A2 (en) A terminal box
KR200169453Y1 (ko) 전선 배관용 덕트
KR200335910Y1 (ko) 단자함 고정구
KR100993544B1 (ko) 전원스위치
JP5461724B1 (ja) 配線用プル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