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6904A - 단자함 연결박스 - Google Patents

단자함 연결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6904A
KR20120026904A KR1020100089094A KR20100089094A KR20120026904A KR 20120026904 A KR20120026904 A KR 20120026904A KR 1020100089094 A KR1020100089094 A KR 1020100089094A KR 20100089094 A KR20100089094 A KR 20100089094A KR 20120026904 A KR20120026904 A KR 20120026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terminal box
protrusion
terminal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수
Original Assignee
김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수 filed Critical 김근수
Priority to KR1020100089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6904A/ko
Publication of KR20120026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9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벽체에 설치되는 단열재 등의 두께에 따라 대응하여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그 조절된 간격이 콘크리트 타설 혹은 외부요인에 의해 가변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 기능을 갖는 고정구조를 일체화되게 설치하여 벽면에 콘센트 등과 같은 단자의 설치를 편리하게 함으로서 단자함의 설치시간이 단축시킬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작업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한 단자함 연결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단자함 연결박스{Terminal box}
본 발명은 단독, 공동주택 또는 건물 등의 벽체에 매설되어 배선되는 전선 등과 연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단자함 연결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벽체에 설치되는 단열재 등의 두께에 따라 대응하는 간격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그 조절된 간격이 콘크리트 타설 혹은 외부요인에 의해 가변되지 않게 고정되게 함여 벽면에 콘센트 등과 같은 단자의 설치를 편리하게 한 단자함 연결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자함은 단독, 공동주택 혹은 건물 등의 시공시 벽체에 매설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예컨대 전기선, 전화선, 인터넷 전용선, 안테나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콘센트 등과 같은 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기존의 단자함은 건물 벽체에 덧대어 설치되는 단열재 등의 두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특허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77292호의 "아웃렛박스(단자함 연결박스)"가 제시된바 있으며, 이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은 종래의 단자함 연결박스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종래의 단자함 연결박스(10)는 내측면에 다수의 제1요철부(12a)가 형성되고 단자함(100a)에 결합되는 베이스 몸체(12)와, 후단부 일측에 상기 베이스 몸체(12)에 형성된 제1요철부(12a)와 대응되는 제2요철부(14a)가 형성되어 베이스 몸체(12)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몸체(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동몸체(14)의 전면이 거푸집에 밀착되도록 이동몸체(14)를 베이스 몸체(12)로부터 전후 이동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매설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단자함 연결박스(10)는 이동몸체(14)의 전면과 콘크리트 구조체의 내벽면이 일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높은 압력에 의해 이동몸체(14)의 위치가 가변되어 콘크리트 혼합물이 침투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타설된 콘크리트를 허물고 단자함(100a)을 재시공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몸체의 위치가 가변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상기 베이스 몸체와 이동몸체를 별도의 고정바로 체결함으로서 이동몸체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한 구조가 대한민국특허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9-1370호의 "배선박스용 연결박스"로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별도의 고정바를 구비하여 결합해야 함에 따른 부품수의 증가 및 시공 작업이 복잡하다고 하는 또 다른 단점이 있다. 즉, 단자함의 설치시간이 증대되면서 작업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벽체에 설치되는 단열재 등의 두께에 따라 대응하여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그 조절된 간격이 콘크리트 타설 혹은 외부요인에 의해 가변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구조를 일체화되게 구성하여 벽면에 콘센트 등과 같은 단자의 설치를 편리하게 함으로서 단자함의 설치시간이 단축시킬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작업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한 단자함 연결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 벽체에 매설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전면만이 개구된 단자함 본체의 전방으로 설치되는 단자함 연결박스에 있어서, 상기 단자함 본체에 어느 일단이 고정되는 양단이 개구된 통형 구조의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전방으로 슬라이딩되게 삽입 설치되는 양단이 개구된 통형 구조의 이동부재로 이루어진 박스본체; 상기 박스본체의 고정부재와 이동부재의 사이 간격을 벽체에 설치되는 판들의 두께에 따라 대응하는 간격으로 조절할 수 있게 상기 고정부재와 이동부재의 상호 대면부위에 안내홈과 안내돌기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부재와 이동부재의 상호 대면부위에 삼각형상의 단면 구조를 갖는 제1,제2돌기들을 형성하여 상호 맞물리게 결합함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와 이동부재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한 간격조절수단; 및 상기 간격조절수단에 의해 조절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상기 고정부재와 이동부재의 상호 대면 부위에 톱니형 고정돌기들과 래칫(ratchet)형 걸림돌기를 설치하여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된 이동부재가 다시 뒤로 이동되지 못하게 하는 스토퍼 기능을 갖게 하여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된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고정부재의 내측면으로 상기 톱니형 고정돌기들을 형성하고 상기 톱니형 고정돌기들에 대응하는 상기 이동부재의 측면을 절개하여 소정 텐션을 갖는 자유단을 구성함과 아울러 그 자유단의 단부에 상기 래칫형 걸림돌기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래칫형 걸림돌기가 상기 톱니형 고정돌기에 걸리게 하여 스토퍼 기능을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래칫형 걸림돌기의 반대측에 상기 톱니형 고정돌기로부터 상기 래칫형 걸림돌기를 강제적으로 해지할 수 있게 하는 해지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물 벽체에 설치되는 단열재 등의 두께에 적합하게 대응하며 그 벽면에 콘센트 등과 같은 단자의 설치를 편리하게 한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그 작동 및 설치가 쉽기 때문에 작업시간을 단축함과 아울러 가격이 저렴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 연결박스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 연결박스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 연결박스에 구비되는 이동부재의 저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 연결박스에 구비되는 고정수단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고정수단에 대한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종래의 단자함 연결박스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 연결박스는 단자함 본체(1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단자함 본체(100)는 철근에 결합된 상태에서 건물 벽체(1)에 매설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전면만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 연결박스는 박스본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박스본체(110)는 상기 단자함 본체(100)에 설치되는 연결박스로, 어느 일단이 상기 단자함 본체(10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12)와 상기 고정부재(1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벽체에 설치되는 커버 플레이트(102)가 결합되는 이동부재(114)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박스본체(110)를 구성하는 상기 고정부재(112)와 이동부재(114)는 양단이 개구된 통형 구조를 이루게 형성되어 상호 삽입되게 결합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112)의 내측으로 상기 이동부재(114)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 연결박스는 간격조절수단(120)을 구비하고 있다. 이 간격조절수단(120)은 상기 고정부재(112)와 이동부재(114)의 사이 간격을 벽체(1)에 설치되는 판(2)의 두께에 따라 대응하는 간격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벽체(1)에 설치되는 예컨대, 단열재 등과 같은 판(2)의 두께에 따라 고정부재(112)와 이동부재(114)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간격조절수단(120)은 상기 고정부재(112)와 이동부재(114)의 상호 대면부위에 삼각형상의 단면 구조를 갖는 제1,제2돌기(122,124)들을 형성하여 상호 맞물리게 결합함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112)와 이동부재(114)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12)와 이동부재(114)의 상호 대면부위에 안내홈(126)과 안내돌기(128)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부재(112)로부터 전방으로 왕복 이동되는 이동부재(114)의 슬라이딩을 안내한다.
이와 같은 간격조절수단(120)을 구성하는 삼각형상의 단면 구조를 갖는 제1,제2돌기(122,124)들은 상기 고정부재(112)의 내측면 양측으로 제1돌기(122)들을 형성하고, 이 제1돌기(122)들에 대응하게 상기 이동부재(114)의 외측면 양측으로 제2돌기(124)들을 형성하여 상기 제1,제2돌기(122,124)들을 상호 맞물게 결합함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112)와 이동부재(114)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홈(126)은 고정부재(112)의 내측면 양측으로 형성하고, 상기 안내돌기(128)는 이동부재(114)의 외측면 양측으로 형성하여 상기 안내돌기(128)가 상기 안내홈(126)에 안내되게 함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114)의 슬라이딩을 안내한다. 특히, 상기 안내돌기(128)는 상기 안내홈(126)의 단부에 걸려 빠져나오지 못하게 설치됨으로 상기 이동부재(114)가 상기 고정부재(11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안내돌기(128)를 상기 안내홈(126)에 삽입 설치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제1,제2돌기(122,124)들이 상호 맞물리게 결합할 수 있는 구성은, 상기 고정부재(112)와 이동부재(114)를 수지로 제작하게 되면 상기 수지의 자체 텐션력에 의해 결합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간견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 연결박스는 고정수단(130)을 구비하고 있다. 이 고정수단(130)은 상기 간격조절수단(120)에 의해 조절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스토퍼 기능을 갖게 한 것으로, 이러한 고정수단(130)은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을 이루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수단(130)은 고정부재(112)와 이동부재(114)의 상호 대면 부위에 톱니형 고정돌기(132)들과 래칫(ratchet)형 걸림돌기(134)를 설치하여 상기 고정부재(112)로부터 상기 이동부재(114)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114)가 다시 뒤로 이동되지 못하게 하는 스토퍼 기능을 갖게 하여 상기 이동부재(114)의 이동된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고정수단(130)은 상기 고정부재(112)의 내측면으로 상기 톱니형 고정돌기들(132)을 형성하고, 상기 톱니형 고정돌기(132)들에 대응하는 상기 이동부재(114)의 측면을 절개하여 소정 텐션을 갖는 자유단(134a)을 구성함과 아울러 그 자유단(134a)의 단부에 상기 래칫형 걸림돌기(134)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래칫형 걸림돌기(134)가 상기 톱니형 고정돌기(132)에 걸리게 함으로서 스토퍼 기능을 갖게 한다.
또한, 상기 래칫형 걸림돌기(134)의 반대측에는 상기 톱니형 고정돌기(132)로부터 상기 래칫형 걸림돌기(134)를 강제적으로 해지할 수 있게 하는 해지돌부(136)가 형성됨이 좋다. 이 해지돌부(136)는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자유단(134a)의 단부를 들어 올릴 수 있게 함으로서 상기 톱니형 고정돌기(132)들에 걸려 있는 상기 래칫형 걸림돌기(134)를 강제적으로 해지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고정수단(130)을 구성하는 상기 래칫형 걸림돌기(134)는 소정 텐션을 가지면서 상기 톱니형 고정돌기(132)에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이동부재(114)가 상기 고정부재(112)로부터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경우 상기 래칫형 걸림돌기(134)가 톱니형 고정돌기(132)를 타고 넘으면서 이동되게 함과 아울러 반대 방향으로는 이동되지 못하게 함으로서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게 이동된 이동부재(114)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114)를 고정부재(112)로부터 너무 많이 이동시킨 경우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해지돌부(136)를 들어 올리게 되면 상기 톱니형 고정돌기(132)로부터 래칫형 걸림돌기(134)가 해지되어 이동부재(114)를 후퇴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자함 연결박스는 상기 이동부재(114)의 전방으로 위치되게 커버 플레이트(102)를 설치한다. 이 커버 플레이트(102)는 단자와 접속하기 위한 각종 플러그들을 꼽기 위한 콘센트 혹은 스위치를 설치할 수 있는 판이다.
이와 같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102)는 박스본체(110)의 내부를 관통하는 전선(미도시)을 통해 상기 단자함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그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또는 통신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콘센트 혹은 스위치 등과 같은 단자의 역할을 설치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자함 본체(100)의 전방으로 박스본체(110)를 구성하는 상기 고정부재(112)의 어느 일단을 결합하고, 상기 고정부재(112)에 슬라이딩 되게 삽입 설치된 이동부재(114)는 건물 벽체(1)에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한다.
이때, 상기 건물 벽체(1)에 덧대어 설치되는 단열재 등과 같은 판(2)의 두께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114)를 전방으로 이동하여 그 두께와 상응하게 간격을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판(2)의 외벽면에 노출된 타단에 상기 커버 플레이트(102)를 결합시키면, 건물 벽체(1)에 설치되는 판(2)의 벽면에 각종 플러그를 꼽기 위한 상기 커버 플레이트(102)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12)로부터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어 이동된 상기 이동부재(114)는 톱니형 고정돌기(132)들에 래칫형 걸림돌기(134)가 걸려 뒤로 후퇴되지 못하도록 스토퍼 기능을 갖게 함으로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102)의 결합에 따른 외력이 가해질 때에도 상기 이동부재(114)는 후퇴되지 않고 그 이동된 위치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100 - 단자함 본체 102 - 커버 플레이트
110 - 박스본체 112 - 고정부재
114 - 이동부재 120 - 간격조절수단
122,124 - 제1,제2돌기 130 - 고정수단
132 - 톱니형 고정돌기 134 - 래칫(ratchet)형 고정돌기

Claims (3)

  1. 건물 벽체에 매설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전면만이 개구된 단자함 본체;
    상기 단자함 본체에 어느 일단이 고정되는 양단이 개구된 통형 구조의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전방으로 슬라이딩되게 삽입 설치되는 양단이 개구된 통형 구조의 이동부재로 이루어진 박스본체;
    상기 박스본체의 고정부재와 이동부재의 사이 간격을 벽체에 설치되는 판들의 두께에 따라 대응하는 간격으로 조절할 수 있게 상기 고정부재와 이동부재의 상호 대면부위에 안내홈과 안내돌기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부재와 이동부재의 상호 대면부위에 삼각형상의 단면 구조를 갖는 제1,제2돌기들을 형성하여 상호 맞물리게 결합함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와 이동부재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한 간격조절수단; 및
    상기 간격조절수단에 의해 조절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된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이 없도록 스토퍼 기능을 갖게 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단자함 연결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고정부재의 내측면으로 톱니형 고정돌기들을 형성하고, 상기 톱니형 고정돌기들에 대응하는 상기 이동부재의 측면을 절개하여 소정 텐션을 갖는 자유단을 구성함과 아울러 그 자유단의 단부에 래칫(ratchet)형 걸림돌기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래칫형 걸림돌기가 상기 톱니형 고정돌기에 걸리게 하여 스토퍼 기능을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연결박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래칫형 걸림돌기의 반대측에 상기 톱니형 고정돌기로부터 상기 래칫형 걸림돌기를 강제적으로 해지할 수 있게 하는 해지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 연결박스.
KR1020100089094A 2010-09-10 2010-09-10 단자함 연결박스 KR201200269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094A KR20120026904A (ko) 2010-09-10 2010-09-10 단자함 연결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094A KR20120026904A (ko) 2010-09-10 2010-09-10 단자함 연결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904A true KR20120026904A (ko) 2012-03-20

Family

ID=46132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094A KR20120026904A (ko) 2010-09-10 2010-09-10 단자함 연결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6904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367B1 (ko) * 2014-03-04 2015-03-23 주식회사 탐진 천장용 단자함 연결박스
KR101581903B1 (ko) * 2015-06-08 2015-12-31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트러스 데크 상부 거치형 전기 배선 박스
KR101581899B1 (ko) * 2015-06-08 2015-12-31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트러스 거더형 전기 배선 박스
KR101581902B1 (ko) * 2015-06-08 2015-12-31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높이조절이 가능한 탈착형 전기 배선 박스
KR101650750B1 (ko) * 2015-03-16 2016-08-25 대양피엔피 주식회사 벽체형 조절분배기
KR102073681B1 (ko) 2018-10-01 2020-02-05 김근수 단자함
KR102076632B1 (ko) * 2018-12-06 2020-02-13 (주)진성테크 매입형 전선함용 커버의 높이 조절장치
KR102170420B1 (ko) * 2019-06-11 2020-10-27 김도연 설치가 용이한 스위치 자동제어용 케이싱 어셈블리
KR102181308B1 (ko) * 2020-05-25 2020-11-20 (주)구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아울렛박스
KR102214003B1 (ko) 2020-11-16 2021-02-09 주식회사 서진이엔지 화재방지 접속단자함
CN112821313A (zh) * 2021-01-29 2021-05-18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免螺丝可调接线盒
KR20220068686A (ko) * 2020-11-19 2022-05-26 주식회사 탐진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전기 및 통신 배선박스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367B1 (ko) * 2014-03-04 2015-03-23 주식회사 탐진 천장용 단자함 연결박스
KR101650750B1 (ko) * 2015-03-16 2016-08-25 대양피엔피 주식회사 벽체형 조절분배기
KR101581903B1 (ko) * 2015-06-08 2015-12-31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트러스 데크 상부 거치형 전기 배선 박스
KR101581899B1 (ko) * 2015-06-08 2015-12-31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트러스 거더형 전기 배선 박스
KR101581902B1 (ko) * 2015-06-08 2015-12-31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높이조절이 가능한 탈착형 전기 배선 박스
KR102073681B1 (ko) 2018-10-01 2020-02-05 김근수 단자함
KR102076632B1 (ko) * 2018-12-06 2020-02-13 (주)진성테크 매입형 전선함용 커버의 높이 조절장치
KR102170420B1 (ko) * 2019-06-11 2020-10-27 김도연 설치가 용이한 스위치 자동제어용 케이싱 어셈블리
KR102181308B1 (ko) * 2020-05-25 2020-11-20 (주)구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아울렛박스
KR102214003B1 (ko) 2020-11-16 2021-02-09 주식회사 서진이엔지 화재방지 접속단자함
KR20220068686A (ko) * 2020-11-19 2022-05-26 주식회사 탐진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전기 및 통신 배선박스
CN112821313A (zh) * 2021-01-29 2021-05-18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免螺丝可调接线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6904A (ko) 단자함 연결박스
AU2013366230B2 (en) Electrical equipment module
CA2558702C (en) Electric box for concrete walls
US11025043B2 (en) Adjustable mud ring assemblies
DE2642066C2 (ko)
US20200044430A1 (en) Integrated opposite hook wire clamp
CN106463927B (zh) 旨在卡接到电箱中的电气设备模块
KR101093898B1 (ko) 건축물용 매입형 전기스위치박스
KR100655881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구조
KR100697030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CN102544776A (zh) 接线装置
US7402061B1 (en) Structure of energy-efficient lamp base
KR20090021027A (ko) 매입형 전선함의 연결박스
KR100805073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WO2016036328A1 (en) Full- auto retractable, built in extension cord and multi-outlet adaptor jack
KR102530661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전기 및 통신 배선박스
US2606264A (en) Terminal and contact construction for electric switches
US8802979B2 (en) Tamper-resistant self-contained receptacle
KR100670692B1 (ko)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의 스프링 밀폐구조
KR100836192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구조
CN213341534U (zh) 一种暗装接线盒
DE3829327A1 (de) Einbaudose fuer elektrische installationsgeraete
CN210039802U (zh) 一种电机保护器绝缘套
KR101442205B1 (ko) 아웃렛 박스의 연결조절박스
KR100399416B1 (ko) 벽 매립형 통신기기의 부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