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308B1 -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아울렛박스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아울렛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308B1
KR102181308B1 KR1020200062135A KR20200062135A KR102181308B1 KR 102181308 B1 KR102181308 B1 KR 102181308B1 KR 1020200062135 A KR1020200062135 A KR 1020200062135A KR 20200062135 A KR20200062135 A KR 20200062135A KR 102181308 B1 KR102181308 B1 KR 102181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box
outlet
box
rotating body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구
Original Assignee
(주)구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구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구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00062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3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에 설치되고자 하는 복수의 아웃렛박스의 간격이 연결수단에 의해 일정되게 유지되어 해당 벽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아울렛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벽체 내부에 고정 설치되되 개구된 전면에는 콘센트함이 설치되며, 개구된 후면에는 상기 콘센트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기케이블이 인입되는 아웃렛박스에 있어서, 상기 아웃렛박스는 복수의 상기 아웃렛박스가 서로 일정간격을 갖게 벽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수단(100)은 상기 아웃렛박스 일측 또는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와 서로 치(齒) 결합할 수 있게 상기 회전체가 구비된 상기 아웃렛박스에 수직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아울렛박스{Outlet Box}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아울렛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에 설치되고자 하는 복수 아웃렛박스의 간격이 연결수단에 의해 일정되게 유지되어 해당 벽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아울렛박스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의 벽체에 매립하는 전기단자함은 일반적으로 배근된 철근이 형성하는 공간에 고정시킨 다음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매립한다.
종래 전기단자함(또는 아웃렛박스)은 단자함의 좌우측에 수직으로 배근되는 철근이 수직을 이루지 못하고 기울어진 경우 단자함을 그대로 고정시키므로 기울어진 채로 고정되거나 장착이 불완전하게 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단자함의 위치가 변동되어 시공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국내 등록특허 제10-636571호에는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특허는 좌우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L형의 브래킷을 단자함의 좌측면과 우측면 상하부에 두 개씩 한 조를 이루도록 용접하고, 단자함의 좌우양측에 거리를 두고 배근된 철근에 결합되는 반원홈을 갖는 철근고정블록의 전/후면에 장공과 중심이 일치하는 축삽입구멍을 형성하며, 브래킷에 형성된 장공과 철근고정블록에 형성된 축삽입구멍으로 삽입되는 편심축의 양단에 편심캠을 설치하고, 철근고정블록에 형성된 축삽입구멍과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나사구멍에 편심축을 가압하기 위한 세트스크류를 결합하며, 철근에 결합되는 반원홈을 갖는 철근고정커버를 철근을 사이에 두고 볼트에 의해 철근고정블록과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철근의 구조를 이용하고 있기에 해당 철근이 존재하지 않으면 복수의 전기단자함에 대한 간격이 일정되게 설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636571호(공고일:2006.10.20.) 국내등록실용 제20-0445441호(공고일:2009.07.30.)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벽체 내부에 구비된 철근이 없이도 복수의 전기단자함의 간격을 동일하게 유지하여 해당 벽체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아울렛박스는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벽체 내부에 고정 설치되되 개구된 전면에는 콘센트함이 설치되며, 개구된 후면에는 상기 콘센트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기케이블이 인입되는 아웃렛박스에 있어서, 상기 아웃렛박스는 복수의 상기 아웃렛박스가 서로 일정간격을 갖게 벽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아웃렛박스 일측 또는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와 서로 치(齒) 결합할 수 있게 상기 회전체가 구비된 상기 아웃렛박스에 수직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아웃렛박스를 지지하는 철근 등과 같은 구조물이 없이도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복수의 상기 아웃렛박스의 간격을 설정 후, 벽체 내부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아울렛박스와 콘센트함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아울렛박스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대한 A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대한 B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아울렛박스가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대한 C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아울렛박스 연결수단에 의해 복수로 연결되어 벽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아울렛박스에 대한 연결수단의 고정부재를 나타낸 도면.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전기 아웃렛박스(이하, 간략하게 '아웃렛박스'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웃렛박스(1)는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개구된 전면에는 전기기기(미도시)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콘센트함(C)이 볼트나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개구된 후면으로는 상기 콘센트함(C)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해당 전기기기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전기케이블(P/W)이 인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도 7 참조)
이러한 아웃렛박스(1) 외면에는 한 쌍의 상기 아웃렛박스(1)가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벽체(B)에 설치될 수 있게 안내하는 연결수단(100)을 포함한다.
예컨대 각각의 아웃렛박스(1)에 구비된 연결수단(100)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110) 및 연결체(120)를 포함하며, 이러한 상기 연결수단(100)을 통해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아웃렛박스(1)가 서로 동일한 간격을 갖거나 어느 하나 이상은 다른 간격을 갖도록 연결 설치되어 벽체(B) 외면에 마감재로 사용되는 타일(미도시) 등의 크기에 따라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게 콘센트함(C)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체(1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아웃렛박스(1) 몸체를 중심으로 직각되게 회전한 이후에, 상기 아웃렛박스(1) 하부 외측으로 소정길이 늘어나 후술하는 연결체(120)와 서로 치(齒) 결합이 용이하게 상기 아웃렛박스(1) 측면 하부에 설치된다.
회전체(110)는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외면 즉, 직각으로 회전한 이후에 연결체(120)와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연결체(120)에 형성된 제2나사산(121)과 서로 치 결합할 수 있는 제1나사산(111)이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다.(도 4 참조)
아울러 회전체(110) 일측은 아웃렛박스(1)에 삽입설치되는 회전축(113)을 중심으로 최대 90도(직각)까지 회전할 수 있게 상기 아웃렛박스(1)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체(110)는 평상시(예를 들어, 회전하기 이전의 상태)에는 상기 아웃렛박스(1) 외면에 형성된 수납홈(115)에 삽입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때, 수납홈(115)은 아웃렛박스(1) 내측으로 형성된 홈의 형상을 이루어 회전체(110)가 회전하기 이전의 평상시에 상기 아웃렛박스(1)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수평방향으로 수납되며, 상기 회전체(110)가 회전시에는 회전축(113)을 축으로 하여 최대 90도까지만 회전할 수 있게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 참조)
아울러 수납홈(115)에 수납된 회전체(110)는 아웃렛박스(1)를 정면(콘센트함이 인입되는 방향)에서 바라볼 때,상기 아웃렛박스(1)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설치하여 미리 타공된 벽체(B)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체(120)는 상술한 회전체(110)와 치 결합하여 한 쌍의 아웃렛박스(1)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컨대 연결체(120)는 회전체(110)가 직각으로 회전한 이후에, 상기 회전체(110) 외면에 형성된 제1나사산(111)과 서로 치 결합하기 용이하게 아웃렛박스(1) 측면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홈의 형상으로 형성된다.(도 6 참조)
이때, 연결체(120)의 형성길이는 회전이 이루어진 회전체(110)의 돌출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110)가 상기 연결체(120)에 삽입되는 길이에 따라 한 쌍의 아웃렛박스(1)의 이격거리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연결수단(100)에 의해 서로 연결된 한 쌍의 아웃렛박스(1) 사이의 공간부에는 작업자에 의해 벽체(B) 외부에서 발포제(미도시) 등을 주입하여 단열이나 습이의 생성을 방지하도록 한다.
연결체(1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제1나사산(111)과 서로 치 결합하기 위한 제2나사산(121)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나사산(111,121)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아웃렛박스(1)는 고정부재(130)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벽체(B)에 삽입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부재(13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나사산(111)이 형성되지 않은 회전체(110) 다른 외면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고정체(131) 및 이동하는 상기 고정체(131)가 삽입될 수 있게 연결체(120)와 이어지게 아웃렛박스(1) 외면에 형성된 고정홈(133)을 포함한다.
즉, 회전체(110)의 제1나사산(111)을 통해 연결체(120)에 형성된 제2나사산(121)이 서로 치 결합 한 이후에, 상기 회전체(110) 외면에 형성된 고정체(131)를 아웃렛박스(1) 외면에 형성된 고정홈(133) 방향으로 밀어 삽입함으로써, 상기 연결체(120)와 치 결합한 상기 회전체(110)의 유동이 방지되게 벽체(B)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고정홈(133)은 연결체(120)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다수 형성되어 상기 연결체(120)에 삽입되는 회전체(110)의 삽입 길이에 따라 상기 회전체(110)에 구비된 고정체(131)가 어느 하나의 상기 고정홈(133)에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아웃렛박스(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아웃렛박스(1)를 지지하는 철근 등과 같은 구조물이 없이도 연결수단(100)을 이용하여 복수의 상기 아웃렛박스(1)의 간격을 설정 후, 벽체(B) 내부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연결수단
110: 회전체 111: 제1나사산
113: 회전축 115: 수납홈
120: 연결체 121: 제2나사산
130: 고정부재 131: 고정체
133: 고정홈 B: 벽체

Claims (1)

  1.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벽체(B) 내부에 고정 설치되되 개구된 전면에는 콘센트함(C)이 설치되며, 개구된 후면에는 상기 콘센트함(C)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기케이블(P/W)이 인입되는 아웃렛박스(1)에 있어서,
    상기 아웃렛박스(1)는 복수의 상기 아웃렛박스(1)가 서로 일정간격을 갖게 벽체(B)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수단(100);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수단(100)은 상기 아웃렛박스(1) 일측 또는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체(110), 상기 회전체(110)와 서로 치(齒) 결합할 수 있게 상기 회전체(110)가 구비된 상기 아웃렛박스(1)에 수직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연결체(120) 및 고정부재(130)을 포함하며,
    상기 아웃렛박스(1)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상기 회전체(110)는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제1나사산(111)이 형성되되 일측은 회전축(113)이 관통하며, 상기 아웃렛박스(1)에 형성된 수납홈(115)에 수납되어 상기 아웃렛박스(1) 하방으로 길이를 갖게 직각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아웃렛박스(1) 상부에 형성된 상기 연결체(120)의 제2나사산(121)과 서로 치 결합하여 한 쌍의 상기 아웃렛박스(1)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고정부재(130)는 고정체(131) 및 고정홈(133)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체(131)는 상기 회전체(110) 타측에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고정홈(133)은 상기 연결체(120)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어지게 상기 아웃렛박스(1) 외면에 다수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131) 외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기 고정체(131)가 삽입 고정되어 상기 회전체(110)와 상기 연결체(120)에 의해 서로 연결된 한 쌍의 상기 아웃렛박스(1) 이격거리가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연결수단(100)에 의해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상기 아웃렛박스(1)가 설치된 벽체(B) 내부 공간부에는 발포제가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아울렛박스.
KR1020200062135A 2020-05-25 2020-05-25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아울렛박스 KR102181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135A KR102181308B1 (ko) 2020-05-25 2020-05-25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아울렛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135A KR102181308B1 (ko) 2020-05-25 2020-05-25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아울렛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308B1 true KR102181308B1 (ko) 2020-11-20

Family

ID=73697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135A KR102181308B1 (ko) 2020-05-25 2020-05-25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아울렛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30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909Y1 (ko) * 2003-09-16 2003-12-11 김근수 단자함
KR200343375Y1 (ko) * 2003-11-19 2004-03-02 박노분 조립식 아웃레트박스
KR100636571B1 (ko) 2006-07-06 2006-10-20 (주)진전기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KR200445441Y1 (ko) 2009-03-02 2009-07-30 청호이엔씨 주식회사 아웃렛박스용 간격재
KR20090010105U (ko) * 2008-04-01 2009-10-07 김기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간격유지구 매입형 전기배선박스
KR20120026904A (ko) * 2010-09-10 2012-03-20 김근수 단자함 연결박스
KR20160142688A (ko) * 2015-06-03 2016-12-13 유티오 코포레이션 복합 콘센트
KR102076632B1 (ko) * 2018-12-06 2020-02-13 (주)진성테크 매입형 전선함용 커버의 높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909Y1 (ko) * 2003-09-16 2003-12-11 김근수 단자함
KR200343375Y1 (ko) * 2003-11-19 2004-03-02 박노분 조립식 아웃레트박스
KR100636571B1 (ko) 2006-07-06 2006-10-20 (주)진전기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KR20090010105U (ko) * 2008-04-01 2009-10-07 김기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간격유지구 매입형 전기배선박스
KR200445441Y1 (ko) 2009-03-02 2009-07-30 청호이엔씨 주식회사 아웃렛박스용 간격재
KR20120026904A (ko) * 2010-09-10 2012-03-20 김근수 단자함 연결박스
KR20160142688A (ko) * 2015-06-03 2016-12-13 유티오 코포레이션 복합 콘센트
KR102076632B1 (ko) * 2018-12-06 2020-02-13 (주)진성테크 매입형 전선함용 커버의 높이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509B1 (ko) 벽체 매립형 오픈 수전함
GB2521837A (en) Connector
KR102181308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아울렛박스
US20110237119A1 (en) In-wall mounted receptacle device
KR100655881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구조
KR100607472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 전선보호덕트
KR102130542B1 (ko) 공동주택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시설
KR101814286B1 (ko) 연결클립을 이용한 조립식 전시 부스용 벽체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833876B1 (ko) 건축물용 전선 어셈블리 박스
CN208329199U (zh) 整体卫浴片状墙体拼接型防水墙板
CN105048169A (zh) 一种翻盖分体式插线盒
KR200299546Y1 (ko) 공동 주택용 방송 스피커의 배관 연결 박스 구조
EP4183012A1 (en) Docking unit, charging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1004046B1 (ko) 설치가 용이한 건축용 벽면 매설 단자함
KR102003908B1 (ko)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KR101110760B1 (ko) 벽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전선 보호덕트
KR200492152Y1 (ko) 건물 벽체의 매입 박스용 고정 시스템
KR20080029331A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102181307B1 (ko) 공동주택 배전선로 보호기능을 갖는 전선연결장치
KR100978226B1 (ko) 공동주택의 전기 배선용 덕트
CN216872770U (zh) 一种稳固易进线式八角灯头盒
KR102178100B1 (ko) 공동주택 전기의 벽체 설치형 케이블 연결소켓장치
KR100836192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구조
KR200171322Y1 (ko) 수평조절기능을 갖는 옥내배관용 월아웃렛박스
CN212033444U (zh) 一种便于拆卸的配电柜外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