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307B1 - 공동주택 배전선로 보호기능을 갖는 전선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배전선로 보호기능을 갖는 전선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307B1
KR102181307B1 KR1020200062138A KR20200062138A KR102181307B1 KR 102181307 B1 KR102181307 B1 KR 102181307B1 KR 1020200062138 A KR1020200062138 A KR 1020200062138A KR 20200062138 A KR20200062138 A KR 20200062138A KR 102181307 B1 KR102181307 B1 KR 102181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ody part
electric cable
coupl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구
Original Assignee
(주)구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구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구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00062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몸체와 제2몸체의 분리 또는 결합에 의해 설치되고자 하는 벽체의 상태에 따라 하나의 연결소켓장치를 통해 단열이나 방수 목적을 선택적으로 구현하되 상기 제1몸체 내부로 인입된 여유분의 전기케이블이 콘센트에 간섭을 주지 않게 상기 제1몸체에서 보호받을 수 있게 고정 구비되도록 하며,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제2몸체부가 서로 안정되게 이격되어 벽체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 배전선로 보호기능을 갖는 전선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이 개방된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후면에는 전기케이블이 인입되며, 콘센트와 탈착 가능하게 벽체에 고정설치되는 제1몸체부 및 상기 제1몸체부 외면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되 분리시에 상기 제1몸체부를 감싸도록 벌어져 단열재나 방수재가 충진될 수 있는 공간부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2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몸체부는 벽체 내부에서 연장되어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몸체부로 내부로 인입된 여유분의 전기케이블이 콘센트의 결합에 간섭을 주지 않게 해당 전기케이블 외면이 끼움 결합하여 상기 제1몸체부에 고정되어 보호될 수 있는 복수의 보호결합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몸체부는 상기 제1몸체부가 구비된 또 다른 상기 제2몸체부와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연결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 배전선로 보호기능을 갖는 전선연결장치{The wire connection apparatus for the apartment house having wire protection function}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 배전선로 보호기능을 갖는 전선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몸체와 제2몸체의 분리 또는 결합에 의해 설치되고자 하는 벽체의 상태에 따라 하나의 연결소켓장치를 통해 단열이나 방수 목적을 선택적으로 구현하되 제1몸체 내부로 인입된 여유분의 전기케이블이 콘센트에 간섭을 주지 않게 제1몸체에서 보호받을 수 있게 고정 구비되도록 하며, 연결수단에 의해 제2몸체부가 서로 안정되게 이격되어 벽체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 배전선로 보호기능을 갖는 전선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콘센트박스는 외부 전선으로부터 댁내로 인입되어 벽면에 매설되는 전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접속시켜 전기기구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러한 콘센트박스는 설치되고자 하는 벽체의 상태 예를 들어, 습기에 민감하거나 단열 등이 필요한 경우, 그 용도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콘센트박스를 양산하여 벽면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제작자 입장에서 필요 이상의 콘센트박스를 종류별로 생산해야 하기에 제조에 대한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판매자 역시, 어떠한 상태의 벽면에 사용되는지 확인할 방법이 없기에 그 용도에 맞는 서로 다른 종류의 콘센트박스를 항시 입고하여 판매해야 하기에 필요 이상의 경비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콘센트박스 내부로 인입된 여유 분의 전선이 불규칙하게 해당 콘센트박스 내부에 어지럽게 꼬여 보관되는 형태를 하고 있어 이로 인한 전선의 파손이나 합선 등이 동반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갖게 된다.
또한, 벽면에 복수의 콘센트박스를 설치시에 작업자가 임의로 해당 콘센트박스를 이격하여 벽면에 설치함으로써, 심미감의 저하 등이 유발되는 문제점도 갖게 된다.
국내등록특허 제10-0859166호(공고일:2008.09.19.) 국내등록실용 제20-0362309호(공고일:2004.09.16.) 국내등록특허 제10-0758689호(공고일:2007.09.13.)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설치되고자 하는 벽면의 상태에 따라 전원연결이 용이하면서도 하나의 콘센트박스를 통해서도 단열이나 방수의 목적을 실행하되 콘센트박스 내부에 구비된 여유 분의 전선이 보호될 수 있게 고정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한 쌍의 콘센트박스를 벽면에 설치시에 안정되게 이격시켜 설치할 수 있는 공동주택 배전선로 보호기능을 갖는 전선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선보호 기능을 갖는 공동주택의 벽체 설치용 전선보호장치는 전면이 개방된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후면에는 전기케이블이 인입되며, 콘센트와 탈착 가능하게 벽체에 고정설치되는 제1몸체부 및 상기 제1몸체부 외면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되 분리시에 상기 제1몸체부를 감싸도록 벌어져 단열재나 방수재가 충진될 수 있는 공간부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2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몸체부는 벽체 내부에서 연장되어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몸체부로 내부로 인입된 여유분의 전기케이블이 콘센트의 결합에 간섭을 주지 않게 해당 전기케이블 외면이 끼움 결합하여 상기 제1몸체부에 고정되어 보호될 수 있는 복수의 보호결합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몸체부는 상기 제1몸체부가 구비된 또 다른 상기 제2몸체부와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연결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서로 분리 가능한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에 필요에 따라 이격판을 설치하여 단열재 등이 충진될 수 있는 공간부를 선택적으로 형성시켜 하나의 소켓을 통해 작업하고자 하는 공동주택 등과 같은 구조물의 벽체의 상태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음은 물론, 제1몸체에 형성된 다수의 보호결합구를 통해 상기 제1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여유 분의 전기케이블이 보호될 수 있게 규칙적으로 고정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연결수단을 통해 한 쌍의 제2몸체부가 안정적으로 이격되어 벽체에 설치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부가 형성되기 이전의 공동주택 배전선로 보호기능을 갖는 전선연결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부가 형성된 공동주택 배전선로 보호기능을 갖는 전선연결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대한 제1몸체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대한 다수의 보호결합구에 전기케이블이 끼움 결합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대한 보호결합구의 확대도.
도 6은 도 1에 대한 제2몸체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에 대한 A-A' 단면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8은 도 2에 대한 B-B' 단면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배전선로 보호기능을 갖는 전선연결장치에 대한 연결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에 대한 사용상태도.
도 11은 도 9에 대한 회전체와 연결체 간의 결합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배전선로 보호기능을 갖는 전선연결장치(이하, 간략하게 '전선연결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선연결장치(1)는 크게 외부에서 콘센트(C)가 삽입 체결되는 제1몸체(110) 및 상기 제1몸체(110) 외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분리 이후에 상기 제1몸체(110)와 사이에 공간부(S)를 형성하는 제2몸체부(20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몸체부(100)는 도 1 및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멘트나 콘크리트 등과 같은 재료를 통해 공동주택이나 빌딩 등을 형성하는 구조물의 벽체에 고정설치되되 해당 벽체 외부로 개구된 전면이 노출되어 그 개구된 전면을 통해 전기기기에서 연장된 플러그(미도시)가 끼워지는 콘센트(C)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제1몸체(110), 이격판(120) 및 보호결합구(130)을 포함한다.
예컨대 제1몸체(1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전면(벽체 외부로 노출되어 콘센트가 인입되는 부분)이 개구되되 후면에는 전기케이블(P-C)이 내부로 인입될 수 있게 개구부(111)가 형성된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몸체(110) 내면에는 이격판(120)이 개별 수납될 수 있게 복수의 수납홈(1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볼트나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전면에서 인입되는 콘센트가 상기 제1몸체(110)와 고정 결합할 수 있는 복수의 나사공(115)이 형성된다.
아울러 제1몸체(110) 외면에는 이격판(120) 일측이 결합하는 체결돌기(117)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117)는 후술하는 제2몸체(210) 내면에 형성된 체결홈(213)과도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1몸체(110)와 상기 제2몸체(210)가 서로 결합한 상태(공간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이격판(120)이 결합하여 상기 제1몸체(110)와 상기 제2몸체(210) 사이에 공간부(S)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 제1몸체(110)와 제2몸체(210)에 형성된 체결돌기(117)와 체결홈(213)은 서로 반대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격판(120)은 후술하는 제2몸체(210)가 제1몸체(110)에서 분리되어 공간부(S)를 형성시에 상기 공간부(S)의 형성이 용이함과 동시에 그 형상이 가변되지 않게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의 이격판(120)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평상시 즉, 공부(S)가 형성되지 않게 제1몸체(110)와 제2몸체(210)가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는 수납홈(113)에 수납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공간부(S)를 형성시에는 상기 수납홈(113)에서 인출되어 상기 제1몸체(110)와 상기 제2몸체(210)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공간부(S)를 형성함과 동시에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도 2 참조)
이때, 이격판(120) 일측 즉, 제1몸체(110)의 체결돌기(117)와 마주보는 면에는 상술한 체결홈(213)과 동일 형상을 갖는 결합홈(123)이 형성되며 타측 즉, 제2몸체(210)의 체결홈(213)과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체결돌기(117)와 동일 형상을 갖는 결합돌기(121)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213)과 끼움 결합하여 상기 제1몸체(110) 외면과 상기 제2몸체(210) 내면 사이에 공간부(S)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공간부(S) 내에는 발포형태로 주입되는 단열재(I)가 충진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전선연결장치(1)를 통해 단열이 필요한 벽체나 단열이 필요하지 않은 벽체에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본 발명에서의 공간부(S)에는 단열재가 충진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방수재 등의 충진도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한다.
보호결합구(130)는 개구부(111)를 통해 벽체 내에서 제1몸체(110) 내부로 인입되어 콘센트(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여유분의 전기케이블(P-C)을 규칙적으로 고정시켜 합선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11)와 근접하게 상기 제1몸체(110) 후면에 다수 형성된다.
보호결합구(13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갖되 탄성 복원이 가능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그 탄성력에 의해 전기케이블(P-C) 외면이 끼움 결합하여 해당 전기케이블(P-C)이 제1몸체(110) 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 형상이나 도시하지는 않은 소용돌이 형상을 갖도록 하여 콘센트(C)와 전기케이블(P-C)이 서로 전기적으로 결합한 이후에 해당 콘센트(C)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보호결합구(130) 중 개구부(111)와 근접하는 어느 하나는 벽체(B)에서 연장되어 상기 개구부(111)를 통해 최초 인입된 전기케이블(P-C)이 끼움 결합하는 최초결합구(130a), 상기 최초결합구(130a)에 끼원진 전기케이블(P-C)이 링이나 소용돌이 형상을 갖도록 끼움 결합할 수 있는 다수의 중간결합구(130b) 및 상기 중간결합구(130b)에 의해 고정된 전기케이블(P-C)이 상기 개구부(111)의 중앙부에 용이하게 배치되어 콘센트(C)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최후결합구(130c)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각각의 최초결합구(130a), 중간결합구(130b) 및 최후결합구(130c)는 모두 동일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부(200)는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제1몸체(110) 외면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되거나 단열재 등의 충진이 필요시에는 상기 제1몸체(110)에서 일정 간격을 갖게 상기 제1몸체(110) 외면을 감싸도록 공간부(S)가 형성되게 분리되어 해당 단열재의 충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2몸체(210) 및 연결주름체(220)를 포함한다.
예컨대 제2몸체(210)는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복수로 구비되되 연결주름체(220)를 통해 서로 이어지게 연결되어 제1몸체(110)를 형성하는 4곳의 측면(도면상에서 제1몸체가 갖는 직육면체 형상을 기준) 모두를 감싸도록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속이 빈 함체 형상을 갖는다.
이때, 각각의 제2몸체(210) 양단에는 연결주름체(220)가 삽입 고정될 수 있게 고정공(2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각각의 제2몸체(210) 내면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이격판(120)의 결합돌기(121)나 제1몸체(110) 외면에 형성된 체결돌기(117)와 끼움 결합할 수 있는 체결홈(213)이 형성되어 상기 이격판(120)의 결합을 통해 상기 제1몸체(110)와 상기 제2몸체(210) 사이에 공간부(S)가 형성될 수 있게 하거나 상기 제1몸체(110)와 상기 제2몸체(210)가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모듈로 벽체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연결주름체(220)는 상술한 복수의 구성을 갖는 제2몸체(210)를 서로 연결하되 필요에 따라 상기 제2몸체(210)의 개구폭(D,D')을 가변시켜 제1몸체(110) 외면을 감싸게 상기 제2몸체(210)가 이격판(1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의 연결주름체(220)는 길이연장이 가능한 자라바 등과 같은 형태를 갖거나 탄성 복원이 가능한 합성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양단에는 제2몸체(210)에 형성된 고정공(211)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주름체(220)와 상기 제2몸체(210)가 서로 고정 결합할 수 있는 고정돌기(221)가 돌출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선연결장치(1)의 바람직한 사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며, 하기에는 공간부(S)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를 제1실시예(도 7 참조)로 하며, 상기 공간부(S)가 형성된 상태를 제2실시예(도 8 참조)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의 제1실시예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몸체(110)에 형성된 체결돌기(117)와 제2몸체(210)에 형성된 체결홈(213)에 삽입되어 서로 밀착된 즉, 공간부(S)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개구된 벽체(B)에 그 전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고정 설치한다.
여기서, 벽체(B) 내부에서 연장된 전기케이블(P-C)은 제1몸체(110) 후면에 형성된 개구부(111)에 관통하여 상기 제1몸체(110) 전면으로 노출될 수 있게 구비한다.
그 다음, 제1몸체(110)의 전면에 구비된 전기케이블(P-C)과 콘센트(C)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하며, 연결된 이후에는 상기 제1몸체(110)에 형성된 나사공(115)과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콘센트(C)를 고정 설치하여 외부에서 전기기기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제2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몸체(110)의 수납홈(113)에 삽입된 복수의 이격판(120)을 분리 후, 수직상태로 세워 상기 이격판(120) 일측에 형성된 결합돌기(121)는 제2몸체(210)에 형성된 체결홈(213)과 결합하되 타측에 형성된 결합홈(123)은 상기 제1몸체(110)에 형성된 체결돌기(117)와 결합하여 상기 제1몸체(110)와 상기 제2몸체(210) 사이에 공간부(S)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몸체(210)의 개구폭(D,D')을 가변시킨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몸체(110)의 체결돌기(117)에 결합한 상태를 갖는 제2몸체(210)는 상기 체결돌기(117)를 체결홈(213)에서 분리 후, 연결주름체(220)의 탄성력에 개구폭(D,D')이 가변될 수 있게 벌려 상기 제2몸체(210)가 상기 제1몸체(110) 외면을 감싸는 구조를 갖도록 한 상태에서 다수의 이격판(120)을 설치하여 공간부(S)의 형성 및 상기 공간부(S)의 가변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전기케이블(P-C)이 개구부(111)를 통해 제1몸체(110) 전면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도록 인출 후, 개구된 벽체(B)에 고정 설치하며, 형성된 공간부(S) 내부에 단열재 등을 충진시켜 일정 시간 경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단열재의 경화가 이루어지면 작업자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인출된 전기케이블(P-C)과 콘센트(C)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 후,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콘센트(C)를 조립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가 마감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2몸체부(20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제1몸체부(100)가 구비된 상기 제2몸체부(200)가 서로 연결되어 벽체(B) 내부에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살치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연결수단(30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수단(300)은 제2몸체(210) 일측 또는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체(310) 및 상기 회전체(310)와 서로 치(齒) 결합하는 연결체(320)을 포함한다.
회전체(310)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되 그 외면 즉, 연결체(320)와 서로 마주보는 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제1나사산(311)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체(320)에 형성된 제2나사산(321)과 서로 치 결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회전체(310) 일측은 제2몸체(210)에 형성된 안내홈(313) 내에서 상기 제2몸체(210)에 관통 삽입된 회전축(31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안내홈(313)은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몸체(210) 측면 하부에 형성되며, 후술하는 연결체(320)은 상기 제2몸체(210) 측면 상부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체(310)에 의해 제1 및 제2나사산(311,321)이 서로 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체(320)는 제2몸체(210) 측면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그 내면에는 상술한 회전체(311)에 형성된 제1나사산(311)과 서로 치 결합하여 한 쌍의 제2몸체부(200)가 서로 면 접촉하거나 소정 거리 이격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하여, 욕실 등과 같은 하나의 룸(ROOM) 내부에 한 쌍의 콘센트(C)를 벽체에 설치시에 서로 동일한 간격을 갖게 해당 벽체에 설치할 수 있어 종래의 작업자가 임의로 이격하여 설치하는 것보다 심미감은 물론, 설치시 용이한 이점을 갖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전선연결장치(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서로 분리 가능한 제1몸체(110)와 제2몸체(210) 사이에 필요에 따라 이격판(120)을 설치하여 단열재 등이 충진될 수 있는 공간부(S)를 선택적으로 형성시켜 하나의 소켓을 통해 작업하고자 하는 공동주택 등과 같은 구조물의 벽체의 상태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음은 물론, 제1몸체(110)에 형성된 다수의 보호결합구(130)를 통해 상기 제1몸체(110) 내부에 구비되는 여유 분의 전기케이블(P-C)이 보호될 수 있게 규칙적으로 고정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연결수단(300)을 통해 한 쌍의 제2몸체부(200)가 안정적으로 이격되어 벽체에 설치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제1몸체부
110: 제1몸체 111: 개구부
113: 수납홈 115: 나사공
117: 체결돌기 120: 이격판
121: 결합돌기 123: 결합홈
130: 보호결합구 200: 제2몸체부
210: 제2몸체 211: 고정공
213: 체결홈 220: 연결주름체
221: 고정돌기 300: 연결수단
310: 회전체 311: 제1나사산
313: 안내홈 315: 회전축
320: 연결체 321: 제2나사산
S: 공간부

Claims (1)

  1. 전면이 개방된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후면에는 전기케이블(P-C)이 인입되며, 콘센트(C)와 탈착 가능하게 벽체(B)에 고정설치되는 제1몸체부(100); 및
    상기 제1몸체부(100) 외면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되 분리시에 상기 제1몸체부(100)를 감싸도록 벌어져 단열재나 방수재가 충진될 수 있는 공간부(S)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2몸체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몸체부(100)는 벽체(B) 내부에서 연장되어 개구부(111)를 통해 상기 제1몸체부(100)로 내부로 인입된 여유분의 전기케이블(P-C)이 콘센트(C)의 결합에 간섭을 주지 않게 전기케이블 외면이 끼움 결합하여 상기 제1몸체부(100)에 고정되어 보호될 수 있는 복수의 보호결합구(130)가 형성되며,
    상기 제2몸체부(200)는 상기 제1몸체부(100)가 구비된 또 다른 상기 제2몸체부(200)와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연결수단(300);이 구비되며,
    상기 제2몸체부(200)는 제2몸체(210) 및 연결주름체(220)를 포함하되,
    상기 제2몸체(210)는 제1몸체(110)를 형성하는 4곳의 측면 외부에 구비될 수 있게 다수 배치되되 각각의 끝단은 상기 연결주름체(220)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1몸체(110) 외면과 상기 제2몸체(210) 내면 사이에 상기 연결주름체(220)의 탄성 복원으로 개구폭(D,D')이 서로 다른 상기 공간부(S)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연결주름체(220)의 탄성에 의해 벌어져 형성된 상기 공간부(S)는 일측이 상기 제1몸체(110) 외면에 형성된 체결돌기(117)와 결합하되 타측은 상기 제2몸체(210) 내면에 형성된 체결홈(213)에 삽입되는 다수의 이격판(120)에 의해 상기 공간부(S)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배전선로 보호기능을 갖는 전선연결장치.
KR1020200062138A 2020-05-25 2020-05-25 공동주택 배전선로 보호기능을 갖는 전선연결장치 KR102181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138A KR102181307B1 (ko) 2020-05-25 2020-05-25 공동주택 배전선로 보호기능을 갖는 전선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138A KR102181307B1 (ko) 2020-05-25 2020-05-25 공동주택 배전선로 보호기능을 갖는 전선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307B1 true KR102181307B1 (ko) 2020-11-20

Family

ID=73697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138A KR102181307B1 (ko) 2020-05-25 2020-05-25 공동주택 배전선로 보호기능을 갖는 전선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30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909Y1 (ko) * 2003-09-16 2003-12-11 김근수 단자함
KR200362309Y1 (ko) 2004-06-11 2004-09-16 전은숙 콘센트가 구비된 통합배선 단자함
KR100758689B1 (ko) 2007-02-28 2007-09-13 주식회사 한양 티이씨 공동주택의 벽면 매설형 콘센트 단자함
KR100859166B1 (ko) 2008-03-05 2008-09-19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플러그단자 보호용 콘센트박스
KR20090095958A (ko) * 2008-03-07 2009-09-10 이말순 아웃렛박스
JP2017131090A (ja) * 2016-01-23 2017-07-27 未来工業株式会社 配線器具取付体装置、配線ボックス、配線ボックス装置、及び配線材とビスとの干渉防止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909Y1 (ko) * 2003-09-16 2003-12-11 김근수 단자함
KR200362309Y1 (ko) 2004-06-11 2004-09-16 전은숙 콘센트가 구비된 통합배선 단자함
KR100758689B1 (ko) 2007-02-28 2007-09-13 주식회사 한양 티이씨 공동주택의 벽면 매설형 콘센트 단자함
KR100859166B1 (ko) 2008-03-05 2008-09-19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플러그단자 보호용 콘센트박스
KR20090095958A (ko) * 2008-03-07 2009-09-10 이말순 아웃렛박스
JP2017131090A (ja) * 2016-01-23 2017-07-27 未来工業株式会社 配線器具取付体装置、配線ボックス、配線ボックス装置、及び配線材とビスとの干渉防止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0480B2 (en) Centralized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WO2019034292A1 (de) Ladestation und verfahren zur installation einer ladestation
BR112017011670B1 (pt) Adaptador de buchas de conexão elétrica
EP3177119B1 (en) Waterproof case, power supply, and assembly method
US200900845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fab wiring
KR100836592B1 (ko)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
KR102181307B1 (ko) 공동주택 배전선로 보호기능을 갖는 전선연결장치
KR100674263B1 (ko) 전기 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
KR102180771B1 (ko) 전선보호 기능을 갖는 공동주택의 벽체 설치용 전선보호장치
KR100640712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2178100B1 (ko) 공동주택 전기의 벽체 설치형 케이블 연결소켓장치
KR101811007B1 (ko) 시공이 편리한 분전반
KR20120125821A (ko)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
CN109155510B (zh) 作为分线盒备件的布置结构以及用于安装该布置结构的方法
JP4564637B2 (ja) 埋め込み形分電盤と縦型分電盤ユニット
EP2001090A2 (en) Multiplex extension cord for communications and power cables
KR102134870B1 (ko) 전선 트레이 설치용 분전함
KR200492152Y1 (ko) 건물 벽체의 매입 박스용 고정 시스템
KR20170117764A (ko) 플렉서블 부스바를 적용한 내진형 수배전반
IT201900005606A1 (it) Frutto elettrico multipresa
CA2964556C (en) Stubbed terminal housing for communications vault or pedestal
KR101245102B1 (ko) 멀티 플로어 박스
KR200166115Y1 (ko) 월아웃렛박스용 컨넥터
KR200182211Y1 (ko) 배선덕트
KR200398644Y1 (ko) 고압 케이블용 직선 접속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