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5821A -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 - Google Patents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5821A
KR20120125821A KR1020110043502A KR20110043502A KR20120125821A KR 20120125821 A KR20120125821 A KR 20120125821A KR 1020110043502 A KR1020110043502 A KR 1020110043502A KR 20110043502 A KR20110043502 A KR 20110043502A KR 20120125821 A KR20120125821 A KR 20120125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hotoelectric
fanout
cover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5365B1 (ko
Inventor
황광섭
김우영
Original Assignee
에쓰이에이치에프코리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쓰이에이치에프코리아 (주) filed Critical 에쓰이에이치에프코리아 (주)
Priority to KR1020110043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365B1/ko
Publication of KR20120125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5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4Cable-end sealings
    • H02G15/043Cable-end sealings with end caps, e.g. sleeve closed at one end
    • H02G15/046Cable-end sealings with end caps, e.g. sleeve closed at one end with bores or protruding portions allowing passage of cable condu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16Holders, macro size fixtures for mechanically holding or positioning fibres, e.g. on an optical benc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40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bundle ma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22Cables including at least one electrical conductor together with optical fib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을 통해 상기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이 삽입되고, 타단은 개방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타단에 나사 결합하며, 다수의 개구들을 구비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분기 장치를 구비하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을 개시하며, 이때, 상기 함체 내에서 상기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은 적어도 상기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로 분기되며, 분기된 상기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은 각각 상기 개구들 중 하나를 통해 상기 덮개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의 분기 장치는 함체와 덮개를 이용하여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의 분기 부위를 보호함으로써,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의 분기 부위가 외부 환경에 의해 또는 케이블 자체의 하중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분기된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이 댁내 가입자 선로로 즉시 배선되지 않더라도 그 종단을 보호하는 종단 함체 및 제2의 덮개를 더 구비함으로써, 향후 가입자 증가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HYBRID FANOUT CABLE}
본 발명은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 및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을 이용한 선로를 구성하는데 이용되는 분기 및 종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섬유들로 이루어지는 광케이블은 원거리에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최근에는 광신호뿐만 아니라 전력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도록 광케이블에 동선(copper wire)으로 구성된 전력 케이블을 결합한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hybrid fanout cable)을 이용한 선로가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은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을 동시에 수용하는 광접속 함체 내 전원 공급 또는 아파트 등 공동 주택이나 대형 건물의 통신 설비에 통신 선로와 전력 선로를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대체로 통신 선로와 전력 선로는 별도로 이루어지면서 거의 동일한 경로에 구성되기 때문에,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을 포설할 경우, 공중선 선로 또는 지중 선로의 구성을 좀더 단순화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초고속, 대용량의 통신망 구축에 있어, 다수의 광섬유로 이루어지는 광케이블뿐만 아니라, 전력 케이블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바,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이 복합된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은 선로의 구성을 단순화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을 이용한 통신망이나 전력망을 구축함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을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로 또는 소량 단위의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로 분기하게 된다. 이때,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이 전신주 등을 통해 배선되는 경우,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의 분기 부분은 옥외 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먼지, 조류의 배설물, 악천후 등 외부 환경에 의해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의 분기 부위가 부식, 손상될 위험이 있다. 또한, 공중선 선로에서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을 구성하는 광케이블이나 전력 케이블들 자체의 하중으로 인해, 분기 부위에서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의 외피에는 지속적으로 케이블들을 분기시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더욱이, 분기된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소량 단위의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의 종단이 장기간 외부 환경에 노출될 경우, 부식, 손상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여분의 광케이블 또는 전력 케이블의 종단을 보호할 필요성이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분기 부위나 케이블 종단을 보호하기 위해 열 수축 튜브나 방수 테이프 등을 사용하였지만, 분기 부위의 유지, 보수나 종단 처리된 케이블을 새로운 선로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열 수축 튜브나 방수 테이프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손상의 위험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옥 내/외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을 분기하고 그 분기 지점을 보호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을 분기한 후, 단말장치와 바로 연결하지 않고 장시간 외부에 노출되는 여분의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혹은 광전복함 케이블의 종단을 안전하게 보호, 유지할 수 있는 분기 및 종단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케이블이나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의 분기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분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단을 통해 상기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이 삽입되고, 타단은 개방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타단에 나사 결합하며, 다수의 개구들을 구비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분기 장치를 구비하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을 개시하며, 이때, 상기 함체 내에서 상기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은 적어도 상기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일부의 광섬유와 전력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로 분기되며, 분기된 상기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은 각각 상기 개구들 중 하나를 통해 상기 덮개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상기 분기 장치는 상기 함체의 타단부와 상기 덮개 사이에 개재되는 밀봉 부재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기 장치는 상기 덮개의 외측면에서 각각 연장되며, 상기 개구들 중 하나와 연결되는 보호 부재들을 더 구비하고, 분기된 상기 광케이블 및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은 각각 상기 보호 부재들 중 하나를 관통하여 배선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보호 부재를 통해 배선되는 상기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의 외주면과 상기 보호 부재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는 밀봉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분기 장치는, 상기 덮개의 외측으로 인출된 상기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의 종단을 감싸게 결합하는 종단 처리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종단 처리 부재는, 상기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의 종단을 수용하는 종단 함체; 및 상기 종단 함체의 일단에 결합하는 제2의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종단 함체에 수용되는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은 상기 제2 덮개를 관통하여 상기 종단 함체의 내부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종단 함체의 일단은 개방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덮개에 의해 밀봉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 덮개는, 상기 종단 함체의 일단에 결합하는 덮개 몸체; 및 상기 덮개 몸체의 외측면에 제공되어 상기 제2 덮개를 관통하는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을 상기 제2 덮개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덮개 몸체는, 상기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의 외주면을 감싸게 결합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외주면을 둘러싸면서 상기 종단 함체에 결속되는 결속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이 통과하는 적어도 한 쌍의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덮개 몸체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덮개 몸체의 외측면에 결합하면서, 상기 제1 고정부와 함께 상기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의 외주면을 감싸게 결합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은 함체와 덮개를 포함하는 분기 장치를 이용하여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의 분기 부위를 보호함으로써,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의 분기 부위가 외부 환경에 의해 또는 케이블 자체의 하중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여분의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의 종단을 보호하는 종단 함체 및 제2의 덮개를 구비함으로써, 단말 장치와 바로 연결하지 않고 장시간 외부에 노출되어지는 케이블들의 종단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함체와 덮개, 종단 함체와 제2 덮개를 결합함에 있어서, 나사 결합을 이용함으로써 밀봉 부재의 배치가 용이하기 때문에, 탁월한 방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나사를 이용하여 함체와 덮개, 종단 함체와 제2 덮개를 결합함으로써 덮개들의 분리가 용이하므로, 향후의 유지, 보수나 가입자 증가에 따른 작업이 용이하고, 분리 과정에서 케이블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기 장치를 구비하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기 장치의 함체 및 그의 덮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함체 및 그의 덮개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분기 장치의 종단 처리 부재가 케이블의 종단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종단 함체 및 그의 덮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배선 구조가 실제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에 적용된 구성을 나타내는 사진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기 장치를 구비하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101)의 배선 구조(100)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배선 구조00)의 실제 모습을 사진을 통해 나타내고 있다. 도 1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와 덮개로 이루어지는 분기 함체(103)를 이용하여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101)의 분기 부위를 보호하며, 종단 함체와 제2의 덮개로 이루어지는 종단 처리 부재(104)를 이용하여 분기된 광케이블(113)과 전력 케이블(111) 또는 상기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101)을 이루는 일부의 광섬유와 전력 케이블로 이루어진 소량 단위의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의 종단을 보호하게 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로 이루어진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을 예시하고 있으나, 광케이블만으로 이루어진 통신망의 선로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분기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101)은 광케이블(113)과 전력 케이블(111) 외에도 별도의 접지용 케이블(115)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101)을 구성하는 광케이블이나 전력 케이블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101)을 분기함에 있어서,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로 분기할 수도 있지만, 일부의 광섬유와 전력 케이블을 조합한 소량 단위의 또 다른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로도 분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케이블(111)은 단순히 전력 공급을 위한 케이블로서 뿐만 아니라, 통신 선로로도 활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와 도 3을 더 참조하면, 상기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101)의 분기 부위를 보호하게 될 분기 함체(103)는 상기 함체(131)와 상기 덮개(133)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101)의 분기 부위를 보호한다.
상기 함체(131)는 양단이 개방된 실린더 형상이면서, 그 일단에는 분기되기 전의 상기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101)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타단은 단순한 개방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함체(131)의 타단부 외주면에는 나사산(131a)이 형성되어 상기 덮개(133)와 결합하는 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삽입공은 일정 길이로 연장된 보호 튜브(137)로 둘러싸인 형태인데, 상기 보호 튜브(137)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101)의 외주면을 감싸게 결합한다. 상기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101)이 상기 삽입공을 통해 상기 함체(131)의 일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함체(131)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함체(131)는 상기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101) 상에 배치된다.
상기 함체(131)의 내부는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함체(131)가 상기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101)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101)이 분기된다. 상기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101)이 분기된 후, 즉, 가장 외측에 위치된 피복이 제거된 후에는, 상기 함체(131)가 상기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101)의 분기 부위에 배치된다. 즉, 상기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101)의 제거되지 않은 외피의 끝 부분은 상기 함체(131)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덮개(133)는 상기 함체(131)의 타단에 결합하어 상기 함체(131)를 밀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덮개(133)와 함체(131)의 타단부 사이에는 탄성체 재질의 오-링(O-ring)과 같은 밀봉 부재(132)를 배치하여 밀봉, 방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밀봉 부재의 배치는 상기 보호 튜브(137)와 상기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101) 사이에도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함체(131)의 타단에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덮개(133)의 내주면에는 나사산(13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133)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31b)은 상기 함체(131)의 타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31a)과 상응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덮개(133)를 상기 함체(131)에 결합시키는 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덮개(133)는 상기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101)을 분기한 광케이블(113)들이나 전력 케이블(111)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들을 인출시키는 개구(135)들을 구비한다. 상기 개구(135)들은 각각 상기 함체(131)의 길이방향, 다시 말해서, 상기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101)이 연장된 방향으로 상기 덮개(133)를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개구(135)들 중 일부는 상기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101)을 이루는 광케이블(113)의 직경에 상응하게, 다른 일부는 상기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101)을 이루는 전력 케이블(111)의 직경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체(131) 내에서 상기 광케이블(113)을 이루는 개별 광섬유들의 직경에 상응하게 형성된 개구들도 상기 덮개(133)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상기 덮개(133)에는 다양한 직경의 개구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수와 직경은 당업자가 적절하게 선정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호 튜브(137)와 유사하게, 상기 덮개(133)는 그의 외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보호 부재(139)들을 구비한다. 각각의 상기 보호 부재(139)는 상기 개구(135)들 중 하나와 연결되며, 상기 덮개(133)를 관통하는 광케이블(113), 전력 케이블(111)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의 외주면을 감싸게 결합한다. 상기 보호 부재(139)와 그를 관통하는 광케이블(113)이나 전력 케이블(111)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의 외주면 사이에도 상기 밀봉 부재(132)와 유사한 또 다른 밀봉 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101)로부터 분기된 광케이블(113), 전력 케이블(111)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들은 상기 개구(135)와 보호 부재(139)들 중 하나를 통해 상기 덮개(133)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덮개(133)를 상기 함체(131)에 접촉시키고, 상기 덮개(133)에 대하여 상기 함체(131)를 회전시켜 상기 덮개(133)와 함체(131)를 나사 결합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덮개(133)와 함체(131)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밀봉 부재(132)가 압축되면서 상기 덮개(133)와 함체(131) 사이를 밀봉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101)의 분기 부위는 실질적으로 상기 분기 함체(103)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함체(131)의 보호 튜브(137), 상기 함체(131)와 덮개(133)의 사이 및 상기 보호 부재(139)에는 각각 밀봉 부재가 제공되어, 상기 분기 함체(103)의 내부로 오염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배선 구조(100)에 적용된 분기 장치의 종단 처리 부재(104)를 도시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종단 처리 부재(104)는 상기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101)로부터 분기된 상태에서, 다른 선로로 즉시 배선되지 않는 케이블의 종단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단 함체(141)와 제2 덮개(143)를 구비한다.
상기 종단 함체(141)는 분기된 상기 광케이블(113)과 전력 케이블(111)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광케이블(113)과 전력 케이블(111)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연장된다. 상기 종단 함체(141)가 연장되는 길이는 광케이블(113)과 전력 케이블(111)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의 노출된 코어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길이가 바람직하다. 상기 종단 함체(141)의 일단은 폐쇄단으로, 타단은 개방단으로 이루어지며, 개방단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덮개(143)는 덮개 몸체(143a)와 고정 부재(143b)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 몸체(143a)는 탄성 부재(144a)와 결속 부재(144b)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고정 부재(143b)는 제1, 제2 고정부(145a, 145b)들의 결합으로 완성된다.
상기 덮개 몸체(143a)는 실질적으로 상기 종단 함체(141)의 개방단을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기된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은 상기 덮개 몸체(143a)를 관통하여 상기 종단 함체(141)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덮개 몸체(143a)를 관통하는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은 실질적으로 상기 탄성 부재(144a)에 형성된 관통흘(미도시)을 통해 배선되며, 상기 탄성 부재(144a)에 의해 그 외주면 일부분이 감싸지게 되는데, 상기 탄성 부재(144a)는 상기 광케이블(113)과 전력 케이블(111)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밀봉, 방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결속 부재(144b)는 상기 탄성 부재(144a)의 둘레를 감싸게,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부재(144a)의 외측면의 가장자리 부분까지 감싸게 형성되며, 상기 종단 함체(141)의 개방단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응하는 나사산을 구비한다. 즉, 상기 제2 덮개(143)는 상기 결속 부재(144b)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종단 함체(141)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상기 종단 함체(141)와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 부재(143b)는 상기 종단 처리 부재(104)가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의 종단에 결합한 상태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2 덮개(143)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1 고정부(145a)와, 상기 제2 덮개(143)의 외측면에서 제1 고정부(145a)와 결합하는 제2 고정부(145b)를 구비한다. 즉, 상기 고정 부재(143b)는 제1, 제2 고정부(145a, 145b)가 결합하여 완성되며, 상기 제1, 제2 고정부(145a, 145b)가 서로 결합함에 따라 상기 종단 처리 부재(104)에 수용되는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 상에 상기 종단 처리 부재(104)를 완전히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145a)는 반원 형상이면서 상기 덮개 몸체(143a)의 외측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 고정부(145b) 또한 반원 형상으로서 상기 제1 고정부(145a)와 결합하어 상기 고정 부재(143b)를 원형으로 완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제2 고정부(145a, 145b) 각각에는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의 외주면 일부분을 감싸는 홈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홈들의 내벽에는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되어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다. 즉, 상기 종단 처리 부재(104)에 수용되는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은 상기 제1, 제2 고정부(145a, 145b) 각각에 형성된 홈과 상기 탄성 부재(144a)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기 종단 함체(141)로 삽입되며, 이때, 상기 제1, 제2 고정부(145a, 145b)의 홈 내벽에 형성되는 돌기들은 상기 고정 부재(143b), 궁극적으로는 상기 종단 처리 부재(104)가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에 결합한 상태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서는 상기 덮개 몸체(143a)와 제1 고정부(145a)가 별도의 구성인 것처럼 도시되고 있지만, 상기 덮개 몸체(143a)와 제1 고정부(145a)는 일체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 몸체(143a)와 제1 고정부(145a)를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한 후, 이중 사출 또는 별도의 조립 과정을 통해 상기 탄성 부재(144a)를 상기 결속 부재(144b)의 내부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종단 함체(141)와 상기 제2 덮개(143)가 서로 결합하였을 때, 상기 탄성 부재(144a)는 상기 종단 함체(141)의 개방단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종단 함체(141)와 제2 덮개(143) 사이에 밀봉, 방수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종단 처리 부재(104)를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에 결합함에 있어서는, 상기 제2 덮개(143)를 우선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종단 함체(141)를 상기 제2 덮개(143)에 나사 결합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종단 처리 부재(104)의 밀봉, 방수 기능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부재(144a)만으로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 제2 고정부(145a, 145b)를 결합함에 있어서는 스크루와 같은 체결 부재를 활용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기 종단 처리 부재(104)는 향후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덮개(143)는 상기 종단 처리 부재(104)의 일부로서 뿐만 아니라, 향후 상기 제2 덮개(143)가 결합하어 있는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이 다른 통신망 또는 댁내 가입자 선로와 접속될 때, 상대측 커넥터와 결합하여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이 상대측 선로와 접속되는 부위를 보호하는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대측 선로 종단에 설치되는 커넥터 부재와 상기 제2 덮개(143)를 서로 상응하게 구성함으로써,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을 다른 선로에 접속할 때 상기 제2 덮개(143)를 결속 부재로 활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 배선 구조 101: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
103: 분기 함체 104: 종단 처리 부재
131: 함체 133: 덮개
141: 종단 함체 143: 제2 덮개

Claims (11)

  1. 적어도 하나의 광케이블과 적어도 하나의 전력 케이블을 포함하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에 있어서,
    일단을 통해 상기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이 삽입되고, 타단은 개방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타단에 나사 결합하며, 다수의 개구들을 구비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분기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함체 내에서 상기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은 적어도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일부의 광섬유 및 전력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들로 분기되고,
    분기된 상기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은 각각 상기 개구들 중 하나를 통해 상기 덮개의 외측으로 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타단부와 상기 덮개 사이에 개재되는 밀봉 부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외측면에서 각각 연장되며, 상기 개구들 중 하나와 연결되는 보호 부재들을 더 구비하고,
    분기된 상기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은 각각 상기 보호 부재들 중 하나를 관통하여 배선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보호 부재를 통해 배선되는 상기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의 외주면과 상기 보호 부재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는 밀봉 부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외측으로 인출된 상기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의 종단을 감싸게 결합하는 종단 처리 부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 처리 부재는,
    상기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의 종단을 수용하는 종단 함체; 및
    상기 종단 함체의 일단에 결합하는 제2의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종단 함체에 수용되는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은 상기 제2 덮개를 관통하여 상기 종단 함체의 내부로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 함체의 일단은 개방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덮개에 의해 밀봉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덮개는,
    상기 종단 함체의 일단에 결합하는 덮개 몸체; 및
    상기 덮개 몸체의 외측면에 제공되어 상기 제2 덮개를 관통하는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을 상기 제2 덮개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몸체는,
    상기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의 외주면을 감싸게 결합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외주면을 둘러싸면서 상기 종단 함체에 결속되는 결속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이 통과하는 적어도 한 쌍의 관통홀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덮개 몸체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덮개 몸체의 외측면에 결합하면서, 상기 제1 고정부와 함께 상기 광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또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의 외주면을 감싸게 결합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
KR1020110043502A 2011-05-09 2011-05-09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 KR101245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502A KR101245365B1 (ko) 2011-05-09 2011-05-09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502A KR101245365B1 (ko) 2011-05-09 2011-05-09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821A true KR20120125821A (ko) 2012-11-19
KR101245365B1 KR101245365B1 (ko) 2013-03-19

Family

ID=47511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502A KR101245365B1 (ko) 2011-05-09 2011-05-09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3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3955A (ko) * 2014-05-20 2015-12-0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광·전력 동시 공급이 가능한 광·전 복합 케이블 분기구
CN106098218A (zh) * 2016-08-25 2016-11-09 重庆泰山电缆有限公司 一种风电机组避雷电缆
WO2017027443A1 (en) * 2015-08-10 2017-02-16 Commscope Technologies Llc Device for distributing hybrid cable and transitioning from trunk cable to jumper cable
US10649164B1 (en) 2019-06-19 2020-05-12 Nokia Shanghai Bell Co., Ltd. Optical fiber and power transition desig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161A (ja) 1996-06-28 1998-01-23 Sumitomo Electric Ind Ltd パイプケーブル接続装置およびパイプケーブルの接続方法
KR100255054B1 (ko) * 1998-02-25 2000-05-01 이국헌 광통신 케이블 접속분기함의 밀봉장치
KR200222387Y1 (ko) 2000-11-18 2001-05-02 희성전선주식회사 광케이블용 선단 고정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3955A (ko) * 2014-05-20 2015-12-0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광·전력 동시 공급이 가능한 광·전 복합 케이블 분기구
WO2017027443A1 (en) * 2015-08-10 2017-02-16 Commscope Technologies Llc Device for distributing hybrid cable and transitioning from trunk cable to jumper cable
US9869822B2 (en) 2015-08-10 2018-01-16 Commscope Technologies Llc Device for distributing hybrid cable and transitioning from trunk cable to jumper cable
CN106098218A (zh) * 2016-08-25 2016-11-09 重庆泰山电缆有限公司 一种风电机组避雷电缆
US10649164B1 (en) 2019-06-19 2020-05-12 Nokia Shanghai Bell Co., Ltd. Optical fiber and power transition desig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5365B1 (ko) 201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448B1 (ko)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의 분기 장치
CN103109221B (zh) 环境密封的电缆分支组件
ES2532360T3 (es) Dispositivo sujetacables
CN102782549B (zh) 加固的光纤/电连接系统
KR101771179B1 (ko) 통신케이블의 스플라이스 엔클로저 및 그 위에 수밀실을 형성하는 방법
US10459170B2 (en) Sealing and retention plug for a hybrid cable
BRPI0923762B1 (pt) Terminal de distribuição de fibras
US20150226927A1 (en) Cable assembly with connector having twist ability for aligning mating features
KR101245365B1 (ko)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
CN202094591U (zh) 一种光电一体化光纤复合低压电力电缆接头盒
KR20150006712A (ko) 광전복합 케이블의 분기 장치
RU170466U1 (ru) Оптоволоконный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терминал
KR20090012698A (ko) 가입자 인입용 광케이블 성단시 소형의 접속점 보호장치 및이를 장착한 광케이블 단자함
RU2319989C1 (ru) Способ герметизации порта муфты оптического кабеля с выводом проводников от брони к заземлителям
JP2002027653A (ja) 光・電気複合クロージャ
KR101800025B1 (ko) 광복합 전력 케이블용 광 접속함
KR102532797B1 (ko) 지중배전선 보호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 겸용 보호장치
US20220375652A1 (en) Sealed stranded grounding wire assembly
CN210041288U (zh) 一种三芯冷缩电缆户外终端
KR20180131186A (ko) 가설분배용 광케이블 및 그 분배구조
CN107924740B (zh) 用于分配混合干线电缆的装置
CN117728203A (zh) 电缆接地箱
CN108508230B (zh) 加速度传感器组装体
KR20180015349A (ko) 돌출형 어댑터를 포함하는 분기형 광케이블 어셈블리
KR200358258Y1 (ko) 소형 광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