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3955A - 광·전력 동시 공급이 가능한 광·전 복합 케이블 분기구 - Google Patents

광·전력 동시 공급이 가능한 광·전 복합 케이블 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3955A
KR20150133955A KR1020140060640A KR20140060640A KR20150133955A KR 20150133955 A KR20150133955 A KR 20150133955A KR 1020140060640 A KR1020140060640 A KR 1020140060640A KR 20140060640 A KR20140060640 A KR 20140060640A KR 20150133955 A KR20150133955 A KR 20150133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optical
electrical
tub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0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7651B1 (ko
Inventor
박찬주
정성욱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엔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엔투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60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651B1/ko
Publication of KR20150133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085Cable junctions for coaxial cables or hollow conductors

Landscapes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 중계기 등의 설치시 광과 전기를 분리하여 설치할 필요가 없이 한 개의 케이블 설치만으로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선로 형성이 가능하여 현장 작업성의 개선 및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광·전력 동시 공급이 가능한 광·전 복합 케이블 분기구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하부에 광전케이블이 인입되는 밀폐구조의 인입구가 형성되고 상단에 체결나사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체결나사홈과 나사결합되어 체결되고 선로별로 분기된 광과 전력케이블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인출구가 형성된 덮개부와, 덮개부의 인출구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광케이블과 전력케이블을 분기하여 인출하기 위한 밀폐구조의 인출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인입구와 인출구는 광전케이블과 인출관을 각 조이기 위한 케이블 글랜드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인출관은 선단 내측으로 광케이블과 전력케이블을 분리하기 위한 격벽과, 격벽 하측판에 광케이블과 전력케이블을 각 인출하기 위한 인출공이 천공되고 선단 내부에 기밀성의 에폭시수지가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의 인출관으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과 전력케이블의 인출부위에 수축튜브가 덧씌우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전력 동시 공급이 가능한 광·전 복합 케이블 분기구{Optical and electrical composite cable branch box}
본 발명은 광·전력 동시 공급이 가능한 광·전 복합 케이블 분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테나 중계기 등의 설치시 광과 전기를 분리하여 설치할 필요가 없이 한 개의 케이블 설치만으로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선로 형성이 가능하여 현장 작업성의 개선 및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광·전력 동시 공급이 가능한 광·전 복합 케이블 분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과제(결과물)는 교육부의 ‘산업단지캠퍼스조성사업’ 국고지원금으로 수행한 산학융합연구실사업의 연구결과입니다.
(영문: This work is financially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MOE) through the fostering project of University-Industry fusion lab business)
최근 광이 기지국의 안테나까지 설치되는 FTTA(Fiber to the Antenna)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관련 시스템 및 관련 부품의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무선 안테나의 경우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하여 여러 가닥의 동축케이블을 안테나에 연결하기 위하여 높은 폴대의 꼭대기까지 끌어올려 연결해야하므로,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소모되며, 수십 가닥의 동축케이블의 무게를 폴더가 지탱하기 위해서는 폴더의 굵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2045호(2013. 3. 6. 공개)에 복합케이블의 구성 및 구조에 상관없이 광전 복합케이블에 포함된 전력케이블 유닛과 광섬유 유닛을 용이하게 분리하거나 또는 분리된 전력케이블 유닛 및 광섬유 유닛을 하나의 광전 복합테이블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이 개시된다.
동 공보를 참조하면, 종래의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은 전력케이블 유닛과 광섬유 유닛을 포함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의 종단부를 처리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으로서,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광전 복합케이블과 상기 케이스 본체를 연결하는 케이블연결부; 상기 케이스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전력케이블 유닛과 상기 케이스 본체를 연결하는 제1 유닛연결부; 상기 케이스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광섬유 유닛과 상기 케이스 본체를 연결하는 제2 유닛연결부;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분리부재;를 포함한다.
그러나 다수의 선로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확장성이 떨어지고 실외에 설치시 방진(防塵) 및 방수에 구조적으로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안테나 중계기 등의 설치시 광과 전기를 분리하여 설치할 필요가 없이 한 개의 케이블 설치만으로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선로 형성이 가능하여 현장 작업성의 개선 및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광·전력 동시 공급이 가능한 광·전 복합 케이블 분기구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다수의 선로를 구현할 경우에도 방진 및 방수성이 우수한 광·전력 동시 공급이 가능한 광·전 복합 케이블 분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하부에 광전케이블이 인입되는 밀폐구조의 인입구가 형성되고 상단에 체결나사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체결나사홈과 나사결합되어 체결되고 선로별로 분기된 광과 전력케이블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인출구가 형성된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인출구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광케이블과 전력케이블을 분기하여 인출하기 위한 밀폐구조의 인출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인입구와 상기 인출구는 상기 광전케이블과 인출관을 각 조이기 위한 케이블 글랜드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인출관은 선단 내측으로 상기 광케이블과 전력케이블을 분리하기 위한 격벽과, 상기 격벽 하측판에 상기 광케이블과 전력케이블을 각 인출하기 위한 인출공이 천공되고 선단 내부에 기밀성의 에폭시수지가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의 인출관으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케이블과 전력케이블의 인출부위에 수축튜브가 덧씌우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 중계기 등의 설치시 광과 전기를 분리하여 설치할 필요가 없이 한 개의 케이블 설치만으로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선로 형성이 가능하여 현장 작업성의 개선 및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다수의 선로를 구현할 경우에도 방진 및 방수성이 우수하여 선로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예를 보인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출관을 보이기 위한 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전력 동시 공급이 가능한 광·전 복합 케이블 분기구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하부에 광전케이블이 인입되는 밀폐구조의 인입구(10)가 형성되고 상단에 체결나사홈이 형성된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체결나사홈(101)과 나사결합되어 체결되고 선로별로 분기된 광과 전력케이블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인출구(21)가 형성된 덮개부(20)와, 덮개부의 인출구(2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광케이블과 전력케이블을 분기하여 인출하기 위한 밀폐구조의 인출관(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광전케이블은 외피 및 보호튜브에 의해 보호되고, 그 내측으로 접지선, 복수의 전력케이블과 광케이블이 삽입 내재된다.
하우징(100)은 하부에 광전케이블이 인입되는 밀폐구조의 인입구(10)가 형성되고 상단에 체결나사홈(101)이 형성된다.
즉, 하우징(100)은 그 하부로 넥 형상의 인입구(10)가 돌출 형성되고 광전케이블의 외피를 벗겨 전력케이블과 광케이블을 분기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의 외경을 갖는다.
덮개부(20)는 하우징(100)을 개폐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작업시 하우징(100) 내에서의 전력케이블과 광케이블의 분기를 보다 쉽도록 제공된다.
이를 위하여, 덮개부(20)는 하우징의 체결나사홈(101)에 나사결합되어 하우징(100) 내부를 밀폐하고 광케이블과 전력케이블을 하나의 선로로 하여 이들 선로를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복수개의 인출구(21)가 형성된다.
따라서 각 선로에는 광케이블과 전력케이블이 동시에 제공됨으로써 한 개의 케이블 설치만으로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선로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조립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광전케이블을 하우징(100) 내측으로 인입시키고 광선로와 광케이블을 매칭시켜 선로를 구성하고 이를 덮개부의 인출구(21)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한다.
이어서, 덮개부(20)를 하우징(100)에 나사결합하여 체결하되 하우징(100) 내부에서 광케이블과 전력케이블이 꼬이지 않도록 광전케이블을 잡고 하우징(100)을 돌려가면서 작업한다.
물론, 덮개부(20)와 하우징의 체결나사홈(101)에는 방수를 목적으로 하는 고무 링이 삽입 내재되게 된다.
다음, 인출관(30)은 덮개부의 인출구(21)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분기되어 인출된 전력케이블과 광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한다.
즉, 인출관(30)은 하나의 선로에 대응하여 광케이블과 전력케이블을 분기하여 최종 외측으로 인출한다.
따라서 광케이블과 전력케이블을 분기상태로 인출관(30)에 삽입하고, 인출관(30)을 덮개부의 인입구(21)에 삽입 장착하여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다음은 하우징의 인입구(10)와 인출구(21)의 밀폐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의 인입구(10)와 광전케이블, 인출구(21)와 인출관(30)은 공지의 케이블 글랜드(40)에 의해 조여짐으로써 밀폐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 글랜드(40)에 광전케이블과 인출관(30)을 각 삽입한 상태에서, 육각볼트 조임구에 의해 일방향으로 조여 기밀한 상태로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밀폐구조의 인출관(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의 인출관(30)은 선단 내측으로 광케이블과 전력케이블을 분리하기 위한 격벽(31)과, 격벽 하측판(32)에 광케이블과 전력케이블을 각 인출하기 위한 인출공(33)이 천공되고 선단 내부에 기밀성의 에폭시수지가 충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격벽(31)에 의해 광케이블과 전력케이블이 물리적으로 분리되고, 격벽 하측판(32)에 의해 구획되는 인출관(30)의 선단 내에 기밀성의 에폭시수지가 충전됨으로써 방진 뿐만 아니라 방수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인출관(30)으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과 전력케이블의 인출부위에는 열에 의해 수축되는 수축튜브가 덧씌워져 보강 및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의하면, 다수의 선로를 구현할 경우에도 방진 및 방수성이 우수하여 선로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인입구
20: 덮개부
21: 인출구
30: 인출관
31: 격벽
32: 격벽 하측판
33: 인출공
40: 케이블 글랜드
100: 하우징

Claims (4)

  1.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하부에 광전케이블이 인입되는 밀폐구조의 인입구가 형성되고 상단에 체결나사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체결나사홈과 나사결합되어 체결되고 선로별로 분기된 광과 전력케이블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인출구가 형성된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인출구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광케이블과 전력케이블을 분기하여 인출하기 위한 밀폐구조의 인출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력 동시 공급이 가능한 광·전 복합 케이블 분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구와 상기 인출구는 상기 광전케이블과 인출관을 각 조이기 위한 케이블 글랜드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력 동시 공급이 가능한 광·전 복합 케이블 분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관은 선단 내측으로 상기 광케이블과 전력케이블을 분리하기 위한 격벽과, 상기 격벽 하부에 상기 광케이블과 전력케이블을 각 인출하기 위한 인출공이 천공되고 선단 내부에 기밀성의 에폭시수지가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력 동시 공급이 가능한 광·전 복합 케이블 분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관으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케이블과 전력케이블의 인출부위에 수축튜브가 덧씌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력 동시 공급이 가능한 광·전 복합 케이블 분기구.



KR1020140060640A 2014-05-20 2014-05-20 광·전력 동시 공급이 가능한 광·전 복합 케이블 분기구 KR101637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640A KR101637651B1 (ko) 2014-05-20 2014-05-20 광·전력 동시 공급이 가능한 광·전 복합 케이블 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640A KR101637651B1 (ko) 2014-05-20 2014-05-20 광·전력 동시 공급이 가능한 광·전 복합 케이블 분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955A true KR20150133955A (ko) 2015-12-01
KR101637651B1 KR101637651B1 (ko) 2016-07-08

Family

ID=54882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0640A KR101637651B1 (ko) 2014-05-20 2014-05-20 광·전력 동시 공급이 가능한 광·전 복합 케이블 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6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2650A (ko) * 2016-03-02 2017-09-1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전복합 케이블의 말단 접속 구조체
CN109031568A (zh) * 2018-10-24 2018-12-18 江苏亨通海洋光网系统有限公司 用于海缆连接的分支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827U (ko) * 2009-11-09 2011-05-17 제룡산업 주식회사 기밀 유지를 위한 스마트형 광접속함체
KR20120081844A (ko) * 2011-01-12 2012-07-20 (주)럭스콤 다심 광케이블 가변 분기구
KR20120125821A (ko) * 2011-05-09 2012-11-19 에쓰이에이치에프코리아 (주)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827U (ko) * 2009-11-09 2011-05-17 제룡산업 주식회사 기밀 유지를 위한 스마트형 광접속함체
KR20120081844A (ko) * 2011-01-12 2012-07-20 (주)럭스콤 다심 광케이블 가변 분기구
KR20120125821A (ko) * 2011-05-09 2012-11-19 에쓰이에이치에프코리아 (주)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2650A (ko) * 2016-03-02 2017-09-1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전복합 케이블의 말단 접속 구조체
CN109031568A (zh) * 2018-10-24 2018-12-18 江苏亨通海洋光网系统有限公司 用于海缆连接的分支器
CN109031568B (zh) * 2018-10-24 2024-02-20 江苏亨通华海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海缆连接的分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7651B1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8601B2 (en) Environmentally sealed cable breakout assemblies
US8277263B1 (en) Intersystem grounding bridge
EP2647096B1 (en) Strain relief device
US8404973B1 (en) Cable entry device for high and low voltage cables
US20170141563A1 (en) Device for distributing hybrid cable and transitioning from trunk cable to jumper cable with overvoltage protection
US8841563B2 (en) Split line and low voltage wire conduit and transformer box
US9201205B2 (en) Telecommunications cable inlet device
WO2014158369A1 (en) Modular breakout device for optical and electrical connections
US9466961B2 (en) Generator connection box for photovoltaic installations
US8272883B1 (en) Intersystem grounding bridge and system
US10128646B1 (en) Two-gang TV bridge kit with pre-molded electrical cord for minimizing wiring terminations
US20230361545A1 (en) Branch block
KR20130022045A (ko)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US10209475B2 (en) Modular breakout enclosure for transitioning from trunk cable to jumper cable
US20190097404A1 (en) Junction box
KR101637651B1 (ko) 광·전력 동시 공급이 가능한 광·전 복합 케이블 분기구
KR101677244B1 (ko) 광전 복합케이블 분배함
US20170045694A1 (en) Device for distributing hybrid cable and transitioning from trunk cable to jumper cable
KR20120081312A (ko) 지중 저압케이블용 접속 멀티탭
RU123590U1 (ru) Многонаправленное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нескольких элементов проводки
US20210184391A1 (en) Cable connector for hazardous areas
KR101928784B1 (ko) 절연구조의 광케이블 분기함
CN205724737U (zh) 一种通信电缆接线盒
CN103354343A (zh) 一种欧式电缆分支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