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827U - 기밀 유지를 위한 스마트형 광접속함체 - Google Patents

기밀 유지를 위한 스마트형 광접속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827U
KR20110004827U KR2020090014534U KR20090014534U KR20110004827U KR 20110004827 U KR20110004827 U KR 20110004827U KR 2020090014534 U KR2020090014534 U KR 2020090014534U KR 20090014534 U KR20090014534 U KR 20090014534U KR 20110004827 U KR20110004827 U KR 201100048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optical
optical cable
inlet means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5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룡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45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4827U/ko
Publication of KR201100048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82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1Permanent connections, i.e. wherein fibres are kept aligned by mechanical means
    • G02B6/3806Semi-permanent connections, i.e. wherein the mechanical means keeping the fibres aligned allow for removal of the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79Manufacturing methods of optical cables
    • G02B6/4486Protective cove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광접속함체의 인입구에서 기밀성과 작업의 신속성을 도모하기 위한 스마트형 광접속함체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광접속함체의 몸체 수단, 외부의 광케이블을 인입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양단에 형성되며, 가장 자리에 테이퍼 형태를 갖는 인입구 수단, 상기 인입구로 인입된 광케이블의 심선을 상기 몸체 내부에서 고정하는 심선 고정 수단, 상기 심선 고정 수단과 인입구 수단 사이의 상기 몸체 내부에서 상기 광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하여 반원 형상의 상,하 클램프와 상기 반원 형상의 일편에 상기 광케이블의 피복을 파지하기 위한 돌출 침을 구비하는 지지 클램프 수단, 및 상기 인입구에 광케이블의 삽입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인입구 수단의 테이퍼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일면 구조 또는 양면 구조를 갖고, 상기 인입구 수단에 일면이 결합되는 부싱 고무와, 상기 부싱 고무를 덮고 상기 인입구 수단에 결합되는 조임 너트를 구비하는 고정기밀 수단을 포함하는 스마트형 광접속함체가 제공된다. 이로서, 케이블이 인입구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고정기밀 수단을 인입구에 결합하도록 하여, 공극을 없애 기밀을 유지시켜 외부의 환경변화에도 통신 장애가 발생하지 않으며,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된다.
광접속함체, 인입구, 클램프, 기밀, 부싱 고무, 조임너트

Description

기밀 유지를 위한 스마트형 광접속함체{SMART TYPE OPTICAL FIBER CLOSURE FOR KEEPING CONFIDENTIALITY}
본 고안은 스마트형 광접속함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접속함체의 인입구에서 기밀성과 작업의 신속성을 도모하기 위한 스마트형 광접속함체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의 발달과 더불어 인터넷이 우리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면서 보다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망 구축이 이루워짐으로써, 추가 설치 및 재정비가 늘어나면서 통신 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광접속함체 역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광접속함체는 통상적으로 케이블을 인입구에 조립한 후, 케이블의 FRP 심선을 광접속함체 내부에서 고정하고 있다.
이어서, 광접속함체는 케이블을 인입구에서 삽입한 상태로 열수축 튜브를 씌우게 되는데, 이때 토치렘프로 열수축 튜브에 열을 가하여 완전 수축시켜 씌움으로써, 광접속함체의 인입구와 외부로 인입되는 케이블 간에 기밀유지와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광접속함체는 가공에서 열을 가하여 고정작업을 해야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운 문제점과 작업상의 부주의로 국부적으로 열을 가하면, 광접속함체의 인입구와 케이블 간에 기밀을 완벽히 유지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광접속함체의 기밀 유지와 관련하여 삼진정보통신(주)에 의해 출원된 한국특허출원번호 20-2001-0025740 호에서 개시되고 있으나, 상기 20-2001-0025740 호는 외장함체와 인입부의 사이에 5각형의 가스켓을 구비하여 광접속함체의 외부에서 기밀을 유지하고 있을 뿐, 유입되는 케이블과 광접속함체의 인입구 간에 기밀을 유지하지는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부싱 고무, 지지와셔(마개) 및 조임 너트 등을 케이블 삽입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고정기밀 수단을 제공하여 인입구 수단에서 완벽하게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스마트형 광접속함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접속함체의 몸체 수단, 외부의 광케이블을 인입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양단에 형성되며, 가장 자리에 테이퍼 형태를 갖는 인입구 수단, 상기 인입구로 인입된 광케이블의 심선을 상기 몸체 내부에서 고정하는 심선 고정 수단, 상기 심선 고정 수단과 인입구 수단 사이의 상기 몸체 내부에서 상기 광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하여 반원 형상의 상,하 클램프와 상기 반원 형상의 일편에 상기 광케이블의 피복을 파지하기 위한 돌출 침을 구비하는 지지 클램프 수단, 및 상기 인입구에 광케이블의 삽입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인입구 수단의 테이퍼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일면 구조 또는 양면 구조를 갖고, 상기 인입구 수단에 일면이 결합되는 부싱 고무와, 상기 부싱 고무를 덮고 상기 인입구 수단에 결합되는 조임 너트를 구비하는 고정기밀 수단을 포함하는 스마트형 광접속함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기밀 수단은, 상기 인입구 수단의 테이퍼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일면 구조를 갖는 부싱 고무의 타면에 결합되는 지지와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임 너트는 상기 부싱 고무와 지지와셔를 덮고 상기 인입구 수단에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스마트형 광접속함체는 열수축 튜브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열수축 튜브 수단은, 상기 고정기밀 수단이 인입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기밀 수단과 인입구 수단을 덮고 형성되며, 외부에서 가해진 열에 의해 압축, 팽창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케이블이 인입구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고정기밀 수단을 인입구에 결합하도록 하여, 공극을 없애 기밀을 유지시켜 외부의 환경변화에도 통신 장애가 발생하지 않으며,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후술하는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 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형 광접속함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스마트형 광접속함체(100)는 광접속함체의 몸체 수단(110), 인입구 수단(120), 광케이블(130), 심선 고정 수단(140), 지지 클램프 수단(150), 고정기밀 수단(160), 및 열수축 튜브 수단(170)을 포함한다.
먼저, 광접속함체의 몸체 수단(110)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몸체 수단(110)은 불필요한 광케이블의 여장을 없애고 광케이블 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광접속함체 일부분으로서, 내부에는 이후에 설명할 심선 고정 수단(140) 및 지지 클램프 수단(150)을 형성하는데 용이한 구조를 이룬다. 여기서, 설명되거나 설명될 광접속함체(100)는 제룡산업(주)에 의해 2009년 09월 30일에 출원된 스마트형 광접속함체로서, 상기 스마트형 광접속함체를 본 고안의 일부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형 광접속함체(100)는 케이블을 인입하는 양면 구조를 도시한 것이 아니라 한면만 도시하였으나 다른 면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을 밝혀둔다.
본 고안의 인입구 수단(120)은 외부의 광케이블(130)을 인입하기 위하여 몸체(110)의 양단에 형성(도 1에서는 일부만이 도시함)되는 구조를 이루며, 입구 내부 부근, 다시 말해 가장 자리 부근에 데이퍼진 형태를 갖는다. 본 고안의 심선 고정 수단(140)은 인입구 수단(120)으로부터 인입된 광케이블의 심선을 몸체(110) 내부에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의 지지 클램프 수단(150)은 심선 고정 수단(140)과 인입구 수단(120) 사이의 몸체(110) 내부에서 인입된 광케이블(130)을 고정하기 위하여 반원 형상의 상,하 클램프와 광케이블(130)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반원 형상의 일편에 광케이블의 피복을 파지하는 돌출 침을 구비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고정기밀 수단(160)은 인입구에 광케이블을 삽입여부에 관계없이 광케이블(130)과 인입구 수단(120) 사이에 기밀 유지용으로 사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고정기밀 수단(160)에 대하여 이하의 도 2 및 도 3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의 열수축 튜브 수단(170)은 고정기밀 수단(160)을 인입구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기밀 수단(160)과 인입구 수단을 덮고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며, 이로서, 외부에서 가해진 열에 의해 압축, 팽창한 상태로 인입구 수단(120) 및 고정기밀 수단(160)의 외부 표면에 수축됨으로써, 다시 한번, 인입구 수단(120)에서 기밀을 더욱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형태의 고정기밀 수단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인입구에 케이블이 삽입될 경우만을 예시하였으나, 케이블이 삽입되지 않을 경우에도 해당됨을 밝혀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형태에 따른 본 고안의 고정기밀 수단(160)은 부싱 고무(161), 조임너트(162), 및 열수축 튜브 수단(170)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부싱 고무(161)는 인입구 수단(120)에 광케이블의 삽입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인입구 수단(120)의 테이퍼 형태(121)에 대응하는 양면 구조를 이뤄, 상기 인입구 수단(120)의 테이퍼진 부분으로 일면을 삽입하는 구조를 이룬다.
본 발명의 조임너트(162)는 인입구 수단(120)에 부싱 고무(161)가 조립된 상태에서 테이퍼 형태를 이룬 부싱 고무(161)의 타면에 일면이 삽입되는 구조를 이루며, 이런 상태에서 부싱 고무(161) 및 인입구 수단(120)의 일부 외관을 덮고 상기 인입구 수단(120)에 결합되는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본 고안의 열수축 튜브 수단(170)은 부싱 고무(161)와 조임너트(162)를 인입구 수단(120)에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기밀 수단(160)과 인입구 수단(120)을 덮고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형태의 고정기밀 수단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인입구에 케이블이 삽입되지 않을 경우만을 예시하였으나, 케이블이 삽입될 경우에도 해당됨을 밝혀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형태에 따른 본 고안의 고정기밀 수단(160)은 조임너트(162), 부싱 고무(163), 지지와셔(164) 및 열수축 튜브 수단(170)을 상기 구성 요소 중 조임너트(162) 및 열수축 튜브 수단(170)은 도 2에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본 고안의 부싱 고무(163)는 인입구 수단(120)에 광케이블을 삽입여부에 관계없이, 도 2에서 설명한 부싱 고무(161)의 테이퍼 형태로 된 양면 구조와 달리 일면만 테이퍼 형태를 이뤄, 테이퍼진 일면을 인입구 수단(120)의 테이퍼진 부분으로 삽입하는 형태를 갖는다. 이때, 부싱 고무(163)의 타면은 이후에 설명될 지지와셔(164)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
본 고안의 지지와셔(164)는 인입구 수단의 데이퍼진 형태와 동일한 일면을 갖고, 이 부분을 상기 부싱 고무(161)의 타면에 결합하는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이, 인입구 수단(120)에 광케이블이 삽입되지 않을 경우에 기밀 유지가 더욱 힘들므로 기밀 유지 향상을 위하여 부싱 고무(163)와 지지와셔(164)를 차례로 조립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조임너트(162)는 인입구 수단(120)에 차례로 부싱 고무(163)와 지지와셔(164)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부싱 고무(163)와 지지와셔(164)를 덮고 인입구 수단(120)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추가적인 기밀 유지를 필요로 할 경우 본 고안의 열수축 튜브 수단(170)은 부싱 고무(163)와 지지와셔(164) 및 조임너트(162)를 인입구 수단(120)에 차례로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기밀 수단(160)과 인입구 수단(120)을 덮고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의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고정기밀 수단(160)은 인입구 수단(120)으로 케이블 삽입 형태에 따라, 인입구 수단(120)에서 공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의 환경영향으로부터 기밀을 유지할 수 있으며, 조립형태를 구조를 이뤄 케이블 접속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형 광접속함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형태의 고정기밀 수단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형태의 고정기밀 수단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스마트형 광접속함체 110 : 몸체 수단
120 : 인입구 수단 130 : 광케이블
140 : 심선 고정 수단 150 : 지지 클램프 수단
160 : 고정기밀 수단 170 : 열수축 튜브 수단

Claims (2)

  1. 광접속함체의 몸체 수단,
    외부의 광케이블을 인입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양단에 형성되며, 가장 자리에 테이퍼 형태를 갖는 인입구 수단,
    상기 인입구로 인입된 광케이블의 심선을 상기 몸체 내부에서 고정하는 심선 고정 수단,
    상기 심선 고정 수단과 인입구 수단 사이의 상기 몸체 내부에서 상기 광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하여 반원 형상의 상,하 클램프와 상기 반원 형상의 일편에 상기 광케이블의 피복을 파지하기 위한 돌출 침을 구비하는 지지 클램프 수단, 및
    상기 인입구에 광케이블의 삽입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인입구 수단의 테이퍼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일면 구조 또는 양면 구조를 갖고, 상기 인입구 수단에 일면이 결합되는 부싱 고무와, 상기 부싱 고무를 덮고 상기 인입구 수단에 결합되는 조임 너트를 구비하는 고정기밀 수단
    을 포함하는 스마트형 광접속함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밀 수단은,
    상기 인입구 수단의 테이퍼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일면 구조를 갖는 부싱 고무의 타면에 결합되는 지지와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임 너트는 상기 부싱 고무 와 지지와셔를 덮고 상기 인입구 수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광접속함체.
KR2020090014534U 2009-11-09 2009-11-09 기밀 유지를 위한 스마트형 광접속함체 KR2011000482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534U KR20110004827U (ko) 2009-11-09 2009-11-09 기밀 유지를 위한 스마트형 광접속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534U KR20110004827U (ko) 2009-11-09 2009-11-09 기밀 유지를 위한 스마트형 광접속함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827U true KR20110004827U (ko) 2011-05-17

Family

ID=49294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534U KR20110004827U (ko) 2009-11-09 2009-11-09 기밀 유지를 위한 스마트형 광접속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482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448B1 (ko) * 2012-01-03 2013-07-12 에쓰이에이치에프코리아 (주)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의 분기 장치
US9057862B2 (en) 2010-09-21 2015-06-16 Huber+Suhner Ag Environmentally sealed cable breakout assemblies
KR20150133955A (ko) * 2014-05-20 2015-12-0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광·전력 동시 공급이 가능한 광·전 복합 케이블 분기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57862B2 (en) 2010-09-21 2015-06-16 Huber+Suhner Ag Environmentally sealed cable breakout assemblies
US9182564B2 (en) 2010-09-21 2015-11-10 Huber + Suhner Ag Environmentally sealed cable breakout assemblies
US9548601B2 (en) 2010-09-21 2017-01-17 Huber + Suhner Ag Environmentally sealed cable breakout assemblies
KR101285448B1 (ko) * 2012-01-03 2013-07-12 에쓰이에이치에프코리아 (주)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의 분기 장치
US8938143B2 (en) 2012-01-03 2015-0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Branching device for hybrid fan-out cable
KR20150133955A (ko) * 2014-05-20 2015-12-0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광·전력 동시 공급이 가능한 광·전 복합 케이블 분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6744B2 (en) Sealing cover boot and cover and interconnection junctions protected thereby
US7568943B2 (en) Sealing and retaining cable attachment for telecommunications closures
KR20130072191A (ko) 연결부, 중공 파이프 기둥 및 접속부를 구비하는 통신 케이블 연결 및 분배 케이싱
US7925135B2 (en) Cable clamping device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KR101546433B1 (ko) 탄성 고무 수축 파이프의 방수 장치를 구비하는 통신 케이블 접속 박스
US5783778A (en) Cable sealing and locking device
US20120279745A1 (en) Cable strain relief device for cable closures and cable closure having at least one such cable strain relief device
RU2586380C2 (ru) Коробка для сращивания оптического кабеля, содержащая вспомог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олнения зазоров и обеспечения водонепроницаемости
KR20110004827U (ko) 기밀 유지를 위한 스마트형 광접속함체
US20190137698A1 (en) Optical fiber connector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US20220326452A1 (en) Optical connector plug for outdoor waterproof onsit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71018B1 (ko) 중간 브랜칭을 위한 광 케이블의 안내 및 접속 작업에 적합한 광 케이블 접속 케이싱
US10627590B2 (en) Optical cable sealing method and optical cable sealing structure
WO2014139102A1 (en) Sealing tube for cable entry port
KR20140121182A (ko) 광단자함의 케이블 인입구 방수용 패킹 구조물
JP2006227139A (ja) 光ファイバ用保護チューブ
KR101176379B1 (ko) 광접속함체의 기밀 유지구조
US8754331B2 (en) Strain relief device
US635922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high-pressure seal using cold shrink tubing
CN107924035A (zh) 现场接入终端系统
JP2014147141A (ja) 分岐用スリーブクリップ
KR20160009919A (ko) 접속작업이 용이한 튜브 케이블
US20210364723A1 (en) Fibre optic pulling grip assembly
JP4979671B2 (ja) アダプタ
WO2021165345A1 (en) Fiber tube blocking device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