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8258Y1 - 소형 광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소형 광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258Y1
KR200358258Y1 KR20-2003-0038753U KR20030038753U KR200358258Y1 KR 200358258 Y1 KR200358258 Y1 KR 200358258Y1 KR 20030038753 U KR20030038753 U KR 20030038753U KR 200358258 Y1 KR200358258 Y1 KR 2003582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lines
main body
cable
conn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87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병규
Original Assignee
손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병규 filed Critical 손병규
Priority to KR20-2003-00387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2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2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2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71Terminating devices ; Cable cl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형 광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사용자측에 소수(2~8코어)의 광케이블 회선을 개통하는데 다수의 광회선을 수용할 수 있는 접속함체나 광분배함을 사용하여 작업시간이 오래걸리고 과다한 비용이 소요되는 것을 해결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소형 광접속장치는, 소정의 직경과 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투명한 합성수지 본체의 일측단에는 인입 케이블이 안내되는 인입공이 형성되고 타측단에는 인출 광점퍼코드가 안내되는 인출공이 형성되며 인입공과 인출공의 내경과 양단에 인입되는 광케이블과 광점퍼코드의 외경을 유사하게 조정하여 접속부위가 안착되는 내부를 밀폐하기 위해 열을 가하면 수축하는 열경화성수지와 내부지지면을 제거하면 수축하는 자기수축형수지를 양단 인입되는 광케이블과 광점퍼코드의 외피에 덧입힌다. 본체의 양단부 내측에 광케이블과 광점퍼코드가 삽입되고나면 외측에 본체와 인입광케이블과 광점퍼코드를 열경화성수지와 자기수축형수지를 소정의 길이만큼 덧입혀서 일정한 인장력을 갖도록 고정하여 케이블트레이나 벽면, 혹은 가입자측 기기수용랙등에 용이하게 취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소형 광접속장치는 작업환경의 개선으로인한 작업효율을 증대하여 현장에서 저비용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소수의 광케이블 회선을 개통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회선의 증설과 교체가 빈번하지 않은 소수의 광통신 회선 사용자측이나 다수의 광통신 회선이 소수의 회선으로 각각 분리되는 분기부에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소형 광접속장치는 소수의 광케이블 회선의 개통이 잦은 전화국이나, 인터넷 회선임대 사업장에 비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소형 광접속장치{Mini Fiberoptic Splicing Module}
본고안은 소형 광접속장치에 관한것으로서, 신호발생부에서 발생된 신호를 광회선을 통해 사용자측 말단부의 통신장치측으로 전달하고 수신하는 광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를 이용한 통신방식은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전기 신호로 바꾼 뒤 이를 빛의 강약 등 광신호로 바꾸고 광섬유를 통하여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새롭고 혁신적인 통신방식이다. 광케이블은 석영유리를 이용한 광섬유 코어를 플라스틱 재질로 2차 코팅하고, 그 위에 피복을 한 것이다.
신호발생부에서 발생된 신호는 광케이블을 통하여 통신장치로 전달되는데,신호발생부와 통신장치 사이에는 광케이블이 접속되어 지지되는 광접속장치가 마련된다. 이러한 종래의 광접속장치의 연결을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측 말단부에서 기기수용랙에 탑재되는 광접속장치는 광케이블(11) →접속부(12) →광피그테일(13)(일측단부에 광커넥터가 부착된 옥내용 광케이블) →광커넥터(14) →광어댑터(15) →광커넥터(16) →광점퍼코드(17)(양측단부에 광커넥터가 부착된 옥내용 광케이블) →광커넥터(18) →통신장치(19)의 순으로 연통되어 복잡한 공정과 고비용의 자재들이 소요되며, 또한 다수의 접속점을 가지므로써 광신호의 접속손실이 많아지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소수의 광회선을 운용하는 사용자측에 간단한 공정으로 신속한 광회선의 개통을 목적으로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일체형 광접속장치의 시공으로 효율의 증대와 비용의 절감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일체형 광접속장치의 시공으로 다수의 점속점을 최소화하여 광신호의 접속손실을 줄이고 견고한 본체와 인입 및 인출구의 밀폐로 접속부의 기밀을 보장하여 안정된 우지보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한다.
도1은 종래의 기술로 광회선 말단부를 구성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통도.
도2는 본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접속장치의 사시도.
도3은 본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측단부 인입 광점퍼코드의 단면 사시도.
도4는 본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단면 사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소형 광접속장치는, 소정 길이와 직경를 갖는 원통형의 투명한 합성수지 본체의 양측단에 광케이블과 광점퍼코드의 인입구와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 내부에는 소정공간의 밀폐부가 형성되어 광케이블 접속부를 보관하는 접속보관부가 있고, 본체 양측단 내측에는 열수축 혹은 자기수축형 수지를 덧입혀 광케이블과 광점퍼코드의 외경을 본체 내부와 결합시 기밀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인입케이블 보충부와 인출케이블 보충부가 있으며, 본체 양측단의 외측에는 삽입된 케이블과 본체의 고정과 내부 밀폐의 기밀성을 높이기 위하여 2차에 걸쳐 자기수축형 수지와 열수축형 수지를 소정 길이로 겹쳐 수축시킨 후 인장력을 높이기 위한 소정의 조임장치로 결속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접속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광접속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에 인입공과 인출공을 통해 유도되는 케이블은 광케이블(22)의 형태이거나 광점퍼코드(22)의 형태로 그 구성이 다양할 수 있는 것은 종래의 분배장치에서 규격화된 인입공과 인출공을 갖는 것과는 달리 본고안의 본체(21)가 갖는 규격이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체(21)의 양단부에는 인입공과 인출공이 소정의 직경으로 구성되어지며 광케이블의 접속방법에 따라 요구되는 본체의 길이를 갖는다. 본체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내부의 접속부(23)를 상시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로 제작되어져 있으며, 외부의 충격에서 접속부를 보호하기 위해 소정의 강도를 갖추고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접속부(23)는 외부의 습기나 먼지가 침투하여 발생하는 접속손실의 증가와 회선장애를 방지하기 위해 양단부(25)의 기밀한 밀폐를 통해 접속부가 밀폐요부를 형성한다.
상기 양단부(25)는 도3과 도4에서 도시된바와 같이 본체 내부로 삽입된 케이블(31)과 본체 외부(41), 그리고 고정띠(24)로 구성되어지며, 본체 내부의 밀폐와 본체와 광케이블의 고정은 열경화성수지(43)와 자기수축형수지(42)를 두겹으로 입힌다.
이상에서 설명하듯이, 본 고안에 따른 소형 광접속장치는 소수의 광회선을 운용하는 사용자측에 종래의 복잡하고 까다로운 공정과 고비용의 장치들을 대폭 축소해 간단한 공정으로 원가를 절감시킨다.
또한, 본체 내부를 상시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투명한 형태오 접속부의 이상유무를 해체없이 판단할 수 있으며, 소형으로 기존 기기수용랙 내부나 트레이, 벽등에 쉽게 취부할 수 있어서 미관이 좋으며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체 내부 접속점의 완전밀폐로 먼지나 습기등에서 접속부분을 보호하고, 복잡한 공정에서 발생되는 과대한 접속점을 대폭 축소하게 되므로 전송신호의손실을 최소화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고안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2)

  1. 양단부에 인입공과 인출공이 형성되어진 합성수지의 본체;
    인입 및 인출케이블의 외피를 소정의 수지로 덧입혀 본체로 삽입되는 양단 밀폐부;
    케이블과 본체를 2차 밀폐 및 고정을 위해 덧입히는 소정의 수지 및 고정띠;
    상기 본체속 밀폐요부에 접속부가 형성되며 본체 양단부의 인입구 인축구에 형성되는 내부 삽입부와 외부 고정부로 이루어진 소형의 광접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선로상의 광케이블과 광통신장치에서 연결된 광케이블 사이에 콘넥터나 어댑터 및 지지 하우징 없이 직접적인 연결을 이루어내는 광접속장치.
KR20-2003-0038753U 2003-12-12 2003-12-12 소형 광접속장치 KR2003582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753U KR200358258Y1 (ko) 2003-12-12 2003-12-12 소형 광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753U KR200358258Y1 (ko) 2003-12-12 2003-12-12 소형 광접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8258Y1 true KR200358258Y1 (ko) 2004-08-06

Family

ID=49435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753U KR200358258Y1 (ko) 2003-12-12 2003-12-12 소형 광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25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8011B2 (en) Optical connection terminals for fiber optic communications networks
JP4871862B2 (ja) 位置合わせ及びキー結合特徴部を備えた光ファイバレセプタクル・プラグ組立体
US5970195A (en) Fiber optic cable furcation unit
ES2574994T3 (es) Terminal de bajada con fibra óptica
US7146090B2 (en) Fiber optic cable and plug assembly
CN101299085B (zh) 包括转换器的加固连接器系统
JP4864974B2 (ja) 位置合わせスリーブインサートを有する光ファイバレセプタクル・プラグ組立体
CN105917259B (zh) 一种连接件以及光纤连接头
CN102782549B (zh) 加固的光纤/电连接系统
US11041998B2 (en) Telecommunication enclosures
CN101799574B (zh) 用于光学接头的接头保护装置
US20220050251A1 (en) Distributed tap architecture incorporating hardened connectivity
CN101802671A (zh) 多端口光学连接终端
US7630610B2 (en) Loop back plug with protective dust cap
US20160103290A1 (en) Distribution cable with bidirectional breakout locations
US10852487B1 (en) Hardened optical cable assemblies, optical plug connector assemblies, optical receptacle assemblies and optical connection systems having multiple optical fibers
CN1981226A (zh) 光纤接入终端
KR200358258Y1 (ko) 소형 광접속장치
KR20120125821A (ko) 광전복합 팬아웃 케이블
KR100947631B1 (ko) 광단자함에서의 광케이블 분기방법
KR20180015349A (ko) 돌출형 어댑터를 포함하는 분기형 광케이블 어셈블리
US20230168458A1 (en) Cable attachment device
KR100385562B1 (ko) 광성단 케이블 분기장치
KR20110002571A (ko) 광모드 컨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