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6571B1 -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6571B1
KR100636571B1 KR1020060063396A KR20060063396A KR100636571B1 KR 100636571 B1 KR100636571 B1 KR 100636571B1 KR 1020060063396 A KR1020060063396 A KR 1020060063396A KR 20060063396 A KR20060063396 A KR 20060063396A KR 100636571 B1 KR100636571 B1 KR 100636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x
eccentric
fixing block
eccentric shaft
electric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3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호진
Original Assignee
(주)진전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전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진전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063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65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심캠과 편심축을 이용해서 삐뚤어진 철근에 설치되는 단자함의 기울기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좌우방향으로 장공(30h)(32h)이 형성된 "L"형의 브래킷(30)(32)을 단자함(20)의 좌측면과 우측면 상하부에 두 개씩 한조를 이루도록 용접하고, 단자함(20)의 좌우양측에 거리를 두고 배근된 철근(22)(24)에 결합되는 반원홈(42)을 갖는 철근고정블록(40)의 전후면에 장공(30h)(32h)과 중심이 일치하는 축삽입구멍(44)을 형성하며, 브래킷(30)(32)에 형성된 장공(30h)(32h)과 철근고정블록(40)에 형성된 축삽입구멍(44)으로 삽입되는 편심축(50)의 양단에 편심캠(52)(54)을 설치하고, 철근고정블록(40)에 형성된 축삽입구멍(44)과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나사구멍(46)에 편심축(50)을 가압하기 위한 세트스크류(58)를 결합하며, 철근(22)(24)에 결합되는 반원홈(62)을 갖는 철근고정커버(60)를 철근(22)(24)을 사이에 두고 볼트(70)에 의해 철근고정블록(40)과 결합하여 구성된 것이다.
단자함,전기,공동주택,편심,철근,블록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Electric terminal box fixed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
도 1은 종래 단자함 고정구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단자함 고정구를 보인 요부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를 보인 요부확대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를 보인 요부확대 부분결합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를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 : 단자함 22,24 : 철근
30,32 : 브래킷 30h,32h : 장공
40 : 철근고정블록 42,62 : 반원홈
44 : 축삽입구멍 46 : 나사구멍
50 : 편심축 52,54 : 편심캠
58 : 세트스크류 60 : 철근고정커버
70 : 볼트
본 발명은 철근에 단자함을 고정하는데 이용하는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편심캠과 편심축을 이용해서 삐뚤어진 철근에 설치된 단자함의 기울기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체에 매립하는 단자함은 배근된 철근에 고정한 다음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매립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매립형 단자함 중 일예로 국내 공개특허번호 제10-2005-0075057호(2005년07월20일 공개)의 "단자함 고정구"는 첨부도면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함(10)의 측면(11)에 제 1브래킷(12)의 플랜지부(12a)(12b)가 용접되어 있었고, 제 1브래킷(12)의 수평부(12c)에 형성된 장착구멍(13)을 통해 제 2브래킷(14)의 좌측날개부(14a)가 끼워진 후, 좌측날개부(14a)가 제 1브래킷(12)의 수평부(12c) 안쪽면에 밀착되고, 제 2브래킷(14)의 오목결속부(14b)가 철근(15)에 결속되도록 제 2브래킷(14)의 우측 날개부(14c)와 제 1브래킷(12)의 수평부(12c)가 나사못(16)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단자함 고정구는 단자함(10)의 좌우측에 수직으로 배근되는 철근(15)이 수직을 이루지 못하고 기울어지게 배근된 경우 단자함(10)이 기울어진 채로 고정되거나 장착이 불완전하게 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단자함(10)의 위치가 변동되어 시공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철근에 고정하는 단자함의 기울기를 보정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좌우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L"형의 브래킷을 단자함의 좌측면과 우측면 상하부에 두 개씩 한조를 이루도록 용접하고, 단자함의 좌우양측에 거리를 두고 배근된 철근에 결합되는 반원홈을 갖는 철근고정블록의 전후면에 장공과 중심이 일치하는 축삽입구멍을 형성하며, 브래킷에 형성된 장공과 철근고정블록에 형성된 축삽입구멍으로 삽입되는 편심축의 양단에 편심캠을 설치하고, 철근고정블록에 형성된 축삽입구멍과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나사구멍에 편심축을 가압하기 위한 세트스크류를 결합하며, 철근에 결합되는 반원홈을 갖는 철근고정커버를 철근을 사이에 두고 볼트에 의해 철근고정블록과 결합하여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3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장공(30h)(32h)이 형성된 "L"형의 브래킷(30)(32)을 단자함(20)의 좌측면과 우측면 상하부에 두 개씩 한조를 이루도록 용접하고, 단자함(20)의 좌우양측에 거리를 두고 배근된 철근(22)(24)에 결합되는 반원홈(42)을 갖는 철근고정블록(40)의 전후면에 장공(30h)(32h)과 중심이 일치하는 축삽입구멍(44)을 형성하며, 브래킷(30)(32)에 형성된 장공(30h)(32h)과 철근고정블록(40)에 형성된 축삽입구멍(44)으로 삽입되는 편심축(50)의 양단에 편심캠(52)(54)을 설치하고, 철근고정블록(40)에 형성된 축삽입구멍(44)과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나사구멍(46)에 편심축(50)을 가압하기 위한 세트스크류(58)를 결합하며, 철근(22)(24)에 결합되는 반원홈(62)을 갖는 철근고정커버(60)를 철근(22)(24)을 사이에 두고 볼트(70)에 의해 철근고정블록(40)과 결합한다.
또한, 철근고정블록(40)과 철근고정커버(60)에는 중심이 일치하는 나사공(41)과 카운터보어홀(65)을 형성하여 볼트(7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또, 편심축(50)의 일측에는 플랜지(51)를 형성하여 편심축(50)을 장공(30h)(32h)과 축삽입구멍(44)으로 삽입할 때 축방향으로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하며, 편심축(50)의 양단 외주면에는 면취부(55a)(55b)를 형성하고, 편심캠(52)(54)에는 중공홀(52h)(54h)의 직각방향으로 암나사구멍(52k)(54k)을 형성하여 편심캠(52)(54)을 편심축(50)에 끼운 다음 무두렌치볼트(53a)(53b)를 이용해서 고정하도록 한다.
여기서 편심축(50)에 형성된 면취부(55a)(55b)는 동일한 각도에 위치하도록 하여 편심축(50)에 결합된 편심캠(52)(54)이 동일한 각도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브래킷(30)(32)은 스포트용접에 의해 단자함(20)의 측면에 영구적으로 설치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3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함(20)의 측면에 용접된 브래킷(30)(32) 사이로 철근고정블록(40)을 삽입한 다음 철근고정블록(40)에 형성되어 있는 축삽입구멍(44)과 브래킷(30)(32)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30h)(32h)의 구멍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일측의 브래킷(30)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30h)을 통해 편심축(50)을 삽입하게 되면, 편심축(50)이 일측의 브래킷(30)에 형성된 장공(30h)을 통해 철근고정블록(40)의 축삽입구멍(44)을 관통하여 반대편에 위치된 브래킷(32)에 형성된 장공(32h)을 통해 돌출된다.
이때 편심축(50)에 형성된 플랜지(51)가 일측의 브래킷(30)에 걸리면서 더 이상의 진입이 어렵게 되어 편심축(50)이 축방향으로 일정한 위치에 결합된다.
이후 양측으로 돌출된 편심축(50)의 양단에 편심캠(52)(54)을 각각 결합한 다음 편심캠(52)(54)의 암나사구멍(52k)(54k)에 결합되어 있는 무두렌치볼트(53a)(53b)의 선단이 면취부(55a)(55b)와 일치하도록 편심캠(52)(54)을 돌려서 조정한 후 무두렌치볼트(53a)(53b)를 조이게 되면, 무두렌치볼트(53a)(53b)가 편심축(50)에 형성되어 있는 면취부(55a)(55b)에 압접되면서 편심캠(52)(54)에 편심축(50)에 고정된다.
이때 편심캠(52)(54)이 편심축(50)에 결합되어 있고, 브래킷(30)(32)에 걸리 기 때문에 편심축(50)은 축방향으로 이탈할 수 없으며, 회전만 가능하게 된다.
한편, 단자함(20)을 철근(22)(24)에 고정하는 과정은 모든 철근고정블록(40)에 설치되어 있는 세트스크류(58)를 느슨하게 풀어서 편심축(50)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한 상태에서 단자함(20)을 철근(22)(24) 사이로 삽입한 다음 철근고정블록(40)에 형성되어 있는 반원홈(42)이 철근(22)(24)과 밀착하도록 철근고정블록(40)을 이동시키게 되면, 철근고정블록(40)의 축삽입구멍(44)에 삽입되어 있는 편심축(50)이 브래킷(30)(32)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30h)(32h)을 따라 좌우로 안내되기 때문에 철근고정블록(40)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철근(22)(24)의 일측 절반은 철근고정블록(40)의 반원홈(42)에 밀착되어 있게 되는데, 이때 철근(22)(24)의 타측 절반은 철근고정커버(60)에 형성되어 있는 반원홈(62)에 말착하도록 철근고정커버(60)로 철근(22)(24)을 덮으면서 철근고정블록(40)과 결합하게 되면, 철근고정커버(60)에 의해 철근고정블록(40)이 철근(22)(24)에 고정된다.
이때 좌우측 4곳에 위치된 편심캠(52)(54)을 각각 회전시키게 되면, 단자함(20)이 편심캠(52)(54)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미세하게 움직이면서 기울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단자함(20)의 수평을 맞춘 다음 철근고정블록(40)에 설치되어 있는 세트스크류(58)를 조이게 되면, 편심축(50)이 고정되어 회전이 멈추게 되어 단자함(20)이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즉, 철근고정블록(40)의 철근(22)(24)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편심캠(52)(54)의 회전에 의해 편심축(50)이 브래킷(30)(32)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30h)(32h)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단자함(20)의 기울기가 보정된다.
또한, 한 개의 편심축(50)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는 두 개의 편심캠(52)(54) 중에서 전방에 위치된 편심캠(52)(54)만을 회전시키더라도 반대편에 설치되어 있는 편심캠(52)(54)도 편심축(50)에 의해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게 되며, 특히 편심캠(52)(54)에 설치되어 있는 무두렌치볼트(53a)(53b)에 육각렌치와 같은 공구를 결합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편심캠(52)(54)을 편리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철근에 고정되는 단자함이 수직을 이루지 못하는 철근에 의해 기울어진 경우 편심축과 편심캠에 의해 보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함을 정밀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편심축의 양단에 동일한 각도로 편심캠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양측의 편심캠 중에서 일측의 편심캠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반대편 편심캠도 편심축에 의해 회전하므로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좌우방향으로 장공(30h)(32h)이 형성된 "L"형의 브래킷(30)(32)을 단자함(20)의 좌측면과 우측면 상하부에 두 개씩 한조를 이루도록 용접하고, 단자함(20)의 좌우양측에 거리를 두고 배근된 철근(22)(24)에 결합되는 반원홈(42)을 갖는 철근고정블록(40)의 전후면에 장공(30h)(32h)과 중심이 일치하는 축삽입구멍(44)을 형성하며, 브래킷(30)(32)에 형성된 장공(30h)(32h)과 철근고정블록(40)에 형성된 축삽입구멍(44)으로 삽입되는 편심축(50)의 양단에 편심캠(52)(54)을 설치하고, 철근고정블록(40)에 형성된 축삽입구멍(44)과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나사구멍(46)에 편심축(50)을 가압하기 위한 세트스크류(58)를 결합하며, 철근(22)(24)에 결합되는 반원홈(62)을 갖는 철근고정커버(60)를 철근(22)(24)을 사이에 두고 볼트(70)에 의해 철근고정블록(40)과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KR1020060063396A 2006-07-06 2006-07-06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KR100636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396A KR100636571B1 (ko) 2006-07-06 2006-07-06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396A KR100636571B1 (ko) 2006-07-06 2006-07-06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6571B1 true KR100636571B1 (ko) 2006-10-20

Family

ID=37621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396A KR100636571B1 (ko) 2006-07-06 2006-07-06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657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489B1 (ko) * 2006-10-16 2007-01-25 (주)원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KR101162758B1 (ko) 2012-05-22 2012-07-05 동양컨설턴트주식회사 공동주택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
CN103730869A (zh) * 2012-10-16 2014-04-16 上海建工五建集团有限公司 一种井字形固定预埋盒及其施工方法
KR102028898B1 (ko) 2019-02-01 2019-10-07 (주)이가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KR102089071B1 (ko) 2019-07-25 2020-03-16 (주)이에스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KR20200112383A (ko) * 2019-03-22 2020-10-05 주식회사 미성 매립박스 고정용 브래킷
KR102181308B1 (ko) 2020-05-25 2020-11-20 (주)구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아울렛박스
KR20210002257U (ko) * 2020-04-02 2021-10-13 주식회사 운진하이텍 매입형 전선함용 고정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4295U (ko) 1974-10-23 1976-04-24
JPS5285198U (ko) 1975-12-23 1977-06-24
JP2003319529A (ja) 2002-04-17 2003-11-07 Nichido Denko Kk 配線用ボックス取付け具
KR200395561Y1 (ko) 2005-06-21 2005-09-13 주식회사 파나텍 박스 시공 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4295U (ko) 1974-10-23 1976-04-24
JPS5285198U (ko) 1975-12-23 1977-06-24
JP2003319529A (ja) 2002-04-17 2003-11-07 Nichido Denko Kk 配線用ボックス取付け具
KR200395561Y1 (ko) 2005-06-21 2005-09-13 주식회사 파나텍 박스 시공 틀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489B1 (ko) * 2006-10-16 2007-01-25 (주)원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KR101162758B1 (ko) 2012-05-22 2012-07-05 동양컨설턴트주식회사 공동주택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
CN103730869A (zh) * 2012-10-16 2014-04-16 上海建工五建集团有限公司 一种井字形固定预埋盒及其施工方法
CN103730869B (zh) * 2012-10-16 2016-12-21 上海建工五建集团有限公司 一种井字形固定预埋盒及其施工方法
KR102028898B1 (ko) 2019-02-01 2019-10-07 (주)이가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KR20200112383A (ko) * 2019-03-22 2020-10-05 주식회사 미성 매립박스 고정용 브래킷
KR102163109B1 (ko) * 2019-03-22 2020-10-07 주식회사 미성 매립박스 고정용 브래킷
KR102089071B1 (ko) 2019-07-25 2020-03-16 (주)이에스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KR20210002257U (ko) * 2020-04-02 2021-10-13 주식회사 운진하이텍 매입형 전선함용 고정대
KR200494822Y1 (ko) 2020-04-02 2022-01-05 주식회사 운진하이텍 매입형 전선함용 고정대
KR102181308B1 (ko) 2020-05-25 2020-11-20 (주)구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아울렛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6571B1 (ko)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JP2008240417A (ja) パネルの固定具
KR100941154B1 (ko) 건축용 인서트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지지장치
KR100910740B1 (ko)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장치
KR101119176B1 (ko) 부스용 블록 프레임
CN212689299U (zh) 一种装配式墙体
JP6832012B2 (ja) クランプ金具及びクランプ金具の製造方法
KR20010005576A (ko) 건축물용 기본 구조 엘리먼트로 사용하기 위한 프레임 섹션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200462117Y1 (ko) 원형관 체결용 너트 고정구
JP5433555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用連結具とコンクリート部材の連結構造
JP5237491B1 (ja) 鉄筋軸にセパレータ軸を直に接続と十字型にも固定されるu字型兼用締付固定金具装置。
KR200285266Y1 (ko) 슬래브지붕 공사용 지지프레임
JP2003176601A (ja) 梁の補強構造
KR20080030460A (ko) 길이가변형 지지대
CN219316036U (zh) 一种用于装配式建筑的梁柱连接件
JP4604284B2 (ja) 断熱材保持スペーサ、これを使用した屋根構造及び壁構造
CN217128628U (zh) 一种装配式墙板安装件
KR102163109B1 (ko) 매립박스 고정용 브래킷
JP2011052427A (ja) 手摺り装置
JP3779181B2 (ja) 型枠コーナー部の角締め方法
JP3887264B2 (ja) 連結具
KR200265970Y1 (ko) 철근연결구
KR200309510Y1 (ko) 지지바 슬라이드형 전기배선박스
KR950008782Y1 (ko) 조립식 칸막이의 도어용 프레임 고정 장치
JP2503968Y2 (ja) 長尺体連結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