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0740B1 -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0740B1
KR100910740B1 KR1020090029274A KR20090029274A KR100910740B1 KR 100910740 B1 KR100910740 B1 KR 100910740B1 KR 1020090029274 A KR1020090029274 A KR 1020090029274A KR 20090029274 A KR20090029274 A KR 20090029274A KR 100910740 B1 KR100910740 B1 KR 100910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box
inverted
holes
type variable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한규
민선영
Original Assignee
(주)신성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성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신성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90029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07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 복원력이 우수한 판스프링을 주축으로 이루어진 고정 구조물에 의해 배전박스의 개구된 전면을 상,하 및 전,후,좌,우 방향으로 가변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주어, 타설을 위한 시공 과정에서 시공 오차에 의해 거푸집이 일측으로 기울거나 틀어진 상태로 설치되더라도 이러한 거푸집의 내측면과 배전박스의 개구된 전면이 긴밀히 밀착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타설 작업시 미경화된 콘크리트가 매입형 배전박스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판스프링을 이용한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으로 절곡 연장된 부위의 수평면에는 미끄럼 방지 절연부재가 부착 형성되어 있고, 측면 상하부에는 동일한 크기의 장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공의 사이 공간에는 스토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절개편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연결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2조 한쌍의 역"ㄴ"형 가변 고정대와;
상기 2조 한쌍으로 이루어진 역"ㄴ"형 가변 고정대의 연결관통공에 삽입을 취해 2조 한쌍으로 이루어진 역"ㄴ"형 가변 고정대의 연결을 이루고 있되, 상부 전면에 걸쳐서는 파도형 돌기가 가공 처리되어 있고, 후방 중앙에는 탄성 가이드봉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연결 막대와;
상하부에는 상기 역"ㄴ"형 가변 고정대의 장공에 삽입 연결되는 승하강 연결부재의 힌지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힌지공이 형성되어 있고, 전면 중앙에는 전후로 관통된 관통공과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반호형 판스프링과;
상하부에는 좌,우측과 상부 또는 하부가 개구된 "U"형태의 형상을 이루고 있되, 이격된 내측 전,후면에는 파도형 고정홈이 가공 처리되어 있고, 개구된 단부 정면에는 이격 부위를 조일 수 있는 조임 볼트가 연결 설치되어 있는 끼움 고정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있고, 전방에는 전후로 관통된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공 양측에는 볼트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회동 고정구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역"ㄴ"형 가변 고정대, 연결 막대, 반호형 판스프링

Description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장치{electric supply box Fixing device of in set type for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벽체 내에 위치한 전선안내관으로 부터 인출된 전선을 벽면 밖으로 인출하기 위한 배전박스를 철근에 고정하여 주는데 이용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형 복원력이 우수한 판스프링을 주축으로 이루어진 고정 구조물에 의해 배전박스의 개구된 전면을 상,하 및 전,후,좌,우 방향으로 가변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주어, 타설을 위한 시공 과정에서 시공 오차에 의해 거푸집이 일측으로 기울거나 틀어진 상태로 설치되더라도 이러한 거푸집의 내측면과 배전박스의 개구된 전면이 긴밀히 밀착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타설 작업시 미경화된 콘크리트가 매입형 배전박스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판스프링을 이용한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공동주택의 천장과 바닥 및 벽체와 같은 슬라브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슬라브 구조물 형성을 위한 철근 구조물 내에 옥내 배선을 위한 배선 처리와 더불어 이러한 배선의 외부 인출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후에 스위치나 전원 콘센트화 할 수 있도록 하는 배전박스를 먼 저 설치한 후 이렇게 배선처리와 배전박스의 설치가 이루어진 철근 구조물 외측에 거푸집을 연결 설치하고, 이 거푸집 내에 미경화 상태의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된다.
여기서 상술한 배전박스는 거푸집의 내측면과 긴밀한 밀착 상태가 이루어져야만 후에 타설될 미경화 콘크리트가 개구된 전면부를 통해 향후 배선 간의 연결이 이루어져야 할 공간부 내로 침투하는 문제 및 전체가 매몰되는 문제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볼트와 너트를 통해 배전박스에 보강재를 결합하고, 이에 결속와이어를 이용하여 철근 구조물과의 견고한 결속상태를 이룸과 동시에 거푸집과의 밀착도 도모하였거나, 아니면 형성하고자 하는 슬래브 구조물 두께와 동일한 길이 만큼의 보조 철근의 일측을 배전박스의 측면 또는 후면에 용접하고, 타측은 배근된 철근에 용접시켜 철근 구조물과의 견고한 결속상태를 이룸과 동시에 거푸집과의 밀착도 도모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철근 구조물과의 결속과 거푸집과의 밀착을 도모함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보강재를 이용하는 것은 시공은 용이하나 배전박스를 철근 구조물에 설치 고정한 이후에는 초기 설치를 조정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타설을 위한 시공 과정에서 시공 오차에 의해 거푸집이 일측으로 기울거나 틀어진 상태로 설치되면 배전박스의 개구된 전면 역시 거푸집 내측면과 긴밀한 밀착이 이루어지지 않아 틈새로 다량의 미경화 콘크리트를 유입시키게 되어 배선을 이루어야 할 배전박스의 내부 공간이 사라지게 하는 문제는 물론이고 심지어는 이러한 배전박스 전체 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매몰되거나 슬래브 구조물 표면보다 돌출되는 문제 현상이 자주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양생 이후 옥내배선을 이루기 위해선 작업자가 배전박스의 내부공간 내에 유입되어 경화된 콘크리트를 일일이 파쇄하여 꺼내거나 매몰된 배전박스를 찾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슬래브 표면 파쇄작업을 거쳐야 하고, 슬래브 구조물의 표면보다 돌출 위치되는 배전박스의 경우 돌출된 일부분을 슬래브 구조물의 타설 면과 평행을 이룰 수 있도록 가격해 주어야 하는 마무리 작업을 거쳐야 하는 등의 불편하고도 번거로운 문제가 있어 이로 인해 공기 전체의 지연은 물론이고 슬래브 구조물의 부분적인 크랙 현상까지도 초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용접을 이용하는 것은 콘크리트 두께를 감안하여 철근에 용접하여 시공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거푸집의 내측면과 일치가 잘되는 편이기는 하나 시공 오차에 의해 거푸집이 기울어지거나 두께가 변하는 경우 배전박스의 위치 변경을 위해 해머와 같은 도구를 이용한 가격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와 용접 장비를 동원에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어, 이 역시 이로 인한 공기 전체의 지연을 초래하는 문제점과 더불어 공비 전체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U"자 모양으로 절곡된 고정플레이트의 좌우측에 직선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직선가이드부의 끝 부분에는 좌우측에 수직으로 위치된 철근에 물리는 "C"자 모양의 단면 형태를 갖는 클램프가 형성되어 고정플레이트가 철근에 의해 지지되어 있었으며, 매입형 배전박스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플레이트의 좌우측에는 직선가이드부에 미끄럼결합되는 사각파이프 형태의 직선안내부가 형성되어 있었고, 고장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의 사이에는 매입형 배전박스를 거푸집의 내측면을 향해 밀어내는 스프링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단자함의 가변 결착장치(특허 제10-0611811호)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배전단자함의 가변 결착장치 역시 매입형배전박스의정면부와 거푸집 내측면이 평행하지 않을 경우 매입형 배전박스가 거푸집의 내측면에 완전하게 밀착하지 못하고, 일측에 틈이 형성되므로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매입형 배전박스의 내부로 미경화 콘크리트가 침투하게 되어 배전 박스가 매몰되므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 현상을 해소하기에는 구조적으로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더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스프링지지판으로부터 상측으로 뻗은 브이(V)형지지대의 상단에 상부횡철근의 좌우측에 결합하는 상부철근고정클램프를 상부쐐기에 의해 설치하고, 하부쐐기에 의해 하부횡철근의 중앙에 결합하는 하부철근고정클램프의 상면에 세로지지대를 수직으로 설치하며, 스프링지지판의 후면 중앙에 후방을 향해 수평하게 위치되는 스터드볼트를 용접하고, 스터드볼트가 삽입되는 수직장공을 세로지지대에 형성하여 스터드볼트에 결합되는 너트에 의해 세로지지대를 스프링지지판의 후면에 밀착하여 고정하며, 일단이 스프링지지판의 정면 4지점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용접되는 플로트스프링의 타단을 배전박스고정판의 후면에 용접하고, 배전박스고정판의 정면에 매입형 배전박스를 고정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의 고정구조(출원번호 10-2006-0085813)가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의 고정구조는 복수의 플로트스프링에 의해 매입형 배전박스의 상하좌우측이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시공 오차에 의해 거푸집의 내측면과 매입형 배전박스가 평행을 이루지 못한 경우에도 매입형 배전박스가 거푸집의 내측면에 밀착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콘크리트가 매입형 배전박스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나, 구조적인 여러 문제점으로 인해 실사용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를 순서에 의거하여 나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배전박스와의 결속을 수개의 스크류를 통해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어, 배전 박스의 연결을 신속 용이하게 이룰 수 없음에 따른 공기 전체의 지연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철근 구조물과의 결속을 상,하부쐐기를 강제 삽입하여 고정시켜 놓아야만 하는 과정을 수반하여야지만 이룰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이에 따른 결속 작업이 용이하지도 않고, 실사용시 상기 상,하부쐐기의 이탈이 자주 초래되어 견고한 결속을 이룰 수 없음에 따른 불안정요인이 많아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주요 구성물이라 할 수 있는 수개의 플로트스프링과 이에 연결된 스프링 지지판과 배전박스고정판이 용접을 통한 양산 과정을 거쳐야 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제조를 신속 용이하게 이룰 수 없는 문제는 물론이고 이에 따른 단가 상승을 초래하여 현장에서 실사용하기 위한 제품이라 하기에는 부적합한 면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배전박스와 연결을 이루게 되는 구성물이 모두 통전이 용이한 철재로 이루어져 있어, 배전박스 내에 누전과 합선과 같은 문제가 발생시 이러한 문제가 배근된 슬래브 구조물 내의 철근에도 전달되게 되어, 타 배전박스 등에 악영향을 유발시키게 되는 비안전한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형 복원력이 우수한 판스프링을 주축으로 이루어진 고정 구조물에 의해 배전박스의 개구된 전면을 상,하 및 전,후,좌,우 방향으로 가변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주어, 타설을 위한 시공 과정에서 시공 오차에 의해 거푸집이 일측으로 기울거나 틀어진 상태로 설치되더라도 이러한 거푸집의 내측면과 배전박스의 개구된 전면이 긴밀히 밀착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타설 작업시 미경화된 콘크리트가 매입형 배전박스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판스프링을 이용한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방으로 절곡 연장된 부위의 수평면에는 미끄럼 방지 절연부재가 부착 형성되어 있고, 측면 상하부에는 동일한 크기의 장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공의 사이 공간에는 스토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절개편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연결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2조 한쌍의 역"ㄴ"형 가변 고정대와;
상기 2조 한쌍으로 이루어진 역"ㄴ"형 가변 고정대의 연결관통공에 삽입을 취해 2조 한쌍으로 이루어진 역"ㄴ"형 가변 고정대의 연결을 이루고 있되, 상부 전면에 걸쳐서는 파도형 돌기가 가공 처리되어 있고, 후방 중앙에는 탄성 가이드봉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연결 막대와;
상하부에는 상기 역"ㄴ"형 가변 고정대의 장공에 삽입 연결되는 승하강 연결부재의 힌지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힌지공이 형성되어 있고, 전면 중앙에는 전후로 관통된 관통공과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반호형 판스프링과;
상하부에는 좌,우측과 상부 또는 하부가 개구된 "U"형태의 형상을 이루고 있되, 이격된 내측 전,후면에는 파도형 고정홈이 가공 처리되어 있고, 개구된 단부 정면에는 이격 부위를 조일 수 있는 조임 볼트가 연결 설치되어 있는 끼움 고정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있고, 전방에는 전후로 관통된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공 양측에는 볼트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회동 고정구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원형 복원력이 우수한 판스프링을 주축으로 이루어진 고정 구조물에 의해 배전박스의 개구된 전면을 상,하 및 전,후,좌,우 방향으로 가변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주어, 타설을 위한 시공 과정에서 시공 오차에 의해 거푸집이 일측으로 기울거나 틀어진 상태로 설치되더라도 이러한 거푸집의 내측면과 배전박스의 개구된 전면이 긴밀히 밀착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타설 작업시 미경화된 콘크리트가 매입형 배전박스 내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배전박스 및 철근과의 연결을 신속 용이하고도 견고하게 이룰 수 있어, 작업시의 작업 편의성과 이에 따른 공기 단축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비의 절감에 따른 경제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배전박스와의 절연 특성이 우수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제품 전체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향상 시켜 줄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기타 실시 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을 이용한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구의 구성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을 이용한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구의 구성 상태를 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을 이용한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폭 조절이 가능토록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어 배전박스의 연결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2조 한쌍의 역"ㄴ"형 가변 고정대(10)와; 상기 2조 한쌍의 역"ㄴ"형 가변 고정대에 연결 형성되어 있어 상술한 역"ㄴ"형 가변 고정대의 좌우 이동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 막대(20)와; 상기 2조 한쌍으로 이루어진 역"ㄴ"형 가변 고정대(10)에 연결 위치하여, 이 2조 한쌍의 역"ㄴ"형 가변 고정대(10)의 상,하 및 전, 후 방향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반호형 판스프링(30)과; 상기 반호형 판스프링(30)의 후방에 연결 위치하여, 전방에 위치한 한쌍의 역"ㄴ"형 가변 고정대(10)의 좌,우 방향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회동 고정구(40)로 조합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2조 한쌍으로 이루어진 역"ㄴ"형 가변 고정대(10)는 전방으로 절곡 연장된 부위의 수평면에는 미끄럼 방지 절연부재(11)가 부착 형성되어 있고, 측면 상하부에는 동일한 크기의 장공(12)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공(12)의 사이 공간에는 스토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절개편(13)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연결관통공(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 막대(20)는 2조 한쌍으로 이루어진 역"ㄴ"형 가변 고정대(10)의 연결관통공(14)에 삽입을 취해 2조 한쌍으로 이루어진 역"ㄴ"형 가변 고정대(10)의 연결을 이루고 있되, 상부 전면에 걸쳐서는 파도형 돌기(22)가 가공 처리되어 있고, 후방 중앙에는 탄성 가이드봉(23)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반호형 판스프링(30)은 상하부에는 상기 역"ㄴ"형 가변 고정대(10)의 장공(12)에 삽입 연결되는 승하강 연결부재(31)의 힌지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힌지공(32)이 형성되어 있고, 전면 중앙에는 전후로 관통된 관통공(33)과 체결공(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동 고정구(50)는 상하부에는 좌,우측과 상부 또는 하부가 개구된 "U"형태의 형상을 이루고 있되, 이격된 내측 전,후면에는 파도형 고정홈(51)이 가공 처리되어 있고, 개구된 단부 정면에는 조임 볼트(52)가 연결 설치되어 있는 끼움 고정대(53)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있고, 전방에는 전후로 관통된 가이드공(5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공(54) 양측에는 볼트(55)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승하강 연결부재(31)는 중앙부위에 단턱이 형성되어 있되, 일측에는 힌지축(35)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은 장볼트(3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축(35)이 형성되어 있는 단부에는 볼트돌기(3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38)와, 상기 연결구(38)의 볼트돌기(37) 체결을 이룰 수 있는 체결공(39)이 단턱이 위치한 단부에 형성되어 있되, 상기 체결공(39)이 위치한 단턱 반대방향에는 또다른 장볼트(3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연결 고정구(40)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도4b, 도4c는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을 이용한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구의 설치 후 작동 상태를 예시하기 위해 도시한 측단면도 및 평단면도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먼저 실사용시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고, 이러한 설치에 의 해 나타나는 작용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치시에는 철근 구조물의 특정 부위에 위치한 상하부 철근(1) 사이에 상하부에 형성된 끼움 고정대(53)의 개구된 상하 단부를 벌려 끼우듯 연결한 후 조임 볼트(52)를 체결하여 회동 고정구(50)의 연결 고정을 이루면 된다.
이때, 상기 철근(1)은 "U"형태의 형상을 이루고 있는 끼움 고정대(53)의 이격된 내측의 전,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파도형 고정홈(51)에 맞물리는 형태로 위치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회동 고정구(50)의 연결 고정을 이룬 이후에는 상기 회동 고정구(50) 전방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볼트(55)에 반호형 판스프링(30)의 체결공(34)이 위치되도록 한 후 상호간의 너트 고정을 이루고, 뒤이어 상기 반호형 판스프링(30)의 전방 상하부에 위치한 힌지공(32)에 승하강 연결부재(31)를 연결 고정하면 된다.
그 다음 상기 승하강 연결부재(31)의 양측에 2조 한쌍으로 이루어진 역"ㄴ"형 가변 고정대(10)를 끼움 연결한 후 이 역"ㄴ"형 가변 고정대(10)의 사이에 배전박스(2)를 위치시켜 조여 너트를 이용한 고정을 이루면 설치가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2조 한쌍으로 이루어진 역"ㄴ"형 가변 고정대(10)를 끼움 연결하는 과정시 이 가변 고정대(10)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 막대(20)의 후방에 위치한 탄성 가이드봉(23)은 반호형 판스프링(30)의 관통공(33)과 회동 고정구(50)의 가이드공(54)을 관통 경유하여 후방으로 돌출 위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가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4)이 의도한 수평방향에서보다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로 시공될 시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호형 판스프링(30)의 상하 벌어짐 각도를 동일하게 이루는 상태의 가변을 이루어 최전방에 위치한 배전박스(2)의 개구된 전면부가 거푸집(4) 내측과 긴밀히 밀착되게 한다.
즉, 거푸집(4)에 밀려 내측으로 밀리게 되는 배전박스(2)는 연결된 역"ㄴ"형 가변 고정대(10)를 동시에 내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와 같이 이동하는 역"ㄴ"형 가변 고정대(10)는 측면 상하부에 형성된 장공(12)에 연결 위치된 승하강 연결부재(31)를 상반된 상하부로 승하강시키는 작동을 이루기 때문이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4)이 수직방향으로 기울인 상태로 시공될 시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호형 판스프링(30)은 상하부의 벌어지는 상태를 달리하는 가변을 취하게 되고, 연결 막대(20)의 후방 중앙에 형성된 탄성 가이드봉(23)은 휘어지는 상태를 취하게 되어 최전방에 위치한 배전박스(2)의 개구된 전면부가 거푸집(4) 내측과 긴밀히 밀착되게 한다.
그리고,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4)이 수평방향으로 기울인 상태로 시공될 시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ㄴ"형 가변 고정대(10)와 반호형 판스프링(30)을 연결 고정하고 있는 회동 고정구(50)의 중앙부위가 대응되는 회동을 취해 최전방에 위치한 배전박스(2)의 개구된 전면부가 거푸집(4) 내측과 긴밀히 밀착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역"ㄴ"형 가변 고정대(10)와 반호형 판스프링(30)을 연결 고정하고 있는 회동 고정구(50)의 중앙부위는 도 2에 부분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와는 별개로 회동을 이룰 수 있는 구조로 연결 조합되어 있어, 상기 역"ㄴ"형 가변 고정대(10)와 반호형 판스프링(30)이 회동할 시 이에 연동하여 회동을 이룰 수 있으므로 상기 배전박스(2) 전면의 수평향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거푸집의 다양한 시공 오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응하여 최전방에 위치한 배전박스(2)의 개구된 전면부가 거푸집(4) 내측과 긴밀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타설 작업시 미경화된 콘크리트가 매입형 배전박스 내로 침투하 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전박스(2) 및 철근(1)과의 연결을 신속 용이하고도 견고하게 이룰 수 있어, 작업시의 작업 편의성과 이에 따른 공기 단축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비의 절감에 따른 경제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배전박스(2)와의 절연 특성이 우수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제품 전체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향상 시켜 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을 이용한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구의 구성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을 이용한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구의 구성 상태를 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을 이용한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a,도4b, 도4c는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을 이용한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구의 설치 후 작동 상태를 예시하기 위해 도시한 측단면도 및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철근 2 : 배전박스
4 : 거푸집
10 : 역"ㄴ"형 가변 고정대 11 : 미끄럼 방지 절연부재
12 : 장공 13 : 절개편
14 : 연결관통공
20 : 연결 막대 22 : 파도형 돌기
23 : 탄성 가이드봉
30 : 반호형 판스프링 31 : 승하강 연결부재
32 : 힌지공 33 : 관통공
34 : 체결공 35 : 힌지축
36 : 장볼트 37 : 볼트돌기
38 : 연결구 39 : 체결공
40 : 연결 고정구
50 : 회동 고정구 51 : 파도형 고정홈
52 : 조임 볼트 53 : 끼움 고정대
54 : 가이드공 55 : 볼트

Claims (1)

  1. 전방으로 절곡 연장된 부위의 수평면에는 미끄럼 방지 절연부재가 부착 형성되어 있고, 측면 상하부에는 동일한 크기의 장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공의 사이 공간에는 스토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절개편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연결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2조 한쌍의 역"ㄴ"형 가변 고정대와;
    상기 2조 한쌍으로 이루어진 역"ㄴ"형 가변 고정대의 연결관통공에 삽입을 취해 2조 한쌍으로 이루어진 역"ㄴ"형 가변 고정대의 연결을 이루고 있되, 상부 전면에 걸쳐서는 파도형 돌기가 가공 처리되어 있고, 후방 중앙에는 탄성 가이드봉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연결 막대와;
    상하부에는 상기 역"ㄴ"형 가변 고정대의 장공에 삽입 연결되는 승하강 연결부재의 힌지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힌지공이 형성되어 있고, 전면 중앙에는 전후로 관통된 관통공과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반호형 판스프링과;
    상하부에는 좌,우측과 상부 또는 하부가 개구된 "U"형태의 형상을 이루고 있되, 이격된 내측 전,후면에는 파도형 고정홈이 가공 처리되어 있고, 개구된 단부 정면에는 이격 부위를 조일 수 있는 조임 볼트가 연결 설치되어 있는 끼움 고정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있고, 전방에는 전후로 관통된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공 양측에는 볼트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회동 고정구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을 이용한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구.
KR1020090029274A 2009-04-06 2009-04-06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장치 KR100910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274A KR100910740B1 (ko) 2009-04-06 2009-04-06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274A KR100910740B1 (ko) 2009-04-06 2009-04-06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0740B1 true KR100910740B1 (ko) 2009-08-05

Family

ID=41209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274A KR100910740B1 (ko) 2009-04-06 2009-04-06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07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405B1 (ko) 2010-07-19 2010-11-03 (주)케이아이기술단 공동주택의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장치
KR101087041B1 (ko) 2011-10-24 2011-11-28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공동주택용 매입형배전박스의 밀착구조
KR101472037B1 (ko) * 2014-10-21 2014-12-12 (주)중앙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회전관절 구조를 갖는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CN115106785A (zh) * 2022-07-29 2022-09-27 东北林业大学 一种建筑支撑件加工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56662A (ja) * 1988-04-04 1989-10-13 Hiroyuki Hasegawa アウトレツトボツクスの設定具
KR100778289B1 (ko) 2007-09-07 2007-11-22 (주)새서울기술단 건축물용 매입형스위치박스 고정장치
KR20080029331A (ko) * 2006-09-29 2008-04-03 주식회사 삼마기술개발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US7432440B2 (en) 2003-10-07 2008-10-07 The Lamson & Sessions Co. Electrical box suppor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56662A (ja) * 1988-04-04 1989-10-13 Hiroyuki Hasegawa アウトレツトボツクスの設定具
US7432440B2 (en) 2003-10-07 2008-10-07 The Lamson & Sessions Co. Electrical box support
KR20080029331A (ko) * 2006-09-29 2008-04-03 주식회사 삼마기술개발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100778289B1 (ko) 2007-09-07 2007-11-22 (주)새서울기술단 건축물용 매입형스위치박스 고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405B1 (ko) 2010-07-19 2010-11-03 (주)케이아이기술단 공동주택의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장치
KR101087041B1 (ko) 2011-10-24 2011-11-28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공동주택용 매입형배전박스의 밀착구조
KR101472037B1 (ko) * 2014-10-21 2014-12-12 (주)중앙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회전관절 구조를 갖는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CN115106785A (zh) * 2022-07-29 2022-09-27 东北林业大学 一种建筑支撑件加工装置
CN115106785B (zh) * 2022-07-29 2023-09-08 东北林业大学 一种建筑支撑件加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4731B2 (en) Laser configured hook column anchors and anchoring systems utilizing the same
KR100910740B1 (ko)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장치
KR100649366B1 (ko) 공동주택용 매입형배전박스의 회전관절구조
CA2844459C (en) Laser configured column anchors and anchoring systems utilizing the same
KR100769999B1 (ko) 개량형 동바리, 자립식 개량형 동바리 및 이를 이용한거푸집 설치구조
JP4916588B1 (ja) 太陽光発電パネル装置
KR101312992B1 (ko) 소프트 갱폼과 폼타이를 이용한 현장 중단열벽체 시공방법
KR20130023541A (ko) 프리캐스트 벽체와 갱폼을 이용한 현장 중단열벽체 시공방법
KR200445323Y1 (ko)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의 회전관절구조
KR101292523B1 (ko) 합성 폼타이를 이용한 현장 중단열벽체 시공방법
KR101469845B1 (ko) 배관 고정용 지그
KR20070027431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스폿용접으로고정시키는 결속구
KR101687542B1 (ko) 상부수평철근용 철근스페이서의 고정구조
JP3207708U (ja) 棟構造の固定装置
KR100814721B1 (ko) 각도 및 간격조절이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JP2009102896A (ja) Pc柱接続部における電気的接続構造とその接続方法
JP2012012812A (ja) ナットの施工方法
KR102624599B1 (ko) 건축용 배전 스위치박스 고정장치
KR200323015Y1 (ko) 천정패널용 행거와 슬래브 철근 공사를 동시에 수행하는 천정 시공 장치
KR20110108902A (ko)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KR200453064Y1 (ko) 건물의 파이프용 행거
JP5221748B2 (ja) 埋込型柱脚のさや管
JP3186347U (ja) 床スリーブ
KR101128038B1 (ko) 상하근 겸용 철근조립용스페이스
JP4010459B2 (ja) 浮遊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