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8289B1 - 건축물용 매입형스위치박스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매입형스위치박스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8289B1
KR100778289B1 KR1020070091227A KR20070091227A KR100778289B1 KR 100778289 B1 KR100778289 B1 KR 100778289B1 KR 1020070091227 A KR1020070091227 A KR 1020070091227A KR 20070091227 A KR20070091227 A KR 20070091227A KR 100778289 B1 KR100778289 B1 KR 100778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box
guide
link
slid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1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석
Original Assignee
(주)새서울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새서울기술단 filed Critical (주)새서울기술단
Priority to KR1020070091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82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설되는 전선안내관으로부터 인출된 전선을 벽면 밖으로 인출하기 위한 매입형스위치박스를 철근에 고정하여 주는데 이용하는 건축물용 매입형스위치박스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좌·우측철근고정암(30)(40)의 중간에 형성된 힌지결합부(32)(42)에 클레비스(clevis) 형태로 끼워져 제1수직핀(33)(43)에 의해 결합되는 제2클레비스결합부(52)(54)가 양단에 형성된 곡선형의 판스프링(50)과; 좌·우측철근고정암(30)(40)의 타측단에 형성된 제1클레비스결합부(34)(44)에 끼워져 제2수직핀(35)(45)에 의해 결합되고, 중앙에 수평안내축(61)(66)이 형성된 아이링크(60)(65)와; 아이링크(60)(65)에 형성된 수평안내축(61)(66)에 결합되는 좌·우측링크결합부(72a)(74a)(76a)(78a)가 형성되고, 마름모꼴 형태로 결합되는 4절링크(70)와; 4절링크(70)의 상·하측링크결합부(72b)(74b)(76b)(78b)에 수평핀(81)(86)으로 결합되고, 좌우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직선안내홈(82)(87)을 갖는 슬라이더(80)(85)와; 매입형스위치박스(25)의 후면에 고정되고, 슬라이더(80)(85)에 형성된 직선안내홈(82)(87)에 미끄럼 결합되어 슬라이더(80)(85)를 상하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리브(92)(97)가 수직커팅부(91)(96) 내측에 형성되고, 상하단에 반원절곡부(93)(98)가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90)(95)와; 슬라이더(80)(85)의 중앙에 끼워져 고정되고, 가이드플레이트(90)(95)에 형성된 반원절곡부(93)(98)에 의해 상하로 안내되는 스프링이탈방지봉(94)(99)과; 스프링이탈방지봉(94)(99)에 끼워진 채로 슬라이더(80)(85)와 가이 드플레이트(90)(95)의 반원절곡부(93)(98) 사이에 위치되어 반발하는 압축스프링(100)(102)으로 구성된 것이다.
매입형스위치박스,판스프링,철근,거푸집,4절링크,클레비스,힌지핀,슬라이더

Description

건축물용 매입형스위치박스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of reclaiming electric supply switch box}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매설되는 전선안내관으로부터 인출된 전선을 벽면 밖으로 인출하기 위한 매입형스위치박스를 철근에 고정하여 주는데 이용하는 건축물용 매입형스위치박스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판스프링과 압축스프링 및 다수의 링크를 이용 매입형스위치박스가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시공오차에 의해 거푸집의 내측면과 매입형스위치박스가 평행을 이루지 못한 경우에도 매입형스위치박스가 거푸집의 내측면에 밀착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작업시 콘크리트가 매입형스위치박스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건축물용 매입형스위치박스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로 시공되는 공동주택의 벽면 내부에는 옥내배선을 위하여 전선이 매설되고 있으며, 이 전선을 벽면 밖으로 인출한 후 스위치나 전원콘센트 등에 접속하기 위하여 매입형스위치박스를 콘크리트 타설작업 전에 콘크리트 거푸집의 내측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킨 다음 거푸집을 제거하여 벽면 밖으로 노출된 매입형스위치박스에 스위치, 콘센트 등을 설치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매입형스위치박스를 거푸집의 내측면에 밀착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 매입형스위치박스에 보강재를 결합하고, 결속와이어를 이용 벽면 내부에 배근된 철근에 보강재를 결속시킨 다음 거푸집을 설치하거나 콘크리트 벽면의 두께와 동일한 길이로 된 보조철근의 일측을 매입형스위치박스의 측면 또는 후면에 용접하고 보조철근의 타측은 배근된 철근에 용접시켜 거푸집을 설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보강재를 이용하는 것은 시공은 용이하나 매입형스위치박스가 철근에 설치된 후에는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거푸집을 설치할 때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거푸집과 매입형스위치박스 간에 틈이 발생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매입형스위치박스의 내부로 침투하여 매입형스위치박스가 벽체 내부에 매몰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옥내배선 작업에서 작업자가 매몰된 매입형스위치박스를 외부로 표출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파쇄시켜야 하고 이로 인해 벽면에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매입형스위치박스가 거푸집의 내측면보다 돌출된 경우에는 해머로 매입형스위치박스를 가격하여 거푸집의 내측면과 일치시켜야 하므로, 이 과정에서 매입형스위치박스가 훼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용접에 의한 설치는 콘크리트 벽면의 두께를 감안하여 철근에 용접하여 시공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거푸집의 내측면과 일치가 잘되지만 시공오차에 의해 거푸집이 기울어지거나 두께가 변하는 경우 매입형스위치박스의 위치를 변경 하기 위해 해머로 가격하여야 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을 위한 장비를 동원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11811호 (2006년 8월 4일 등록, 명칭: 배전단자함의 가변 결착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첨부도면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모양으로 절곡된 고정플레이트(10)의 좌우측에 직선가이드부(11a)(11b)가 형성되어 있었고, 이 직선가이드부(11a)(11b)의 끝부분에는 좌우측에 수직으로 위치된 철근(12a)(12b)에 물리는 "C"자 모양의 단면형태를 갖는 클램프(13a)(13b)가 형성되어 고정플레이트(10)가 철근(12a)(12b)에 의해 지지되어 있었으며, 매입형스위치박스(14)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플레이트(15)의 좌우측에는 직선가이드부(11a)(11b)에 미끄럼결합되는 사각파이프 형태의 직선안내부(16a)(16b)가 형성되어 있었고, 고정플레이트(10)와 베이스플레이트(15)의 사이에는 매입형스위치박스(14)를 거푸집(18)의 내측면을 향해 밀어내는 스프링(17a)(17b)이 개재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배전단자함의 가변 결착장치"는 매입형스위치박스(14)의 정면부와 거푸집(18)의 내측면(18a)이 평행하지 않은 경우 매입형스위치박스(14)가 거푸집(18)의 내측면(18a)에 완전하게 밀착하지 못하고, 일측에 틈(T)이 형성되면서 콘트리트 타설작업시 매입형스위치박스(14)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침투하여 매입형매전박스(14)가 콘크리트에 완전히 매몰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양측에 위치한 철근(12a)(12b)이 평행하지 못한 경우 지지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시공오차에 의해 거푸집의 내측면과 매입형스위치박스가 일정한 간격을 이루지 못한 경우에도 거푸집의 내측면에 매입형스위치박스가 밀착하도록 하여 매입형스위치박스와 거푸집 간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매입형스위치박스 내부로 콘크리트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양측에 위한 철근이 평행하지 못한 경우에도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는 건축물용 매입형스위치박스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좌·우측철근고정암의 중간에 형성된 힌지결합부에 클레비스 형태로 끼워져 제1수직핀에 의해 결합되는 제2클레비스결합부가 양단에 형성된 곡선형의 판스프링과; 좌·우측철근고정암의 타측단에 형성된 제1클레비스결합부에 끼워져 제2수직핀에 의해 결합되고, 중앙에 수평안내축이 형성된 아이링크와; 아이링크에 형성된 수평안내축에 결합되는 좌·우측링크결합부가 형성되고, 마름모꼴 형태로 결합되는 4절링크와; 4절링크의 상·하측링크결합부에 수평핀으로 결합되고, 좌우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직선안내홈을 갖는 슬라이더와; 매입형스위치박스의 후면에 고정되고, 슬라이더에 형성된 직선안내홈에 미끄럼 결합되어 슬라이더를 상하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리브가 수직커팅부 내측에 형성되고, 상하단에 반원절곡부가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와; 슬라이더의 중앙 에 끼워져 고정되고, 가이드플레이트에 형성된 반원절곡부에 의해 상하로 안내되는 스프링이탈방지봉과; 스프링이탈방지봉에 끼워진 채로 슬라이더와 가이드플레이트의 반원절곡부 사이에 위치되어 반발하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하여 건축물용 매입형스위치박스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매입형스위치박스가 판스프링과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거푸집에 밀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매입형스위치박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시공오차에 의해 거푸집이 약간 기울어진 경우 좌·우측철근고정암에 형성된 탄성절곡부가 휘면서 매입형스위치박스를 거푸집에 고른 면압으로 밀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가이드플레이트에 형성된 계단형의 물림턱에 의해 가이드플레이트를 매입형스위치박스 후면에 설치할 때 위치결정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도 있으며, 슬라이더에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된 관통구멍과 핀구멍에 의해 슬라이더를 4절링크의 상·하측링크결합부에 결합시킬 때 슬라이더에 형성된 핀구멍에 스프링이탈방지봉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슬라이더를 4절링크의 상·하측링크결합부에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이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3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철근고정암(30)(40)의 중간에 형성된 힌지결합부(32)(42)에 클레비스(clevis) 형태로 끼워져 제1수직핀(33)(43)에 의해 결합되는 제2클레비스결합부(52)(54)가 양단에 형성된 곡선형의 판스프링(50)과; 좌·우측철근고정암(30)(40)의 타측단에 형성된 제1클레비스결합부(34)(44)에 끼워져 제2수직핀(35)(45)에 의해 결합되고, 중앙에 수평안내축(61)(66)이 형성된 아이링크(60)(65)와; 아이링크(60)(65)에 형성된 수평안내축(61)(66)에 결합되는 좌·우측링크결합부(72a)(74a)(76a)(78a)가 형성되고, 마름모꼴 형태로 결합되는 4절링크(70)와; 4절링크(70)의 상·하측링크결합부(72b)(74b)(76b)(78b)에 수평핀(81)(86)으로 결합되고, 좌우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직선안내홈(82)(87)을 갖는 슬라이더(80)(85)와; 매입형스위치박스(25)의 후면에 고정되고, 슬라이더(80)(85)에 형성된 직선안내홈(82)(87)에 미끄럼 결합되어 슬라이더(80)(85)를 상하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리브(92)(97)가 수직커팅부(91)(96) 내측에 형성되고, 상하단에 반원절곡부(93)(98)가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90)(95)와; 슬라이더(80)(85)의 중앙에 끼워져 고정되고, 가이드플레이트(90)(95)에 형성된 반원절곡부(93)(98)에 의해 상하로 안내되는 스프링이탈방지봉(94)(99)과; 스프링이탈방지봉(94)(99)에 끼워진 채로 슬라이더(80)(85)와 가이드플레이트(90)(95)의 반원절곡부(93)(98) 사이에 위치되어 반발하는 압축스프링(100)(102)으로 구성한다.
여기서 좌·우측철근고정암(30)(40)에 형성된 제1클레비스결합부(34)(44)와 힌지결합부(32)(42) 사이에 탄성절곡부(30k)(40k)를 두어 좌·우측철근고정암(30)(40)이 좌·우측세로철근(20)(22)을 중심으로 회동될 때 탄성을 갖고 휘도록 한다.
또한, 좌·우측철근고정암(30)(40)과 판스프링(50)을 연결하는 제1수직핀(33)(43)에 제1스냅링(33s)(43s)을 끼워서 좌·우측철근고정암(30)(40)에 형성된 힌지결합부(32)(42)와 판스프링(50)에 형성된 제1클레비스결합부(34)(44)로부터 제1수직핀(33)(43)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좌·우측철근고정암(30)(40)과 아이링크(60)(65)를 연결하는 제2수직핀(35)(45)에도 제2스냅링(35s)(45s)을 끼워서 좌·우측철근고정암(30)(40)에 형성된 제1클레비스결합부(34)(44)와 아이링크(60)(65)로부터 제2수직핀(35)(45)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아이링크(60)(65)에 형성된 수평안내축(61)(66)에도 제3스냅링(61s)(66s)을 끼워서 4절링크(70)가 아이링크(60)(65)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4절링크(70)의 상·하측링크결합부(72b)(74b)(76b)(78b)를 연결하는 수평핀(81)(86)에도 제4스냅링(81s)(86s)을 끼워서 4절링크(70)의 상·하측링크결합부(72b)(74b)(76b)(78b)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4절링크(70)는 4개의 링크(72)(74)(76)(78)를 마름모꼴로 연결하여 구성된 것이며, 좌·우측철근고정암(30)(40)에 형성된 탄성클램프(31)(41)의 내측면에는 좌·우측세로철근(20)(22)에 형성된 요철부위에 걸리는 요철(31m)(41m)을 형성하여 탄성클램프(31)(41)가 좌·우측세로철근(20)(22)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슬라이더(80)(85)의 중앙에 관통구멍(83)(88)을 형성하고, 관통구멍(83)(88)과 직교로 만나는 핀구멍(81h)(86h)을 슬라이더(80)(85)에 상하로 관통 되도록 형성하며, 수평핀(81)(86)의 단부에는 슬라이더(80)(85)에 형성된 핀구멍(81h)(86h)과 중심이 일치하는 봉삽입홀(81t)(86t)을 형성하여 수평핀(81)(86)을 슬라이더(80)(85)에 형성된 관통구멍(83)(88)으로 삽입한 후 스프링이탈방지봉(94)(99)을 핀구멍(81h)(86h)과 봉삽입홀(81t)(86t)로 삽입하여 수평핀(81)(86)과 슬라이더(80)(85)가 스프링이탈방지봉(94)(99)에 의해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스프링이탈방지봉(94)(99)에 제5스냅링(94s)(99s)을 끼워서 스프링이탈방지봉(94)(99)이 슬라이더(80)(85)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가이드플레이트(90)(95)는 두 개로 분리되어 있으며, 매입형스위치박스(25)에 형성된 체결구멍(25h)과 중심이 일치하는 체결공(90h)(95h)을 가이드플레이트(90)(95)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에 형성하여 볼트(120)와 너트(110)(112)에 의해 가이드플레이트(90)(95)를 매입형스위치박스(25) 후면에 고정한다.
또, 가이드플레이트(90)(95)를 매입형스위치박스(25)에 고정할 때 위치결정이 용이하도록 가이드플레이트(90)(95)의 단부에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계단형의 물림턱(90k)(95k)을 형성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00은 거푸집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3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철근고정암(30)(40)에 형성된 탄성클램프(31)(41)를 좌·우측세로철근(20)(22)에 끼우게 되면, 탄성클램프(31)(41)의 입구가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면서 좌·우측세로철근(20)(22)에 끼워지게 되며, 좌·우측세로철근(20)(22)에 완전히 결합된 후에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좌·우측세로철근(20)(22)의 외부를 강하게 물게 된다.
이때 탄성클램프(31)(41)의 내측면에 형성된 요철(31m)(41m)이 좌·우측세로철근(20)(22)에 형성된 요철부위에 걸리면서 탄성클램프(31)(41)가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위와 같이 탄성클램프(31)(41)가 좌·우측세로철근(20)(22)에 고정되면, 아이링크(60)(65)와 4절링크(70) 및 슬라이더(80)(85), 가이드플레이트(90)(95)에 의해 좌·우측철근고정암(30)(40)에 설치되어 있는 매입형스위치박스(25)가 판스프링(50)의 탄성에 의해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거푸집(200)을 매입형스위치박스(25)의 전면에 밀착시키면서 설치하게 되면, 매입형스위치박스(25)가 후방으로 후퇴되면, 좌·우측철근고정암(30)(40)이 좌·우측세로철근(20)(22)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좌·우측철근고정암(30)(40)의 타측단에 형성된 제1클레비스결합부(34)(44) 사이가 좁아지는 동시에 좌·우측철근고정암(30)(40)의 힌지결합부(32)(42)에 결합되어 있는 판스프링(50)이 자유상태일 때보다 더 큰 곡률반경으로 펴지면서 좌·우측철근고정암(30)(40)에 강한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즉, 좌·우측철근고정암(30)(40)의 타측단에 형성된 제1클레비스결합부(34)(44) 사이가 좁아지게 되면, 제2수직핀(35)(45)을 통해 제1클레비스결합부(34)(44)에 결합되어 있는 아이링크(60)(65)의 사이가 좁아지게 되며, 아이링크(60)(65)의 수평안내축(61)(66)에 결합되어 있는 4절링크(70)의 좌·우측링크결합부(72a)(74a)(76a)(78a) 사이도 좁아지면서 4절링크(70)의 상·하측링크결합 부(72b)(74b)(76b)(78b) 사이가 멀어지게 된다.
이때 수평핀(81)(86)에 의해 4절링크(70)의 상·하측링크결합부(72b)(74b)(76b)(78b)에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더(80)(85)가 상·하측링크결합부(72b)(74b)(76b)(78b)를 따라 상반된 방향으로 이동되며, 슬라이더(80)(85)는 매입형스위치박스(25) 후면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플레이트(90)(95)의 가이드리브(92)(97)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직선안내된다.
또한, 슬라이더(80)(85)가 상반된 방향으로 이동되어 사이가 멀어지게 되면, 가이드플레이트(90)(95)의 반원절곡부(93)(98)와 슬라이더(80)(85) 사이에 위치되어 있던 압축스프링(100)(102)이 압축되어 탄성에너지를 지니게 되며, 슬라이더(80)(85)에 설치된 스프링이탈방지봉(94)(99)은 가이드플레이트(90)(95)에 형성된 반원절곡부(93)(98)를 미끄러지면서 압축스프링(100)(102)이 옆으로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즉, 매입형스위치박스(25)는 판스프링(50)과 압축스프링(100)(102)이 지닌 탄성력에 의해 거푸집(200)에 강하게 밀착되며, 거푸집(200)이 기울어진 경우에는 좌·우측철근고정암(30)(40)에 형성된 양측의 탄성절곡부(30k)(40k) 중 하나는 벌어지고 나머지는 좁아지면서 기울기에 적응하여 매입형스위치박스(25)가 거푸집(200)에 고른 압력으로 밀착되도록 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공동주택용 매입형스위치박스의 고정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매입형스위치박스와 거푸집 내측면과의 사이에 틈이 발생한 예를 보인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매입형스위치박스 고정장치를 보인 배면측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매입형스위치박스 고정장치를 보인 정면측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매입형스위치박스 고정장치를 보인 결합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매입형스위치박스 고정장치에 의해 매입형스위치박스가 좌·우측세로철근에 고정된 것을 보인 배면측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매입형스위치박스 고정장치에 의해 매입형스위치박스가 좌·우측세로철근에 고정된 것을 보인 정면측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매입형스위치박스 고정장치를 보인 측단면 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매입형스위치박스 고정장치를 보인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매입형스위치박스 고정장치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22 : 좌·우측세로철근 25 : 매입형스위치박스
30,40 : 좌·우측철근고정암 31,41 : 탄성클램프
32,42 : 힌지결합부 33,43 : 제1수직핀
34,44 : 제1클레비스결합부 35,45 : 제2수직핀
50 : 판스프링 52,54 : 제2클레비스결합부
60,65 : 아이링크 61,66 : 수평안내축
70 : 4절링크 72a,74a,76a,78a : 좌·우측링크결합부
80,85 : 슬라이더 72b,74b,76b,78b : 상·하측링크결합부
81,86 : 수평핀 82,87 : 직선안내홈
90,95 : 가이드플레이트 91,96 : 수직커팅부
92,97 : 가이드리브 93,98 : 반원절곡부
94,99 : 스프링이탈방지봉 100,102 : 압축스프링

Claims (1)

  1. 좌·우측세로철근(20)(22)에 끼워져 물리는 "C"자 모양의 단면을 갖는 탄성클램프(31)(41)가 일측단에 형성된 좌·우측철근고정암(30)(40)을 갖는 건축물용 매입형스위치박스 고정장치에 있어서,
    좌·우측철근고정암(30)(40)의 중간에 형성된 힌지결합부(32)(42)에 클레비스(clevis) 형태로 끼워져 제1수직핀(33)(43)에 의해 결합되는 제2클레비스결합부(52)(54)가 양단에 형성된 곡선형의 판스프링(50)과;
    좌·우측철근고정암(30)(40)의 타측단에 형성된 제1클레비스결합부(34)(44)에 끼워져 제2수직핀(35)(45)에 의해 결합되고, 중앙에 수평안내축(61)(66)이 형성된 아이링크(60)(65)와;
    아이링크(60)(65)에 형성된 수평안내축(61)(66)에 결합되는 좌·우측링크결합부(72a)(74a)(76a)(78a)가 형성되고, 마름모꼴 형태로 결합되는 4절링크(70)와;
    4절링크(70)의 상·하측링크결합부(72b)(74b)(76b)(78b)에 수평핀(81)(86)으로 결합되고, 좌우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직선안내홈(82)(87)을 갖는 슬라이더(80)(85)와;
    매입형스위치박스(25)의 후면에 고정되고, 슬라이더(80)(85)에 형성된 직선안내홈(82)(87)에 미끄럼 결합되어 슬라이더(80)(85)를 상하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리브(92)(97)가 수직커팅부(91)(96) 내측에 형성되고, 상하단에 반원절곡부(93)(98)가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90)(95)와;
    슬라이더(80)(85)의 중앙에 끼워져 고정되고, 가이드플레이트(90)(95)에 형성된 반원절곡부(93)(98)에 의해 상하로 안내되는 스프링이탈방지봉(94)(99)과;
    스프링이탈방지봉(94)(99)에 끼워진 채로 슬라이더(80)(85)와 가이드플레이트(90)(95)의 반원절곡부(93)(98) 사이에 위치되어 반발하는 압축스프링(100)(10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매입형스위치박스 고정장치.
KR1020070091227A 2007-09-07 2007-09-07 건축물용 매입형스위치박스 고정장치 KR100778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227A KR100778289B1 (ko) 2007-09-07 2007-09-07 건축물용 매입형스위치박스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227A KR100778289B1 (ko) 2007-09-07 2007-09-07 건축물용 매입형스위치박스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8289B1 true KR100778289B1 (ko) 2007-11-22

Family

ID=39080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227A KR100778289B1 (ko) 2007-09-07 2007-09-07 건축물용 매입형스위치박스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8289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437B1 (ko) 2008-02-05 2008-07-10 주식회사 정우종합기술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의 회전관절구조
KR100910740B1 (ko) 2009-04-06 2009-08-05 (주)신성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장치
KR100991405B1 (ko) 2010-07-19 2010-11-03 (주)케이아이기술단 공동주택의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장치
KR101106257B1 (ko) 2011-12-14 2012-01-18 (주)대화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전기기구용 매입형 스위치 박스
KR101446010B1 (ko) 2014-08-22 2014-09-29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스위치박스 고정장치
KR101446009B1 (ko) 2014-08-22 2014-09-29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전기매립박스의 콘크리트 거푸집 밀착구조
EP2804277A3 (de) * 2013-05-14 2015-04-29 Agro AG Unterputzdose für elektrische Anschlüsse
KR20160125701A (ko) * 2015-04-22 2016-11-01 주식회사 공진 역래치식 평면핸들장치
EP3647513A1 (de) * 2018-10-29 2020-05-06 Kaiser GmbH & Co. KG Rohrbefestigung
KR102180552B1 (ko) * 2020-05-15 2020-11-18 (주)선경엔지니어링 건축용 통신 단자함 도어구조
KR102347556B1 (ko) * 2021-05-28 2022-01-06 주식회사 성우이엠이 배전용 케이블 결속장치
KR102624599B1 (ko) 2023-03-31 2024-01-15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건축용 배전 스위치박스 고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603B1 (ko) 2006-11-09 2007-02-16 (주)미래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매입형배전박스의 밀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603B1 (ko) 2006-11-09 2007-02-16 (주)미래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매입형배전박스의 밀착구조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437B1 (ko) 2008-02-05 2008-07-10 주식회사 정우종합기술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의 회전관절구조
KR100910740B1 (ko) 2009-04-06 2009-08-05 (주)신성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장치
KR100991405B1 (ko) 2010-07-19 2010-11-03 (주)케이아이기술단 공동주택의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장치
KR101106257B1 (ko) 2011-12-14 2012-01-18 (주)대화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전기기구용 매입형 스위치 박스
EP2804277A3 (de) * 2013-05-14 2015-04-29 Agro AG Unterputzdose für elektrische Anschlüsse
KR101446009B1 (ko) 2014-08-22 2014-09-29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전기매립박스의 콘크리트 거푸집 밀착구조
KR101446010B1 (ko) 2014-08-22 2014-09-29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스위치박스 고정장치
KR20160125701A (ko) * 2015-04-22 2016-11-01 주식회사 공진 역래치식 평면핸들장치
KR101674552B1 (ko) * 2015-04-22 2016-11-09 주식회사 공진 역래치식 평면핸들장치
EP3647513A1 (de) * 2018-10-29 2020-05-06 Kaiser GmbH & Co. KG Rohrbefestigung
KR102180552B1 (ko) * 2020-05-15 2020-11-18 (주)선경엔지니어링 건축용 통신 단자함 도어구조
KR102347556B1 (ko) * 2021-05-28 2022-01-06 주식회사 성우이엠이 배전용 케이블 결속장치
KR102624599B1 (ko) 2023-03-31 2024-01-15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건축용 배전 스위치박스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8289B1 (ko) 건축물용 매입형스위치박스 고정장치
KR100991405B1 (ko) 공동주택의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장치
KR101813377B1 (ko) 철근 커플러
KR100649366B1 (ko) 공동주택용 매입형배전박스의 회전관절구조
KR102034855B1 (ko) 전기공사의 콘센트 박스 고정장치
KR100682603B1 (ko) 공동주택용 매입형배전박스의 밀착구조
KR100611811B1 (ko) 배전단자함의 가변 결착장치
CN207377516U (zh) 液压钳及液压设备
KR100845437B1 (ko)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의 회전관절구조
KR100708601B1 (ko) 건축물의 전기 단자함
KR100910740B1 (ko)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장치
KR102341996B1 (ko) 전기, 통신, 소방 매립 배관 지지대
CN217551007U (zh) 一种钢筋折弯套筒
KR200462543Y1 (ko) 어스 케이블 꺾임 방지기능을 갖는 용접용 접지 클램프
CN212927010U (zh) 工程用便于安装的钢模板
KR20090002157U (ko) 건설용 사각 파이프 접속기구
KR100670692B1 (ko)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의 스프링 밀폐구조
KR200386882Y1 (ko) 거푸집용 지지대 고정구
KR20150000455U (ko) 파이프 또는 부자재용 측면행거
KR101087041B1 (ko) 공동주택용 매입형배전박스의 밀착구조
KR101446009B1 (ko) 전기매립박스의 콘크리트 거푸집 밀착구조
KR20130000744U (ko) 전선관 접속용 아웃렛 박스
KR102163109B1 (ko) 매립박스 고정용 브래킷
KR101494647B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101106257B1 (ko) 공동주택 전기기구용 매입형 스위치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