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8601B1 - 건축물의 전기 단자함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전기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8601B1
KR100708601B1 KR1020070008352A KR20070008352A KR100708601B1 KR 100708601 B1 KR100708601 B1 KR 100708601B1 KR 1020070008352 A KR1020070008352 A KR 1020070008352A KR 20070008352 A KR20070008352 A KR 20070008352A KR 100708601 B1 KR100708601 B1 KR 100708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hole
terminal box
ro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윤
Original Assignee
(주)건일엠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일엠이씨 filed Critical (주)건일엠이씨
Priority to KR1020070008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86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8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8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또는 건물 등과 같은 건축물의 벽체에 매설되어 배선되는 전선을 연결하는 단자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단자함이 거푸집의 전면에 밀착되게 하여 정확하고 견고하게 벽체에 고정되는 건축물의 전기 단자함에 관한 것이며, 전방이 개방된 박스체(11)의 벽면에 전선홀(13)이 형성되고, 양측면 벽체 외측면에 수평으로 톱니부(12)가 형성되며, 박스체(11)의 후면에 다수개의 스프링(14)이 용접으로 고정되고, 박스체(11)가 외부박스(20)에 삽입되는 내부단자함(10); 전방이 개방된 박스체(21)의 후방 내측면에 다수개의 스프링삽입홈부(28)가 형성되어 스프링(14)의 타단이 삽입되고, 내부단자함(10)의 전선홀(13)이 위치하는 곳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결관이동장공(22)이 형성되며, 박스체(21) 양측벽면을 관통하는 봉홀(23)이 형성되고, 봉홀(23)의 내경 일부가 내측벽면쪽으로 확장되어 스프링홈(24)이 형성되며, 스프링홈(24)과 연결되어 박스체(21) 내측벽면에 사각의 고정구홈(25)이 형성되고, 박스체(21) 후방 외측면에 다수개의 볼트홀(27)이 십자 형상으로 줄지어 형성되는 외부박스(20); 사각의 고정편(31)의 일측면에 톱니(33)가 형성되어 내부단자함(10)의 톱니부(12)와 맞물리고, 고정편(31)의 타측면에 봉(32)이 고정되며, 봉(32)의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봉홀(23)을 통해 삽입되고, 봉(32)에 스프링(34)이 삽입되어 스프링홈(24)에서 지지되며, 봉(32)은 너트(26)와 체결되어 고정편(31)이 고정구홈(25)에 삽입되는 고정구(30); 중앙에 홀(41)이 형성된 원통형 관체 내경에 나사산(42)이 형성되어 연결관이동장공(22)과 전선홀(13)에 삽입되고, 고정캡(43)이 내부단자함(10) 내측에서 체결되어 고정되며, 고정캡(43)의 중앙에 중공의 홀(45)이 형성되고, 고정캡(43)의 외경에 나사산(44)이 형성되는 연결관(40); 4개의 탄성판체부(51)의 일단에 고정부(52)가 형성되어 고정볼트(54)로 외부박스(20) 후방벽면에 형성된 볼트홀(27)중 2개와 체결되어 각각 고정되고, 탄성판체부(51)의 타단에 철근홈부(53)가 후방을 향하여 형성되어 철근(110)에 고정되는 철근고정쇠(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자함, 내부단자함, 외부박스, 철근고정쇠

Description

건축물의 전기 단자함{An electric terminal box of houses}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물의 전기 단자함이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물의 전기 단자함의 설치된 상태를 배면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물의 전기 단자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물의 전기 단자함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건축물의 전기 단자함을 도시한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건축물의 전기 단자함을 도시한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건축물의 전기 단자함을 도시한 도 1의 B-B선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건축물의 전기 단자함을 설치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내부단자함 11 : 박스체
12 : 톱니부 13 : 전선홀
14 : 스프링 20 : 외부박스
21 : 박스체 22 : 연결관이동장공
23 : 봉홀 24 : 스프링홈
25 : 고정구홈 26 : 너트
27 : 볼트홀 28 : 스프링삽입홈부
30 : 고정구 31 : 고정편
32 : 봉 33 : 톱니
34 : 스프링 40 : 연결관
41, 45 : 홀 42, 44 : 나사산
43 : 고정캡 50 : 철근고정쇠
51 : 탄성판체부 52 : 고정부
53 : 철근홈부 54 : 고정볼트
100 : 거푸집 110 : 철근
본 발명은 건축물의 전기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 또는 건물 등과 같은 건축물의 벽체에 매설되어 배선되는 전선을 연결하는 단자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단자함이 거푸집의 전면에 밀착되게 하여 정확하고 견고하게 벽체에 고정되는 건축물의 전기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자함이라고 하면, 단독, 공동주택 혹은 건물 등의 시공시 벽체에 매설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예컨대 전기선, 전화선, 인터넷 전용선, 안테 나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인데, 위와 같은 단자함을 벽체에 매설하는 과정을 보면, 벽체를 형성하는 철근 골조를 먼저 설치 후, 그 철근 골조에는 미리 준비된 단자함을 그 단자함의 개방부가 실내로 노출되게 위치하고, 이어서 거푸집을 설치 후 시멘트 몰탈을 타설함에 의해 단자함이 매입된 벽체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에서 거푸집의 설치시 그 거푸집은 단자함의 개방부를 폐쇄하는 상태로 설치해야만 한다. 그 이유는 시멘트 몰타르의 타설시 시멘트 몰타르가 개방구를 통하여 단자함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단자함의 개방구가 거푸집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지 않고 어느 정도의 간격이 있게 되는 경우에는 타설되는 그 거푸집의 내부로 타설되는 시멘트 몰탈은 개방구를 통해 유입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단자함의 개구를 별도의 부재나 도구를 사용하여 막지 않으면 안되는 불편이 있고, 만약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에는 시멘트 몰탈이 양생되어 거푸집을 이탈 시킨 후에는 상기 단자함으로 유입되어 굳어진 시멘트 몰탈을 일일히 털어내지 않으면 안되는 불편과 번거로움이 있다.
위와 같은 일들이 발생되는 주된 이유는 철근 골조의 시공이 정확이 되지 못하는 작업상의 미숙에서 가끔씩 발생하게 되는데, 철근 골조의 시공상의 오차는 결과적으로 거푸집과 단자함과의 사이에 간극을 생기게 하는 문제를 유발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자함을 철근 골조에 고정하는 고정구를 구비하고, 고정구에 슬라이드홈을 적어도 한개 이상 두며, 몸체에 슬라이드홈과 결합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단자함이 개발되어 거푸집과 밀착될 수 있게 이동시킬 수 있으나, 완전히 밀착되기 어려워 철근 골조의 시공상 오차가 있는 경우 완벽하게 간격없이 밀착되기 힘들고, 철근에 견고히 고정되기 힘든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내부단자함을 외부박스의 내부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외부박스의 배면에 철근고정쇠를 탄력지지되게 고정하며, 내부단자함이 외부박스의 내부에서 스프링에 의해서 탄성이동 가능하게 하여 거푸집에 밀착되게 하면 내부단자함을 거푸집쪽으로 밀고, 철근고정쇠가 철근에 고정된채로 외부박스를 거푸집쪽으로 힘을 가한채 탄성지지하게 한 후에 고정구에 의해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콘크리트 타설을 하는 건축물의 전기 단자함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외부단자함이 내부단자함을 보호하면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철근고정쇠가 철근의 위치에 따라 조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방이 개방된 박스체의 벽면에 전선홀이 형성되고, 양측면 벽체 외측면에 수평으로 톱니부가 형성되며, 박스체의 후면에 다수개의 스프링이 용접으로 고정되고, 박스체가 외부박스에 삽입되는 내부단자함; 전방이 개방된 박스체의 후방 내측면에 다수개의 스프링삽입홈부가 형성되어 스프링의 타단이 삽입되고, 내부단자함의 전선홀이 위치하는 곳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결관이동장공이 형성되며, 박스체 양측벽면을 관통하는 봉홀이 형성되고, 봉홀의 내경 일부가 내측벽면쪽으로 확장되어 스프링홈이 형성되며, 스프링홈과 연 결되어 박스체 내측벽면에 사각의 고정구홈이 형성되고, 박스체 후방 외측면에 다수개의 볼트홀이 십자 형상으로 줄지어 형성되는 외부박스; 사각의 고정편의 일측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내부단자함의 톱니부와 맞물리고, 고정편의 타측면에 봉이 고정되며, 봉의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봉홀을 통해 삽입되고, 봉에 스프링이 삽입되어 스프링홈에서 지지되며, 봉은 너트와 체결되어 고정편이 고정구홈에 삽입되는 고정구; 중앙에 홀이 형성된 원통형 관체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연결관이동장공과 전선홀에 삽입되고, 고정캡이 내부단자함 내측에서 체결되어 고정되며, 고정캡의 중앙에 중공의 홀이 형성되고, 고정캡의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결관; 4개의 탄성판체부의 일단에 고정부가 형성되어 고정볼트로 외부박스 후방벽면에 형성된 볼트홀중 2개와 체결되어 각각 고정되고, 탄성판체부의 타단에 철근홈부가 후방을 향하여 형성되어 철근에 고정되는 철근고정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전기 단자함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내부단자함(10)이 외부박스(20)의 내부에서 전후 이동가능하게 탄 력지지되고, 내부단자함(10)의 양측 벽면에 형성된 톱니부(12)에 고정구(30)가 맞물려 고정되게 하며, 외부박스(20)의 후방 벽면에 4방향으로 고정되는 철근고정쇠(50)가 외부박스(20)를 거푸집(100) 쪽으로 탄력적으로 밀어주어 내부단자함(10)의 전단이 거푸집(100)에 밀착되게 하고, 연결관(40)이 내부단자함(10)과 외부박스(20)의 전선홀(13)과 연결관이동장공(22)을 연결하여 내부단자함(10)의 전후 이동에도 전선이 내부로 인입될 수 있게 한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내부단자함(10)은 전방이 개방된 박스체(11)의 각 벽면에 전선홀(13)이 형성되고, 박스체(11)는 철재로 이루어진다.
내부단자함(10)의 박스체(11) 양측면 벽체 외측면에 수평으로 톱니부(12)가 형성되고, 박스체(11)의 후면에 다수개의 스프링(14)이 용접으로 고정된다. 톱니부(12)는 톱니형상의 판체를 박스체(11)의 외측벽면에 수평으로 접착제등으로 부착하거나, 용접으로 고정한다. 스프링(14)의 일단은 박스체(11)에 용접되므로 스프링(14)의 타단이 외부박스(20)에 닿아 내부단자함(10)을 항상 전방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내부단자함(10)은 외부박스(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전후 이동하게 된다.
외부박스(20)는 전방이 개방된 박스체(21)의 후방 내측면에 다수개의 스프링삽입홈부(28)가 형성되어 내부단자함(10)의 스프링(14) 타단이 삽입되고, 내부단자함(10)의 전선홀(13)이 위치하는 곳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결관이동장공(22)이 형성된다.
박스체(21) 양측벽면에 봉홀(23)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봉홀(23)의 내경 일부가 내측벽면쪽으로 확장되어 스프링홈(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스프링홈(24)과 연결되어 박스체(21) 내측벽면에 사각의 고정구홈(25)이 형성되고, 박스체(21) 후방 외측면에 다수개의 볼트홀(27)이 십자 형상으로 줄지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고정구(30)는 사각의 고정편(31)의 일측면에 톱니(33)가 형성되어 내부단자함(10)의 톱니부(12)와 맞물리고, 고정편(31)의 타측면에 봉(32)이 고정된다.
고정구(30)는 봉(32)의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봉홀(23)을 통해 삽입되고, 봉(32)에 스프링(34)이 삽입되어 스프링홈(24)에서 지지되며, 봉(32)은 너트(26)와 체결되어 고정편(31)이 고정구홈(25)에 삽입된다.
평소에는 너트(26)에 의해 봉(32)이 체결되어 고정되고 있다가, 위치가 정해지면 너트(26)를 풀어 고정구(30)의 톱니(33)가 내부단자함(10)의 톱니부(12)에 맞물려 위치가 고정된다. 이때 고정구(30)에 체결된 너트(26)를 풀게 되면 스프링(34)의 힘에 의해 내부단자함(10) 쪽으로 밀려 고정된다.
연결관(40)은 중앙에 홀(41)이 형성된 원통형 관체 내경에 나사산(42)이 형성된 것으로, 연결관이동장공(22)과 전선홀(13)에 삽입된다. 그리고 고정캡(43)이 내부단자함(10) 내측에서 연결관(40)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고정캡(43)의 중앙에 중공의 홀(45)이 형성되며, 고정캡(43)의 외경에 나사산(44)이 형성된다.
연결관(40)은 연결관이동장공(22)을 따라 움직이면서 내부단자함(10)의 전선홀(13)과 연결한다.
철근고정쇠(50)는 4개로 이루어져 외부박스(20)의 후방 벽면에 고정되어 철 근(110)에 고정 지지되게 하는 것이다.
4개의 탄성판체부(51)의 일단에 고정부(52)가 형성되어 고정볼트(54)로 외부박스(20) 후방벽면에 형성된 볼트홀(27)중 2개와 체결되어 각각 고정되고, 탄성판체부(51)의 타단에 철근홈부(53)가 후방을 향하여 형성되어 철근(110)에 고정된다.
외부박스(20)의 후방벽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볼트홀(27)에서 두개를 위치에 따라 선택하여 고정볼트(54)로 고정한다.
이와 같이 고정하면 각각의 철근고정쇠(50)가 철근(110)을 밀면서 외부박스(2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므로 4방향에 약간의 유격이 있더라도 각각의 탄성력에 의해 흡수되어 거푸집(100)에 내부단자함(10)의 전단부가 밀착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외부박스의 내부에 내부단자함이 탄력지지되어 거푸집에 밀착되는 효과가 있고, 철근고정쇠가 철근을 거푸집 쪽으로 이중으로 밀어주어 더욱 밀착력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철근고정쇠가 4방향에서 각각 탄력지지하고 있으므로 거푸집에 다른 정도의 힘으로 밀착되게 하여 4방향으로 발생하는 간극을 없애면서 밀착되는 효과가 있다.
거푸집에 밀착된 상태를 고정구로 유지시켜 콘크리트 타설을 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방이 개방된 박스체(11)의 벽면에 전선홀(13)이 형성되고, 양측면 벽체 외측면에 수평으로 톱니부(12)가 형성되며, 박스체(11)의 후면에 다수개의 스프링(14)이 용접으로 고정되고, 박스체(11)가 외부박스(20)에 삽입되는 내부단자함(10);
    전방이 개방된 박스체(21)의 후방 내측면에 다수개의 스프링삽입홈부(28)가 형성되어 스프링(14)의 타단이 삽입되고, 내부단자함(10)의 전선홀(13)이 위치하는 곳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결관이동장공(22)이 형성되며, 박스체(21) 양측벽면을 관통하는 봉홀(23)이 형성되고, 봉홀(23)의 내경 일부가 내측벽면쪽으로 확장되어 스프링홈(24)이 형성되며, 스프링홈(24)과 연결되어 박스체(21) 내측벽면에 사각의 고정구홈(25)이 형성되고, 박스체(21) 후방 외측면에 다수개의 볼트홀(27)이 십자 형상으로 줄지어 형성되는 외부박스(20);
    사각의 고정편(31)의 일측면에 톱니(33)가 형성되어 내부단자함(10)의 톱니부(12)와 맞물리고, 고정편(31)의 타측면에 봉(32)이 고정되며, 봉(32)의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봉홀(23)을 통해 삽입되고, 봉(32)에 스프링(34)이 삽입되어 스프링홈(24)에서 지지되며, 봉(32)은 너트(26)와 체결되어 고정편(31)이 고정구홈(25)에 삽입되는 고정구(30);
    중앙에 홀(41)이 형성된 원통형 관체 내경에 나사산(42)이 형성되어 연결관이동장공(22)과 전선홀(13)에 삽입되고, 고정캡(43)이 내부단자함(10) 내측에서 체 결되어 고정되며, 고정캡(43)의 중앙에 중공의 홀(45)이 형성되고, 고정캡(43)의 외경에 나사산(44)이 형성되는 연결관(40);
    4개의 탄성판체부(51)의 일단에 고정부(52)가 형성되어 고정볼트(54)로 외부박스(20) 후방벽면에 형성된 볼트홀(27)중 2개와 체결되어 각각 고정되고, 탄성판체부(51)의 타단에 철근홈부(53)가 후방을 향하여 형성되어 철근(110)에 고정되는 철근고정쇠(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전기 단자함.
KR1020070008352A 2007-01-26 2007-01-26 건축물의 전기 단자함 KR100708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352A KR100708601B1 (ko) 2007-01-26 2007-01-26 건축물의 전기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352A KR100708601B1 (ko) 2007-01-26 2007-01-26 건축물의 전기 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8601B1 true KR100708601B1 (ko) 2007-04-18

Family

ID=38181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352A KR100708601B1 (ko) 2007-01-26 2007-01-26 건축물의 전기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860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393B1 (ko) 2008-11-06 2011-02-22 강영주 외부아웃렛박스
KR102355908B1 (ko) * 2021-05-27 2022-02-08 서한컨설탄트(주) 아파트 세대별 내진 통합단자함
KR102355906B1 (ko) * 2021-05-27 2022-02-08 서한컨설탄트(주) 내진성능을 가진 건물의 통합단자함
KR102355905B1 (ko) * 2021-05-27 2022-02-08 서한컨설탄트(주) 공동주택의 내진 통합단자함
KR102486706B1 (ko) * 2021-12-01 2023-01-10 (주)한양이엔씨 내진기능을 가진 공동주택용 통합단자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090B1 (ko) 2006-09-29 2006-11-28 주식회사 티아이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십자형 단자함 고정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090B1 (ko) 2006-09-29 2006-11-28 주식회사 티아이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십자형 단자함 고정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393B1 (ko) 2008-11-06 2011-02-22 강영주 외부아웃렛박스
KR102355908B1 (ko) * 2021-05-27 2022-02-08 서한컨설탄트(주) 아파트 세대별 내진 통합단자함
KR102355906B1 (ko) * 2021-05-27 2022-02-08 서한컨설탄트(주) 내진성능을 가진 건물의 통합단자함
KR102355905B1 (ko) * 2021-05-27 2022-02-08 서한컨설탄트(주) 공동주택의 내진 통합단자함
KR102486706B1 (ko) * 2021-12-01 2023-01-10 (주)한양이엔씨 내진기능을 가진 공동주택용 통합단자함
KR102486717B1 (ko) * 2021-12-01 2023-01-10 (주)한양이엔씨 내진기능을 갖춘 아파트 세대별 통합단자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8601B1 (ko) 건축물의 전기 단자함
FI59471C (fi) Klamma
KR100732554B1 (ko) 강선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거의 연결구조와 그연결방법
KR100649366B1 (ko) 공동주택용 매입형배전박스의 회전관절구조
KR100611811B1 (ko) 배전단자함의 가변 결착장치
KR101312873B1 (ko) 벽체 시공을 위한 수도관 지지 장치
US8647542B2 (en) Method of forming a rebate in a surface of a slip form cast core using a rebate form with ferrule support
KR100687602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200457831Y1 (ko) 정착구(定着具) 헤드가 부분 매입되어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과 그 정착구의 구조
KR100648090B1 (ko) 공동주택용 십자형 단자함 고정구
KR200398652Y1 (ko) 매입형 전선함의 후면 지지봉
JP2005325518A (ja) プレストレス導入ユニットおよびプレストレス導入方法
KR200381082Y1 (ko)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
KR100851850B1 (ko)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보호관 구조
KR20080087603A (ko) 중공 파이프용 가설 고정구
KR20080029331A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200460713Y1 (ko)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
KR200427623Y1 (ko) 수전구 고정대
KR100611813B1 (ko) 배전단자함의 가변 결착장치
JP2009167777A (ja) 型枠パネル及び連結金具と除去金具
KR200403203Y1 (ko) 차음 펜스용 플라스틱 패널
KR200426159Y1 (ko) 슬래브 매입형 배관 연결장치
KR20090043027A (ko)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
KR20110003063U (ko) 배관 고정장치
JP2004360399A (ja) コンクリート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