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831Y1 - 정착구(定着具) 헤드가 부분 매입되어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과 그 정착구의 구조 - Google Patents

정착구(定着具) 헤드가 부분 매입되어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과 그 정착구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831Y1
KR200457831Y1 KR2020090008551U KR20090008551U KR200457831Y1 KR 200457831 Y1 KR200457831 Y1 KR 200457831Y1 KR 2020090008551 U KR2020090008551 U KR 2020090008551U KR 20090008551 U KR20090008551 U KR 20090008551U KR 200457831 Y1 KR200457831 Y1 KR 2004578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vert
anchorage
wedge
culvert block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5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228U (ko
Inventor
양학래
Original Assignee
양학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학래 filed Critical 양학래
Priority to KR20200900085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831Y1/ko
Publication of KR201100002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2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8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8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02D2200/146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의 보강부 앞뒤 마구리 각각에 정착 홈과 정착구 삽입홈을 형성하고, 정착 홈 각각에는 정착구의 부품인 정착구 헤드를 일부분씩 똑바로 매입한 다음,
상기 암거 블록 다수 개를 사용하여 지중에 암거를 부설할 때는, 정착구 헤드 각각에 정착구의 다른 부품인 커플링을 각각 나사 체결하는 방법으로, 커플링 다수 개를 암거 블록의 보강부 앞쪽 마구리에 똑바로 고정시켜서,
이후 이루어지는 강연선의 정착구(커플링) 삽입 및 체결 과정을 신속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 개의 정착구 헤드가 부분 매입되어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과 그 정착구(定着具)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마구리의 형태에 따라 분류되는 많은 종류의 기존 암거 블록에게 본 고안을 적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마구리의 형태가 기존 암거 블록과 같은 전단키 형태 및 소켓 형태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의 구조에 있어서,
암거 블록(100)의 길이 방향으로 보강부(104) 각각에 길게 매입되어 있는 다수 개의 쉬스관(102)과;
상기 쉬스관(102) 각각의 앞쪽 끝에 결합되어 있는 정착구 헤드(300)와 연결된 상태로 암거 블록의 보강부(104) 앞쪽 마구리 각각에 함몰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정착 홈(201)과;
상기 쉬스관(102) 각각의 뒤쪽 끝에 연결되어 있으면서 암거 블록의 보강부(104) 뒤쪽 마구리 각각에 함몰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정착구 삽입 홈(202)과;
정착구의 부품 중에 하나면서도, 상기 쉬스관(102) 각각의 앞쪽 끝에 결합된 상태로 일부분은 보강부(104) 마구리에 매입되어 있고, 일부분은 정착 홈(201) 안에 돌출되어 있으며, 정착구의 부품인 커플링(500)하고 나사(302,501) 체결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302)이 형성되어 있고, 중심부에는 웨지(4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웨지홀(303)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정착구 헤드(300)로 구성되어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의 구조.
또한 본 고안은 강연선에 의한 암거 접합부의 체결 작업에 사용되는 정착구의 구조에 있어서,
웨지(600)와 스프링(503) 등을 수용하고 있는 웨지홀(502)이 있고, 암거 블록의 마구리에 부분 매입되어 있는 정착구 헤드(300)와 나사 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산(501)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커플링(500)으로 구성되어 있는 정착구의 구조.
한편 본 고안은 지중에 암거를 부설하기 위해 다수 개의 암거 블록(100,101)을 나열 안착시킬 때, 강연선(700,701)과 정착구를 사용하는 암거 블록들 사이의 체결 작업을 신속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웨지, 암거, 공동구, 강연선, 정착구,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Description

정착구(定着具) 헤드가 부분 매입되어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과 그 정착구의 구조 {anchorage device}
본 고안은 보강부 각각에 정착구 헤드가 일부분씩 매입되어 있는 암거 블록과 정착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의 보강부 앞뒤 마구리 각각에 다수 개의 정착구 삽입 홈과 정착 홈을 형성함과 함께 각각의 정착 홈 안에 정착구의 부품인 정착구 헤드를 똑바로 부분 매입한 다음,
상기 암거 블록 다수 개를 사용 지중에 암거를 부설할 때는, 암거 블록 각각의 정착 홈 안에 부분 매입되어 있는 다수 개의 정착구 헤드 각각에 정착구의 나머지 부품인 커플링을 나사 체결하는 방법으로, 다수 개의 커플링을 암거 블록의 보강부 앞쪽 마구리에 똑바로 고정시켜서,
이후 이루어지는 강연선의 정착구(커플링) 삽입 과정을 신속 정확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정착구 헤드가 부분 매입되어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과 그 정착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는 공장에서 제작되는 규격화된 암거 블록 다수 개를 암거가 부설되는 현장으로 옮겨다가, 그 암거 블록들 마구리에 지수재를 장착함과 함께 크레인을 사용 암거가 부설되는 골 바닥에 길게 나열 안착시키면서, 암거 블록들 사이를 강연선 또는 볼트로 체결한 다음 암거 블록들 사이에 그라우트 충전재를 충전하는 방법 등으로 시공하고 있다.
그러나 길게 나열 안착되어 있는 암거 블록의 한쪽 마구리에서 쉬스관 안에 강연선을 삽입하면 보이지 않는 다른 쪽 마구리에 장착되어 있는 정착구(커플링)의 강연선 삽입구 안으로 강연선을 신속하게 삽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은, 보강부 앞뒤 마구리 각각에 정착 홈과 정착구 삽입 홈을 형성함과 함께 정착 홈 각각에는 쉬스관과 결합되어 있는 정착구 헤드를 똑바로 부분 매입하고,
정착구는, 외주면에 나사산(수나사)이 형성되어 있고 중심부에 웨지홀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정착 홈 안에 일부분이 매입되는 정착구 헤드 부분과, 웨지와 스프링을 수용할 수 있는 원통형의 커플링 부분으로 이원화 시켜서,
상기 암거 블록과 정착구를 사용 암거를 시공하면서 길게 나열 안착되어 있는 암거 블록의 한쪽 마구리에서 쉬스관 안에 강연선을 삽입할 때, 보이지 않는 다른 쪽 마구리에 장착되어 있는 정착구(커플링) 안에 강연선을 좀더 쉽게 삽입한 다음 그 정착구와 강연선을 정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정착구 헤드가 부분 매입되어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과 그 정착구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외형이 박스 형상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의 구조와 그 암거 블록으로 암거를 시공할 때 사용하는 정착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암거 블록(100)은, 보강부(104)에서 암거 블록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매입되어 있으면서 강연선(700)이 삽입되는 다수 개의 쉬스관(102)과;
상기 쉬스관(102) 각각의 앞쪽 끝에 결합되어 있는 정착구 헤드(300)와 연결된 상태로 암거 블록(100)의 보강부(104) 앞쪽 마구리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정착 홈(201)과;
상기 쉬스(102)관 각각의 뒤쪽 끝에 연결되어 있으면서 암거 블록의 보강부(104) 뒤쪽 마구리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정착구 삽입 홈(202)과;
상기 쉬스관(102)의 앞쪽 끝에 결합되어 있으면서 일부분은 보강부에 매입되어 있고, 나머지 부분은 보강부(104) 앞쪽 마구리에 함몰 형성되어 있는 정착 홈(201) 안에 돌출되어 있으면서, 웨지(400)를 수용할 수 있는 웨지홀(303)이 형성되어 있고, 커플링(500)과 나사(302,501) 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수나사)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정착구 헤드(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정착구는, 정착 홈(201) 안에 일부분이 매입 돌출되어 있는 정착구 헤드(30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501)이 형성되어 있고, 중심부에 웨지(600)와 스프링(503)을 수용할 수 있게 웨지홀(502)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커플링(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은 암거를 시공하기 위해 다수 개의 암거 블록을 길게 나열 안착시킨 다음 나열된 암거 블록(100,101)의 한쪽 보강부 마구리에서 쉬스관 안으로 강연선을 삽입할 때, 보이지 않는 다른 쪽 보강부의 마구리에 장착되어 있는 정착구(커플링) 안으로 강연선을 신속 정확히 삽입할 수 있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와 도 1b는 마구리의 형태가 소켓 형태인 기존의 소켓 암거 블록에게 본 고안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은 마구리가 소켓 형태인 상기 기존의 소켓 암거 블록은 물론 마구리에 전단키가 있는 전단키 암거 블록 등 많은 종류의 기존 암거 블록에게 본 고안을 적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이 적용된 암거 블록의 마구리는 소켓 형태 또는 전단키 형태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이 적용된 암거 블록(100)은, 그 암거 블록의 보강부(104)에서 암거 블록(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매입되어 있으면서 강연선(700)이 삽입되는 다수 개의 쉬스관(102)과;
상기 쉬스관(102) 각각의 앞쪽 끝에 결합되어 있는 정착구 헤드(300)와 연결되어 있으면서 암거 블록의 보강부(104) 앞쪽 마구리 각각에 함몰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정착 홈(201)과;
상기 쉬스관(102) 각각의 뒤쪽 끝에 연결되어 있으면서 암거 블록의 보강부(104) 뒤쪽 마구리에 함몰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정착구 삽입 홈(202)과;
쉬스관(102)의 앞쪽 끝에 결합되어 있으면서 일부분이 보강부(104) 마구리에 매입되어 있고, 나머지 일부분은 보강부(104) 마구리에 형성되어 있는 정착 홈(201) 안으로 돌출되어 있으면서, 웨지(4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웨지홀(303)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정착구의 부품인 커플링(500)과 나사(302,501)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302)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정착구 헤드(300)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기존의 암거 블록은 마구리의 형태에 따라 전단키 암거 블록 또는 소켓 암거 블록 등으로 그 종류를 크게 분류하는 것은 물론 인접한 암거 블록끼리 밀착 접합시키는 암거의 시공 방법 역시 마구리의 형태에 따라 달라진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마구리의 형태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되는 기존의 많은 암거 블록의 보강부(104)에 다수 개의 쉬스관(102)을 매입함과 함께 보강부의 앞뒤 마구리 각각에 다수 개의 정착구 삽입 홈(202)과 정착 홈(201)을 형성하면서 정착 홈(201) 각각에 정착구 헤드(300)를 일부분씩 똑바로 매입하는 방법으로, 많은 기존의 암거 블록에게 본 고안을 적용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암거 블록의 마구리는, 마구리의 형태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되는 기존의 많은 암거 블록과 같거나 유사한 마구리를 갖게 된다.
즉, 마구리가 다양한 형태로 되어 있는 기존의 많은 암거 블록의 보강부 앞뒤 마구리 각각에 정착구 삽입 홈(202)과 정착 홈(201)을 함몰 형성하면서 정착 홈(201) 안에 정착구의 부품인 정착구 헤드(300)를 똑바로 부분 매입한 다음 암거 부설 시 정착구의 나머지 부품인 웨지(600)와 스프링(503) 및 커플링(500)을 정착구 헤드(300)와 결합시키면서 암거를 시공하면 되기 때문에, 암거 블록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기존의 많은 암거 블록에게 본 고안을 적용시킬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2a 내지 도 3j와 같이 암거 블록의 보강부 마구리에 일부분이 매입되는 정착구 헤드(300)와, 그 정착구(300) 헤드와 나사(302,501) 결합되는 커플링(500)으로 이원화 되어 있으면서 전체적인 외형이 원통 형상인 정착구는,
상기 정착구 헤드(30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302)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501)이 형성되어 있고, 웨지(600)와 스프링(503)을 수용할 수 있는 웨지홀(5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웨지(600)를 웨지홀(502) 안쪽으로 밀착시켜서 웨지(600)가 강연선(701)을 파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는 스프링(503)과, 그 스프링(503)에 의해 지지되면서 웨지홀(502) 안으로 삽입되는 강연선(701)을 파지하는 웨지(600)가 있으면서, 암거 블록(100)의 보강부(104) 마구리에 일부분이 매입되어 있기 때문에 암거 블록(100)의 부속물로 분류되는 정착구 헤드(300)와 나사 결합되면서 정착구가 완성되는 커플링(500)으로 구성되어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삭제
도 1a는 본 고안이 적용된 소켓 암거 블록을 정면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본 고안이 적용된 소켓 암거 블록을 배면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정착구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정착구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정착구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j는 본 고안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정착구와 본 고안이 적용된 암거 블록을 사용하는 암거의 시공 과정을 일부 도시한 부분 단면도로서.
도 3a는 일부분이 매입되어 있는 정착구 헤드를 통해 쉬스관 안으로 강연선이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3b는 웨지가 정착구 헤드에 형성되어 있는 웨지홀 안으로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3c는 유압 인장기를 사용 강연선을 긴장시키면서 웨지를 압입하는 방법으로 그 긴장된 강연선을 정착구 헤드에 정착시키는 과정이 도시된 부분 단면도.
도 3d는 웨지 밖으로 길게 나온 여분의 강연선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한 다음에 커플링 안에 웨지와 스프링을 차례로 삽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3e는 웨지와 스프링이 삽입 장착된 커플링을 정착구 헤드와 체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3f는 정착구 헤드와 결합된 커플링 앞에 새로운 암거 블록이 대기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3g는 암거 블록의 앞쪽 마구리에 새로운 암거 블록의 뒤쪽 마구리가 밀착된 상태에서 커플링 안으로 강연선이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3h는 강연선 때문에 웨지가 약간 뒤로 밀려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3i는 뒤로 밀려나던 웨지가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웨지홀 안으로 삽입된 다음 강연선이 긴장되면서 암거 블록과 암거 블록 사이가 밀착된 상태(암거 접합부 안에 삽입되어 있는 수팽창 지수재가 압축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3j는 정착 홈과 정착구 삽입 홈에 의해 형성되는 정착홀에 그라우트가 충전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01 : 암거 블록 102,103 : 쉬스관(시스 : sheath)
104 : 보강부 200 : 정착홀
201 : 정착 홈 202 : 정착구 삽입 홈
300 : 정착구 헤드 301 : 쉬스관 삽입 홈
302 : 나사산(수나사) 303 : 웨지홀
400 : 웨지 401 : 스냅링(O링)
500 : 커플링 501 : 나사산(암나사)
502 : 웨지홀 503 : 스프링
600 : 웨지 601 : 스냅링(O 링)
700,701 : 강연선(인장부재) 800 : 지수재(수팽창 지수재)
900 : 그라우트(충전재) 1000 : 유압인장기

Claims (2)

  1. 마구리의 형태에 따라 분류되는 많은 종류의 기존 암거 블록에게 본 고안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암거 블록(100)의 마구리는 기존의 소켓 형태 또는 전단키 형태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의 구조에 있어서,
    암거 블록(100)의 보강부(104) 각각에서 그 암거 블록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매입되어 있는 다수 개의 쉬스관(102)과;
    상기 쉬스관(102) 각각의 앞쪽 끝에 결합되어 있는 정착구 헤드(300)와 연결된 상태로 암거 블록(100)의 보강부(104) 앞쪽 마구리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정착 홈(201)과;
    상기 쉬스관 각각의 앞쪽 끝에 결합된 다음 일부분은 보강부(104)에 매입되고 나머지 일부분은 정착 홈(201) 안으로 돌출되어 있는 다수 개의 정착구 헤드(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의 구조.
  2. 암거 블록의 보강부(104) 앞쪽 마구리에 있는 정착홈(201) 안에 부분 매입되어 있는 정착구 헤드(300)와, 그 정착구 헤드와 나사 결합되는 커플링(500)으로 이원화되어 있으면서 전체적인 외형이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정착구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정착구 헤드(30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302)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501)과;
    웨지(600)와 스프링(503)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웨지홀(502)과;
    상기 웨지홀(502) 안으로 웨지(600)를 밀어넣어서 웨지홀(502) 안으로 삽입되는 강연선(701)을 웨지(600)가 파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는 스프링(503)과;
    상기 스프링(503)에 지지되면서 삽입되는 강연선(701)을 파지하는 웨지(600)와;
    상기 나사산(501)과 웨지홀(50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웨지홀 안에는 스프링(503)과 웨지(600)가 수용되어 있으면서 외형이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는 커플링(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구의 구조.
KR2020090008551U 2009-07-02 2009-07-02 정착구(定着具) 헤드가 부분 매입되어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과 그 정착구의 구조 KR2004578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551U KR200457831Y1 (ko) 2009-07-02 2009-07-02 정착구(定着具) 헤드가 부분 매입되어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과 그 정착구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551U KR200457831Y1 (ko) 2009-07-02 2009-07-02 정착구(定着具) 헤드가 부분 매입되어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과 그 정착구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228U KR20110000228U (ko) 2011-01-10
KR200457831Y1 true KR200457831Y1 (ko) 2012-01-05

Family

ID=44205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551U KR200457831Y1 (ko) 2009-07-02 2009-07-02 정착구(定着具) 헤드가 부분 매입되어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과 그 정착구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83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404B1 (ko) * 2013-06-17 2014-05-13 삼진스틸산업(주) 서포터형 압축 확장 그라운드 앵커
KR101975763B1 (ko) * 2018-11-13 2019-05-07 장명희 양방향 정착 커플러와 인서트 고정장치 및 고점착 유연성 겔 방수재를 이용한 암거 구조물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631B1 (ko) * 2014-06-05 2014-11-24 주식회사 대산이엔씨 암거 연결을 위한 매립형 정착콘 및 방법
KR102522971B1 (ko) * 2021-07-07 2023-04-1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케이블 보강 슬라브 구조물, 케이블 보강 벽체 구조물 및 케이블 보강 박스 컬버트 구조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613A (ko) * 2001-05-31 2004-01-24 니혼노야쿠가부시키가이샤 치환 아닐리드 유도체, 그의 중간체, 농원예용 화학물질및 그의 용도
KR20040020494A (ko) * 2002-08-30 2004-03-09 주식회사 포스코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유해 폐기물 고화용 시멘트 제조방법및 이로부터 제조된 시멘트
KR200407613Y1 (ko) 2005-10-26 2006-02-02 양학래 볼트 체결 구조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KR200420494Y1 (ko) 2006-04-21 2006-07-04 두우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
KR100732554B1 (ko) * 2006-09-06 2007-06-28 (주) 이삼이엔지 강선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거의 연결구조와 그연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613A (ko) * 2001-05-31 2004-01-24 니혼노야쿠가부시키가이샤 치환 아닐리드 유도체, 그의 중간체, 농원예용 화학물질및 그의 용도
KR20040020494A (ko) * 2002-08-30 2004-03-09 주식회사 포스코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유해 폐기물 고화용 시멘트 제조방법및 이로부터 제조된 시멘트
KR200407613Y1 (ko) 2005-10-26 2006-02-02 양학래 볼트 체결 구조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KR200420494Y1 (ko) 2006-04-21 2006-07-04 두우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
KR100732554B1 (ko) * 2006-09-06 2007-06-28 (주) 이삼이엔지 강선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거의 연결구조와 그연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404B1 (ko) * 2013-06-17 2014-05-13 삼진스틸산업(주) 서포터형 압축 확장 그라운드 앵커
KR101975763B1 (ko) * 2018-11-13 2019-05-07 장명희 양방향 정착 커플러와 인서트 고정장치 및 고점착 유연성 겔 방수재를 이용한 암거 구조물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228U (ko) 2011-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1357B1 (ko) 철근 연결 장치
KR100732554B1 (ko) 강선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거의 연결구조와 그연결방법
KR200457831Y1 (ko) 정착구(定着具) 헤드가 부분 매입되어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과 그 정착구의 구조
KR100783009B1 (ko) 인서트 체결용 pc암거 조립체
KR100934608B1 (ko) 단부 고정형 강선 정착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및 그 조립방법
KR101510297B1 (ko) 제거 가능한 프리스트레싱 강관 쏘일 네일링 구조
JP4771138B2 (ja) 鉄骨梁とコンクリート体との接合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584014B1 (ko) 철근 연결구
KR20120041470A (ko) 소켓과 턴버클을 이용하여 긴장재를 긴장하는 방법
JP2007270473A (ja) 合成セグメントと合成セグメントの継手構造
KR101855402B1 (ko) 철근연결용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연결방법
KR200311872Y1 (ko) 개량된 소일 네일
KR20030023318A (ko) 쐐기형 원터치 철근 연결 장치
KR200400693Y1 (ko) 그라운드 앵커용 내하체
KR101827175B1 (ko) 강선 이음용 커플러
KR102392467B1 (ko) 철근 연결용 키 커플러
WO2018158737A1 (en) Improved coupling device for connecting concrete blocks
JP6659365B2 (ja) 接続部材、緊張材用定着具、及び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構造物
JP6877237B2 (ja) 緊張材用定着具、及び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構造物
JP2005325518A (ja) プレストレス導入ユニットおよびプレストレス導入方法
JP2017193899A (ja) 既設pc床版の拡幅構造
KR200420494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
KR101257387B1 (ko) 절토부 보강토 옹벽
KR20190108963A (ko) 보강토 옹벽블럭의 고정 장치
KR101726497B1 (ko) 쏘일 네일링 제거식 와이어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