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872Y1 - 개량된 소일 네일 - Google Patents
개량된 소일 네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11872Y1 KR200311872Y1 KR20-2003-0001315U KR20030001315U KR200311872Y1 KR 200311872 Y1 KR200311872 Y1 KR 200311872Y1 KR 20030001315 U KR20030001315 U KR 20030001315U KR 200311872 Y1 KR200311872 Y1 KR 20031187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cket
- arc
- shaped connecting
- pair
- connecting pieces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440 grou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83 cement mort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76—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2D5/765—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removabl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3—Ground anchors with pivotable anchoring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일 네일에 관한 것으로,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된 복수의 수지제 소켓들과 복수의 수지제 중공관체들이 교호로 연결되고, 상기 소켓들 및 중공관체들 내에 강철제 봉이 삽입 결합되는 소일 네일에 있어서, 상기 강철제 봉은 그 외주면에 직경방향으로 복수의 마디가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2개의 리브가 대칭되게 형성된 이형철근이고, 상기 이형철근은 한쌍의 호형 연결편을 개재하여 상기 소켓 내의 일부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한쌍의 호형 연결편의 각각의 내주면에는 상기 이형철근의 마디에 맞물리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호형 연결편의 각각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의 내주면의 일단 부근에는 상기 호형 연결편의 수나사부가 맞물리는 제1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에서 상기 암나사부가 형성된 부분 측의 단부에는 제2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의 제2 암나사부에는, 상기 이형철근을 포함하는 상기 한쌍의 호형 연결편이 상기 소켓 내에 삽입된 다음, 마개의 수나사부가 맞물리고, 상기 소켓에서 상기 제1 암나사부가 형성된 부분 이외의 부분의 내경은 상기 암나사부가 형성된 부분의 내경보다 이형철근의 마디의 돌출높이 이상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굴착공사시에 시공되는 소일 네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이형철근이 강철제 봉으로서 사용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자재가 적게 들고 간단한 구조의 이형철근 제거수단을 가질 뿐만 아니라 조립작업이 간단한 소일 네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일 네일은, 지하 공간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짓기 위한 굴착공사시에 굴착 측면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공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수지제 소켓들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수지제 중공관체들 내에 강철제 봉이 삽입된 형태이다. 복수의 소켓들과 중공관체들은 교호로 연결되어 있다.
소일 네일이 굴착 측면에 시공되기 전에 굴착 측면에는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깊은 구멍이 천공되며, 이 깊은 구멍 내에는 소일 네일이 삽입된다. 여기에서, 소일 네일의 외면에는 소일 네일이 구멍 내에 삽입되었을 때 구멍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스페이서가 소정의 간격으로 결합되어 있다. 소일 네일이 삽입된 다음에, 소일 네일의 외면과 구멍의 내주면 사이에는 시멘트 페이스트, 시멘트 몰탈 등의 그라우트가 충전된다. 소일 네일의 외면을 둘러싸는 그라우트는 굳어져서 소일 네일과 함께 콘크리트 파일을 형성한다. 그라우트가 굳은 다음에는 굴착 측면의 밖으로 돌출된 소일 네일의 봉에 지압판이 끼워져 커플러와 볼트로 고정됨으로써 소일 네일의 시공이 완료된다. 따라서, 소일 네일에서 강철제 봉은 소켓 및 중공관체에 대하여 구멍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소켓 또는 중공관체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파일은 건축물이 완공된 후 이 완공된 건축물과 인접한 곳에서 다른 건축물을 짓기 위한 굴착공사 시에 장애물이 되어서 다른 건축물의 공사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데, 특히, 소일 네일의 강철제 봉은 반드시 제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의 소일 네일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0-004613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강철제 봉이 나선봉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소켓의 각각의 내주면에 나선봉의 숫나사부와 맞물리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소일 네일의 조립 및 해체 시에, 나선봉이 소켓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됨로써 나선봉이 소켓에 대하여 조립되거나 해체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0-0046138호에 개시된 종래의 소일 네일은, 강철제 봉이 별도의 나선봉으로 형성되어야 되므로 제조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조립 및 해체 시에 작업자가 나선봉을 소켓에 대하여 회전시킴에 있어 소일 네일의 전체 길이에 걸쳐 나선봉을 회전시켜야 하므로 조립 및 해체 작업이 힘이 들고 작업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종래의 소일 네일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028330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일반 이형철근이 강철제 봉으로서 사용되고, 중공관체의 내주면 하측에 이형철근의 마디에 맞물리는 홈이 형성되고, 중공관체의 상측면이 절취되어 덮개가 덮여지고, 덮개와 이형철근 사이에 압축재와 제거용 강선이 배치되고, 덮개가 결속선에 의해 중공관체에 일정한 간격으로 묶여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0283304호에 개시된 종래의 소일 네일은, 이형철근 제거수단인 압축재와 제거용 강선이 소일 네일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야 하므로 이형철근 제거수단의 자재가 많이 들 뿐만 아니라 덮개가 결속선에 의해 중공관체에 묶여진 후 덮개와 중공관체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방수처리가 되어야 하므로 조립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형철근이 한쌍의 호형 연결편을 개재하여 소켓 내의 일부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 소일 네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소일 네일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일 네일에서 호형 연결편이 소켓에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을 따른 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소일 네일에서 호형 연결편이 소켓에서 분리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Ⅴ-Ⅴ 선을 따른 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소일 네일에서 이형철근이 호형 연결편에서 분리된 상태의 종단면도, 및
도 7은 도 6의 Ⅶ-Ⅶ 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된 복수의 수지제 소켓들과 복수의 수지제 중공관체들이 교호로 연결되고, 상기 소켓들 및 중공관체들 내에 강철제 봉이 삽입 결합되는 소일 네일에 있어서, 상기 강철제 봉은 그 외주면에 직경방향으로 복수의 마디가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2개의 리브가 대칭되게 형성된 이형철근이고, 상기 이형철근은 한쌍의 호형 연결편을 개재하여 상기 소켓 내의 일부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한쌍의 호형 연결편의 각각의 내주면에는 상기 이형철근의 마디에 맞물리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호형 연결편의 각각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의 내주면의 일단 부근에는 상기 호형 연결편의 수나사부가 맞물리는 제1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에서 상기 암나사부가 형성된 부분 측의 단부에는 제2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의 제2 암나사부에는, 상기 이형철근을 포함하는 상기 한쌍의 호형 연결편이 상기 소켓 내에 삽입된 다음, 마개의 수나사부가 맞물리고, 상기 소켓에서 상기 제1 암나사부가 형성된 부분 이외의 부분의 내경은 상기 암나사부가 형성된 부분의 내경보다 이형철근의 마디의 돌출높이 이상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소일 네일은, 일반 이형 철근(10)과, 수지제 소켓(20)과, 수지제 중공관체(30)와, 마개(40)와, 한쌍의 호형 연결편(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형철근(10)은 그 외주면에 직경방향으로 복수의 마디(11)가 형성되어 있고 축방향으로 2개의 리브(13)가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소켓(20)의 외주면에는 돌기(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기(21)는 그라우트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에는 전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소켓(20)과 중공관체(30)는 복수개가 교호로 연결된 것으로서, 이렇게 연결된 소켓(20)들 및 중공관체(30)들 내에는 이형철근(10)이 삽입 결합된다.
이형철근(10)은 한쌍의 호형 연결편(50)을 개재하여 상기 소켓(20) 내의 일부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쌍의 호형 연결편(50)의 각각의 내주면에는 이형철근(10)의 마디(11)에 맞물리는 홈(5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한쌍의 호형 연결편(50)이 이형철근(10)을 둘러싸게 되면, 호형 연결편(50)의 홈(53)이 이형철근(10)의 마디(11)에 맞물리게 되고, 호형 연결편(50)의 양측단부 사이에 이형철근(10)의 리브(13)가 끼워져 걸리게 된다.
또한, 한쌍의 호형 연결편(50)의 각각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5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소켓(20)의 내주면의 일단 부근에는 호형 연결편(50)의 수나사부(51)가 맞물리는 제1 암나사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20)의 내부에는 이형철근(10)을 포함하는 한쌍의 호형 연결편(50)이 상기 소켓(20) 내에 삽입되는데, 호형 연결편(50)의 홈(53)이 이형철근(10)의 마디(11)에 맞물려 있고, 호형 연결편(50)의 양측단부 사이에 이형철근(10)의 리브(13)가 끼워져 걸리어 있으므로, 이형철근(10)을 포함하는 한쌍의 호형 연결편(50)이 소켓(20)의 제1 암나사부(23)에 맞물리게 된 다음, 작업자가 이형철근(10)을 소켓(20)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형철근(10)과 한쌍의 호형 연결편(50)이 함께 회전하게 되면서 한쌍의 호형 연결편(50)의 수나사부(51)가 소켓(20)의 제1 암나사부(23)을 타고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연결편(50)의 수나사부(51)가 소켓(20)의 제1 암나사부(23) 상에 완전히 맞물리게 됨으로써 이형철근(10)이 소켓(20)에 완전히 결합되게 된다.
소켓(20)에서 암나사부(23)가 형성된 부분 측의 단부에는 제2 암나사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소켓(20)의 제2 암나사부(25)에는, 이형철근(10)을 포함하는 한쌍의 호형 연결편(50)이 상기 소켓(20) 내에 삽입된 다음, 마개(40)의 수나사부(41)가 맞물리게 된다.
또한, 소켓(20)에서 제1 암나사부(23)가 형성된 부분 이외의 부분의 내경은 암나사부(23)가 형성된 부분의 내경보다 이형철근(10)의 마디(11)의 돌출높이 이상 크다. 따라서, 소켓(20)에서 이형철근(10)을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이형철근(10)을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이형철근(10)을 둘러싸고 있는 한쌍의 호형 연결편(50)의 수나사부(51)가 소켓(20)의 제1 암나사부(23)을 타고 상방으로 더 이동하게 되는데, 호형 연결편(50)의 수나사부(51)가 소켓(20)의 제1 암나사부(23)에서 벗어날 때까지 이형철근(10)이 더 회전되면 소켓(20)에서 제1 암나사부(23)가 형성된 이외의 부분에 한쌍의 호형 연결편(50)이 위치하게 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소켓(20)에서 제1 암나사부(23)가 형성된 부분 이외의 부분의 내경이 암나사부(23)가 형성된 부분의 내경보다 이형철근(10)의 마디(11)의 돌출높이 이상 크므로, 한쌍의 호형 연결편(50)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철근(10)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이형철근(10)을 잡아 당기기만 하면 이형철근(10)이 소켓(20)으로부터 제거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이형철근(10)의 소켓(20)의 제1 암나사부(23)의 길이만큼만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회전되기만 하면 이형철근(10)이 소켓(20)에서 제거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강철제 봉으로서 이형철근(10)이 사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이형철근(10)을 소켓(20)에서 제거하는 수단으로서 자재가 적게 들고 구조가 간단한 호형 연결편(50)을 사용하고 있다.
전술한 본 고안에 따른 소일 네일에 따르면, 일반 이형철근이 강철제 봉으로서 사용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자재가 적게 드는 이형철근 제거수단을 가지므로 제조비용이 적게 들 뿐만 아니라 이형철근 제거수단이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있으므로 조립작업이 간단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외주면에 돌기(21)가 형성된 복수의 수지제 소켓(20)들과 복수의 수지제 중공관체(30)들이 교호로 연결되고, 상기 소켓(20)들 및 중공관체(30)들 내에 강철제 봉이 삽입 결합되는 소일 네일에 있어서,상기 강철제 봉은 그 외주면에 직경방향으로 복수의 마디(11)가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2개의 리브(13)가 대칭되게 형성된 이형철근(10)이고,상기 이형철근(10)은 한쌍의 호형 연결편(50)을 개재하여 상기 소켓(20) 내의 일부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고,상기 한쌍의 호형 연결편(50)의 각각의 내주면에는 상기 이형철근(10)의 마디(11)에 맞물리는 홈(53)이 형성되고,상기 한쌍의 호형 연결편(50)의 각각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51)가 형성되고,상기 소켓(20)의 내주면의 일단 부근에는 상기 호형 연결편(50)의 수나사부(51)가 맞물리는 제1 암나사부(23)가 형성되고,상기 소켓(20)에서 상기 암나사부(23)가 형성된 부분 측의 단부에는 제2 암나사부(25)가 형성되고,상기 소켓(20)의 제2 암나사부(25)에는, 상기 이형철근(10)을 포함하는 상기 한쌍의 호형 연결편(50)이 상기 소켓(20) 내에 삽입된 다음, 마개(40)의 수나사부(41)가 맞물리고,상기 소켓(20)에서 상기 제1 암나사부(23)가 형성된 부분 이외의 부분의 내경은 상기 암나사부(23)가 형성된 부분의 내경보다 이형철근(10)의 마디(11)의 돌출높이 이상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 네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1315U KR200311872Y1 (ko) | 2003-01-16 | 2003-01-16 | 개량된 소일 네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1315U KR200311872Y1 (ko) | 2003-01-16 | 2003-01-16 | 개량된 소일 네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11872Y1 true KR200311872Y1 (ko) | 2003-05-09 |
Family
ID=49405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01315U KR200311872Y1 (ko) | 2003-01-16 | 2003-01-16 | 개량된 소일 네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11872Y1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4094Y1 (ko) * | 2004-10-27 | 2005-01-28 | 한성씨앤시스(주) | 제거형 소일 네일의 구조 |
KR100799328B1 (ko) | 2006-12-27 | 2008-01-30 | 주식회사 알지오기술 | 제거식 네일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강철근 회수공법 |
KR100844842B1 (ko) | 2005-07-29 | 2008-07-08 | 신종덕 | 인장재 제거타입 앵커의 실링구조 |
KR101052728B1 (ko) | 2009-04-02 | 2011-07-29 | 주식회사 대작이앤씨 | 쐐기웨지를 이용한 제거식 소일네일의 조립구조 및 이에 의해 소일네일을 조립ㆍ제거하는 방법 |
KR101086144B1 (ko) | 2010-08-19 | 2011-11-25 |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 제거식 소일네일의 정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제거식 소일네일의 시공방법 |
KR101131764B1 (ko) * | 2009-02-24 | 2012-04-02 | (주) 효창이엔지 | 회전 제거식 네일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강철근 회수공법 |
KR101559426B1 (ko) * | 2013-06-26 | 2015-10-13 | (주) 효창이엔지 | 제거식 네일 조립구조 및 이를 이용한 네일 회수공법 |
KR101857195B1 (ko) * | 2016-02-22 | 2018-05-11 | 이광영 | 헬리컬 파일 |
KR20190027232A (ko) * | 2017-09-06 | 2019-03-14 |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 프리캐스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둥의 시공방법 |
WO2020130206A1 (ko) * | 2018-12-21 | 2020-06-25 |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 프리캐스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둥의 시공방법 |
-
2003
- 2003-01-16 KR KR20-2003-0001315U patent/KR20031187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4094Y1 (ko) * | 2004-10-27 | 2005-01-28 | 한성씨앤시스(주) | 제거형 소일 네일의 구조 |
KR100844842B1 (ko) | 2005-07-29 | 2008-07-08 | 신종덕 | 인장재 제거타입 앵커의 실링구조 |
KR100799328B1 (ko) | 2006-12-27 | 2008-01-30 | 주식회사 알지오기술 | 제거식 네일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강철근 회수공법 |
KR101131764B1 (ko) * | 2009-02-24 | 2012-04-02 | (주) 효창이엔지 | 회전 제거식 네일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강철근 회수공법 |
KR101052728B1 (ko) | 2009-04-02 | 2011-07-29 | 주식회사 대작이앤씨 | 쐐기웨지를 이용한 제거식 소일네일의 조립구조 및 이에 의해 소일네일을 조립ㆍ제거하는 방법 |
KR101086144B1 (ko) | 2010-08-19 | 2011-11-25 |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 제거식 소일네일의 정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제거식 소일네일의 시공방법 |
KR101559426B1 (ko) * | 2013-06-26 | 2015-10-13 | (주) 효창이엔지 | 제거식 네일 조립구조 및 이를 이용한 네일 회수공법 |
KR101857195B1 (ko) * | 2016-02-22 | 2018-05-11 | 이광영 | 헬리컬 파일 |
KR20190027232A (ko) * | 2017-09-06 | 2019-03-14 |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 프리캐스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둥의 시공방법 |
KR102151174B1 (ko) * | 2017-09-06 | 2020-09-02 |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 프리캐스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둥의 시공방법 |
WO2020130206A1 (ko) * | 2018-12-21 | 2020-06-25 |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 프리캐스트 기둥과 기초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둥의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66672A (en) | Method of forming concrete structures with a grout splice sleeve which has a threaded connection to a reinforcing bar | |
KR200311872Y1 (ko) | 개량된 소일 네일 | |
KR100457406B1 (ko) | 그라운드 앵커 | |
JP6861472B2 (ja) | プレキャスト部材の接合構造 | |
KR100313168B1 (ko) | 네일제거형 네일링공법 | |
KR100309611B1 (ko) | 철근 연결구 | |
JP2018115548A (ja) | マイクロパイル工法におけるケーシングセグメントの継ぎ足し方法および連結構造 | |
KR20130092828A (ko) | 직선형 및 확장형 콘크리트 파일의 공용 제조용 원심형 거푸집 | |
KR102319143B1 (ko) | Phc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 |
KR20210028419A (ko) | 철근 연결용 키 커플러 | |
KR200378292Y1 (ko) | 인장식 쏘일네일 강화구 | |
US20070251169A1 (en) | Grouted rebar dowel splice | |
KR102171787B1 (ko) | 고강도 phc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 |
KR102283588B1 (ko) | 절곡연결부를 구비한 차수파일 및 그 시공방법 | |
KR200377253Y1 (ko) | 철근연결용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피씨부재 | |
KR200283304Y1 (ko) | 제거형 네일의 구조 | |
KR100462129B1 (ko) | 지면보강용 철근 고정장치 | |
KR200491962Y1 (ko) |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 |
KR101738126B1 (ko) | 강관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기초공법 | |
KR200420791Y1 (ko) | 제거식 앵커 | |
KR100445112B1 (ko) |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장치 | |
KR100538760B1 (ko) | 방수 시트와 철근 고정용 앵커 볼트 | |
KR200239483Y1 (ko) | 콘크리트 관 | |
JPH09329113A (ja) | ターンバックル式の接続具 | |
CN215715237U (zh) | 一种适用于钻孔灌注桩柔性钢筋笼的加强箍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116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304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116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