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3027A -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 - Google Patents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43027A KR20090043027A KR1020070108636A KR20070108636A KR20090043027A KR 20090043027 A KR20090043027 A KR 20090043027A KR 1020070108636 A KR1020070108636 A KR 1020070108636A KR 20070108636 A KR20070108636 A KR 20070108636A KR 20090043027 A KR20090043027 A KR 200900430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opening
- side plates
- channel body
- secondary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8 plumb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07—Longitudinal elements having an open profile, with the opening parallel to the concrete or masonry surface, i.e. anchoring r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0—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directly attached to the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커튼월이나 창호 등의 비구조부재나 엘리베이터설비나 배관설비 등의 설비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매입설치되는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측면에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구획하는 양측면판의 일단에는 각각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볼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양측면판 자체에는 일정간격으로 나사공이 형성된 채널형 몸체와; 상기 채널형 몸체의 양측면판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채널형 몸체의 양측면판에서 돌출된 부분은 상기 채널형 몸체의 개구부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정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를 제공한다.
매입기구, 앵커, 2차부재, 커튼월, 비구조부재, 설비부재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커튼월이나 창호 등의 비구조부재나 엘리베이터설비나 배관설비 등의 설비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매입설치되는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2차부재란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설치되는 커튼월이나 창호 등의 비구조부재나 엘리베이터설비나 배관설비 등의 설비부재를 의미한다.
이러한 2차부재를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설치하기 위해 종래에는 부재 완성 후 시공되는 앵커볼트를 이용하거나 부재 형성시 미리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를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였다.
도 7a, 7b는 종래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매입기구(1)는 내부에 볼트머리 삽입용 공간부(12)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볼트 몸체가 삽입되도록 개방된 채널 형상의 몸체(10)와, 몸체(10)의 배면에 일정간격으로 부착되어 몸체(10)를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정착시키 는 복수의 정착부재(20)로 구성된다.
그리고 2차부재는 몸체(10)에 삽입되는 볼트(30)를 이용해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매입기구의 경우, 몸체(10)에 삽입되어 2차부재를 고정해 주는 볼트(30)에 높은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몸체(10)의 개방된 양측면판이 벌어짐으로써 매입기구의 볼트에 대한 인발저항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2차부재를 고정해 주는 볼트에 대해 몸체의 양측면판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정착부재를 몸체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측면에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구획하는 양측면판의 일단에는 각각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볼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양측면판 자체에는 일정간격으로 나사공이 형성된 채널형 몸체와; 상기 채널형 몸체의 양측면판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채널형 몸체의 양측면판에서 돌출된 부분은 상기 채널형 몸체의 개구부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정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정착부재는 몸체의 전체 길이에 걸쳐 나사산이 가공된 나사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측면판의 나사공이 형성된 부분을 보강하기 위해 복수의 보강강판이 너트를 통해 상기 양측면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착부재의 양단부에는 각각 너트가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2차부재를 고정해 주는 볼트에 대해 몸체의 양측면판을 정착부재를 이용해 보강해줌으로써 양측면판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용이하게 매입기구의 인발저항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는 몸체(100)와 정착부재(200)로 구성된다.
몸체(100)는 일측면에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100a)가 형성된 채널형 단면형상으로써, 상기 개구부(100a)를 구획하는 양측면판(110a)(110b)의 일단에는 각각 상기 개구부(100a)를 통해 삽입된 볼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면판(110a)(110b) 자체에는 일정간격으로 나사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정착부재(20))는 몸체의 전체 길이에 걸쳐 나사산이 가공된 나사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100)의 양측면판(110a)(110b)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몸체(100)의 양측면판(110a)(110b)에서 돌출된 부분은 상기 몸체(100)의 개구부(100a) 반대방향으로 절곡된다. 절곡각도는 몸체(100)의 개구부(100a) 반대방향으로 최대 90도까지 절곡하면 된다.
이렇게 양측면판(110a)(110b)을 관통하도록 정착부재(200)를 몸체(100)에 결합하여 양측면판(110a)(110b)을 정착부재(200)로 서로 연결해 줌으로써 2차부재를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고정하기 위해 몸체(100) 내부로 삽입된 볼트에 높은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몸체(100)의 양측면판(110a)(110b)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정착부재(200)의 양단부에는 너트(300)를 체결한다. 이렇게 정착부재(200)의 양단부에 너트(300)를 체결함으로써 나사봉으로 구성된 정착부재(200)의 부착력이외에 기계적인 정착력을 더 부가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를 조립하는 순서대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조립방법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를 준비하고 양측면판(110a)(110b)에 일정간격으로 나사공(112)을 가공한다.
다음으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부재(200)를 상기 나사공(112)에 결합한 다음,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판(110a)(110b)에서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상기 몸체(100)의 개구부(100a) 반대방향으로 절곡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부재(200)의 양단부에 너트(300)를 체결하면 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가 철근콘크리트 부재(500)에 매입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조립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 는 철근콘크리트 부재(500)의 콘크리트 타설 전에 매입되어 설치되며, 볼트(400)를 몸체(100)의 내부로 삽입하여 2차부재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볼트(400)를 이용해 2차부재를 철근콘크리트 부재(500)에 고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양측면판(110a)(110b)의 나사공이 형성된 부분을 보강함과 아울러 양측면판(110a)(110b)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보강강판(120)을 너트(130)를 이용해 상기 양측면판(110a)(110b)에 결합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양측면판(110a)(110b)을 서로 연결하는 정착부재(200)와 더불어 보강판(120)에 의해 볼트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양측면판(110a)(110b)이 서로 벌어지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실시예에 따른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의 조립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의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100)를 준비하고 일정간격으로 나사공(112)를 형성한 다음 몸체(100)의 양측면판(110a)(110b) 상에 보강강판(120)을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착부재(200)를 보강강판(120)과 몸 체(100)를 관통시키고, 몸체(100)에 보강강판(120)을 결합하기 위해 정착부재(200)에 너트(130)를 끼워 보강강판(120)에 접할 때까지 돌려 체결한다.
다음으로,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100)가 뽑히는 데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정착부재(200)를 철근콘크리트 매입면쪽(채널형 몸체의 개구부 반대쪽)을 향하도록 절곡한다.
마지막으로, 도 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착부재(200)의 양단부에 너트(300)를 체결하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를 조립하는 순서대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가 철근콘크리트 부재(500)에 매입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의 조립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가 철근콘크리트 부재(500)에 매입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 7b는 종래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4)
- 일측면에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구획하는 양측면판의 일단에는 각각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볼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양측면판 자체에는 일정간격으로 나사공이 형성된 채널형 몸체와;상기 채널형 몸체의 양측면판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채널형 몸체의 양측면판에서 돌출된 부분은 상기 채널형 몸체의 개구부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정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정착부재는 몸체의 전체 길이에 걸쳐 나사산이 가공된 나사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양측면판의 나사공이 형성된 부분을 보강하기 위해 복수의 보강강판이 너트를 통해 상기 양측면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정착부재의 양단부에는 각각 너트가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8636A KR100978410B1 (ko) | 2007-10-29 | 2007-10-29 |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8636A KR100978410B1 (ko) | 2007-10-29 | 2007-10-29 |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3027A true KR20090043027A (ko) | 2009-05-06 |
KR100978410B1 KR100978410B1 (ko) | 2010-08-26 |
Family
ID=40853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08636A KR100978410B1 (ko) | 2007-10-29 | 2007-10-29 |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7841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438361A1 (de) * | 2017-08-01 | 2019-02-06 | HILTI Aktiengesellschaft | Profilschiene mit versteifungselement |
US11118345B2 (en) | 2017-08-01 | 2021-09-14 | Hilti Aktiengesellschaft | Structure having edge reinforcement on profiled rail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3407801C1 (de) * | 1984-03-02 | 1985-06-20 | Siegfried 7135 Wiernsheim Fricker | Ankerschiene |
US5937609A (en) * | 1995-11-27 | 1999-08-17 | Roth; Steven A. | Concrete insert to support anchor bolt |
DE10049006A1 (de) * | 2000-09-27 | 2002-04-11 | Deha Ankersysteme | Ankerschienenanordnung |
JP3634833B2 (ja) | 2002-11-08 | 2005-03-30 | 武蔵野機工株式会社 | コンクリート製品の吊上用インサート、吊部材及び吊上具 |
-
2007
- 2007-10-29 KR KR1020070108636A patent/KR10097841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438361A1 (de) * | 2017-08-01 | 2019-02-06 | HILTI Aktiengesellschaft | Profilschiene mit versteifungselement |
WO2019025232A1 (de) * | 2017-08-01 | 2019-02-07 | Hilti Aktiengesellschaft | Profilschiene mit versteifungselement |
US11118345B2 (en) | 2017-08-01 | 2021-09-14 | Hilti Aktiengesellschaft | Structure having edge reinforcement on profiled rail |
US11286661B2 (en) | 2017-08-01 | 2022-03-29 | Hilti Aktiengesellschaft | Profile rail with reinforcing element |
US11885117B2 (en) | 2017-08-01 | 2024-01-30 | Hilti Aktiengesellschaft | Structure having edge reinforcement on profiled rail |
US11920341B2 (en) | 2017-08-01 | 2024-03-05 | Hilti Aktiengesellschaft | Profile rail with reinforcing ele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78410B1 (ko) | 2010-08-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59867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 building structure | |
US7601918B2 (en) | Protective barrier for piping and cabling | |
KR100978410B1 (ko) |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 | |
US8388290B2 (en) | Mounting system and method | |
KR20160008972A (ko) | 장착 너트 앵커를 갖는 슬롯형 인서트 | |
US7360553B1 (en) | Modular utility box system | |
KR100708601B1 (ko) | 건축물의 전기 단자함 | |
KR100749904B1 (ko) | 천장 판넬 및 설치 부재와 이를 이용한 천장 판넬 시공 방법 | |
KR20090043026A (ko) | 2차부재 고정용 성형강판 매입기구 | |
CN215053986U (zh) | 装配式连接组件以及装配式连接节点 | |
US20080139321A1 (en) | Splice sleeve magnet assembly and method thereof | |
EP1749947B1 (en) | Anchoring insert for embedding in concrete | |
KR200236524Y1 (ko) | 콘센트박스 | |
KR101122349B1 (ko) | 배관 고정장치 | |
KR200438699Y1 (ko) | 거푸집의 휨방지 파이프 설치용 브라켓 | |
KR100978960B1 (ko) | 2차부재 고정용 강판절곡 매입기구 | |
KR200360249Y1 (ko) | 천정패널 고정행거 | |
KR20100013080U (ko) | 거푸집 연결용 조인트 | |
KR100647219B1 (ko) | 건축공사용 안전펜스의 후크볼트 | |
KR200321381Y1 (ko) | 벽판용 결착구 | |
KR200321754Y1 (ko) | 벽판용 결착구 | |
JP3336264B2 (ja) | 壁材設置用金具及びそれを用いた既設建築物の外壁材施工法 | |
JP2002348968A (ja) | ブレースの取付け構造 | |
JP2006322275A (ja) | 引き寄せ金物 | |
US20060174588A1 (en) | Stabilizing brace for a window bu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