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071B1 -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071B1
KR102089071B1 KR1020190090356A KR20190090356A KR102089071B1 KR 102089071 B1 KR102089071 B1 KR 102089071B1 KR 1020190090356 A KR1020190090356 A KR 1020190090356A KR 20190090356 A KR20190090356 A KR 20190090356A KR 102089071 B1 KR102089071 B1 KR 102089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groove
fixing
sides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미
Original Assignee
(주)이에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에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이에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090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0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 F16B2001/003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3Use of a magne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 박스형상으로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양측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하부의 끝단에는 외부와 공기배출홈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외면을 제외한 둘레와 내면에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완충부재가 부착되는 자석이 장착되는 자석장착공이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고, 배면에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흡수패드와 전선이 인입과 배출을 위한 전선 커버구가 장착되며, 하부에는 설치시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평계가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삽입장착되고,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상기 결합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하부에는 단턱이 형성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하부 끝단에 형성되는 단턱에 양측 끝단이 지지되고 상기 공기배출홈과 대응하는 위치에 동일한 크기의 공기배출홈이 형성되는 수평부재로 구성되는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송풍기와 상·하부의 모서리 부분에 장착되어 상기 송풍기에 공급되는 바람을 공기배출홈으로 안내하는 곡면형상의 풍향 가이드로 구성되는 내부공기 순환수단;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외면에는 양측으로 슬라이드 결합홈 및 지지턱이 형성되며, 내면에는 상기 결합공 및 결합홈과 대응하는 위치에 끼움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고정핀을 통해 연결수단의 고정부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핀 결합공이 형성되는 고정수단; 상기 고정수단의 슬라이드 결합홈을 따라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나선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수단의 슬라이드 결합홈을 따라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에 가이드 홈 및 핀 결합공을 관통하는 고정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핀 결합홈이 형성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연결수단; 및 상기 연결수단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나선 결합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 연통공이 형성되는 간격조절부재와 상기 간격조절부재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사이에 위치하는 철근을 가압할 수 있도록 나선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고정판 및 상기 나선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고정너트로 구성되는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Electric terminal box fixed structure for apartment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립용 철근과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단자함은 공동주택 등의 건물 시공 시 천정이나 벽체에 매설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전기선, 전화선, 인터넷 전용선, 안테나선 등)들을 연결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전기단자함은 천정이나 벽체의 형성 시 전선의 수용공간 만이 외부로 개구되고, 나머지는 시멘트 몰탈로 형성된 천정이나 벽체에 매설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전기단자함은 천정벽체의 강도유지용 철근에 결속되는 별도의 고정구를 사용하여 먼저 고정시킨 후 시멘트 몰탈을 타설하여 매설 시공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단자함을 구성하는 고정구는 볼트나 너트 등의 결합부재 등을 사용하여 철근에 고정해야 함으로써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36571호 (2006.10.1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50307호 (2007.08.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천장이나 벽체에 철근과 체결부재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견고 및 신속하게 결속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는 사각 박스형상으로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양측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하부의 끝단에는 외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공기배출홈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외면을 제외한 둘레와 내면에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완충부재가 부착되는 자석이 장착되는 자석장착공이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고, 배면에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흡수패드와 전선이 인입과 배출을 위한 전선 커버구가 장착되며, 하부에는 설치시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평계가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삽입장착되고,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상기 결합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하부에는 단턱이 형성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하부 끝단에 형성되는 단턱에 양측 끝단이 지지되고 상기 공기배출홈과 대응하는 위치에 동일한 크기의 공기배출홈이 형성되는 수평부재로 구성되는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송풍기와 상·하부의 모서리 부분에 장착되어 상기 송풍기에 공급되는 바람을 공기배출홈으로 안내하는 곡면형상의 풍향 가이드로 구성되는 내부공기 순환수단;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외면에는 양측으로 슬라이드 결합홈 및 지지턱이 형성되며, 내면에는 상기 결합공 및 결합홈과 대응하는 위치에 끼움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고정핀을 통해 연결수단의 고정부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핀 결합공이 형성되는 고정수단; 상기 고정수단의 슬라이드 결합홈을 따라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나선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수단의 슬라이드 결합홈을 따라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에 가이드 홈 및 핀 결합공을 관통하는 고정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핀 결합홈이 형성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연결수단; 및 상기 연결수단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나선 결합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 연통공이 형성되는 간격조절부재와 상기 간격조절부재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사이에 위치하는 철근을 가압할 수 있도록 나선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고정판 및 상기 나선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고정너트로 구성되는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 케이스를 구성하는 수직부재의 내면에는 간격을 두고 끼움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 결합홈에는 상부에 안착되는 부품을 지지하면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완충돌기가 장착되는 구획판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상·하부에는 철근과 결합될 수 있도록 철근 결합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철근 결합수단은 상부에 철근 장착홈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볼트 결합홈이 형성되는 하부 측면 결합부가 형성되는 하부 결합부재; 상기 철근 장착홈과 대응하는 하부에 철근 장착홈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볼트 결합공이 형성되는 상부 측면 결합부이 형성되는 상부 결합부재; 상기 하부 결합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로 구성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상부 결합부재의 볼트 결합공과 하부 결합부재의 볼트 결합홈에 결합되는 고정볼트;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는 천장이나 벽체에 철근과 체결부재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견고 및 신속하게 결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를 구성하는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를 구성하는 내부 케이스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를 구성하는 고정수단과 연결수단 및 결합수단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를 구성하는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를 구성하는 내부 케이스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를 구성하는 고정수단과 연결수단 및 결합수단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본원발명인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100)는 케이스(200), 내부 케이스(300), 내부공기 순환수단(400), 고정수단(500), 연결수단(600), 결합수단(70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00)는 사각 박스형상으로 일면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200)는 전면이 개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되, 상기 케이스(200)는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후면이 개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00)는 내부에 수용공간(220)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결합공(230)이 형성되며, 하부의 끝단에는 외부와 연통될 수있도록 공기배출홈(23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케이스(200)는 내부에 내부 케이스(300) 및 각종 부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220)을 형성하고, 양측에는 고정수단(500)과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결합공(230)을 형성하며, 하부 끝단에는 내부를 순환하여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공기배출홈(232)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배출홈(232)에는 이물질의 차단을 위하여 공지된 메쉬망이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200)의 측면에는 자석장착공(240)이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자석장착공(240)에는 고정수단(500)을 자성을 통해 고정할 수 있도록 자석(280)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자석(280)의 외면을 제외한 둘레와 내면에는 자성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완충부재(282)가 장착된다.
즉, 상기 자석(280)은 케이스(200)의 상부와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결합공(230)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수단(500)의 결합돌기(520)와 함께 고정수단(500)을 고정하면서도 상부와 하부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200)의 배면에 흡수패드(250)와 전선 커버구(260)가 장착된다.
즉, 상기 케이스(200)는 배면에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흡수패드(250)를 장착하고, 일 측에는 전선의 인입과 배출을 위한 전선 커버구(260)를 장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선 커버구(260)는 전선의 원활한 인입 및 배출과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절개부가 형성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200)는 하부에 수평계(270)를 설치하여 설치 작업시 용이하게 수평상태를 확인하여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부 케이스(300)는 케이스(200)의 수용공간(220)에 장착된다.
즉, 상기 내부 케이스(300)는 수용공간(220)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수단(500)을 고정 및 지지함과 동시에 외부와 내부의 온도차를 줄일 수 있도록 단열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 케이스(300)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무게 경감 및 단열효과를 위해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 케이스(300)는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결합공(230)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홈(314)이 형성되고, 상·하부에는 단턱(312)이 형성되는 수직부재(310)와 상기 수직부재(310)의 상·하부 끝단에 형성되는 단턱(312)에 양측 끝단이 지지되고 상기 공기배출홈(232)과 대응하는 위치에 동일한 크기의 공기배출홈(322)이 형성되는 수평부재(32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내부 케이스(300)는 양측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결합홈(314)이 형성되는 수직부재(310)를 배치한 후, 상기 수직부재(310)의 상부 및 하부의 단턱(312) 부분으로 수평부재(320)를 장착한 다음, 상기 케이스(200)의 수용공간(220)에 삽입장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부재(310) 및 수평부재(320)의 길이는 케이스(200)의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홈(322)은 케이스(200)의 공기배출홈(23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내부를 순환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내부 케이스(300)를 구성하는 수직부재(310)의 내면에는 간격을 두고 끼움 결합홈(316)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 결합홈(316)에는 상부에 안착되는 부품을 지지하면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완충돌기(350)가 장착되는 구획판(34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 케이스(300)는 수용공간(220)을 끼움 결합홈(316)에 결합되는 구획판(340)을 통해 구획한 상기 구획판(340)의 상부에 부품을 분리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내부공기 순환수단(400)은 내부 케이스(300)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공기 순환수단(400)은 내부 케이스(300)의 상부에 장착되는 송풍기(410)와 상·하부의 모서리 부분에 장착되어 상기 송풍기(410)에 공급되는 바람을 공기배출홈(232, 322)으로 안내하는 곡면형상의 풍향 가이드(42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내부공기 순환수단(400)은 내부 케이스(300)의 내부에 장착되는 공지된 습도센서 또는 온도센서 등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200)의 수용공간(220)에 공기를 공급하여,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적정의 습도와 온도를 유지하면서 풍향 가이드(420)를 통해 공기배출홈(232, 322)으로 공기를 안내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500)은 케이스(200)의 양측에 각각 배치 및 고정된다.
즉, 상기 고정수단(500)은 케이스(200)에 내면이 밀착되면서 케이스(200) 및 내부 케이스(300)에 고정되고 외면은 철근(10)을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500)은 외면 양측으로 슬라이드 결합홈(510) 및 지지턱이 형성되고, 내면에는 상기 결합공(230) 및 결합홈(314)과 대응하는 위치에 끼움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520)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고정핀(540)을 통해 연결수단(640)의 고정부재(64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핀 결합공(530)이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수단(500)은 연결수단(600)을 구성하는 연결부재(620)와 고정부재(640)가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에 슬라이드 결합홈(51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연결수단(6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턱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500)은 슬라이드 결합홈(510)이 형성되는 양측으로 핀 결합공(530)을 형성한 후 상기 핀 결합공(530)에 고정핀(540)을 삽입하여, 상기 연결수단(600)의 연결부재(620) 및 고정부재(640)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연결수단(600)은 고정수단(500)에 슬라이드 결합된다.
즉, 상기 연결수단(600)은 고정수단(500)에 결합된 후 결합수단(700)과 결합되어 철근(10)을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600)은 고정수단(500)의 슬라이드 결합홈(510)을 따라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에 가이드 홈(622)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나선 결합돌기(624)가 형성되는 연결부재(620)와 상기 연결부재(6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수단(500)의 슬라이드 결합홈(510)을 따라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에 가이드 홈(642) 및 핀 결합공(530)을 관통하는 고정핀(54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핀 결합홈(644)이 형성되는 고정부재(6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연결수단(600)은 고정수단(500)의 슬라이드 결합홈(510)을 따라 연결부재(620)와 고정부재(640)를 순차적으로 끼움 결합한 후 상기 고정부재(640)와 결합되는 고정핀(540)을 통해 고정하게 된다.
보충설명하면, 상기 연결수단(600)은 슬라이드 결합홈(510) 및 슬라이드 결합홈(510)을 형성하는 전면을 통해 연결부재(620)와 고정부재(640)를 슬라이드 작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600)은 연결부재(620)에 형성되는 나선 결합돌기(624)를 통해 결합수단(700)과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나선 결합돌기(624)의 개수와 위치는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결합수단(700)은 연결수단(600)과 결합하게 된다.
즉, 상기 결합수단(700)은 연결수단(600)을 구성하는 나선 결합돌기(624)와 결합되면서 철근(10)을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수단(700)은 연결수단(600)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나선 결합돌기(624)와 대응하는 위치에 연통공(722)이 형성되는 간격조절부재(720)와 상기 간격조절부재(720)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사이에 위치하는 철근을 가압할 수 있도록 나선 결합돌기(624)와 결합되는 결합공(742)이 형성되는 고정판(740) 및 상기 나선 결합돌기(624)와 결합되는 고정너트(760)로 구성된다.
즉, 상기 결합수단(700)은 나선 결합결돌기(624)에 철근(10)과 연결수단(600)의 거리를 고려한 간격조절부재(720)를 장착한 후, 상기 철근(10)의 외측으로 고정판(740)을 장착하여 철근(10)을 간격조절부재(720)와 밀착되도록 한 다음, 나선 결합돌기(624)와 나선 결합되는 고정너트(760)를 통해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간격조절부재(720)와 고정판(740)은 철근(10)의 위치 및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100)는 도시된 5 및 6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100)는 상기 케이스(200)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상·하부에는 철근(10)과 결합될 수 있도록 철근 결합수단(800)이 더 장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철근 결합수단(800)은 상부에 철근 장착홈(812)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볼트 결합홈(815)이 형성되는 하부 측면 결합부(814)가 형성되는 하부 결합부재(810), 상기 철근 장착홈(812)과 대응하는 하부에 철근 장착홈(822)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볼트 결합공(824)이 형성되는 상부 측면 결합부(823)이 형성되는 상부 결합부재(820), 상기 하부 결합부재(8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로 구성되는 고정부재(830), 상기 상부 결합부재(820)의 볼트 결합공(824)과 하부 결합부재(810)의 볼트 결합홈(815)에 결합되는 고정볼트(840)을 포함한다.
즉, 상기 철근 결합수단(800)은 케이스(200)의 상부 및 하부에 하부 측면 결합부(814)를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로 구성되는 고정부재(830)를 통해 고정한 후, 상기 철근 장착홈(812, 822)에 철근(10)을 배치한 다음, 상기 상부 측면 결합부(823)의 볼트 결합공(824)과 하부 측면 결합부(814)의 철근 장착홈(812)에 고정볼트(840)를 결합하여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각 박스형상으로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220)이 형성되며, 양측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결합공(230)이 형성되는 케이스(20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00)의 수용공간(220)으로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결합공(230)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홈(314)이 형성되고, 상·하부에는 단턱(312)이 형성되는 수직부재(310)와 상기 수직부재(310)의 상·하부 끝단에 형성되는 단턱(312)에 양측 끝단이 지지되는 수평부재(320)로 구성되는 내부 케이스(300)를 삽입장착한다.
이후, 상기 내부 케이스(300)의 상부에 장착되는 송풍기(410)와 상·하부의 모서리 부분에 장착되어 상기 송풍기(410)에 공급되는 바람을 공기배출홈(232, 322)으로 안내하는 곡면형상의 풍향 가이드(420)로 구성되는 내부공기 순환수단(40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스(200)의 양측으로 외면 양측에 슬라이드 결합홈(510) 및 지지턱이 형성되며, 내면에는 상기 결합공(230) 및 결합홈(314)과 대응하는 위치에 끼움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520)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고정핀(540)을 통해 연결수단(640)의 고정부재(64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핀 결합공(530)이 형성되는 고정수단(500)을 장착한다.
즉, 상기 고정수단(500)의 결합돌기(520)를 결합공(230) 및 결합홈(314)에 끼움 결합한 후 상기 자석(280)을 통해 고정수단(500)의 내면이 케이스(200)의 외면에 고정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500)으로 슬라이드 결합홈(510)을 따라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에 가이드 홈(622)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나선 결합돌기(624)가 형성되는 연결부재(620)와 상기 연결부재(6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수단(500)의 슬라이드 결합홈(510)을 따라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에 가이드 홈(642) 및 핀 결합공(530)을 관통하는 고정핀(54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핀 결합홈(644)이 형성되는 고정부재(640)로 구성되는 연결수단(600)을 순차적으로 장착한다.
이후, 상기 핀 결합공(530)과 핀 결합홈(644)에 고정핀(540)을 결합하여 고정하면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100)의 조립은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10)를 철근에 고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10)를 철근(10)과 철근(10)의 사이에 배치한 후 상기 연결수단(600)의 나선 결합돌기(624)에 간격조절부재(720)의 연통공(722)을 끼움 결합하여 밀착시킨다.
그리고 철근(10)의 외부에 위치한 나선 결합돌기(624)에 고정판(742)의 결합공(742)을 끼움 결합한 후 상기 나선 결합돌기(624)에 고정너트(760)를 나선 결합하면, 상기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100)를 고정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200 : 케이스 210 : 케이스 부재
220 : 수용공간 230 : 결합공
232 : 공기배출홈 240 : 자석장착공
250 : 완충패드 260 : 전선 커버구
270 : 수평계 280 : 자석
282 : 완충부재 300 : 내부 케이스
310 : 수직부재 312 : 단턱
314 : 결합홈 316 : 끼움 결합홈
320 : 수평부재 322 : 공기배출홈
340 : 구획판 350 : 완충돌기
400 : 내부공기 순환수단
410 : 송풍기 420 : 풍향 가이드
500 : 고정수단 510 : 슬라이드 결합홈
520 : 결합돌기 530 : 핀 결합공
540 : 고정핀 600 : 연결수단
620 : 연결부재 622 : 가이드 홈
624 : 나선 결합돌기 640 : 고정부재
642 : 가이드 홈 644 : 핀 결합홈
700 : 결합수단 720 : 간격조절부재
722 : 연통공 740 : 고정판
742 : 결합공 760 : 고정너트
800 : 철근 결합수단 810 : 하부 결합부재
812 : 철근 장착홈 814 : 하부 측면 결합부
815 : 볼트 결합홈 820 : 상부 결합부재
822 : 철근 장착홈 823 : 상부 측면 결합부
824 : 볼트 결합홈 830 : 고정부재
840 : 고정볼트

Claims (3)

  1. 사각 박스형상으로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220)이 형성되며, 양측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결합공(230)이 형성되고, 하부의 끝단에는 외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공기배출홈(232)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외면을 제외한 둘레와 내면에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완충부재(282)가 부착되는 자석(280)이 장착되는 자석장착공(240)이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고, 배면에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흡수패드(250)와 전선이 인입과 배출을 위한 전선 커버구(260)가 장착되며, 하부에는 설치시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평계(270)가 장착되는 케이스(200);
    상기 케이스(200)의 수용공간(220)에 삽입장착되고,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상기 결합공(230)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홈(314)이 형성되며 상·하부에는 단턱(312)이 형성되는 수직부재(310)와 상기 수직부재(310)의 상·하부 끝단에 형성되는 단턱(312)에 양측 끝단이 지지되고 상기 공기배출홈(232)과 대응하는 위치에 동일한 크기의 공기배출홈(322)이 형성되는 수평부재(320)로 구성되는 내부 케이스(300);
    상기 내부 케이스(300)의 상부에 장착되는 송풍기(410)와 상·하부의 모서리 부분에 장착되어 상기 송풍기(410)에 공급되는 바람을 공기배출홈(232, 322)으로 안내하는 곡면형상의 풍향 가이드(420)로 구성되는 내부공기 순환수단(400);
    상기 케이스(2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외면에는 양측으로 슬라이드 결합홈(510) 및 지지턱이 형성되며, 내면에는 상기 결합공(230) 및 결합홈(314)과 대응하는 위치에 끼움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520)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고정핀(540)을 통해 연결수단(640)의 고정부재(64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핀 결합공(530)이 형성되는 고정수단(500);
    상기 고정수단(500)의 슬라이드 결합홈(510)을 따라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에 가이드 홈(622)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나선 결합돌기(624)가 형성되는 연결부재(620)와 상기 연결부재(6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수단(500)의 슬라이드 결합홈(510)을 따라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에 가이드 홈(642) 및 핀 결합공(530)을 관통하는 고정핀(54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핀 결합홈(644)이 형성되는 고정부재(640)로 구성되는 연결수단(600);
    상기 연결수단(600)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나선 결합돌기(624)와 대응하는 위치에 연통공(722)이 형성되는 간격조절부재(720)와 상기 간격조절부재(720)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사이에 위치하는 철근을 가압할 수 있도록 나선 결합돌기(624)와 결합되는 결합공(742)이 형성되는 고정판(740) 및 상기 나선 결합돌기(624)와 결합되는 고정너트(760)로 구성되는 결합수단(700); 및
    상기 케이스(200)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상·하부에 장착되고 철근(10)과 결합되는 철근 결합수단(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케이스(300)를 구성하는 수직부재(310)의 내면에는 간격을 두고 끼움 결합홈(316)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 결합홈(316)에는 상부에 안착되는 부품을 지지하면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완충돌기(350)가 장착되는 구획판(340)이 설치되며,
    상기 철근 결합수단(800)은
    상부에 철근 장착홈(812)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볼트 결합홈(815)이 형성되는 하부 측면 결합부(814)가 형성되는 하부 결합부재(810);
    상기 철근 장착홈(812)과 대응하는 하부에 철근 장착홈(822)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볼트 결합공(824)이 형성되는 상부 측면 결합부(823)이 형성되는 상부 결합부재(820);
    상기 하부 결합부재(8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로 구성되는 고정부재(830); 및
    상기 상부 결합부재(820)의 볼트 결합공(824)과 하부 결합부재(810)의 볼트 결합홈(815)에 결합되는 고정볼트(8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2. 삭제
  3. 삭제
KR1020190090356A 2019-07-25 2019-07-25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KR102089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356A KR102089071B1 (ko) 2019-07-25 2019-07-25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356A KR102089071B1 (ko) 2019-07-25 2019-07-25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071B1 true KR102089071B1 (ko) 2020-03-16

Family

ID=69948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356A KR102089071B1 (ko) 2019-07-25 2019-07-25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07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547B1 (ko) * 2020-05-15 2020-11-18 (주)선경엔지니어링 건축용 통신 단자함 방수구조
KR102201219B1 (ko) * 2020-08-21 2021-01-13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KR102236005B1 (ko) * 2020-10-16 2021-04-05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건축용 통신단자함의 방진구조
KR102444515B1 (ko) * 2021-11-29 2022-09-20 주식회사 와이케이엔지니어링 안전성이 향상된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지지대
KR102444519B1 (ko) * 2021-11-26 2022-09-20 주식회사 와이케이엔지니어링 완충기능을 갖춘 건축물용 배전선 보호기구
KR102444520B1 (ko) * 2021-11-29 2022-09-20 주식회사 와이케이엔지니어링 안전성 향상 공동주택 전선 고정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616Y1 (ko) * 1990-07-11 1992-12-05 이언백 전선관용 배관박스
KR100636571B1 (ko) 2006-07-06 2006-10-20 (주)진전기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KR100750307B1 (ko) 2006-10-24 2007-08-17 (주)세명기술단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
KR100760639B1 (ko) * 2007-07-10 2007-09-20 (주)공간이. 엔. 지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
KR101293719B1 (ko) * 2013-04-26 2013-08-20 주식회사 성진티이씨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616Y1 (ko) * 1990-07-11 1992-12-05 이언백 전선관용 배관박스
KR100636571B1 (ko) 2006-07-06 2006-10-20 (주)진전기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KR100750307B1 (ko) 2006-10-24 2007-08-17 (주)세명기술단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
KR100760639B1 (ko) * 2007-07-10 2007-09-20 (주)공간이. 엔. 지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
KR101293719B1 (ko) * 2013-04-26 2013-08-20 주식회사 성진티이씨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547B1 (ko) * 2020-05-15 2020-11-18 (주)선경엔지니어링 건축용 통신 단자함 방수구조
KR102201219B1 (ko) * 2020-08-21 2021-01-13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KR102236005B1 (ko) * 2020-10-16 2021-04-05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건축용 통신단자함의 방진구조
KR102444519B1 (ko) * 2021-11-26 2022-09-20 주식회사 와이케이엔지니어링 완충기능을 갖춘 건축물용 배전선 보호기구
KR102444515B1 (ko) * 2021-11-29 2022-09-20 주식회사 와이케이엔지니어링 안전성이 향상된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지지대
KR102444520B1 (ko) * 2021-11-29 2022-09-20 주식회사 와이케이엔지니어링 안전성 향상 공동주택 전선 고정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9071B1 (ko)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US7285733B2 (en) Recessed poke-thru fitting
KR100708288B1 (ko) 공동주택용 레일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
US8474770B2 (en) Wall mounting bracket
KR100761047B1 (ko) 공동주택 천정 전기 케이블 설치구조
KR101732474B1 (ko) 이격 틈새를 갖는 내부 공기 배출형 내진 외벽패널 조립체의 시공방법
KR100906976B1 (ko)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KR101865158B1 (ko) 공동주택 건축물용 외벽 전기 케이블 안전장치
KR100655881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구조
KR102063493B1 (ko) 공동주택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EP1043822A1 (en) Building with duct elements for guiding lines
KR100563634B1 (ko) 건축물 창문틀 측부 보강구조
KR102028898B1 (ko)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KR101229964B1 (ko) 결로방지부재가 결합된 배선박스
KR100820649B1 (ko) 건축물용 내부 벽체 전선보호관
KR100955792B1 (ko)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1638934B1 (ko)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 고정구조
KR100787605B1 (ko) 지지바 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
KR102588186B1 (ko)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KR101931483B1 (ko) 케이블트레이용 케이블 정리부재
KR101140175B1 (ko) 전력함
KR101139000B1 (ko) 적외선 난방기용 거치장치
KR100648108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101417255B1 (ko) 창호의 덧붙임 보조 창틀
KR102510763B1 (ko) 탄성지지 수단을 갖는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