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5792B1 -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5792B1
KR100955792B1 KR1020100021057A KR20100021057A KR100955792B1 KR 100955792 B1 KR100955792 B1 KR 100955792B1 KR 1020100021057 A KR1020100021057 A KR 1020100021057A KR 20100021057 A KR20100021057 A KR 20100021057A KR 100955792 B1 KR100955792 B1 KR 100955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wedge
duct part
shaped extension
ba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효철
Original Assignee
(주)건축사사무소 성우건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축사사무소 성우건축 filed Critical (주)건축사사무소 성우건축
Priority to KR1020100021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7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7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non-circular cross-s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를 제공된다. 제공된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는 공동주택으로 케이블을 배선할 수 있도록 벽체에 등간격으로 이격시켜 소정각도 경사지게 매설되며, 안착편을 갖는 제1 전면플레이트와, 밀착편을 갖는 제1 배면플레이트 및 양단부에 제1 쐐기형 연장돌부를 갖는 한 쌍의 제1 측면플레이트에 의해 관상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쐐기형 연장돌부의 외측에 제1 수직절개면이 마련된 다수개의 제1 덕트부와; 상기 제1 덕트부와 대칭되는 각도로 그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하단이 상기 제1 덕트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전면플레이트의 외면에 안착되는 연장편을 갖는 제2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제1 배면플레이트의 외면과 면접촉을 이루어 상기 제1 배면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돌출편을 갖는 제2 배면플레이트 및 양단부에 제2 쐐기형 연장돌부를 갖는 한 쌍의 제2 측면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제1 덕트부의 상하단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내경을 갖는 관상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쐐기형 연장돌부의 외측에 제2 수직절개면이 마련된 다수개의 제2 덕트부 및 상기 제1 덕트부와 제2 덕트부를 통해 배선된 케이블을 공동주택의 실내로 배선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덕트부와 제2 덕트부의 연결부위에 구비된 한 쌍의 제1 쐐기형 연장돌부 사이에 삽입연결되며, 전면에 배선되는 케이블을 굵기 별로 구분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내경을 갖는 다른 다수개의 배선공이 형성된 배선판이 구비되고, 상기 배선판의 배면에 상기 제1 배면플레이트와 제2 배면플레이트의 경사각과 동일한 각도의 경사면을 갖는 한 쌍의 지지편이 돌출형성된 케이블인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통해 보호덕트의 설치구조에 대한 안정성 확보 및 그 구조를 단순하게 최적화시킴으로써, 제작비용의 절감 및 시공편의성을 향상시켜 공사기간과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Cable duct of an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통합전선 보호덕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으로 배선되는 케이블을 유도하기 위한 제1 보호덕트와 제2 보호덕트를 갈지자 형태로 결속함과 동시에 이들 보호덕트에 마련된 안착편, 밀착편, 연장편, 돌출편 들을 통해 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호덕트의 설치구조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전체적인 구조개선을 통해 그 구조를 단순하게 최적화시킴으로써, 제작비용의 절감 및 시공편의성을 향상시켜 공사기간과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구의 증가로 인해 주거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공동주택인 아파트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아파트는 실내에 모든 시설이 완비되어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므로 대부분의 사람이 살고 싶어하는 주택의 한 형태가 되고 있다.
종래에 아파트를 시공할 때에는 전기선만 배선되면 되었으나, 최근에는 매체의 활용이 다양화, 고속화되면서 아파트를 시공함에 있어서도 전화선, 초고속 인터넷 전용선, CATV/MATV용 케이블 등 전기선을 제외한 다양한 약전용 전선들의 설치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를 위해 각 층마다 통신 EPS실이나 피트(PIT)를 마련하고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하여 배선하는 방식으로 설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신 EPS실이나 피트(PIT)는 그 면적이 1.3×0.7(㎡) 정도로 매우 크므로 이로 인해 공용면적이 작아져 실질적인 주거공간이 좁아지는 원인이 되었으며, 좁은 공간에서의 조적 및 현장관리가 어렵고, 불필요한 건축비가 증가하였으며, 전화 세대 단자함에서 EPS실까지 배관시공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바닥배관이 화장실 바닥을 통과하므로 하자 발생의 소지가 많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통신 EPS실이나 피트(PIT)를 설치하지 않고 시공하는 경우에는 각종 전선을 수용한 다량의 PVC 전선관을 골조에 매입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는 전선관 시공이 매우 어려움은 물론 구조적인 강도가 약하여 별도의 철근보강이 필요하며, 입선 후 앙카 또는 드릴에 의해 파손될 염려가 있고, 파손시에는 보수가 거의 불가능하며, 자재비 및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4각 파이프 형상을 가진 덕트의 하부 일측에는 전면방향으로 내부공간이 노출되게 개구부가 형성되면서 그 양측면에 조인트홀을 갖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부 일측에는 상기 덕트의 벽면 매입시 그 위치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와 동일방향으로 지지편을 부착하며, 상단부에는 다른 덕트를 수직방향으로 끼워 연결할 수 있도록 외부테두리가 타부위의 내부테두리와 동일하게 테두리 축소부를 형성하여 건물의 일 벽면에 매입되게 수직으로 세워 건물 전체에서 상기 덕트 내부공간이 통하도록 시공하되, 상기 돌출부가 벽면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위치시키며, 상기 덕트의 내부공간에는 약전전용선인 전화선, 통신선, TV케이블을 통합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에 매입되는 통합전선용 보호덕트가 2002년 3월 18일자로 실용신안등록 제20-0262291호로 등록공고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통합전선용 보호덕트는 거푸집 타설작업시 타설면인 벽면과의 직선면을 이루기가 어려웠으며,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덕트들 간의 결속력이 취약하여 시멘트 몰탈 타설과정에서 연결된 덕트들이 해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기존 통합전선 보호덕트에서 발생하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동주택으로 배선되는 케이블을 유도하기 위한 제1 보호덕트와 제2 보호덕트를 갈지자 형태로 결속함과 동시에 이들 보호덕트에 마련된 안착편, 밀착편, 연장편, 돌출편 들을 통해 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견고한 결속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통합전선용 보호덕트의 구조개선을 통해 기능손실이 없는 범위 내에서 그 구조를 단순하게 최적화시킴으로써, 제작비용의 절감 및 시공편의성을 향상시켜 공사기간과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는
공동주택으로 케이블을 배선할 수 있도록 벽체에 등간격으로 이격시켜 소정각도 경사지게 매설되며, 안착편을 갖는 제1 전면플레이트와, 밀착편을 갖는 제1 배면플레이트 및 양단부에 제1 쐐기형 연장돌부를 갖는 한 쌍의 제1 측면플레이트에 의해 관상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쐐기형 연장돌부의 외측에 제1 수직절개면이 마련된 다수개의 제1 덕트부와;
상기 제1 덕트부와 대칭되는 각도로 그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하단이 상기 제1 덕트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전면플레이트의 외면에 안착되는 연장편을 갖는 제2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제1 배면플레이트의 외면과 면접촉을 이루어 상기 제1 배면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돌출편을 갖는 제2 배면플레이트 및 양단부에 제2 쐐기형 연장돌부를 갖는 한 쌍의 제2 측면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제1 덕트부의 상하단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내경을 갖는 관상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쐐기형 연장돌부의 외측에 제2 수직절개면이 마련된 다수개의 제2 덕트부 및
상기 제1 덕트부와 제2 덕트부를 통해 배선된 케이블을 공동주택의 실내로 배선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덕트부와 제2 덕트부의 연결부위에 구비된 한 쌍의 제1 쐐기형 연장돌부 사이에 삽입연결되며, 전면에 배선되는 케이블을 굵기 별로 구분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내경을 갖는 다른 다수개의 배선공이 형성된 배선판이 구비되고, 상기 배선판의 배면에 상기 제1 배면플레이트와 제2 배면플레이트의 경사각과 동일한 각도의 경사면을 갖는 한 쌍의 지지편이 돌출형성된 케이블인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의 구조적 개선을 통해 보호덕트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이 견고한 결속력을 갖도록 함은 물론,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하게 최적화시킴으로써, 제작비용의 절감 및 시공편의성을 향상시켜 공사기간과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100)는 공동주택으로 케이블을 배선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제1 덕트부(110)와, 상기 제1 덕트부(110)와 제1 덕트부(110) 사이에 개재되어 케이블 배선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2 덕트부(120) 및 상기 제1 덕트부(110)와 제2 덕트부(120)를 통해 공동주택의 벽체로 배선된 케이블을 실내로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덕트부(110)와 제2 덕트부(120)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케이블인출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덕트부(110)는 공동주택으로 케이블을 배선할 수 있도록 벽체(W)에 등간격으로 이격시켜 소정각도 경사지게 매설된다.
이때, 상기 제1 덕트부(110)는 그 전, 후방에 제1 전면플레이트(112)와 제1 배면플레이트(114)가 소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제1 전면플레이트(112)와 제1 배면플레이트(114)의 양단부에 한 쌍의 제1 측면플레이트(116)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덕트부(110)는 제1 전면플레이트(112)와 제1 배면플레이트(114) 및 제1 측면플레이트(116)를 통해 상하방으로 개구된 관상체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전면플레이트(112)는 그 상단에 안착 편(111)이 마련되고, 상기 제1 배면 플레이트(114)는 그 하단에 밀착 편(113)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면플레이트(116)는 그 양단부에 제1 쐐기형 연장돌부(115)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쐐기형 연장돌부(115)의 외측에는 제1 수직절개면(117)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안착편(111)은 상기 제1 덕트부(110)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 덕트부(120)의 경사각과 동일한 경사각을 이루게 되며, 상기 밀착편(113)은 상기 제1 덕트부(110)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2 덕트부(120)의 경사각과 동일한 경사각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덕트부(120)는 상기 제1 덕트부(110)와 대칭되는 각도로 그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하단이 상기 제1 덕트부(11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 덕트부(120)는 그 전,후방에 제2 전면플레이트(122)와 제2 배면플레이트(124)가 소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제2 전면플레이트(122)와 제2 배면플레이트(124)의 양단부에 한 쌍의 제2 측면플레이트(126)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덕트부(120)는 제2 전면플레이트(122)와 제2 배면플레이트(124) 및 제2 측면플레이트(126)를 통해 상하방으로 개구된 관상체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전면플레이트(122)는 그 하단에 연장편(121)이 마련되고, 상기 제2 배면플레이트(124)는 그 상단에 돌출편(123)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측면플레이트(126)는 그 양단부에 제2 쐐기형 연장돌부(125)가 마련되고, 상기 제2 쐐기형 연장돌부(125)의 외측에는 제2 수직절개면(127)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연장편(121)은 상기 제2 덕트부(120)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1 덕트부(110)의 경사각과 동일한 경사각을 이루어 제1 전면플레이트(112)의 외면에 안착되고, 상기 돌출편(123)은 상기 제2 덕트부(120)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 덕트부(110)의 경사각과 동일한 경사각을 이루어 상기 제1 배면플레이트(114)의 외면과 면접촉을 이루어 상기 제1 배면플레이트(114)를 지지한다.
한편, 상기 케이블인출구(130)는 상기 제1 덕트부(110)와 제2 덕트부(120)를 통해 배선된 케이블을 공동주택의 실내로 배선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덕트부(110)와 제2 덕트부(120)의 연결부위에 구비된 한 쌍의 제1 쐐기형 연장돌부(115) 사이에 삽입연결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인출구(130)는 그 전면에 배선되는 케이블을 굵기 별로 구분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내경을 갖는 다른 다수개의 배선공(131)이 형성된 배선판(133)이 구비되고, 상기 배선판(133)의 배면에 상기 제1 배면플레이트(114)와 제2 배면플레이트(124)의 경사각과 동일한 각도의 경사면(135)을 갖는 한 쌍의 지지편(137)이 돌출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2 쐐기형 연장돌부(115,125)와 한 쌍의 지지편(137) 사이에는 상기 케이블인출구(130)를 제1 덕트부(110)와 제2 덕트부(120)에 결속시키기 위한 스토퍼(1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140)는 상기 제1,2 쐐기형 연장돌부(115,125)의 내측에 형성된 개구공(141)과 상기 한 쌍의 지지편(137)의 외측에 돌출형성되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개구공(141)에 삽입연결되는 탄성쐐기편(1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는 공동주택으로 배선되는 케이블을 유도하기 위한 제1 보호덕트와 제2 보호덕트를 갈지자 형태로 결속함과 동시에 이들 보호덕트에 마련된 안착편, 밀착편, 연장편, 돌출편 들을 통해 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견고한 결속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통합전선용 보호덕트의 구조를 단순하게 최적화시킴으로써, 제작비용의 절감 및 시공편의성을 향상시켜 공사기간과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시공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10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공동주택의 벽체가 되는 부위에 제1 덕트부(110)와 제2 덕트부(120) 및 케이블인출구(13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1 덕트부(110)와 제2 덕트부(120)는 그 순번을 교대하여 순차적으로 적층설치한다. 즉, 최하단에 제2 덕트부(120)를 설치하면, 상기 제2 덕트부(120)의 상부에 제1 덕트부(110)를 설치하고, 상기 제1 덕트부(110)의 상부에는 다시 제2 덕트부(120)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제2 쐐기형 연장돌부(125) 사이에는 제1 쐐기형 연장돌부(115)가 삽입되며, 이때, 상기 제1 수직절개면(117)은 상기 제2 수직절개면(127)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덕트부(120)의 돌출편(123)은 제2 덕트부(120)의 인접한 상부에 설치되는 제1 덕트부(110)의 제1 배면플레이트(114) 외면 하단에 위치되어 제1 덕트부(110)를 지지하며, 상기 제2 덕트부(120)의 연장편(121)은 제2 덕트부(120)의 인접한 하부에 설치되는 제1 덕트부(110)의 제1 전면플레이트(112) 외면 상단에 위치되어 제1 덕트부(110)로 부터 지지력을 받는다.
그리고 상기 제1 덕트부(110)의 밀착편(113)은 제1 덕트부(110)의 인접한 하부에 설치되는 제2 덕트부(120)의 제2 배면플레이트(124) 내면 상단에 위치되며, 상기 제1 덕트부(110)의 안착편(111)은 제1 덕트부(110)의 인접한 상부에 설치되는 제2 덕트부(120)의 제2 전면플레이트(122) 내면 하단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밀착편(113)과 안착편(111)은 각도조절을 통해 제2 덕트부(120)의 내부공간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밀착편(113)과 안착편(111)은 제2 덕트부(120)를 통해 배선되는 케이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빈 공간을 차단함으로써, 보호덕트를 통해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2 쐐기형 연장돌부(125) 사이에 상기 케이블인출구(130)를 삽입연결한다. 이때, 상기 탄성쐐기편(143)은 그 자체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2 쐐기형연장돌부(115,125)에 형성된 개구공(141)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블인출구(130) 제1,2 덕트부(110,120)와 결속관계를 이루도록 한다.
이후, 상기 배선판(133)의 배선공(131)에는 제1 덕트부(110)와 제2 덕트부(120)를 통해 배선된 케이블을 배선한다. 이때, 상기 배선공(131)들은 서로 다른 내경으로 이루어져 케이블의 종류별로 구분하여 배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동주택 내에서의 배선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는 그 구조적 특성을 살펴보았을 때 견고한 결속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그 구조를 단순하게 최적화시킴으로써, 제작비용의 절감 및 시공편의성을 향상시켜 공사기간과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110 : 제1 덕트부 111 : 안착편
112 : 제1 전면플레이트 113 : 밀착편
114 : 제1 배면플레이트 115 : 제1 쐐기형 연장돌부
116 : 제1 측면플레이트 117 : 제1 수직절개면
120 : 제2 덕트부 121 : 연장편
122 : 제2 전면플레이트 123 : 돌출편
124 : 제2 배면플레이트 125 : 제2 쐐기형연장돌부
126 : 제2 측면플레이트 127 : 제2 수직절개면
130 : 케이블인출구 131 : 배선공
133 : 배선판 135 : 경사면
137 : 지지편 140 : 스토퍼
141 : 개구공 143 : 탄성쐐기편

Claims (2)

  1. 공동주택으로 케이블을 배선할 수 있도록 벽체(W)에 등간격으로 이격시켜 소정각도 경사지게 매설되며, 안착편(111)을 갖는 제1 전면플레이트(112)와, 밀착편(113)을 갖는 제1 배면플레이트(114) 및 양단부에 제1 쐐기형 연장돌부(115)를 갖는 한 쌍의 제1 측면플레이트(116)에 의해 관상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쐐기형 연장돌부(115)의 외측에 제1 수직절개면(117)이 마련된 다수개의 제1 덕트부(110)와;
    상기 제1 덕트부(110)와 대칭되는 각도로 그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하단이 상기 제1 덕트부(110)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전면플레이트(112)의 외면에 안착되는 연장편(121)을 갖는 제2 전면플레이트(122)와, 상기 제1 배면플레이트(114)의 외면과 면접촉을 이루어 상기 제1 배면플레이트(114)를 지지하는 돌출편(123)을 갖는 제2 배면플레이트(124) 및 양단부에 제2 쐐기형 연장돌부(125)를 갖는 한 쌍의 제2 측면플레이트(126)에 의해 상기 제1 덕트부(110)의 상하단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내경을 갖는 관상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쐐기형 연장돌부(125)의 외측에 제2 수직절개면(127)이 마련된 다수개의 제2 덕트부(120) 및
    상기 제1 덕트부(110)와 제2 덕트부(120)를 통해 배선된 케이블을 공동주택의 실내로 배선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덕트부(110)와 제2 덕트부(120)의 연결부위에 구비된 한 쌍의 제1 쐐기형 연장돌부(115) 사이에 삽입연결되며, 전면에 배선되는 케이블을 굵기 별로 구분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내경을 갖는 다른 다수개의 배선공(131)이 형성된 배선판(133)이 구비되고, 상기 배선판(133)의 배면에 상기 제1 배면플레이트(114)와 제2 배면플레이트(124)의 경사각과 동일한 각도의 경사면(135)을 갖는 한 쌍의 지지편(137)이 돌출형성된 케이블인출구(1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쐐기형 연장돌부(115,125)와 한 쌍의 지지편(137) 사이에는 상기 케이블인출구(130)를 제1 덕트부(110)와 제2 덕트부(120)에 결속시키기 위한 스토퍼(140)를 구비하되,
    상기 스토퍼(140)는 상기 제1,2 쐐기형 연장돌부(115,125)의 내측에 형성된 개구공(141)과 상기 한 쌍의 지지편(137)의 외측에 돌출형성되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개구공(141)에 삽입연결되는 탄성쐐기편(143)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20100021057A 2010-03-10 2010-03-10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955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057A KR100955792B1 (ko) 2010-03-10 2010-03-10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057A KR100955792B1 (ko) 2010-03-10 2010-03-10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5792B1 true KR100955792B1 (ko) 2010-05-06

Family

ID=42281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057A KR100955792B1 (ko) 2010-03-10 2010-03-10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7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102169559B1 (ko) * 2020-04-22 2020-10-23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방열기능을 겸비한 매입형 공동주택 정보통신 케이블 보호덕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7310A (ja) * 1994-05-31 1995-12-12 Sunazaki Denko Kk ケーブルダクト
KR100648102B1 (ko) 2006-09-01 2006-11-24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벽면매입형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649390B1 (ko) 2006-09-06 2006-11-29 (주)천도건축사사무소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889498B1 (ko) 2008-02-21 2009-03-19 (주)일신전기감리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7310A (ja) * 1994-05-31 1995-12-12 Sunazaki Denko Kk ケーブルダクト
KR100648102B1 (ko) 2006-09-01 2006-11-24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벽면매입형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649390B1 (ko) 2006-09-06 2006-11-29 (주)천도건축사사무소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889498B1 (ko) 2008-02-21 2009-03-19 (주)일신전기감리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102169559B1 (ko) * 2020-04-22 2020-10-23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방열기능을 겸비한 매입형 공동주택 정보통신 케이블 보호덕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0346B1 (ko) 스마트 월
KR100708288B1 (ko) 공동주택용 레일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
US3694973A (en) Utility module for apartment-type dwellings
KR100889498B1 (ko)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US9391440B1 (en) Electrical panel structures
KR101640351B1 (ko) 공동주택용 전기, 통신 배관 겸용 무매립 덕트
KR101157482B1 (ko) 관통슬리브
KR102035541B1 (ko)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고정장치
KR100596461B1 (ko)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조립식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719882B1 (ko) 집합건물에 채용하기 적합한 케이블 배전박스 구조
KR100955792B1 (ko)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779667B1 (ko)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649390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771423B1 (ko)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805074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744466B1 (ko) 건축물의 벽면내부에 설치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 구조
KR200262291Y1 (ko) 벽면에 매입되는 통합전선용 보호덕트
KR100629785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통합전선 보호덕트
CN205860453U (zh) 空调托架
JP2010101138A (ja) 水回り設備ユニットの給電構造
KR20190096635A (ko)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
KR101916019B1 (ko)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648102B1 (ko) 벽면매입형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0749723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양방향 통합 전선 보호덕트
KR101125262B1 (ko) 에어컨 배관 및 배선의 천장 거치용 행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