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605B1 - 지지바 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 - Google Patents

지지바 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7605B1
KR100787605B1 KR1020050042924A KR20050042924A KR100787605B1 KR 100787605 B1 KR100787605 B1 KR 100787605B1 KR 1020050042924 A KR1020050042924 A KR 1020050042924A KR 20050042924 A KR20050042924 A KR 20050042924A KR 100787605 B1 KR100787605 B1 KR 100787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wiring box
support bar
coil spr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0772A (ko
Inventor
송연태
Original Assignee
(주)상진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진전기 filed Critical (주)상진전기
Priority to KR1020050042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7605B1/ko
Publication of KR20060120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0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입배선박스로만 되거나 매입배선박스에 덮개를 덮어주도록 된 전기배선박스에 있어서, 배선박스본체에서 배선관연결구가 형성된 전면과 배면에 한 쌍씩의 고정받침편을 평행하게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지지바를 고정받침편의 내부에 설치되는 통상의 코일스프링에 의해 체결봉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장착시켜 줄 수 있도록 된 지지바 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거푸집에 설치된 철근과 지지바가 서로 근접되어 있지 않더라도 스프링에 의해 탄발되는 지지바를 인출하여 철근에 인접시켜 용이하게 연결(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종래와 같이 별도의 연결구를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면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기배선박스본체. 장착편. 안치홈. 탄발실. 코일스프링. 장착봉.

Description

지지바 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A Electric Wire Box}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지지바 결합형 전기배선박스를 보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바 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를 보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바 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에서 각기 다른 장착수단에 의해 지지바와 코일스프링을 장착시킨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지지바결합형 전기배선박스 1-2.1-3: 지지바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
2.2-1: 배선박스본체 3.3-1: 덮개
10: 받침편 11: 장착편
12: 안치홈 13: 체결공
16: 코일스프링 20: 지지바
본 고안은 건물에 전기를 배선하기 위하여 건물의 벽면에 매입되는 전기스위치 등을 설치하는데 사용되어지는 통상의 매입형 전기배선박스에 지지바를 결합할 수 있도록 된 지지바 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매입배선박스로만 되거나 매입배선박스에 덮개를 덮어주도록 된 전기배선박스에 있어서, 배선박스본체에서 배선관연결구가 형성된 전면과 배면에 한 쌍씩의 고정받침편을 평행하게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지지바를 고정받침편의 내부에 설치되는 통상의 코일스프링에 의해 체결봉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장착시켜 줄 수 있도록 된 지지바 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각종 건물을 시공할 때에 전기공사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거푸집의 내부에는 매입형 전기배선박스를 소정의 위치에 설치하고 각 전기배선박스의 배선관연결구에는 배선관을 연결시켜주게 되며, 거푸집의 내부에는 철근을 거푸집의 내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거푸집의 내부에 전기배선박스를 설치할 때에 철근에 보다 용이하게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배선박스본체의 전면과 배면에 고정받침편을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지지바를 스프링에 의해 탄발되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시켜 줌 으로써 거푸집과 인접하게 되는 철근을 건축법의 규정에 부합되도록 보다 용이하게 결속시켜 줄 수 있도록 된 지지바 탄발체결형 전기배선박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종래의 배선박스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는 본인에 의해 실용신안등록 제140146호로 선 등록된 덮개가 있는 매입형
전기배선박스와 의장등록 제155983호로 선 등록된 매입형 전기배선박스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매입형 전기배선박스에 대하여 첨부도면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매입형 전기배선박스는 전면이 개방형으로 된 배선박스본체(2)(2-1)의 전면에 덮개(3)(3-1)를 결합하여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배선박스본체(2)(2-1)의 상/하면에는 배선관을 배선(연결)시킬 수 있도록 된 배선관연결구(4)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 양측에는 상기 배선관연결구(4)와 교차되도록 간격유지결합편(5)과 철근결합편(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종래의 전기배선박스는 거푸집과 같이 매우 좁은 공간에 설치해 주어야 하는데, 인접하는 전기배선박스의 각 간격유지결합편 끼리를 간격유지구로 결합시켜 전기배선박스 끼리의 간격을 규정에 맞도록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고, 철근결합편(7)에 결합되는 철근에 의해서는 횡으로 설치되는 철근을 지지해 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수직으로 설치되는 철근을 지지해 줄 수 없는 문제가 있었고, 그로 인하여 거푸집의 내면과 인접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는 철근을 거푸집과는 규격에 맞게 설치해 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인은 실용신안등록 제223959호 "매입형전기배선박스의 고정구"를 고안하였는데, 이는 배선관연결구(4)가 형성된 배선박스본체(2)(2-1)의 전면과 배면에 고정편을 이격 형성하여 고정공이 뚫어진고정판을 삽입 결합시켜 주거나, 또는 상면과 저면에 고정판을 볼트스크류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시켜 주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고정편에 고정판을 삽입하여 결합시켜 주도록 한 것은 결합상태가 양호하지 못할 경우에는 콘크리트를 타설 충진시킬 때에 충진되는 콘크리트의 충격에 의해 고정판이 고정편에서 탈락할 염려가 있고, 고정판이 탈락하게 되면 수직으로 설치되는 철근이 거푸집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지 못하여 건축규정을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전면과 배면에 고정판을 고정시켜 주도록 하는 것은 고정판을 지지해 주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고정판을 고정시켜 주기가 용이치 못하였고, 고정판도 평행하게 고정시켜 줄 수 없었으며, 따라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철근도 거푸집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키면서 고정시켜 줄 수 없는 폐단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본인은 실용신안등록 제 20-288017호 에 의해 지지바 결합형 전기배선박스(1)(1-1)를 제안하였으며, 이는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전기배선박스본체(2)(2-1)의 상면과 저면에 하나 또는 한 쌍의 배선관연결구(4)를 일체로 형성하고, 전면에 덮개(3)(3-1)를 결합시켜 주도록 된 매입형 전기배선박스에 있어서, 상기 상면과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배선관연결구(4)의 양측 단부에는 체결공(7-1)이 뚫어진 고정받침대(7)을 일체로 형성하고, 지지바(8)에는 고정받침대(7)의 체결공(7-1)과 동일한 간격으로 한 쌍씩의 체결공(8-1)을 등간격으로 뚫어주며, 지지바(8)에 뚫어진 체결공(8-1)을 고정받침대(7)에 뚫어진 체결공(7-1)과 일치시켜 통상의 볼트스크류(9)에 의해 지지바(8)를 고정받침대(7)에 고정시켜서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지지바(8)가 볼트스크류(9)에 의해 고정받침대(7)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거푸집의 내부에 설치되는 철근이 지지바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들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두께가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연결구(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연결구를 이들 상에 개입시킨 상태에서 결합시켜 주어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된 지지바 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매입배선박스로만 되거나 매입배선박스에 덮개를 덮어주도록 된 전기배선박스에 있어서, 배선박스본체에서 배선관연결구가 형성된 전면과 배면에 한 쌍씩의 고정받침편을 평행하게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지지바를 고정받침편의 내부에 설치되는 통상의 코일스프링에 의해 체결봉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장착시켜 줄 수 있도록 된 지지바 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푸집에 설치된 철근과 지지바가 서로 근접되어 있지 않더라도 스프링에 의해 탄발되는 지지바를 인출하여 철근에 인접시켜 용이하게 연결(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지지바 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배선박스본체(2)(2-1)로만 되거나 배선박스본체(2)(2-1)에 덮개(3)(3-1)를 덮어주고, 배선박스본체(2)(2-1)의 상면과 저면에서 배선관연결구(4)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받침편(7)에 지지바(8)를 설치하도록 된 전기배선박스(1)(1-1)에 있어서,
배선박스본체(2)(2-1)의 상면과 저면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받침편(10)은 전면에는 장착편(11)과 안치홈(12)을 상하로 형성하여 지지바(20)를 안치시킨 것과,
고정받침편(10)에는 체결공(13)을 전후로 연통되게 뚫어 안치홈(12)에 안치되는 지지바(20)를 장착공(21)과 체결공(13)을 통해 삽입되는 장착수단에 의해 장착시키되, 고정받침편(10)의 후방에서 장착수단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16)에 의해 탄발되도록 설치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바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1-3)(1-4)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2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바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1-3)(1-4)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바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1-3)(1-4)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바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1-3)(1-4)에서 각기 다른 장착수단에 의해 지지바와 코일스프링을 장착시킨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바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1-3)(1-4)는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배선박스본체(2)(2-1)의 전면에 덮개(3)(3-1)를 결합하여 고정시켰고, 배선박스본체(2)(2-1)의 상/하면에는 배선관을 배선(연결)시킬 수 있도록 된 배선관연결구(4)를 형성하였으며, 배면 양측에는 상기 배선관연결구(4)와 교차되도록 간격유지결합편(5)과 철근결합편(6)을 형성하였는데 상기 간격유지결합편(5)과 철근결합편(6)은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배선박스본체(2)(2-1)의 상/하면에서 배선관연결구(4)의 양측에는 고정받침편(10)을 일체로 형성하였다.
상기 고정받침편(10)은 전면에 장착편(11)과 안치홈(12)을 상하로 형성하여 장착공(21)이 전방에 무수히 뚫어진 지지바(20)를 안치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고정받침편(10)의 내부에는 전/후방으로 연통 및 개방되는 체결공(13)과 탄발실(14)을 뚫어 형성하였으며, 탄발실(14)에 코일스프링(16)을 장입시킨 상태에서 안치홈(12)에 안치된 전방의 지지바(20)와 탄발실(14)에 장입된 코일스프링(16)을 장착수단에 의해 장착시켰다.
안치홈(12)에 안치된 전방의 지지바(20)와 탄발실(14)에 장입된 코일스프링(16)을 장착수단에 의해 장착시킴에 있어,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15-1)가 형성된 장착봉(15)을 장착공(21)과 체결공(13)을 통하여 탄발실(14)까지 삽입시키고, 탄발실(14)로 노출되는 장착봉(15)에 코일스프링(16)을 끼운 상태에서 장착봉(15)의 단부에 억류돌편(15-2)을 형성하여 코일스프링(16)이 외부로 탈출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17-1)가 형성된 장착볼트(17)를 장착공(21)과 체결공(13)을 통하여 탄발실(14)까지 삽입시키고, 탄발실(14)로 노출되는 장착볼트(17)에 코일스프링(16)을 끼운 상태에서 장착볼트(17)의 단부에 장착너트(18)를 나사 결합하여 코일스프링(16)이 외부로 탈출되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바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1-3)(1-4)는 거푸집(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의 내측에 설치해 주게되는데, 인접하는 지지바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1-3)(1-4)끼리는 간격유지결합구(5)에 결합되는 간격유지구(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되고, 고정받침편(10)에 장착된 지지바(20)는 거푸집의 내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는 철근(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의 외측(전면부)에 고정시켜 주게 된다.
상기 지지바(20)가 코일스프링(16)에 의해 탄발되므로 지지바(20)를 수직으로 설치되는 철근에 결합(고정)시킨 상태에서 배선박스본체(2)(2-1)의 배면에 형성된 철근결합편(6)을 거푸집의 내부에서 수평(횡)으로 설치된 철근에 결합시킬 때에 수평철근과 철근결합편(6)이 일치하지 않고 약간의 틈(간격)이 발생하더라도, 배선박스본체(2)(2-1)를 후방으로 밀어주게 되면 코일스프링(16)을 압축시키면서 후방으로 이동(후퇴)하게 되며, 후퇴하는 배선박스본체(2)(2-1)의 철근결합편(6)을 수평철근에 결합시켜 줌으로서 지지바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1-3)(1-4)의 설치를 완료하게 되다.
이와같이 설치하여 줌으로서, 지지바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1-3)(1-4)를 거푸집의 내부에서 건축법상에서 규정하고 있는 소정의 간격으로 자연스럽게 유지시키면서 바르게 설치해 줄 수 있으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충진시키더라도 지지바가 탈락하거나 그 지지바에 고정된 철근의 위치가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예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예시된 실시 예에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 또는 수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바 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는 매입배선박스로만 되거나 매입배선박스에 덮개를 덮어주도록 된 전기배선박스에 있어서, 배선박스본체에서 배선관연결구가 형성된 전면과 배면에 한 쌍씩의 고정받침편을 평행하게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지지바를 고정받침편의 내부에 설치되는 통상의 코일스프링에 의해 체결봉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장착시켜 줄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거푸집에 설치된 철근과 지지바가 서로 근접되어 있지 않더라도 스프링에 의해 탄발되는 지지바를 인출하여 철근에 인접시켜 용이하게 연결(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종래와 같이 별도의 연결구를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면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배선박스본체(2)(2-1)로만 되거나 배선박스본체(2)(2-1)에 덮개(3)(3-1)를 덮어주고, 배선박스본체(2)(2-1)의 상면과 저면에서 배선관연결구(4)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받침편(7)에 지지바(8)를 설치하도록 된 전기배선박스(1)(1-1)에 있어서,
    배선박스본체(2)(2-1)의 상면과 저면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받침편(10)은 전면에는 장착편(11)과 안치홈(12)을 상하로 형성하여 지지바(20)를 안치시킨 것과,
    고정받침편(10)에는 체결공(13)을 전후로 연통되게 뚫어 안치홈(12)에 안치되는 지지바(20)를 장착공(21)과 체결공(13)을 통해 삽입되는 장착수단에 의해 장착시키되, 고정받침편(10)의 후방에서 장착수단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16)에 의해 탄발되도록 설치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바 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받침편(10)의 전/후방에 위치하는 지지바(20)와 코일스프링(16)을 장착시킴에 있어,
    고정받침편(10)의 내부 후방에는 탄발실(14)을 체결공(13)과 연통되고 후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하고, 탄발실(14)에 코일스프링(16)을 장입시키며, 전방의 지지바(20)와 탄발실(14)에 장입된 코일스프링(16)을 장착수단에 의해 장착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바 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지지바(20)와 코일스프링(16)을 장착시키는 장착수단은,
    머리부(15-1)가 형성된 장착봉(15)을 장착공(21)과 체결공(13)을 통하여 탄발실(14)까지 삽입시키고, 탄발실(14)로 노출되는 장착봉(15)에 코일스프링(16)을 끼우며, 장착봉(15)의 단부에 억류돌편(15-2)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바 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지지바(20)와 코일스프링(16)을 장착시키는 장착수단은,
    머리부(17-1)가 형성된 장착볼트(17)를 장착공(21)과 체결공(13)을 통하여 탄발실(14)까지 삽입시키고, 탄발실(14)로 노출되는 장착볼트(17)에 코일스프링(16)을 끼우며, 장착볼트(17)의 단부에 장착너트(18)를 나사 결합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바 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
KR1020050042924A 2005-05-23 2005-05-23 지지바 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 KR100787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924A KR100787605B1 (ko) 2005-05-23 2005-05-23 지지바 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924A KR100787605B1 (ko) 2005-05-23 2005-05-23 지지바 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772A KR20060120772A (ko) 2006-11-28
KR100787605B1 true KR100787605B1 (ko) 2007-12-26

Family

ID=37706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924A KR100787605B1 (ko) 2005-05-23 2005-05-23 지지바 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76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763Y1 (ko) * 2012-04-19 2014-01-13 (주)대교에이스 커넥터 일체형 배선플레이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554Y1 (ko) 2002-11-29 2003-03-11 일 석 채 옥내배선용 접속함
KR200318130Y1 (ko) 2003-03-17 2003-06-27 남영기전 주식회사 배선용 접속함
KR200318187Y1 (ko) 2003-03-24 2003-06-28 김근수 단자함
KR200364887Y1 (ko) 2004-07-07 2004-10-19 김근수 단자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554Y1 (ko) 2002-11-29 2003-03-11 일 석 채 옥내배선용 접속함
KR200318130Y1 (ko) 2003-03-17 2003-06-27 남영기전 주식회사 배선용 접속함
KR200318187Y1 (ko) 2003-03-24 2003-06-28 김근수 단자함
KR200364887Y1 (ko) 2004-07-07 2004-10-19 김근수 단자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772A (ko) 2006-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9071B1 (ko)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고정구조
KR100761047B1 (ko) 공동주택 천정 전기 케이블 설치구조
KR100760639B1 (ko)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
KR100787605B1 (ko) 지지바 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
KR100655881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구조
JP6506435B1 (ja) 設備機器の設置構造
CN210622063U (zh) 预埋线管位置可调的预制装配式叠合板
KR102100144B1 (ko) 내진 설계가 갖추어진 공동주택 전기의 배전함
CN205857079U (zh) 一种全自动升降路障
KR101060358B1 (ko) 건축용 배설 파이프 지지장치
KR101707559B1 (ko)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KR100695765B1 (ko) 옥내 배전용 접속함 십자형 고정장치
KR102539391B1 (ko) 내진 설계가 보강된 공동주택의 전기 공급시스템 제공방법
KR200288018Y1 (ko) 간격유지구 결합형 전기배선박스
KR100914408B1 (ko)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
KR101638934B1 (ko)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 고정구조
CN204460108U (zh) 楼板暗埋电气灯头盒内的大型灯具或吊扇的固定装置
KR200321633Y1 (ko) 전기배선박스의 간격유지구 결합장치
CN213806110U (zh) 连接组件及装配式天花吊顶
KR101146846B1 (ko) 배선 설비가 매립된 경량 콘크리트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런너부재를 이용한 벽체설치구조
KR200288017Y1 (ko) 지지바 결합형 전기배선박스
KR200175230Y1 (ko) 콘크리트 옹벽의 치장벽돌 조적구조
CN107069615A (zh) 一种高适应性埋墙式接线盒
CN211849543U (zh) 一种预制围墙基础单元以及安装结构
KR101033344B1 (ko) 건축 내장재의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