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6846B1 - 배선 설비가 매립된 경량 콘크리트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런너부재를 이용한 벽체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배선 설비가 매립된 경량 콘크리트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런너부재를 이용한 벽체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846B1
KR101146846B1 KR1020090116081A KR20090116081A KR101146846B1 KR 101146846 B1 KR101146846 B1 KR 101146846B1 KR 1020090116081 A KR1020090116081 A KR 1020090116081A KR 20090116081 A KR20090116081 A KR 20090116081A KR 101146846 B1 KR101146846 B1 KR 101146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weight concrete
concrete panel
vertical portion
runner member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9371A (ko
Inventor
이병권
최영락
곽수윤
고창현
김동섭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6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846B1/ko
Publication of KR20110059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4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8Details of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측면에 런너부재(2)를 결합하고 슬래브(3) 위에 수직하게 설치하여 건축물의 벽체를 구축하는 벽체설치구조로서, 상기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은, 미리 전기 설비 박스(10)와 배선용 파이프(20)가 배치된 상태에서 경량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제작됨으로써, 전기 설비 박스(10)와 배선용 파이프(20)가 내부에 매설되어 있고, 상기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하부 측면에는, 상기 배선용 파이프(20)의 외측 단부가 존재하게 되는 위치에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부(40)가 형성되어 있어, 배선용 파이프(20)의 일측 단부가 상기 오목부(40)로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40)는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정면 또는 배면으로도 개방되어 있어,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정면 또는 배면으로 개방되어 있는 부분을 통해서 작업자가 상기 오목부(40)로 손을 집어넣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런너부재(2)는, 제1 수직부(22)와, 관통공(24)이 형성되어 있는 절곡돌출부(29)와, 수평부(28)와 제2 수직부(23)로 이루어지되, 제2 수직부(23)의 높이가 제1 수직부(22)의 높이 보다 낮아 단면의 형태가 양측 높이가 상이하며, 절곡돌출부(29)는 제1 수직부(22)와 제2 수직부(23) 사이에서 위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수직부(23)의 끝단은 내측으로 말아 감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며;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하부 측면에는 상기 절곡돌출부(29)가 끼워지는 오목삽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런너부재(2)가 슬래브(3) 위에 놓여 결합되어 있고, 상기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하부 측면이 상기 런너부재(2)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으며, 슬래브(3)에 배치된 배선(31)은 상기 관통공(24)을 관통하고,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정면 또는 배면으로 개방된 오목부(40)로 작업자가 손을 집어넣어 작업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배선(31)이 상기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매립된 배선용 파이프(20)로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체설치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배선 설비가 매립된 경량 콘크리트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런너부재를 이용한 벽체설치구조{Install Structure using Runner Member for Installing Light Weight Concrete Panel having Imbedded Electric Boxes}
본 발명은 배선 설비가 매립된 경량 콘크리트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런너부재 및 이를 이용한 벽체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주택, 빌딩 등의 건축물에서의 벽체 구축에 이용되는 경량 콘크리트 패널에서, 배선 설비가 경량 콘크리트 패널의 본체 내에 일체로 매립되어 있어 전선 등의 배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경량 콘크리트 패널을 수직하게 설치하여 건축물의 벽체를 구축함에 있어서 경량 콘크리트 패널이 놓이는 슬래브로부터의 배선이 경량 콘크리트 패널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경량 콘크리트 패널 설치용 런너(runner)부재와, 이를 이용한 벽체설치구조에 대한 것이다.
주택이나 빌딩 등의 건축물에서, 공간을 구획하는 벽체로서 경량의 재질 특히, 경량 콘크리트로 제작된 패널("경량 콘크리트 패널")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도 1 및도 2에는 종래의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벽체를 구축함에 있어서, 콘센트 박스, 스위치 박스, 인터폰 박스 등과 같은 각종 전기 설비 박스를 경량 콘크리트 패널에 설치하여야 하며, 전선, 전화선 등 각종 배선을 위한 배선용 파이프 역시 경량 콘크리트 패널에 설치하여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경량 콘크리트 패널의 경우, 위와 같은 전기 설비 박스 및 배선용 파이프를 설치하는 데에 상당한 불편함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에는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일부분을 현장에서 컷팅하거나 또는 홈파기를 하여 오목한 공간을 별도로 확보한 후, 전기 설비 박스(10)와 배선용 파이프(20)를 상기 공간에 설치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전기 설비 박스(10)와 배선용 파이프(20)를 설치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컷팅 작업, 홈파기 작업 등을 현장에서 수행하게 되면, 다량의 폐기물이 발생하게 되어 현장에서 이를 처리하는데 상당한 애로사항이 생기게 되고, 비산먼지나 소음 등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장에서 위와 같은 컷팅 작업, 홈파기 작업 등을 수행할 때에는 정밀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정밀한 시공이 어렵고, 현장에서의 추가 작업 진행으로 인하여 공사기간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확보된 공간에 전기 설비 박스(10)와 배선용 파이프(20)를 설치한 후에는 다시 메우는 작업을 해야 하며, 특히, 이러한 되메우기 작업이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되메우기 작업이라는 추가적인 공정 수행으로 인한 현 장 시공비용 증가 및 공사기간의 증가를 피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앞서 언급한 것처럼 현장 작업은 정밀도가 낮기 때문에 현장에서 홈을 메운 경량 콘크리트 패널은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크게 된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는 이와 같은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을 설치함에 있어서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도 3 내지 도 5에는 각각 종래의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을 시공하여 벽체를 구축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을 세워서 벽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런너부재(2)를 이용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런너부재(2)를 상부가 개방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하부를 런너부재(2)의 개방된 상부에 끼움으로써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을 설치하여 벽체를 구축한다.
건축물의 바닥을 이루는 슬래브(3)에는 전선, 전화선 등의 배선(31)이 배치되고, 슬래브(3)에 배치된 상기 배선(31)은, 상기 경량 콘크리트 패널(1)에 설치된 배선용 파이프(20) 내로 삽입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경량 콘크리트 패널(1)과 런너부재(2)가 슬래브(3) 위에 놓일 때, 슬래브(3) 내에 배치된 배선(31)이 상기 런너부재(2)를 관통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부재번호 32는 필요에 따라 슬래브(3) 위에 배치되는 바닥완충층(32)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런너부재(2)가 단순한 U자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위와 같이 슬래브(3)로부터의 배선(31)이 런너부재(2)를 관통하도록 하려면, 현장 에서 런너부재(2)의 바닥면에 관통공을 천공해야만 했다. 그에 따라 현장 작업이 늘어나게 되고 결국 공사기간의 연장과 현장에서의 작업 불편을 피할 수 없었다.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이 슬래브(3)에 놓인 상태에서 슬래브(3)의 배선(31)이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배선용 파이프(20)로 깊숙하게 삽입되어야 하는데,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이 놓인 상태에서는 배선(31)을 삽입하는 작업을 할 공간이 없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경우에는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배선(31)을 배선용 파이프(20) 속으로 집어넣는 삽입 작업을 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배선(31) 삽입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을 장시간 들고 있어야 하며, 그에 따라 작업의 위험성이 높아지고 인양기 등의 설비 사용 시간이 늘어나서 그 만큼 공사비용이 더 증가하게 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슬래브(3)의 표면에 홈을 파서 배선(31)의 삽입 작업을 하기 위한 공간을 별도로 확보해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슬래브(3)에 표면 홈을 형성하고 되메우는 별도의 현장 작업이 필요하게 되고, 그 만큼 작업성 및 작업속도가 저하되어, 공사기간의 증가 및 공사비용의 증가를 피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각종 전기 설비 박스, 또는 전선, 전화선 등 각종 배선을 경량 콘크리트 패널에 설치하기 위하여, 경량 콘크리트 패널을 컷팅하거나 홈파기하고, 다시 메우는 작업을 벽체의 설치 현장에서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폐기물 발생, 비산먼지나 소음 등의 발생, 시공 정밀도의 하락, 공사기간의 증가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런너부재를 이용하여 슬래브 위에 경량 콘크리트 패널을 설치함에 있어서, 런너부재에 슬래브로부터의 배관용 파이프를 관통시키기 위하여, 현장에서 런너부재에 관통공을 형성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런너부재와 경량 콘크리트 패널을 설치한 상태에서, 슬래브로부터의 배선을 용이하게 경량 콘크리트 패널의 배선용 파이프에 삽입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량 콘크리트 패널을 장시간 공중에 들고 있거나 또는 슬래브 표면에 홈을 형성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벽체를 구축하기 위한 경량 콘크리트 패널로서, 미리 전기 설비 박스와 배선용 파이프를 배치한 상태에서 경량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제작됨으로써, 전기 설비 박스와 배선용 파이프가 내부에 매설되어 있으며; 상기 경량 콘크리트 패널의 하부 측면에는, 상기 배선용 파이프의 외측 단부가 존재하게 되는 위치에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 배선용 파이프의 일측 단부가 상기 오목부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는 경량 콘크리트 패널의 정면 또는 배면으로도 개방되어 있어, 경량 콘크리트 패널의 정면 또는 배면으로 개방되어 있는 부분을 통해서 작업자가 상기 오목부로 손을 집어넣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콘크리트 패널의 측면에 결합되어 경량 콘크리트 패널이 슬래브위에 설치되도록 하기에 매우 적합한 런너부재로서, 제1 수직부와, 절곡돌출부, 수평부 및 제2 수직부로 이루어지되, 제2 수직부의 높이가 제1 수직부의 높이 보다 낮아 단면의 형태가 양측 높이가 상이하며, 절곡돌출부는 제1 수직부와 제2 수직부 사이에서 위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수직부의 끝단은 내측으로 말아 감기되어 있고; 상기 절곡돌출부에는 슬래브에 배치된 배선이 관통할 수 있는 타원형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너부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경량 콘크리트 패널과 런너부재를 이용하여 구축된 벽체설치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전기 설비 박스, 또는 전선, 전화선 등 각종 배선을 경량 콘크리트 패널에 설치하기 위하여, 경량 콘크리트 패널을 컷팅하거나 홈파기하거나, 이를 다시 메우는 작업이 전혀 필요 없게 되어, 현장 작업으로 인한 폐기물 발생, 비산먼지나 소음 등의 발생, 시공 정밀도의 하락, 공사기간의 증가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런너부재를 이용하여 슬래브 위에 경량 콘크리트 패널을 설치함에 있어서, 현장에서 런너부재에 관통공을 형성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되고, 런너부재와 경량 콘크리트 패널을 슬래브 위에 설치한 상태에서, 런너부재와 슬래브 사이의 공간을 통해 작업자가 슬래브로부터의 배선을 경량 콘크리트 패널의 배선용 파이프에 삽입할 수 있으므로, 경량 콘크리트 패널을 장시간 공중에 들고 있거나 또는 슬래브 표면에 홈을 형성함으로 인한 문제점 발생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6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일예로서 중앙 하부에 전기 설비 박스(10)와 배선용 파이프(20)가 배치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인데, 도 6a는 경량 콘크리트 패널(1) 내부에 배치된 전기 설비 박스(10)와 배선용 파이프(20)가 투시되는 형태로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콘센트 박스, 스위치 박스, 인터폰 박스 등의 전기 설비 박스(10)가 경량 콘크리트 패널(1) 내에 매립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기선, 전화선 등 각종 배선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배선용 파이 프(20)도 경량 콘크리트 패널(1) 내에 매립되어 있다. 즉, 미리 전기 설비 박스(10)와 배선용 파이프(20)를 배치한 상태에서 경량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전기 설비 박스(10)와 배선용 파이프(20)가 원하는 위치에 매설된 상태로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을 제작하는 것이다.
이 때, 전기 설비 박스(10)의 입구가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외면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게 되면, 추후 전기 설비 박스(10) 내에 스위치나 컨센트 등과 같은 전기 설비를 설치하는 것이 매우 용이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것처럼, 경량 콘크리트 패널(1) 하부 측면에는, 상기 배선용 파이프(20)의 외측 단부가 존재하게 되는 위치에 오목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즉,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하부 측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부(40)가 형성되어 있고, 배선용 파이프(20)의 일측 단부가 상기 오목부(40)로 노출되는 것이다. 상기 오목부(40)는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정면 또는 배면으로도 개방되어 있어,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정면 또는 배면으로 개방되어 있는 부분(오목부의 개방부)을 통해서 작업자가 상기 오목부(40)로 손을 집어넣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오목부(40)를 형성하게 되면 후술하는 것처럼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하부 측면이 런너부재(2)에 끼워졌을 때,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외면 방향에서 작업자가 오목부(40)의 개방부를 통해 오목부(40) 내로 손을 집어넣어, 슬래브(3)에 배치된 배선을 배선용 파이프(20)에 삽입하는 작업이 매우 수월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은,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제작될 때부터 이미 전기 설비 박스(10)와 배선용 파이프(20)가 경량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종래의 경우처럼, 현장에서 경량 콘크리트 패널(1)에 대해 홈파기 등의 별도 작업을 수행하여 전기 설비 박스(10) 등을 설치할 공간을 확보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전혀 필요 없게 된다. 따라서 다량의 폐기물이 발생하지도 않게 되며, 홈파기 등의 현장 작업으로 인한 비산먼지나 소음 등이 발생도 없게 된다.
또한 공장에서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을 제작할 때부터 원하는 위치에 정밀하게 전기 설비 박스(10)와 배관용 파이프(20)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의 정밀도가 향상되며, 홈파기 등을 수행한 후 다시 메우는 작업이 전혀 필요 없으므로 경량 콘크리트 패널의 외관 훼손을 예방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공정 수행이 불필요해지므로 그로 인한 현장 시공비용 증가 및 공사기간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전기 설비 박스(10)와 배관용 파이프(20)가 매립된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을 슬래브(3)에 설치할 때, 다음과 같은 신규한 구성의 런너부재(2)를 이용한다.
도 7a에는 본 발명에 따른 런너부재(2)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b에는 도 7a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런너부재(2)는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측면(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부 측면)에 결합되어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이 타 부재와 결합되도록 하는 부재로서, 본 발명에 따른 런너부재(2)는, 제1 수직부(22)와, 절곡돌출부(29), 수평부(28) 및 제2 수 직부(23)로 이루어지되, 앞서 설명한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정면 또는 배면으로 개방되어 있는 상기 오목부(40)의 개방부를 통해서 작업자가 손을 집어넣을 수 있도록 제2 수직부(23)는 제1 수직부(22) 보다 그 높이가 낮아 단면의 형태가 양측 높이가 상이하며 바닥이 평평하고 일측의 수직부는 길고 타측의 수직부는 짧은 U자형 단면을 가지고 있다. 특히, 도 7b에 예시된 것처럼, 제2 수직부(23)는 제1 수직부(22)에 비하여 매우 낮을 정도로 조금만 상부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그 끝단은 내측으로 말아 감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말아 감기 구조를 가지게 되면,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이 런너부재(2)에 결합될 때,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이 제1 수직부(22)와 제2 수직부(23) 사이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게 되며,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이 끼워진 상태에서 말아 감은 부분이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을 가압하게 되므로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이 견고하게 런너부재(2)에 끼워지게 된다.
한편, 제1 수직부(22)와 제2 수직부(23) 사이에는, 절곡되어 중앙이 위로 돌출되어 있는 절곡돌출부(29)와 그 양측의 수평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곡돌출부(29)에는, 후술하는 것처럼 슬래브(3)로부터의 배선(31)이 관통하게 되는 관통공(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24)은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길이 방향으로 장축이 위치하는 타원형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슬래브(3)로부터의 배선(31)의 위치가 바뀔 때, 배선(31)이 용이하게 관통공(24)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데 매우 유리하다.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하부 측면은 위와 같이 런너부재(2)의 절곡돌출부(29) 형상에 맞추어 오목삽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구 성된다.
도 8 및 도 9에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런너부재(2)를 이용하여 상기한 본 발명의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을 시공하여 벽체를 구축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조립되기 전의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을 슬래브(3)에 세워서 벽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도 8 및 도 9에 예시된 것처럼 런너부재(2)를 슬래브(3) 위에 고정시키게 되는데,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지만 런너부재(2)가 슬래브(3) 위에 놓인 상태에서 앵커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런너부재(2)를 관통하여 슬래브(3)에 삽입됨으로써, 런너부재(2)가 슬래브(3) 위에서 고정될 수 있다. 물론 기타 방법을 통해서 런너부재(2)가 슬래브(3) 위에 고정될 수 있다.
후속하여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하부를 런너부재(2)의 개방된 상부에 끼워, 경량 콘크리트 패널(1)에 런너부재(2)를 결합한다. 즉, 슬래브(3)의 상면에 본 발명에 따른 런너부재(2)를 설치하고, 위와 같이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하부를 런너부재(2)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삽입하여 런너부재(2)의 양측 수직부(22, 23) 사이의 공간에 끼워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을 슬래브(3) 상면에 수직하게 설치한다. 이 때, 상기 절곡돌출부(29)가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하부측면에 형성된 오목삽입부에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이 런너부재(2)에 놓이게 되면,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이 런너부재(2) 위에서 자립하여 수직하게 서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런너부재(2)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관통공(24)이 이미 형성되어 있으므로, 슬래브(3)로부터의 배선(31)이 상기 관통공(24)을 관통하도록 한 후, 경량 콘크리트 패널(1)에 미리 매립 설치된 배선용 파이프(20) 내로 상기 배선(31)을 삽입한다.
본 발명에서는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하부 측면에,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정면 또는 배면으로 개방되어 있는 오목부(4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위와 같이 슬래브(3) 위에 놓인 런너부재(2)에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작업자가 상기 오목부(40)로 손을 집어넣어, 슬래브(3)로부터의 배선(31)이 관통공(24)을 지나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배선용 파이프(20) 내로 삽입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런너부재(2)는 관통공(24)이 미리 형성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이러한 관통공을 형성하는 천공 작업을 현장에서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현장 작업이 간소화된다. 따라서 공사기간의 연장과 현장에서의 작업 불편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관통공(24)을 타원형으로 만들게 되면, 슬래브(3)의 배선(31) 위치가 바뀌더라도 배선(31)을 용이하게 관통공(24)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하부에 형성된 오목부(40)를 통해 작업자가 손을 집어넣을 수 있게 되어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이 슬래브(3) 위에 놓인 상태에서 배선(31)을 삽입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배선(31) 삽입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경량 콘크리트 패널을 장시간 공중에 들고 있거나 또는 슬래브 표면에 홈을 형성하는 등의 불편하고 위험한 작업이 전혀 필요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런너부재(2) 및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을 이용하게 되면, 작업의 위험도를 낮출 수 있고, 인양기 등의 사용 시간을 축소할 수 있으며, 슬래브(3)에 표면 홈을 형성하고 되메우는 별도의 현장 작업이 필요 없게 되므로, 그 만큼 작업성 및 작업속도를 향상시켜 공기 단축 및 공사비의 감축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위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런너부재(2)가 설치되는 곳으로서 슬래브(3)를 예시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런너부재(2)가 설치되는 타부재, 즉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이 런너부재(2)와 결합되어 설치되는 위치는 이러한 슬래브(3)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부재가 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종래의 경량 콘크리트 패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종래의 경량 콘크리트 패널을 시공하여 벽체를 구축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콘크리트 패널의 예로서 전기 설비 박스와 배선용 파이프가 배치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런너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런너부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경량 콘크리트 패널을 시공하여 벽체를 구축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량 콘크리트 패널
2 : 런너부재
3 : 슬래브

Claims (2)

  1. 삭제
  2.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측면에 런너부재(2)를 결합하고 슬래브(3) 위에 수직하게 설치하여 건축물의 벽체를 구축하는 벽체설치구조로서,
    상기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은, 미리 전기 설비 박스(10)와 배선용 파이프(20)가 배치된 상태에서 경량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제작됨으로써, 전기 설비 박스(10)와 배선용 파이프(20)가 내부에 매설되어 있고, 상기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하부 측면에는, 상기 배선용 파이프(20)의 외측 단부가 존재하게 되는 위치에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부(40)가 형성되어 있어, 배선용 파이프(20)의 일측 단부가 상기 오목부(40)로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40)는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정면 또는 배면으로도 개방되어 있어,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정면 또는 배면으로 개방되어 있는 부분을 통해서 작업자가 상기 오목부(40)로 손을 집어넣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런너부재(2)는,
    제1 수직부(22)와, 관통공(24)이 형성되어 있는 절곡돌출부(29)와, 수평부(28)와 제2 수직부(23)로 이루어지되, 제2 수직부(23)의 높이가 제1 수직부(22)의 높이 보다 낮아 단면의 형태가 양측 높이가 상이하며, 절곡돌출부(29)는 제1 수직부(22)와 제2 수직부(23) 사이에서 위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수직부(23)의 끝단은 내측으로 말아 감겨져 있어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이 제1 수직부(22)와 제2 수직부(23) 사이에 삽입되면 상기 감겨진 부분이 가압하게 되는 구조를 가지며;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하부 측면에는 상기 절곡돌출부(29)가 끼워지는 오목삽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런너부재(2)가 슬래브(3) 위에 놓여 결합되어 있고, 상기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하부 측면이 상기 런너부재(2)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으며, 슬래브(3)에 배치된 배선(31)은 상기 절곡돌출부(29)에 형성된 타원형의 관통공(24)을 관통하고,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정면 또는 배면으로 개방된 오목부(40)로 작업자가 손을 집어넣어 작업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배선(31)이 상기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매립된 배선용 파이프(20)로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벽체설치구조.
KR1020090116081A 2009-11-27 2009-11-27 배선 설비가 매립된 경량 콘크리트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런너부재를 이용한 벽체설치구조 KR101146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081A KR101146846B1 (ko) 2009-11-27 2009-11-27 배선 설비가 매립된 경량 콘크리트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런너부재를 이용한 벽체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081A KR101146846B1 (ko) 2009-11-27 2009-11-27 배선 설비가 매립된 경량 콘크리트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런너부재를 이용한 벽체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371A KR20110059371A (ko) 2011-06-02
KR101146846B1 true KR101146846B1 (ko) 2012-05-16

Family

ID=44394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081A KR101146846B1 (ko) 2009-11-27 2009-11-27 배선 설비가 매립된 경량 콘크리트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런너부재를 이용한 벽체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8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5755A (zh) * 2020-04-10 2020-07-10 中国三冶集团有限公司 一种高层公寓建筑机电预埋装置及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64513U (ko) * 1987-10-20 1989-04-25
KR100497812B1 (ko) * 2002-05-13 2005-07-01 주식회사 엑사이엔씨 스프링강클립을 이용하여 분해 조립이 용이한 플러시캡 판넬
KR20090040960A (ko) * 2007-10-23 2009-04-28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전기 및 설비 배관 기능을 갖는 경량벽체 하부 지지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64513U (ko) * 1987-10-20 1989-04-25
KR100497812B1 (ko) * 2002-05-13 2005-07-01 주식회사 엑사이엔씨 스프링강클립을 이용하여 분해 조립이 용이한 플러시캡 판넬
KR20090040960A (ko) * 2007-10-23 2009-04-28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전기 및 설비 배관 기능을 갖는 경량벽체 하부 지지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371A (ko) 201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0128B1 (ko) 중공슬래브용 경량체 모듈
KR101072185B1 (ko) 배선 설비가 매립된 경량 콘크리트 패널, 이를 설치하기 위한 런너부재 및 이를 이용한 벽체설치구조
KR101319527B1 (ko) 건물 리모델링용 내진 보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방법
KR101146846B1 (ko) 배선 설비가 매립된 경량 콘크리트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런너부재를 이용한 벽체설치구조
KR101105974B1 (ko) 배선 설비가 매립된 경량 콘크리트 패널, 이를 설치하기 위한 런너부재 및 이를 이용한 벽체설치구조
KR101814415B1 (ko) 틸트업 외벽 결합 내진보강 구조
KR20130133736A (ko) 수직형 전선 트레이용 연결장치
KR101035404B1 (ko) 슬러리월과 슬래브의 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역타공법
JP6506613B2 (ja) 建築物構造
CN113090161A (zh) 一种装配式整体飘窗预制构件及施工方法
KR20080087603A (ko) 중공 파이프용 가설 고정구
KR100859543B1 (ko) 건축물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
JP6339803B2 (ja) 内外装材の取付具及び型枠パネル
KR101922216B1 (ko)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
JP3808854B2 (ja) 間仕切り壁支持用架台
KR100669198B1 (ko) 마감일체형 벽체구조
JP2019124117A (ja) 建築物構造
JP5366261B2 (ja) 内窓設置用補強体、及び、外窓の窓額縁に納める内窓の施工方法
CN220908715U (zh) 一种装配式墙体的安装结构
KR200464347Y1 (ko) 프리캐스트 암거 조립체
KR200447744Y1 (ko) 맨홀사다리 지지대
GB2463070A (en) Device for reinforcing a joist
KR200461704Y1 (ko) 건축 구조물의 슬라브용 풀박스
JP6649179B2 (ja) 建物の配管構造及び建物
JP5322779B2 (ja) 建物ユニットのトイレ構造及び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