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408B1 -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 - Google Patents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408B1
KR100914408B1 KR1020080082305A KR20080082305A KR100914408B1 KR 100914408 B1 KR100914408 B1 KR 100914408B1 KR 1020080082305 A KR1020080082305 A KR 1020080082305A KR 20080082305 A KR20080082305 A KR 20080082305A KR 100914408 B1 KR100914408 B1 KR 100914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 installation
wall
installat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신석
최창근
Original Assignee
(주)신영전력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영전력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신영전력기술단
Priority to KR1020080082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4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4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using separate protective tubing in the conduits o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만 있고 천정이 없는 경우나 천정이 너무 높아서 전선 설치를 위해 천정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벽체만을 이용해 전선의 설치를 가능하게 해주며, 추후 전선의 증설이 가능하고, 전선이 설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블럭 부재를 해체하여 일반 벽체의 상태로 환원시킬 수 있으며, 조립식 부재가 사용되므로 휘거나 손상된 해당 부재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한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벽체 콘크리트 타설시 매립되는 블록 부재이며, 전선(1000)이 설치되는 타 전선 설치 블럭 부재가 결합되는 매립 블럭부(200), 상기 매립 블럭부(200)에 결합되는 전선 설치 블럭 부재이며, 전선(1000)이 상기 전선 설치 블럭 부재 위에 삽입 고정되거나 상기 전선 설치 블럭 부재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추후에 증설되는 전선을 설치하기 위한 타 판형 부재가 결합되는 전선 설치부(100), 상기 전선 설치부(100)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어 있다가 증설 전선이 있는 경우 꺼내어져 사용되는 판형 부재인 증설 전선 설치판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Electric wire fixing assembly installed on wall}
본 발명은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벽체만 있고 천정이 없는 경우나 천정이 너무 높아서 전선 설치를 위해 천정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전선 설치가 어려울 수 있다.
벽체 공간만을 이용하여 전선을 설치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벽체만 있고 천정이 없는 경우나 천정이 너무 높아서 전선 설치를 위해 천정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벽체만을 이용해 전선의 설치를 할 수 있게 해주는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를 제공하려 한다.
본 발명은 추후 전선의 증설이 가능한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를 제공하려 한다.
본 발명은 전선이 설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블럭 부재를 해체하여 일반 벽체의 상태로 환원시킬 수 있는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를 제공하려 한다.
본 발명은 조립식 부재가 사용되므로 휘거나 손상된 해당 부재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한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를 제공하려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벽체 콘크리트 타설시 매립되는 블록 부재이며, 전선(1000)이 설치되는 타 전선 설치 블럭 부재가 결합되는 매립 블럭부(200), 상기 매립 블럭부(200)에 결합되는 전선 설치 블럭 부재이며, 전선(1000)이 상기 전선 설치 블럭 부재 위에 삽입 고정되거나 상기 전선 설치 블럭 부재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추후에 증설되는 전선을 설치하기 위한 타 판형 부재가 결합되는 전선 설치부(100), 상기 전선 설치부(100)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어 있다가 증설 전선이 있는 경우 꺼내어져 사용되는 판형 부재인 증설 전선 설치판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으로 벽체만 있고 천정이 없는 경우나 천정이 너무 높아서 전선 설치를 위해 천정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벽체만을 이용해 전선의 설치를 할 수 있게 해주는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본 발명으로 추후 전선의 증설이 가능한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본 발명으로 전선이 설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블럭 부재를 해체하여 일반 벽체의 상태로 환원시킬 수 있는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본 발명으로 조립식 부재가 사용되므로 휘거나 손상된 해당 부재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한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매립 블럭부(20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전선 설치부(10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가 벽체에 설치되고, 등기구(7000)와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선 설치부 101 : 곡면 돌출부
106 : 매립블럭부 삽입홈부 112 : 전면 상부 갈고리부
115 : 설치부 암나사부 116 : 상부 전선 삽입부
117 : 하부 전선 관통구부 118 : 추가 설치판 삽입홈부
200 : 매립 블럭부 202 : 후면돌출부
205 : 블럭부 암나사부 206 : 전선 설치부 삽입 돌출부
500 : 증설 전선 설치판부 501 : 증설 전선 설치부
502 : 증설 전선 보호부 505 : 보호부 관통구
507 : 연결선부 1000 : 전선
5000 : 벽체 7000 : 등기구
8000 : 고정 볼트부
본 발명은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매립 블럭부(200), 전선 설치부(100), 증설 전선 설치판부(500)를 포함한다.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벽체 콘크리트 타설시 매립되는 블록 부재이며, 전선(1000)이 설치되는 타 전선 설치 블럭 부재가 결합되는 매립 블럭부(200), 상기 타 전선 설치 블럭 부재이고, 상기 매립 블럭부(200)에 결합되는 전선 설치 블럭 부재이며, 전선(1000)이 상기 전선 설치 블럭 부재 위에 삽입 고정되거나 상기 전선 설치 블럭 부재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추후에 증설되는 전선을 설치하기 위한 타 판형 부재가 결합되는 전선 설치부(100), 상기 타 판형 부재이며, 상기 전선 설치부(100)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어 있다가 증설 전선이 있는 경우 꺼내어져 사용되는 판형 부재인 증설 전선 설치판부(50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매립 블럭부(200), 전선 설치부(100), 증설 전선 설치판부(500)를 포함하며, '타 전선 설치 블럭 부재'는 전선 설치부(100)이며, '타 판형 부재'는 증설 전선 설치판부(500)이다.)
도 2는 본 발명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매립 블럭부(200)의 사시도이다.
상기 매립 블럭부(200)는 벽체(5000) 측을 향하는 면의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상기 벽체(5000)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매립 블럭부(200)가 상기 벽체(5000)에 안정되게 매립되도록 형성되는 후면돌출부(202), 상기 전선 설치부(100)와 접촉되는 면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원형 홈이며, 상기 원형 홈의 내부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볼트 부재인 고정 볼트부(8000)에 의해 체결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블럭부 암나사부(205), 상기 전선 설치부(100)와 접촉되는 면에 상기 전선(10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위이며, 상기 전선 설치부(100)의 후면 부위의 홈 부위에 삽입되어 상기 전선 설치부(100)와 상기 매립 블럭부(200)가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해주는 전선 설치부 삽입 돌출부(206)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전선 설치부(100)의 사시도이다.
상기 전선 설치부(100)는 상기 매립 블럭부(200)와 접촉하는 면에 상기 전선(10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홈 부위이며, 상기 매립 블럭부(200)의 전면 부위의 돌출 부위와 결합되어 상기 전선 설치부(100)와 상기 매립 블럭부(200)가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해주는 매립블럭부 삽입홈부(106), 상기 전선 설치부(100)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원형 관통구이며, 상기 관통구의 내부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볼트 부재인 고정 볼트부(8000)에 의해 체결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설치부 암나사부(115), 상기 설치부 암나사부(115)들 간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갈고리 부재이며, 상기 증설 전선 설치판부(500)에 상기 전선(1000)들이 설치되었을 때 상기 증설 전선 설치판부(500)가 밑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해 주도록 선 부재와 결합하는 전면 상부 갈고리부(112), 상기 전선 설치부(100)의 전면 중앙부위가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부위인 곡면 돌출부(101), 상기 곡면 돌출부(101)의 윗부분의 표면에 상기 전선(10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홈 부위이며, 상기 전선(1000)들이 얹혀지는 상부 전선 삽입부(116), 상기 곡면 돌출부(101)의 아랫부분의 내부에 상기 전선(10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형성되는 관통구이며, 상기 전선(1000)들이 통과하는 하부 전선 관통구부(117), 상기 곡면 돌출부(101)의 전면 중앙 부위에 판형 부재가 삽입되어 보관되는 빈 공간 부위로 형성되는 추가 설치판 삽입홈부(118)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전선 삽입부(116)에 얹혀지는 상기 전선(1000)들은 별도의 전선 고정 클립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전선이 설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블럭 부재인 상기 전선 설치부(100)를 해체하고 상기 매립 블럭부(200)의 전면 부위를 모르타르 등으로 마감 처리하면 일반 벽체의 상태로 환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선이 설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블럭 부재를 해체하여 일반 벽체의 상태로 환원시킬 수 있는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증설 전선 설치판부(500)는 상기 추가 설치판 삽입홈부(118)에 삽입되는 평평한 판 부위이며, 상기 전선(1000)들이 얹혀지는 부위인 증설 전선 설치부(501), 상기 증설 전선 설치부(501) 전면의 단부 부위로부터 상기 증설 전선 설치부(501)에 수직한 방향이되 상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선(1000)들이 외부로 일탈되지 않도록 보호해 주는 부위인 증설 전선 보호부(502), 상기 증설 전선 보호부(502)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구 부위인 보호부 관통구(505), 상기 보호부 관통구(505)와 상기 전선 설치부(100)의 상부에 설치된 갈고리 부재를 연결시켜 주는 연결선부(507)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설 전선 설치부(501)가 외부로 꺼내어 진 경우에 상기 증설 전선 설치부(501)가 핀이나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용과 같이, 상기 증설 전선 설치판부(500)을 사용하면 추후 전선의 증설이 가능하다.
따라서, 추후 전선의 증설이 가능한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가 벽체에 설치되고, 등기구(7000)와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내용과 같이, 상기 매립 블럭부(200), 상기 전선 설치부(100), 증설 전선 설치판부(500)를 사용하여 벽체만 있고 천정이 없는 경우나 천정이 너무 높아서 전선 설치를 위해 천정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벽체만을 이용해 전선의 설치를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벽체만 있고 천정이 없는 경우나 천정이 너무 높아서 전선 설치를 위해 천정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벽체만을 이용해 전선의 설치를 할 수 있게 해주는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내용과 같이, 상기 매립 블럭부(200), 상기 전선 설치부(100), 증설 전선 설치판부(500)를 사용하여 벽체만 있고 천정이 없는 경우나 천정이 너무 높아서 전선 설치를 위해 천정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벽체만을 이용해 전선의 설치를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용과 같이, 조립식 부재인 상기 매립 블럭부(200), 상기 전선 설치부(100), 증설 전선 설치판부(500)가 사용되므로 휘거나 손상된 해당 부재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조립식 부재가 사용되므로 휘거나 손상된 해당 부재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한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Claims (4)

  1. 벽체 콘크리트 타설시 매립되는 블록 부재이며,
    전선(1000)이 설치되는 타 전선 설치 블럭 부재가 결합되는 매립 블럭부(200);
    상기 매립 블럭부(200)에 결합되는 전선 설치 블럭 부재이며,
    전선(1000)이 상기 전선 설치 블럭 부재 위에 삽입 고정되거나 상기 전선 설치 블럭 부재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추후에 증설되는 전선을 설치하기 위한 타 판형 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타 전선 설치 블럭 부재인 전선 설치부(100);
    상기 전선 설치부(100)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어 있다가 증설 전선이 있는 경우 꺼내어져 사용되는 판형 부재이며,
    상기 타 판형 부재인 증설 전선 설치판부(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 블럭부(200)는
    벽체(5000) 측을 향하는 면의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상기 벽체(5000)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매립 블럭부(200)가 상기 벽체(5000)에 안정되게 매립되도록 형성되는 후면돌출부(202);
    상기 전선 설치부(100)와 접촉되는 면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원형 홈이며,
    상기 원형 홈의 내부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볼트 부재인 고정 볼트부(8000)에 의해 체결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블럭부 암나사부(205);
    상기 전선 설치부(100)와 접촉되는 면에 상기 전선(10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위이며,
    상기 전선 설치부(100)의 후면 부위이고 상기 매립 블럭부(200)와 접촉하는 면에 상기 전선(10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형성되는 홈 부위에 삽입되어 상기 전선 설치부(100)와 상기 매립 블럭부(200)가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해주는 전선 설치부 삽입 돌출부(20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 블럭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설치부(100)는
    상기 매립 블럭부(200)와 접촉하는 면에 상기 전선(10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홈 부위이며,
    상기 매립 블럭부(200)의 전면 부위이고 상기 전선 설치부(100)와 접촉되는 면에 상기 전선(10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형성되는 돌출 부위와 결합되어 상기 전선 설치부(100)와 상기 매립 블럭부(200)가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해주는 매립블럭부 삽입홈부(106);
    상기 전선 설치부(100)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원형 관통구이며,
    상기 관통구의 내부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볼트 부재인 고정 볼트부(8000)에 의해 체결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설치부 암나사부(115);
    상기 설치부 암나사부(115)들 간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갈고리 부재이며,
    상기 증설 전선 설치판부(500)에 상기 전선(1000)들이 설치되었을 때 상기 증설 전선 설치판부(500)가 밑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해 주도록 선 부재와 결합하는 전면 상부 갈고리부(112);
    상기 전선 설치부(100)의 전면 중앙부위가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부위인 곡면 돌출부(101);
    상기 곡면 돌출부(101)의 윗부분의 표면에 상기 전선(10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홈 부위이며,
    상기 전선(1000)들이 얹혀지는 상부 전선 삽입부(116);
    상기 곡면 돌출부(101)의 아랫부분의 내부에 상기 전선(10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형성되는 관통구이며,
    상기 전선(1000)들이 통과하는 하부 전선 관통구부(117);
    상기 곡면 돌출부(101)의 전면 중앙 부위에 판형 부재가 삽입되어 보관되는 빈 공간 부위로 형성되는 추가 설치판 삽입홈부(118);
    를 포함하는 전선 설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설 전선 설치판부(500)는
    상기 추가 설치판 삽입홈부(118)에 삽입되는 평평한 판 부위이며,
    상기 전선(1000)들이 얹혀지는 부위인 증설 전선 설치부(501);
    상기 증설 전선 설치부(501) 전면의 단부 부위로부터 상기 증설 전선 설치부(501)에 수직한 방향이되 상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선(1000)들이 외부로 일탈되지 않도록 보호해 주는 부위인 증설 전선 보호부(502);
    상기 증설 전선 보호부(502)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구 부위인 보호부 관통구(505);
    상기 보호부 관통구(505)와 상기 전선 설치부(100)의 상부에 설치된 갈고리 부재를 연결시켜 주는 연결선부(507);
    를 포함하는 증설 전선 설치판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
KR1020080082305A 2008-08-22 2008-08-22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 KR100914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305A KR100914408B1 (ko) 2008-08-22 2008-08-22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305A KR100914408B1 (ko) 2008-08-22 2008-08-22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4408B1 true KR100914408B1 (ko) 2009-08-31

Family

ID=41210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305A KR100914408B1 (ko) 2008-08-22 2008-08-22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4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192A (ko) * 2001-03-22 2002-10-04 주식회사 네오센츄리 시스템 케이블 내장 고정구
KR100671065B1 (ko) * 2006-09-05 2007-01-19 주식회사 서광이엔씨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192A (ko) * 2001-03-22 2002-10-04 주식회사 네오센츄리 시스템 케이블 내장 고정구
KR100671065B1 (ko) * 2006-09-05 2007-01-19 주식회사 서광이엔씨 전선 고정 블럭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762B1 (ko) 지중 배전선 커넥터
WO2008030450A2 (en) Lamp and illuminated hardscape
KR100761047B1 (ko) 공동주택 천정 전기 케이블 설치구조
KR100655881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구조
KR200446280Y1 (ko) 커넥터 일체형 콘센트 세트
KR100750860B1 (ko) 지하 전력구내 전력 케이블 지지대.
KR100914408B1 (ko) 벽체에 설치되는 전선 고정 조립체.
KR102032908B1 (ko) 라이팅 부스웨이용 복합 커넥터
KR20100003466A (ko) 배전용 지하 전력구 케이블 지지대.
KR100847876B1 (ko) 공동주택의 지중케이블 위치 및 도로경계 표시장치
KR200422855Y1 (ko) 천장 배선 분기용 커넥터
KR200443592Y1 (ko) 조명등 거치대
KR20110041242A (ko)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
CN111623264A (zh) 一种线条灯
KR100787605B1 (ko) 지지바 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
JP2012146495A (ja) 照明器具
KR100695765B1 (ko) 옥내 배전용 접속함 십자형 고정장치
KR100968115B1 (ko) 배선용 시스템 박스
KR20110017143A (ko) 연접지가 가능한 가로등 기초의 설치공법
KR100847244B1 (ko) 관통부를 가진 조립식 배전선로 전주
KR100795728B1 (ko) 건축단지 내의 전기선 관로 고정구
KR100968529B1 (ko) 배선용 터미널 박스
CN212298873U (zh) 灯具连接件
CN212298865U (zh) 一种灯具连接件
KR200492152Y1 (ko) 건물 벽체의 매입 박스용 고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10100143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219

Effective date: 20090727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219

Effective date: 200907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