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1242A -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1242A
KR20110041242A KR1020090098327A KR20090098327A KR20110041242A KR 20110041242 A KR20110041242 A KR 20110041242A KR 1020090098327 A KR1020090098327 A KR 1020090098327A KR 20090098327 A KR20090098327 A KR 20090098327A KR 20110041242 A KR20110041242 A KR 20110041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cable tray
grounding
crad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8548B1 (ko
Inventor
박인철
Original Assignee
(주)동양인더스트리
박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양인더스트리, 박인철 filed Critical (주)동양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090098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8548B1/ko
Publication of KR20110041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천정에 쌍으로 형성되는 마루봉과 상기 마루봉 하측을 연결하는 거치대로 이루어진 거치유닛이 다수개 설치되고 다수개가 접지 연결되는 사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케이블트레이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되는 케이블트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마루봉이 체결되도록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 외측을 따라 접지홈이 형성되며, 코인 형상으로 상기 접지홈에 경도가 약한 전도성 재질의 접지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마루봉은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에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거치대 하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마루봉 하측에서 상기 접지부재 하부면까지 체결되어 상기 접지부재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누전이 되더라도 접지구조가 다방향으로 설계되어 사고의 위험이 줄어들면, 이로인해 안전 예방에 소요되는 비용절감과 안전한 환경에서 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능률 또한 증진된다.
거치대, 마루봉, 코인, 접지홈, 접지부재

Description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System of cable tray having multi-directional earth}
본 발명은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의 구성인 거치대에 접지홈을 형성하고 접지홈에 접지부재를 삽입하여 케이블트레이가 파손 되더라도 누전된 전기가 다방향으로 접지되도록 하는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에 전선을 배치하는 경우 케이블트레이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케이블트레이는 일반적으로 지하실 등에서 다량의 전선이나 통신 선로 등을 배치하기 위하여 천정에 매달아 둔 것이며 레이스웨이는 천정의 조명에 연결되는 배선을 배치하기 위하여 천정에 매달아 둔 것이다.
상기 케이블트레이는 건물의 형태 등에 따라 길이가 달라지므로 일반적으로 "┗┛" 형태로 이루어져, 다수개가 접지 연결되며 연장 설치된다.
보통, 천정에 쌍으로 형성되는 마루봉과 상기 마루봉 하측을 연결하는 거치대로 이루어진 거치유닛에 상기 케이블트레이가 거치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케이블트레이는 다수개가 길이방향으로 접지 연결되어 있어, 길이방향의 일부가 파손되면 접지시킬 수 있는 전기 용량이 감소하여 케이블트레이에 놓인 배선들이 오선되거나 끊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케이블트레이의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누전된 전기를 다른 방향으로 접지시킬 수 있는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정에 쌍으로 형성되는 마루봉과 상기 마루봉 하측을 연결하는 거치대로 이루어진 거치유닛이 다수개 설치되고 다수개가 접지 연결되는 사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케이블트레이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되는 케이블트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마루봉이 체결되도록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 외측을 따라 접지홈이 형성되며, 코인 형상으로 상기 접지홈에 경도가 약한 전도성 재질의 접지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마루봉은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에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거치대 하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마루봉 하측에서 상기 접지부재 하부면까지 체결되어 상기 접지부재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지홈은 단면이 톱니형상이며 상기 접지부재는 상기 접지홈에 접촉되는 부분이 상기 접지홈의 단면에 대응되는 접지톱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접지홈이 상부면 하부면 모두 형성되어, 상기 접지부재가 거치대 상하의 접치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는, 양측에 야광체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누전이 되더라도 접지구조가 다방향으로 설계되어 사고의 위험이 줄어들면, 이로인해 안전 예방에 소요되는 비용절감과 안전한 환경에서 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능률 또한 증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B-B'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은 천정에 쌍으로 형성되는 마루봉(100)과 상기 마루봉(100) 하측을 연결하는 거치대(200)로 이루어진 거치유닛이 다수개 설치되고 다수개가 접지 연결되는 사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케이블트레이(10)가 상기 거치대(200)에 거치되는 케이블트레이(10)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200)는 상기 마루봉(100)이 체결되도록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205)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205) 외측을 따라 접지홈(210)이 형성되며, 코인 형상으로 상기 접지홈(210)에 경도가 약한 전도성 재질의 접지부재(400)가 형성되고, 상기 마루봉(100)은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205)에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거치대(200) 하측으로 돌출되 며, 상기 마루봉(100) 하측에서 상기 접지부재(400) 하부면까지 체결되어 상기 접지부재(40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각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실시예>
상기 마루봉(100)은 강도와 경도가 강한 강철재질로 끝단이 천정에 삽입된다.
상기 마루봉(100)은 상기 케이블트레이(10)의 폭보다 넓게 쌍으로 이루어지며, 다수개로 접지 연결된 케이블트레이(10)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이격 설치된다.
상기 마루봉(100)은 봉 형상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녹이 발생되지 않도록 외주에 코팅 처리된다.
상기 거치대(200)는 쌍으로 이루어진 마루봉(100) 하측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마루봉(100)의 갯수 만큼 형성된다.
상기 거치대(200)는 상기 마루봉(100)이 나사결합되기 위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205)이 쌍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거치대(200)는 상기 체결공(205) 외측을 따라 체결홈이 형성된다.
상기 거치대(200)는 측단면도가 'ㄷ'자 형상으로 양 끝단이 원형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는, 상기 거치대(200) 양측으로 야광체(미도시)를 형성하며, 상기 케이블트레이(10)를 안정적으로 안착하기 위함이다.
상술하면, 상기 거치대(200)가 상기 마루봉(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처음 설치당시에는 상기 거치대(200)는 나란함이 자명하다. 시간이 흐를수록 일측 부분이 조임해제가 되면 상기 거치대(200) 하측으로 이동되게 되는데, 저녁에 상기 야광체(미도시)의 배열을 확인하므로 쉽게 거치대(200)가 나란한지를 관찰할 수 있다.
상기 접지부재(400)는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것으로 코인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마루봉(100) 또한 통과가능하고, 경도가 약한 재질로 보통 구리를 많이 사용하나 당업자에 따라 전기 전도성이 좋으며 무른 금속이 사용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일부가 파손되어 케이블 트레이간의 접지 연결이 해제되더라도, 해제된 양측은 각각 상기 접지부재(400)를 통해 상기 마루봉(100)으로 전달되어 천정으로 접지되게 된다.
상기 너트(300)는 상기 접지부재(400)가 상기 접지홈(210)에서 이탈되지 않으며 또한 상기 거치대(200)가 상기 마루봉(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마루봉(100) 하측에서 나사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지홈(210)은 단면이 톱니형상이며 상기 접지부재(400)는 상기 접지홈(210)에 접촉되는 부분이 상기 접지홈(210)의 단면에 대응되는 접지톱니(410)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접지부재(400)와 상기 접지홈(210)이 정확하게 결합 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상기 접지부재(400)는 무른 금속이므로, 상기 너트(300)의 압착에 의해 접지톱니(410)가 상기 접지홈(210)의 형상에 대응되면서 끼워지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접지부재(400)가 정확하게 접지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면에 톱니형상의 결합구(310)가 형성된 너트(300)와 체결되기 위해 상기 접지부재(400)는 상기 접지홈(210)에 접촉되는 타면이 상기 결합구(310)의 형상에 대응되는 접지톱니(410)가 더 구비되어, 상기 너트(300)와의 결합력이 좋도록 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지부재(400)가 무른 금속이므로, 상기 너트(300)의 압착에 의해 톱니형상의 상호간 결속력이 증대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을 도시하는 다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C-C'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200)는 상기 접지홈(210)이 상부면 하부면 모두 형성되어, 상기 접지부재(400)가 거치대(200) 상하의 접치홈에 삽입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접지부재(400)를 많이 형성하므로, 잘못된 접지구조가 발생 되더 라도 같은 방향의 접지구조를 보조로 구성하기 위함이다.
여기서는, 상기 너트(300)가 상기 상하로 형성된 접지부재(400)를 상기 마루봉(100)의 하측에서 상측뿐만 아니라, 상측에서 하측으로도 압착을 해야한다.
<2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을 도시하는 다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200)의 측면 형상이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블트레이(10)를 'ㄱ'자 가로획에 효율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점이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이다.
상기 거치대(200)에 접지홈(210)이 형성되며, 상기 접지부재(400)가 접지홈(210)에 삽입되는 원리는 동일하므로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3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을 도시하는 다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홈(210)이 상기 마루봉(100)에 형성되는 점이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와의 차이이며 기술적 사상은 동일하다.
도 8의 마루봉(100)은 일측이 천정에 배설되는 것으로, 지상에 형성된 건물 내부에 미관상 수려함을 위하여 많이 설치된다.
도 8의 거치대(200)는 봉 형상으로 양 끝단이 봉우리가 형성되며, 'U'자형 크램프(500)에 의해 상기 마루봉(100)에 결합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의 거치대에 접지홈을 형성하여 접지부재를 삽입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며,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인바,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B-B'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을 도시하는 다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의 C-C'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을 도시하는 다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을 도시하는 다른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블트레이 100: 마루봉
200: 거치대 210: 접지홈
300: 너트 310: 결합구
400: 접지부재 410: 접지톱니
500: 크램프

Claims (4)

  1. 천정에 쌍으로 형성되는 마루봉(100)과 상기 마루봉(100) 하측을 연결하는 거치대(200)로 이루어진 거치유닛이 다수개 설치되고, 다수개가 접지 연결되는 사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케이블트레이(10)가 상기 거치대(200)에 거치되는 케이블트레이(10)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200)는 상기 마루봉(100)이 체결되도록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205)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205) 외측을 따라 접지홈(210)이 형성되며,
    코인 형상으로 상기 접지홈(210)에 경도가 약한 전도성 재질의 접지부재(400)가 형성되고,
    상기 마루봉(100)은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205)에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거치대(200) 하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마루봉(100) 하측에서 상기 접지부재(400) 하부면까지 체결되어 상기 접지부재(40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홈(210)은,
    단면이 톱니형상이며,
    상기 접지부재(400)는,
    상기 접지홈(210)에 접촉되는 부분이 상기 접지홈(210)의 단면에 대응되는 접지톱니(4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
  3. 제 1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200)는,
    상기 접지홈(210)이 상부면 하부면 모두 형성되어, 상기 접지부재(400)가 거치대(200) 상하의 접치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
  4.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200)는,
    양측에 야광체(미도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
KR1020090098327A 2009-10-15 2009-10-15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 KR101098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327A KR101098548B1 (ko) 2009-10-15 2009-10-15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327A KR101098548B1 (ko) 2009-10-15 2009-10-15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242A true KR20110041242A (ko) 2011-04-21
KR101098548B1 KR101098548B1 (ko) 2011-12-26

Family

ID=44047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327A KR101098548B1 (ko) 2009-10-15 2009-10-15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85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493U (ko) * 2017-02-09 2018-08-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전로용 접지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853Y1 (ko) 2011-08-30 2012-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착탈식 수직지지부재를 구비한 케이블 트레이
KR102620270B1 (ko) 2023-05-26 2024-01-03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배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전선보호용 트레이
KR102620271B1 (ko) 2023-05-30 2024-01-03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공동주택에 설치용 전선이탈방지형 전선고정기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657Y1 (ko) * 2003-12-17 2004-03-24 평화전기산업(주) 케이블 트레이의 그라운드 본딩 점퍼 결합 구조
KR200415224Y1 (ko) * 2006-02-17 2006-04-28 주원돈 볼트 및 너트 풀림 방지 구조
KR100703056B1 (ko) * 2006-10-04 2007-04-09 (주)수양엔지니어링기술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전자파 차단용 밀폐 전기 케이블 트레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493U (ko) * 2017-02-09 2018-08-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전로용 접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8548B1 (ko) 2011-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7085B1 (ko) 공동주택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CN103187671B (zh) 电连接器和用于将电连接器联接至汇流条的方法
KR101098548B1 (ko)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
CN102918722A (zh) 改进的压配合母线和使用该母线的母线通道
US20090040691A1 (en) Panelboard
DE202013101820U1 (de) Schachtbeleuchtungseinrichtung und Aufzugsschacht mit einer derartigen Schachtbeleuchtungseinrichtung
CN107706860B (zh) 母线电缆组合单体双回路母线槽
US20050207097A1 (en) Neutral-ground connector subassembly
KR102508818B1 (ko) 압축인류클램프
KR101067491B1 (ko) 케이블트레이 또는 레이스웨이의 코인접지구조
US9948043B2 (en) Hybrid neutral plug on bar with distributed pitch
KR101617201B1 (ko) 공동주택 배전반용 부스바 연결장치
KR101479229B1 (ko) 가공 송전선로의 인터록방식 접지용구
CN102969576A (zh) 用于夹紧装置的转接件
RU2649970C2 (ru) Клеммный блок
KR101098541B1 (ko) 리미트크램프를 구비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
KR101791875B1 (ko) 분전반용 접지장치
KR101098552B1 (ko) 거대하중을 지지하는 케이블트레이 시스템
KR101127466B1 (ko) 피뢰침이 구비된 피뢰도선 지지구
CN202633543U (zh) 导体接地辅助组件
KR20160035745A (ko) 관찰공이 구비된 케이블트레이 또는 레이스웨이의 접지구조
CN204696269U (zh) 接线端子
KR100720980B1 (ko) 전원분배용 접속장치
KR101151631B1 (ko) 분전반용 접지단자대
CN109149475A (zh) 一种便于拆卸的照明母线槽盖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