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270B1 - 배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전선보호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배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전선보호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270B1
KR102620270B1 KR1020230068453A KR20230068453A KR102620270B1 KR 102620270 B1 KR102620270 B1 KR 102620270B1 KR 1020230068453 A KR1020230068453 A KR 1020230068453A KR 20230068453 A KR20230068453 A KR 20230068453A KR 102620270 B1 KR102620270 B1 KR 102620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fastening
present
vertical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8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Priority to KR1020230068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2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2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0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pivoting ja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08Winches, capstans or pivots with devices for paying out or automatically tightening the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전선보호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지지대(10)와, 받침기구(20)와, 각각의 연결브라켓(30)과, 낙수받이(70)와, 보강지지기구(80)와, 각각의 고정기구(40)와, 윈치(50)와, 아이들러봉(60)를 포함하여, 천장에서 낙하하는 낙수를 신속하게 배수할 수 있고, 하나의 연결브라켓(30)을 매개로 받침기구(20) 및 고정기구(40) 및 지지대(10)를 쉽게 일체화 시켜 작업성 및 고정성을 향상시키며, 연결브라켓(30)을 활용하여 전선(L)을 받침기구(20)에 쉽게 이동시킬 수 있어 보다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전선보호용 트레이{Tray for Electric Wire of Structure}
본 발명은 배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전선보호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공동주택)의 천장에는 고정볼트를 매개로 트레이가 설치되어, 전선이 배치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천장에서 물이 떨어질 시 바닥에 낙수가 흐르면서 바닥이 지저분해지거나 안전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편, 종래에는, 천장에 고정볼트가 설치되고, 고정볼트의 하단에 거치대가 설치되며, 트레이(1, 사이드 레일 및 렁 조립체)가 거치대에 체결되어 천장에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각각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트레이 및 거치대 및 고정볼트를 체결해야 하기 때문에 다수의 부품이 사용되고 설치작업이 복잡하였으며, 받침기구가 측방으로 이동하기 쉬워 외력에 취약한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2485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854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천장에서 낙하하는 낙수를 신속하게 배수할 수 있고, 하나의 연결브라켓(30)을 매개로 받침기구(20) 및 고정기구(40) 및 지지대(10)를 쉽게 일체화 시켜 작업성 및 고정성을 향상시키며, 연결브라켓(30)을 활용하여 전선(L)을 받침기구(20)에 쉽게 이동시킬 수 있어 보다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건축물의 전선보호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선(L)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양단에 상하방으로 개구된 지지대체결홀(11)이 각각 형성되는 지지대(10)와;
수직측판(21a)과, 수직측판(21a)의 상단에 형성되어 내방으로 수평하게 돌출되는 상부플렌지(21b)와, 수직측판(21a)의 하단에 형성되어 내방으로 수평하게 돌출되는 하부플렌지(21c)를 구비하여, 전후방으로 서로 대향되는 측벽체(21); 하부플렌지(21c)와 하부플렌지(21c) 사이에 위치하게 설치되는 렁(22)을 갖추며, 지지대(10)의 지지대체결홀(11)이 수직측판(21a) 보다 외방에 위치하게 지지대(10)에 안착되는 받침기구(20)와;
상부플렌지(21b)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부스토퍼판(31); 상부스토퍼판(31)의 외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수직측판(21a)의 외면에 밀착되는 전후방스토퍼판(32); 상하방으로 개구되어 지지대체결홀(11)과 연통되는 체결홀(33a)을 구비하고, 전후방스토퍼판(32)의 하단에서 외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며, 지지대(10)의 상면에 밀착되는 체결판(33); 체결판(33)의 좌단 및 우단에 하방으로 연장되게 각각 구비되어 지지대(10)의 좌우측면에 각각 밀착되는 좌우방스토퍼판(34); 체결판(33)의 외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지지대(10)의 외면에 밀착되는 가이드판(35); 가이드판(34)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윈치설치판(36); 다수의 고정홀(37a)을 구비하여, 내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낙수받이설치판(37);를 갖춘 각각의 연결브라켓(30)과;
상측 및 좌우측이 개구된 수용체(71)와, 수용체(71)의 전후측에 각각 구비되어 낙수받이설치판(37)에 안착되는 지지판(72)과, 지지판(72)에 구비되어 낙수받이설치판(37)의 고정홀(37a)에 삽탈가능하게 체결되는 삽입돌기(73)와, 수용체(71)의 단부에 구비되어 하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낙수가이더(74)를 갖춘 낙수받이(70)와;
수용체(71)에 설치되는 지지와이어(81)와, 지지와이어(81)에 구비되어 렁(22)에 착탈되는 지지걸이(82)를 갖춘 보강지지기구(80)와;
상단이 건물 천장(C)에 설치되고, 하단이 체결판체결홀(33a) 및 지지대체결홀(11)에 삽입되는 고정볼트(41); 고정볼트(41)와 체결되어 지지대(10) 및 연결브라켓(30)이 고정볼트(41)에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체(42);를 갖춘 각각의 고정기구(40)와;
윈치설치판(3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51)과, 윈치설치판(36)에 설치되어 드럼(51)을 회전시키는 회전장치(52)와, 드럼(51)에 감기거나 풀리는 권취로프(53)와, 권취로프(53)의 단부에 설치되는 연결구(54)를 갖춘 윈치(50)와;
수평방향으로 위치하게 수직측판(21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드럼(51)보다 우방에 위치하는 아이들러봉(6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지지대(10)와, 받침기구(20)와, 각각의 연결브라켓(30)과, 낙수받이(70)와, 보강지지기구(80)와, 각각의 고정기구(40)와, 윈치(50)와, 아이들러봉(60)를 포함하여, 천장에서 낙하하는 낙수를 신속하게 배수할 수 있고, 하나의 연결브라켓(30)을 매개로 받침기구(20) 및 고정기구(40) 및 지지대(10)를 쉽게 일체화 시켜 작업성 및 고정성을 향상시키며, 연결브라켓(30)을 활용하여 전선(L)을 받침기구(20)에 쉽게 이동시킬 수 있어 보다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낙수받이 및 보강지지기구 이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낙수받이 및 보강지지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X-X'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측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2에서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에서 낙수받이 및 보강지지기구를 생략한 도면이고,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낙수받이 및 보강지지기구 이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낙수받이 및 보강지지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X-X'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측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2에서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에서 낙수받이 및 보강지지기구를 생략한 도면으로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2 상에서의 X축 방향을 좌우방(좌우방향)으로 하고, Y축 방향을 전후방(전후방향)으로 하고, Z축 방향을 상하방(상하방향)으로 하여, 본 발명 구성의 방향성을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도 2 상에서 렁의 센터를 향하는 방향을 내방으로 하고, 그 반대 방향을 외방으로 하여 본 발명 구성의 방향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전선보호용 트레이는, 지지대(10)와, 받침기구(20)와, 각각의 연결브라켓(30)과, 낙수받이(70)와, 보강지지기구(80)와, 각각의 고정기구(40)와, 윈치(50)와, 아이들러봉(6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10)는, 도 2, 도 4,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상하방으로 개구된 지지대체결홀(11)이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지지대(10)는 양단이 받침기구(20)보다 외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받침기구(20)는, 도 2, 도 4, 도 6,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체(21)와, 렁(22)을 갖추며, 지지대(10)의 지지대체결홀(11)이 수직측판(21a) 보다 외방에 위치하게 지지대(10)에 안착된다.
상기 측벽체(21)는, 수직측판(21a)과, 수직측판(21a)의 상단에 형성되어 내방으로 수평하게 돌출되는 상부플렌지(21b)와, 수직측판(21a)의 하단에 형성되어 내방으로 수평하게 돌출되는 하부플렌지(21c)를 구비하여, 전후방으로 서로 대향되게 구비된다.
상기 렁(22)은, 측벽체(21) 사이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렁(22)은 하부플렌지(21c)와 하부플렌지(21c) 사이에 위치하게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렁(22)은 양단이 각각의 하부플렌지(21c)에 설치된다.
상기 연결브라켓(30)은, 도 2,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스토퍼판(31)과, 전후방스토퍼판(32)과, 체결판(33)과, 좌우방스토퍼판(34)과, 가이드판(35)과, 윈치설치판(36)과, 낙수받이설치판(37)을 갖춘다.
상기 상부스토퍼판(31)은, 상부플렌지(21b)의 상면에 밀착된다. 본 발명에서 상부스토퍼판(31)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전후방스토퍼판(32)은, 상부스토퍼판(31)의 외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수직측판(21a)의 외면에 밀착된다. 본 발명에서 전후방스토퍼판(32)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체결판(33)은, 상하방으로 개구되어 지지대체결홀(11)과 연통되는 체결홀(33a)을 구비하고, 전후방스토퍼판(32)의 하단에서 외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며, 지지대(10)의 상면에 밀착된다.
상기 좌우방스토퍼판(34)은, 체결판(33)의 좌단 및 우단에 하방으로 연장되게 각각 구비되어 지지대(10)의 좌우측면에 각각 밀착된다. 본 발명에서 좌우방스토퍼판(34)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판(35)은, 체결판(33)의 외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지지대(10)의 외면에 밀착된다. 본 발명에서 가이드판(35)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윈치체결판(36)은, 가이드판(34)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본 발명에서 윈치체결판(36)은 측방으로 관통된 관통홀(36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낙수받이설치판(37)은, 다수의 고정홀(37a)을 구비하여, 내방으로 돌출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낙수받이설치판(37)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고정홀(37a)은 상하방으로 형성된다.
상기 낙수받이(70)는, 도 3,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체(71)와, 지지판(72)과, 삽입돌기(73)와, 낙수가이더(74)를 갖춘다.
상기 수용체(71)는, 상측 및 좌우측이 개구된다. 본 발명에서 수용체(71)는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홈 형상을 이룬다.
상기 지지판(72)은, 수용체(71)의 전후측에 각각 구비되어 낙수받이설치판(37)에 안착된다. 본 발명에서 지지판(72)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삽입돌기(73)는, 지지판(72)에 구비되어 낙수받이설치판(37)의 고정홀(37a)에 삽탈가능하게 체결된다. 본 발명에서 삽입돌기(73)는 별도의 너트 또는 핀 등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삽입돌기(73)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낙수가이더(74)는, 수용체(71)의 단부에 구비되어 하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낙수가이더(74)의 낙수를 바닥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더로프(75)가 구비되되, 필요에 따라서는 다수의 가이더로프(7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지지기구(80)는, 도 3,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와이어(81)와, 지지걸이(82)를 갖춘다.
상기 지지와이어(81)는, 수용체(71)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지지와이어(81)는, 일단이 수용체(71)의 중앙 바닥 상면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걸이(82)는, 지지와이어(81)에 구비되어 렁(22)에 착탈된다. 본 발명에서 지지걸이(82)는 후크 형상을 이루어 지지와이어(81)의 타단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기구(40)는, 도 2, 도 4, 도 5,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41)와, 체결체(42)를 갖춘다.
상기 고정볼트(41)는, 상단이 건물 천장(C)에 설치되고, 하단이 체결판체결홀(33a) 및 지지대체결홀(11)에 삽입(삽탈)된다.
상기 체결체(42)는, 고정볼트(41)와 체결되어, 지지대(10) 및 연결브라켓(30)이 고정볼트(41)에 고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체결체(42)는 한 쌍의 너트로 이루어져, 도 4와 같이 고정볼트(41)에 체결되지만, 고정볼트(41)에 체결되어 지지대(10) 및 연결브라켓(30)이 고정볼트(41)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면,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윈치(50)는, 도 2, 도 4, 도 5,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51)과, 회전장치(52)와, 권취로프(53)와, 연결구(54)를 갖춘다.
상기 드럼(51)은, 윈치설치판(3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드럼(51)은 전후단이 각각의 윈치설치판(36)의 관통홀(36a)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장치(52)는, 윈치설치판(36)에 설치되어 드럼(51)을 회전시킨다. 본 발명에서 회전장치(52)는 모터로 이루어져, 윈치설치판(36) 중 전방에 위치한 윈치설치판(36)에 설치된다.
상기 권취로프(53)는, 드럼(51)에 감기거나 풀린다. 본 발명에서 권취로프(53)는 드럼(51)의 중간부분에 감기거나 풀린다.
상기 연결구(54)는, 권취로프(53)의 단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연결구(54)는 후크 형상을 이루지만, 전선(L)을 연결할 수 있으면 다양한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후크 형상의 연결구(54)를 사용할 시에는 별도의 와이어를 통해 연결구(54)와 전선(L)을 묶을 수도 있다.
상기 아이들러봉(60)은, 도 2, 도 4,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위치하게 수직측판(21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드럼(51)보다 우방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서 아이들러봉(60)은, 원형 봉 형상을 이루고, 권취로프(53)가 안착되어, 권취로프(53)가 하방 또는 드럼(51)을 향해 안내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아이들러봉(60)은 양단이 각각의 수직측판(21a)에 각각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아이들러봉(60)은 권취로프(53)가 'ㄱ'자 로 꺾여 이동할 시 마찰을 줄이는 기능을 한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도 9와 같이 천장(C)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누수는 전선(L) 사이를 통과하여 낙수받이(70)로 떨어진다.
이후, 낙수(누수)는, 낙수받이(70)를 따라 이동하여 낙수가이더(37)로 이동하고, 도 10과 같이 낙수가이더(37)에 의해 가이더로프(75)로 유도되어 바닥 배수로로 흐른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전선(L) 가설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낙수받이(70)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선(L)을 받침기구(20)에 가설한다.
작업자는, 윈치(50)의 권취로프(53)가 아이들러봉(60)을 경유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한 후, 도 11과 같이 연결구(54)를 전선(L)에 연결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윈치(50)의 회전장치(52)를 구동하여, 도 12와 같이 전선(L)을 상방으로 끌어 올린다.
이때, 윈치(50)에 의해 전선(L)이 계속 끌어올려지면, 도 13과 같이 전선(L)이 아이들러봉(60)을 타고 넘으면서 아이들러봉(60)에 안착된다.
그러면, 작업자는 받침기구(20)로 올라온 전선(L)을 도 14과 같이 가설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선(L)이 받침기구(20)에 가설되면, 낙수받이(70)를 연결브라켓(30)에 설치하고, 보강지지기구(80)를 렁(22)에 설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천장(C)에서 누수가 발생할 시 이를 신속하게 집수하여 안전하게 배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브라켓(30)에 낙수받이설치판(37)을 구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낙수받이(70)를 설치할 수 있고, 보강지지기구(80)를 통해 보다 안전하게 낙수받이(70)를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별 구성 간의 체결을 위한 별도의 체결부재가 개별적으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하나의 연결브라켓(30)을 매개로 지지대(10)와 받침기구(20)를 고정볼트(41)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연결브라켓(30)을 통해 지지대(10)와 받침기구(20)를 고정하면서 고정볼트(41)에 설치할 수 있어, 받침기구(20) 설치 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브라켓(30)이 도 7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연결브라켓(30)을 지지대(10)에 설치할 시, 상부스토퍼판(31) 및 전후방스토퍼판(32) 및 가이드판(35)에 의해 연결브라켓(30)이 상방 및 내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대(10) 및 받침기구(20)에 설치되고 지지대(11)의 지지대체결홀(11)과 체결판(33)의 체결판체결홀(33a)이 수직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정확하게 배치되는 한편, 좌우방스토퍼판(34)에 의해 연결브라켓(30)이 좌우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대(10)에 설치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7과 같이 지지대(10)에 지지대체결홀(11)이 형성되고, 연결브라켓(30)에 체결판체결홀(33a)이 형성되어, 지지대(11)를 고정볼트(41)에 고정하면서 받침기구(20)를 위치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브라켓(30)에 윈치설치판(36)이 구비되어, 전선(L)을 승강시키는 윈치(50)를 전선배치 구조 내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윈치(50) 설치를 통해 노동강도를 줄이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건축물용 전선(L)을 보호하면서 지지하는 트레이 방식의 구조에, 배수 구조 등, 건축물에 전선(L)을 설치할 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을 더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을 '배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전선보호용 트레이'로 정의하고, 본 발명의 청구대상을 '건축물의 전선보호용 트레이'로 정의한다.
10: 지지대 20: 받침기구
30: 연결브라켓 40: 고정기구
50: 윈치 60: 아이들러봉
70: 낙수받이 80: 보강지지기구

Claims (1)

  1. 전선(L)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양단에 상하방으로 개구된 지지대체결홀(11)이 각각 형성되는 지지대(10)와;
    수직측판(21a)과, 수직측판(21a)의 상단에 형성되어 내방으로 수평하게 돌출되는 상부플렌지(21b)와, 수직측판(21a)의 하단에 형성되어 내방으로 수평하게 돌출되는 하부플렌지(21c)를 구비하여, 전후방으로 서로 대향되는 측벽체(21); 하부플렌지(21c)와 하부플렌지(21c) 사이에 위치하게 설치되는 렁(22)을 갖추며, 지지대(10)의 지지대체결홀(11)이 수직측판(21a) 보다 외방에 위치하게 지지대(10)에 안착되는 받침기구(20)와;
    상부플렌지(21b)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부스토퍼판(31); 상부스토퍼판(31)의 외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수직측판(21a)의 외면에 밀착되는 전후방스토퍼판(32); 상하방으로 개구되어 지지대체결홀(11)과 연통되는 체결홀(33a)을 구비하고, 전후방스토퍼판(32)의 하단에서 외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며, 지지대(10)의 상면에 밀착되는 체결판(33); 체결판(33)의 좌단 및 우단에 하방으로 연장되게 각각 구비되어 지지대(10)의 좌우측면에 각각 밀착되는 좌우방스토퍼판(34); 체결판(33)의 외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지지대(10)의 외면에 밀착되는 가이드판(35); 가이드판(34)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윈치설치판(36); 다수의 고정홀(37a)을 구비하여, 내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낙수받이설치판(37);를 갖춘 각각의 연결브라켓(30)과;
    상측 및 좌우측이 개구된 수용체(71)와, 수용체(71)의 전후측에 각각 구비되어 낙수받이설치판(37)에 안착되는 지지판(72)과, 지지판(72)에 구비되어 낙수받이설치판(37)의 고정홀(37a)에 삽탈가능하게 체결되는 삽입돌기(73)와, 수용체(71)의 단부에 구비되어 하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낙수가이더(74)를 갖춘 낙수받이(70)와;
    수용체(71)에 설치되는 지지와이어(81)와, 지지와이어(81)에 구비되어 렁(22)에 착탈되는 지지걸이(82)를 갖춘 보강지지기구(80)와;
    상단이 건물 천장(C)에 설치되고, 하단이 체결판체결홀(33a) 및 지지대체결홀(11)에 삽입되는 고정볼트(41); 고정볼트(41)와 체결되어 지지대(10) 및 연결브라켓(30)이 고정볼트(41)에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체(42);를 갖춘 각각의 고정기구(40)와;
    윈치설치판(3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51)과, 윈치설치판(36)에 설치되어 드럼(51)을 회전시키는 회전장치(52)와, 드럼(51)에 감기거나 풀리는 권취로프(53)와, 권취로프(53)의 단부에 설치되는 연결구(54)를 갖춘 윈치(50)와;
    수평방향으로 위치하게 수직측판(21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드럼(51)보다 우방에 위치하는 아이들러봉(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전선보호용 트레이.
KR1020230068453A 2023-05-26 2023-05-26 배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전선보호용 트레이 KR102620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8453A KR102620270B1 (ko) 2023-05-26 2023-05-26 배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전선보호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8453A KR102620270B1 (ko) 2023-05-26 2023-05-26 배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전선보호용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270B1 true KR102620270B1 (ko) 2024-01-03

Family

ID=89538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8453A KR102620270B1 (ko) 2023-05-26 2023-05-26 배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전선보호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27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1237A (ko) * 2009-10-15 2011-04-21 (주)동양인더스트리 리미트크램프를 구비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
KR101098548B1 (ko) 2009-10-15 2011-12-26 박인철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
KR102229240B1 (ko) * 2020-08-21 2021-03-19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 구조
KR102324856B1 (ko) 2021-05-20 2021-11-11 (주)단에이앤씨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트레이
KR102513476B1 (ko) * 2022-06-20 2023-03-24 (주)배정기술단 건축물용 배전선 보호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1237A (ko) * 2009-10-15 2011-04-21 (주)동양인더스트리 리미트크램프를 구비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
KR101098548B1 (ko) 2009-10-15 2011-12-26 박인철 다방향 접지가 가능한 케이블트레이 시스템
KR102229240B1 (ko) * 2020-08-21 2021-03-19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외벽설치용 utp 케이블 배선용 덕트 구조
KR102324856B1 (ko) 2021-05-20 2021-11-11 (주)단에이앤씨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트레이
KR102513476B1 (ko) * 2022-06-20 2023-03-24 (주)배정기술단 건축물용 배전선 보호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8335A (en) Scaffolding system for performing a work on an outer wall surface of a building
KR20130033628A (ko) 승강형 지주대
KR20180007838A (ko) 건축용 안전망의 안전 설치 및 해체장치
KR102620270B1 (ko) 배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전선보호용 트레이
JP4637921B2 (ja) ゴンドラ用仮設ガイド装置および方法
KR102620271B1 (ko) 공동주택에 설치용 전선이탈방지형 전선고정기구
KR101780418B1 (ko)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PL192954B1 (pl) Winda, zwłaszcza winda z linowym krążkiem trakcyjnym
US5603183A (en) Window security device
KR200413596Y1 (ko) 빌딩보수ssp장치
KR101015345B1 (ko)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GB2355751A (en) Scaffold guard having tensionable safety screen
JPS6034710Y2 (ja) エレベ−タ用レ−ルの吊具装置
KR200430681Y1 (ko) 건축공사현장용 전선거치장치
JP4162247B2 (ja) 空調装置の室外機昇降装置
KR102064395B1 (ko) 에어컨 실외기 인양용 보조기구
JP3612021B2 (ja) カーケーブル案内装置
JPH0461948B2 (ko)
KR200303831Y1 (ko) 건축공사장용 안전선반
CN218581204U (zh) 一种液压提升设备吊架止晃装置
JP3731124B2 (ja) 雪庇発生防止装置
CN218005752U (zh) 一种石油钻机管线槽及石油钻机
KR200442254Y1 (ko) 무대소품을 동일한 속도로 승강토록 하는 배튼 승강장치
JP2004084220A (ja) 組立構造物の屋根ユニット設置方法
KR102672263B1 (ko) 지중배전선의 안정적 배치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지지트레이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